KR101331887B1 -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887B1
KR101331887B1 KR1020110135975A KR20110135975A KR101331887B1 KR 101331887 B1 KR101331887 B1 KR 101331887B1 KR 1020110135975 A KR1020110135975 A KR 1020110135975A KR 20110135975 A KR20110135975 A KR 20110135975A KR 101331887 B1 KR101331887 B1 KR 101331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lip
accessory
coupl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531A (ko
Inventor
이호섭
Original Assignee
이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섭 filed Critical 이호섭
Publication of KR2013004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43B3/0084Arrangement of flocked decoration on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는 상기 끈이 가로질러 관통되어 신발에 결합되는 클립을 마련하되, 상기 클립은 한 쌍의 지지부재가 분리되어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양측과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결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시킨 고정공에 단속부재를 결합하여 끈이 수용된 결합공간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밀폐시키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A fixing device for shoes accessories}
본 발명은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끈에 긴밀하게 장착되어 액세서리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는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세서리(accessory)는, 본체(本體)의 기능이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변화를 주는 부속품 또는 보조물의 총칭이다.
상기 액서서리의 다양한 적용 추세에 따라 구두나 운동화 또는 캐주얼 신발등에 사용자의 개성에 따라 신발을 장식할 수 있는 액서서리가 새롭게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3815호에서 제시된 신발용 악세서리는 하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 11a과, 회동가능하게 축조립되어 잠김 작동되는 개폐부재 11b를 갖고 신발 끈(20)에 걸림 장착되는 후크부 11와; 소정위치에 체결공 13a을 갖는 소정형상의 악세서리부 13와; 상기 후크부 11 및 악세서리부(13)의 체결공(11a)(13a)에 끼움조립되어 후크부(11)와 악세서리부(13)를 결합하는 결합부재(1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발용 악세서리는 후크부(11)의 개폐부재(11b)를 회동시켜 후크부(11)[0005] 의 끝단을 개방한 후 후크부(11)를 신발끈(20)에 걸고 개폐부재(11b)의 레버를 놓으면 상기 개폐부재(11b)는 역으로 회동되어 상기 후크부(11)의 끝단을 폐쇄함으로써 후크부(11)가 신발끈(20)으로 부터 탈거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는 동시에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10)의 장착이 매우 간편하게 완료될 수 있는 것이며, 악세서리(10)를 제거할 때에도 상기 개폐부재(11b)를 회동시켜 후크부(11)의 끝단을 개방한 후 후크부(11)를 신발끈(20)으로부터 탈거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용 악세서리는 고리형태를 갖는 개폐부(11)의 개폐부재(11b)의 회동에 의해 내부의 연결공간이 개방 또는 밀폐되는 형태를 갖고 있으나, 개폐부재(11b)가 후크부(11)에 단순히 힌지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도 휩게 개폐부재(11b)를 회동시킬 수 있어 악세서리의 긴밀한 연결상태 또는 신발에서도 연결상태가 안전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버가 후크부(11)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타 간섭물과의 간섭상태를 유발시킬 수 있어 연결상태의 안정도를 더욱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18583호에서 제시된 신발장식용 리본의 악세서리 결착구는 배면에 2개의 결속핀(1)(1')을 형성한 악세서리 결착구(10)와, 상기 결속핀(1)(1')을 관통되게 끼우는 결착공(2)을 다수 천공한 결착편(3)으로 되어 상기 결착공(2)에 끼워진 결속편(1)(1')의 사이공간에는 장식리본(20)을 끼워 넣은 후 결속핀(1)(1')의 외단측을 외향으로 꾸부려 장식리본(20)을 악세서리 결착구(10)에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신발장식용 리본의 악세서리 결착구는 장식리본(20)을 결차편(3)에 끼워진 결속핀(1)(1')사이에 넣고 결속핀(1)(1')을 오므려 결착편(3)으로 장식리본(20)을 악세서리 결착구(10) 배면에 압착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신발장식용 리본의 악세서리 결착구는 소성변형이 가능한 결속핀을 이용하여 결착편에 끼움 결합시킨 다음 결속핀을 절곡시켜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나, 이는 결속핀의 경우 소성변형의 한계가 불가피하여 장기간 사용시 결속핀의 절단 또는 결속 유지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식리본이 일체로 형성된 결속핀과 결착편은 각기 독립개체로 분리되어 있어 보관에 대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끈을 내부에 수용한 다음 단속시켜 신발에 장착된 결속장치를 통해 액세서리 장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세서리의 크기에 따라 접촉 면적을 넓혀 액세서리의 안정적인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는 끈을 횡방향으로 매듭한 신발에 액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끈이 가로질러 관통되어 신발에 결합되는 클립을 마련하되, 상기 클립은 한 쌍의 지지부재가 분리되어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양측과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결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시킨 고정공에 단속부재를 결합하여 끈이 수용된 결합공간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밀폐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머리부를 갖는 클립을 하나 이상으로 마련하여 상기 클립을 내부에 수용하는 결속블럭을 마련하되, 상기 결속블럭은, 양측에 결합공을 수직으로 형성시킨 이음부재와, 상기 이음부재의 양측에 직립되게 형성시켜 결합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되, 상기 관통공 양측이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재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속블럭은 이음부재에 상부로 개구된 결함홈을 형성하여 클립의 머리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속블럭은 결합부재의 일측에 고정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공에 결합부재를 결합시켜 관통공의 하부가 부분 밀폐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립과 결속블럭의 전면에는 액세서리가 장착되도록 나사공을 형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는 신발의 끈을 내부에 수용하는 클립을 마련하고, 상기 클립은 양측 및 하부를 개방시켜 수평방향으로 신발에 매듭된 끈이 클립 내부로 손쇱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 다음 단속부재로 마감하여 신발에 클립이 긴밀하게 장착하고, 상기 클립에 액세서리를 면접촉시키면서 체결부재로 상호 결합하여 상기 액세서리를 간단하면서도 긴밀하게 신발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는 클립을 하나 이상 마련하고, 상기 클립을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결속블럭을 마련하고, 상기 결속블럭의 관통공과 클립의 결합공간의 개구된 부분을 일치시켜 상기 신발에 매듭된 다수의 끈이 결합공간 내부로 수용된 다음 단속부재를 클립과 결속블럭에 결합하여 개방된 결합공간이 부분적으로 밀폐되도록 하여 일체화된 클립과 결속블럭을 신발에 손쉽고 긴밀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접촉 면적을 넓힌 결속블럭을 통해 액세서리를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결속블럭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결속블럭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결속블럭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결속블럭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클립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클립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결속블럭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결속블럭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결속블럭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결속블럭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는 끈 11을 횡방향으로 매듭한 신발 10에 부착되어 액세서리 300를 장착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대략 "ㄷ" 형상을 갖는 클립 110이 마련되고, 상기 클립 110은 호 형상의 외주연을 갖는 한 쌍의 지지부재 111가 상호 분리되어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111의 양측과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지지부재 111 사이에 결합공 211간 112을 형성하며, 타측은 한 쌍의 지지부재 111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 111의 일측에 형성시킨 고정공 115에 단속부재 120를 결합하여 끈 11이 수용된 결합공간 112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밀폐시켜 끈이 결합공간 112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립 110은 결합공간 112 내부로 끈 11을 위치시킨 후 신발 10에 매듭된 끈 11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결합공간 112에 횡방향으로 끈 11이 수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111에 형성된 고정공 115에 단속부재 120를 결합하여 끈 11이 수용된 결합공간 112을 단속부재 120가 수직으로 가로질러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공간 112 하부를 폐쇄시켜 끈 11이 결합공간 112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클립 110이 끈 11이 매듭된 신발 10에 긴밀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클립 110을 신발 1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공 115에서 단속부재 120를 분리하여 상기 결합공간 112 하부가 개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클립 110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결합공간 112 내에서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수용된 끈 11을 결합공간 112에서 이탈시켜 상기 클립 110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클립 110의 전면에는 나사공 114을 형성시켜 나사 등의 체결수단 224을 장착한 액세서리 300를 나사공 114에 결합하여 상기 액세서리 300가 클립 1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신발 10의 끈 11을 내부에 수용하는 클립 110을 마련하고, 상기 클립 110은 양측 및 하부를 개방시켜 수평방향으로 신발 10에 매듭된 끈 11이 클립 110 내부로 손쇱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 다음 단속부재 120로 마감하여 신발 10에 클립 110이 긴밀하게 장착하고, 상기 클립 110에 액세서리 300를 면 접촉 시키면서 체결부재로 상호 결합하여 상기 액세서리 300를 간단하면서도 긴밀하게 신발 10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재 111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머리부 113를 갖는 클립 110을 하나 이상으로 마련하여 상기 클립 110을 내부에 수용하는 결속블럭 200을 마련한다.
상기 결속블럭 200은 이음부재 210와 결합부재 2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음부재 210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음부재 210의 양측에 결합공 211을 수직으로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결속블럭 200은 대략 "ㄷ"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결합부재 220는 결속블럭 200의 중앙 부분이 빈 공간을 갖고, 상기 결속블럭 200의 양측에 2 개로 구분된 결합부재 220가 배치된다.
그리고, 결합부재 220는 상기 이음부재 210의 양측에 직립되게 수직으로 형성시켜 결합공 211과 연통되는 관통공 221을 갖되, 상기 관통공 221 양측 및 하부가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를 신발 10에 장착할 경우 아래와 같다.
상기 결속블럭 200의 결합공 211과 관통공 221에 클립 110을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 211 관통공 221의 내주연과 클립 110의 지지부재 111의 외주연은 동일한 호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결합블럭에 클립 110을 결합하고 난 후 상기 클립 110의 결합공 211간 112 및 결합블럭의 관통공 221 양측이 개구된 상태를 연통시킨다.
상기 결속블럭 200과 클립 110을 결합시킨 다음 상부에 위치한 끈 11을 클립 110의 결합공간 112 내부로 수용시킨 다음 신발 10의 하부 방향으로 결속블럭 200을 이동시켜 다수층으로 매듭된 끈 11이 결합공간 112 내부로 완전하게 수용된다.
아울러, 상기 결속블럭 200은 이음부재 210에 상부로 개구된 결합홈 212을 형성하여 클립 110의 머리부 113가 결합되도록 하여 결속블럭 200에 결합된 클립 110의 공회전을 방지하여 후술 될 결속블럭 200과 클립 110의 고정공 115, 222이 상호 일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결속블럭 200과 클립 110의 고정공 115, 222에 체결수단 224를 결합하여 상기 결합공간 112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밀폐시켜 상기 결합공간 112 내에 횡방향으로 수용된 끈 11이 결합공간 112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100를 신발 10에 장착하고 난 후에는 상기 결속블럭 200 전면에 형성된 나사공 223을 통해 액세서리 300에 결합된 체결수단 224이 결합되도록 하여 신발 10에 액세서리 장착을 가능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클립 110을 하나 이상 마련하고, 상기 클립 110을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결속블럭 200을 마련하고, 상기 결속블럭 200의 관통공 221과 클립 110의 결합공간 112의 개구된 부분을 일치시켜 상기 신발 10에 매듭된 다수의 끈 11이 결합공간 112 내부로 수용한 다음 상기 단속부재 120를 클립 110과 결속블럭 200의 고정공 115, 222에 결합하여 개방된 관통공 221과 결합공간 112이 부분적으로 밀폐되도록 하여 일체화된 클립 110과 결속블럭 200을 신발 10에 손쉽고 긴밀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접촉 면적을 넓힌 결속블럭 200을 통해 액세서리를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상기 끈 11이 가로질러 관통되어 신발 10에 결합되는 클립 110을 마련하되, 상기 클립 100은 한 쌍의 지지부재 111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상호 마주보게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111 사이에 결합공간 1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111의 일측에는 매듭공 116을 형성시키며 타측에는 고정공 222을 형성시켜 단속부재 120를 결합하여 결합공간 112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밀폐시켜 신발 10에 매듭되는 끈 11이 결합공간 112에 횡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상기 매듭공 116으로 끈 11의 끝부분을 관통시켜 매듭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를 신발에 장착 방법은 아래와 같다.
판 형태의 지지부재 111를 한 쌍으로 마련하여 상호 일정간격으로 마주보게 배치한다.
그리고, 끈 11이 결합 될 신발 10에 한 쌍의 지지부재 111 중 하부에 위치한 지지부재 111를 끈 11이 결합 될 신발 10에 밀착시킨 다음 끈 11을 결합공간 112에 횡방향으로 관통시키면서 신발 10에 교차되게 매듭시킨다.
이후, 신발 10에 끈 11의 매듭이 완료되면 끈 11의 끝부분을 한 쌍의 지지부재 111의 매듭공 116에 관통시켜 묶음하여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를 신발에 결속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신발 11 : 끈
100 : 결속장치 110 : 클립
111 : 지지부재 112 : 결합공간
113 : 머리부 114 : 나사공
115 : 고정공 116 : 매듭공
120 : 단속부재 200: 결속블럭
210 : 이음부재 211 : 결합공
212 : 결합홈 220 : 결합부재
221 : 관통공 222 : 고정공
223 : 나사공 224 : 체결수단
300 : 액세서리

Claims (6)

  1. 끈을 횡방향으로 매듭한 신발에 액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끈이 가로질러 관통되어 신발에 결합되는 클립을 마련하되,
    상기 클립은 한 쌍의 지지부재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상호 마주보게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결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일측에는 매듭공을 형성시키며 타측에는 고정공을 형성시켜 단속부재를 결합하여 결합공간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밀폐시켜 신발에 매듭되는 끈이 결합공간에 횡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상기 매듭공으로 끈의 끝부분을 관통시켜 매듭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2. 끈을 횡방향으로 매듭한 신발에 액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끈이 가로질러 관통되어 신발에 결합되는 클립을 마련하되,
    상기 클립은 한 쌍의 지지부재가 일측은 연결되고 양측과 하부는 개구되어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결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형성시킨 고정공에 단속부재를 결합하여 끈이 수용된 결합공간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밀폐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머리부를 갖는 클립을 하나 이상으로 마련하여 상기 클립을 내부에 수용하는 결속블럭을 마련하되,
    상기 결속블럭은,
    양측에 결합공을 수직으로 형성시킨 이음부재와,
    상기 이음부재의 양측에 직립되게 형성시켜 결합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되, 상기 관통공 양측이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블럭은 이음부재에 상부로 개구된 결함홈을 형성하여 클립의 머리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블럭은 결합부재의 일측에 고정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공에 결합부재를 결합시켜 관통공의 하부가 부분 밀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는 액세서리가 장착되도록 나사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KR1020110135975A 2011-10-28 2011-12-16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KR101331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1432 2011-10-28
KR1020110111432 2011-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531A KR20130047531A (ko) 2013-05-08
KR101331887B1 true KR101331887B1 (ko) 2013-11-21

Family

ID=4865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975A KR101331887B1 (ko) 2011-10-28 2011-12-16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8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1769A (ja) 1997-10-31 2001-11-13 クラインマン,フィリップ 特に運動靴用の靴紐の保持および/または固定を行う装置
KR200273526Y1 (ko) 2002-01-22 2002-04-25 이여한 신발끈 결속장치
KR200357442Y1 (ko) 2004-05-04 2004-07-23 주식회사 성기실업 신발끈 고정구
KR20110001025A (ko) * 2009-06-29 2011-01-06 정환호 신발끈 결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1769A (ja) 1997-10-31 2001-11-13 クラインマン,フィリップ 特に運動靴用の靴紐の保持および/または固定を行う装置
KR200273526Y1 (ko) 2002-01-22 2002-04-25 이여한 신발끈 결속장치
KR200357442Y1 (ko) 2004-05-04 2004-07-23 주식회사 성기실업 신발끈 고정구
KR20110001025A (ko) * 2009-06-29 2011-01-06 정환호 신발끈 결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531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2860B2 (en) Device for securing a shoelace knot
JP2011500128A (ja) 靴ひもの結束装置
KR200428163Y1 (ko) 신발끈 고정구
KR101331887B1 (ko) 신발 액세서리 결속장치
KR101037290B1 (ko) 신발용 장식구
KR20130010926A (ko) 신발 바닥창과 갑피의 결합구조
US20080168680A1 (en) Tap shoe with multiple fastening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e that provides the look and feel of a laced and elastically retained shoe
KR101222636B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100092273A (ko) 신발끈 액세서리
JP3176578U (ja) 靴紐ストッパー
KR200468320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CN205197182U (zh) 一种多功能鞋带扣
JP3103982U (ja) 紐用留め具
KR20130005011U (ko) 신발끈 결합구조
WO2018160760A1 (en) Shoe
CN205040776U (zh) 一种鞋用系带器及鞋
KR20090105063A (ko) 신발 끈 마감구
KR200357442Y1 (ko) 신발끈 고정구
KR200422135Y1 (ko) 신발끈 결속장치
KR20130000801U (ko)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KR20100087576A (ko) 신발용 악세서리 결착구
KR200471213Y1 (ko) 신발 결속구
KR101433740B1 (ko) 신발결속구
JP6167366B2 (ja) 紐留具
KR101839287B1 (ko) 편이용 신발 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