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823B1 -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 Google Patents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823B1
KR101330823B1 KR1020100140686A KR20100140686A KR101330823B1 KR 101330823 B1 KR101330823 B1 KR 101330823B1 KR 1020100140686 A KR1020100140686 A KR 1020100140686A KR 20100140686 A KR20100140686 A KR 20100140686A KR 101330823 B1 KR101330823 B1 KR 10133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y
unlocking
link
main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401A (ko
Inventor
김학렬
이현우
백영우
이성훈
Original Assignee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823B1/ko
Priority to US13/295,964 priority patent/US8453168B2/en
Publication of KR2012007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Abstract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디스크 드라이브는 메인샤시, 디스크를 장착하고 메인샤시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광픽업유닛이 장착된 픽업베이스를 디스크의 반경반향으로 직선왕복시키는 픽업이송부를 구비한 트레이와, 트레이에 마련되며, 픽업이송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메인샤시로부터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다. 이러한 디스크 드라이브는 솔레노이드를 제거하고 픽업이송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락킹해제유닛을 구동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Disk drive having tray locking releasing unit and method of releasing tray locking using the tray locking releasing uni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픽업이송부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광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읽어들이는 장치를 말한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메인샤시, 디스크 장착하고 메인샤시에 출입하는 트레이와, 외형을 구성하고 내부구조물 및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한다. 트레이에는 장착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 디스크의 정보를 재생하거나 정보를 기록하는 광픽업유닛, 광픽업유닛이 장착된 광픽업베이스를 디스크 내외주로 왕복운동시키는 픽업이송부가 설치된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트레이가 메인샤시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락킹수단과, 메인샤시로부터 트레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락킹해제수단을 구비한다.
종래의 락킹해제수단은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메인샤시에 대한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하는 구조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락킹해제수단은 솔레노이드를 별도를 구비해야 하므로, 설치에 따른 공간적인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픽업이송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는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메인샤시, 디스크를 장착하고 상기 메인샤시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광픽업유닛이 장착된 픽업베이스를 상기 디스크의 반경반향으로 직선왕복시키는 픽업이송부를 구비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며, 상기 픽업이송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메인샤시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다.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샤시에 마련된 락킹돌기에 결합되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락레버부,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픽업베이스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간섭부를 구비하는 링크부와,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레버부와 링크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의 회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락레버부를 회동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간섭부는 상기 픽업베이스를 리드스크류에 연결시키는 피드가이드와 접촉되어 상기 픽업이송부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락레버부와 상기 연결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락킹돌기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한다.
트레이에 마련되어 상기 락킹해제유닛의 초기위치를 한정하는 것으로, 상기 링크부와 접촉하는 스탑퍼를 더 구비한다.
락킹해제유닛의 초기위치를 한정하는 것으로,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링크부가 상기 스탑퍼에 접촉할 때, 상기 트레이에 마련된 프레임과 접촉하는 위치한정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메인샤시,
디스크를 장착하고 상기 메인샤시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광픽업유닛이 장착된 픽업베이스와, 스텝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를 구비하는 픽업이송부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픽업베이스를 연결하는 피드가이드를 구비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며, 상기 피드가이드에 의해 상기 스텝모터의 구동력을전달받아 구동되어 상기 메인샤시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다.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샤시에 마련된 락킹돌기에 결합되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락레버부,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드가이드와 부딪히는 간섭부를 구비하는 링크부와,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레버부와 링크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의 회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락레버부를 회동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트레이 락킹해제방법은
상기 픽업베이스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메인샤시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단계;와
상기 락킹해제유닛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픽업베이스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락킹해제신호에 따라 상기 스텝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스텝모터에 연결된 리드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리드스크류에 연결된 피드가이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픽업베이스를 상기 디스크의 외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단계는
상기 피드가이드가 상기 간섭부와 부딪히면서 상기 링크부를 회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링크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상기 락레버부가 회동되면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락킹돌기와 이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락킹해제유닛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텝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리드스크류를 역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피드가이드가 상기 간섭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링크부는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는 솔레노이드를 제거하고 픽업이송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락킹해제유닛을 구동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락킹해제유닛의 락레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링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락킹해제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도들.
도 9는 락킹해제유닛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락킹해제유닛의 락레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링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100)는 메인샤시(110)와, 메인샤시(110)의 상측을 덮어 메인샤시(110)와의 사이에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30)와, 디스크(D)를 장착하고 메인샤시(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에 출입하는 트레이(120)를 구비한다.
트레이(120)에는 디스크(D)가 장착되는 턴테이블(121)과, 턴테이블(12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2)와, 디스크(D)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는 광픽업유닛(1271)이 설치된 픽업베이스(127)와, 픽업베이스(127)를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왕복하도록 안내하도록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가이드샤프트(1231)(1232)와, 픽업베이스(127)를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왕복시키기 위한 리드스크류(126)와 리드스크류(126)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125)를 구비하는 픽업이송부(124)와, 픽업베이스(127)에 마련되어 리드스크류(126)의 회전력을 픽업베이스(127)에 전달하는 피드가이드(1272)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120)의 하면(1202)에는 메인샤시(110)에 삽입되어 락킹된 트레이(12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것으로, 락레버부(141), 연결부(142) 및 링크부(143)를 구비하는 락킹해제유닛(140)이 설치되어 있다. 락킹해제유닛(140)은 리드스크류(126)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리드스크류(126)와 연동되면서 트레이(120)의 락킹을 해제시킨다.
락레버부(141)는 트레이(120)의 락킹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트레이(120)의 배면(1202)에 마련된 회동축(153)에 끼워져 회동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홀(1414)과, 메인샤시(110)의 배면에 돌출 형성된 락킹돌기(111)와 결합될 수 있는 후크부(1411)와, 연결부(142)와 접촉되어 회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는 회동력수용부(1412)와, 스프링(144)의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부(1413)를 구비한다.
링크부(143)는 회동력이 전달되는 부분으로, 트레이(120)의 배면(1202)에 마련된 회동축(151)에 끼워져 회동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홀(1434)과, 연결부(142)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홀(1432)과, 피드가이드(1272)와 부딪힐 수 있도록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간섭부(1431)를 구비한다. 간섭부(1431)는 리드스크류(126)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42)는 링크부(143)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면서 락레버부(141)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트레이(120)의 배면(1202)에 마련된 회동축(152)에 끼워져 회동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홀(1427)과, 링크부(143)의 연결홀(1432)에 끼워지는 연결돌기(1425)가 마련된 제1연결부(1424)와, 락레버부(141)의 회동력수용부(1412)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1421)와, 스프링(144)의 타측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부(1426)와, 락킹해제유닛(140)의 초기위치를 한정하기 위하는 위치한정부(1423)를 구비한다.
트레이(120)의 하면(1202)에는 링크부(143)에 인접하여 락킹해제유닛(140)의 초기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스탑퍼(154)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20)가 메인샤시(110)로부터 돌출된 상태일 때, 트레이(120)가 메인샤시(110)로부터 락킹이 해제된 상태인 락킹해제유닛(140)의 초기위치이다. 이때, 링크부(143)는 스탑퍼(154)에 접촉되며, 연결부(142)의 위치한정부(1423)는 트레이(120)의 프레임(155)에 접촉된다. 따라서, 스탑퍼(154)와 위치한정부(1423)에 의하여 락킹해제유닛(140)의 초기위치가 한정된다.
락레버부(141)는 스프링(144)에 의하여 후크부(1411)가 락킹돌기(111)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진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락킹해제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트레이(도 2의 120)가 메인샤시(도 2의 110)에 삽입되어 후크부(1411)가 락킹돌기(111)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 상태는 락킹해제유닛(140)의 초기상태와 동일한 상태이다. 따라서, 링크부(143)는 스탑퍼(154)에 접촉되어 있고, 위치한정부(1423)는 프레임(155)에 접촉되어 있으며, 스프링(144)이 락레버부(141)를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락레버부(141)는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후크부(1411)가 락킹돌기(111)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결국, 트레이(도 2의 120)는 메인샤시(도 2의 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동력전달부(1433)는 리드스크류(126)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고, 간섭부(1431)도 픽업베이스(127)의 피드가이드(1272)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픽업베이스(127)는 피드가이드(1272)에 의하여 리드스크류(12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왕복되면서 광픽업유닛(도 1의 1271)이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거나 정보를 디스크에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픽업베이스(127)의 위치는 임의적이며,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광픽업유닛(도 1의 1271)이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픽업베이스(127)의 피드가이드(1271)는 간섭부(1431)와 접촉되지 않는다. 즉, 광픽업유닛(127)이 디스크의 최외주에 위치하더라도, 픽업베이스(127)의 피드가이드(1272)가 간섭부(1431)와 접촉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락킹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리드스크류(126)를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스텝모터(도 2의 125)를 구동한다. 그러면, 픽업베이스(127)는 리드스크류(126)에 의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피드가이드(1272)가 간섭부(1431)와 접촉되면서, 링크부(143)가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링크부(143)에 연결된 연결부(142)는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연결부(142)에 연결된 락레버부(141)는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링크부(143)는 스탑퍼(154)으로부터 이격되고, 위치한정부(1423)는 프레임(155)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텝모터(도 2의 125)가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이에 대응된 링크부(143)의 회동은 연결부(142)를 통해 락레버부(141)에 전달되므로, 후크부(1411)는 락킹돌기(111)와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스프링(144)은 최대로 인장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레이(120)는 메인샤시(110)로부터 돌출된 상태(도 1 참조)가 된다.
도 9는 락킹해제유닛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레이(도 1의 120)가 메인샤시(도 1의 110)에 다시 삽입될 때, 후크부(1411)가 락킹돌기(도 1의 111)와 결합될 수 있도록 락킹해제유닛(14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미도시)는 스텝모터(도 2의 125)를 역회전(도면의 반시계방향)시킨다. 이때, 픽업베이스(127)는 리드스크류(126)의 회동력이 피드가이드(1272)에 의하여 전달되면서 화살표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피드가이드(1272)에 의해 가해진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스프링(144)의 인장력에 의하여 락레버부(141)는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락레버부(141)에 연결된 연결부(142)는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연결부에 연결된 링크부(143)는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락레버부(141), 연결부(142) 및 링크부(143)의 회동은 위치한정부(1423)가 프레임(155)에 접촉되고, 링크부(143)가 스탑퍼(154)에 접촉되면 정지된다. 이 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락킹해제유닛(140)의 초기위치이다.
전술한 본 발명인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디스크 드라이브 110---메인샤시
111---락킹돌기 120---트레이
1203---개구부 121---턴테이블
122---구동모터 1231,1232---가이드 샤프트
124---픽업이송부 125---스텝모터
126---리드스크류 127---픽업베이스
1271---광픽업유닛 1272---피드가이드
130---커버 140---락킹해제유닛
141---락레버부 1411---후크부
1412---동력수용부 142---연결부
1421---제1연결부 1423---위치한정부
1424---제2연결부 143---링크부
1431---간섭부 151, 152, 153---회동축
154---스탑퍼 155---프레임

Claims (15)

  1. 메인샤시;
    디스크를 장착하고 상기 메인샤시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광픽업유닛이 장착된 픽업베이스를 상기 디스크의 반경반향으로 직선왕복시키는 픽업이송부를 구비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며, 상기 픽업이송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메인샤시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샤시에 마련된 락킹돌기에 결합되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락레버부;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픽업베이스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간섭부를 구비하는 링크부; 그리고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레버부와 링크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의 회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락레버부를 회동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픽업베이스를 리드스크류에 연결시키는 피드가이드와 접촉되어 상기 픽업이송부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디스크 드라이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락레버부와 상기 연결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락킹돌기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어 상기 락킹해제유닛의 초기위치를 한정하는 것으로, 상기 링크부와 접촉하는 스탑퍼를 더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해제유닛의 초기위치를 한정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링크부가 상기 스탑퍼에 접촉할 때, 상기 트레이에 마련된 프레임과 접촉하는 위치한정부를 더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7. 메인샤시;
    디스크를 장착하고 상기 메인샤시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광픽업유닛이 장착된 픽업베이스와, 스텝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를 구비하는 픽업이송부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픽업베이스를 연결하는 피드가이드를 구비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며, 상기 피드가이드에 의해 상기 스텝모터의 구동력을전달받아 구동되어 상기 메인샤시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샤시에 마련된 락킹돌기에 결합되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락레버부;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드가이드와 부딪히는 간섭부를 구비하는 링크부; 그리고,
    상기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락레버부와 링크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의 회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락레버부를 회동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락레버부와 상기 연결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락킹돌기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어 상기 락킹해제유닛의 초기위치를 한정하는 것으로, 상기 링크부와 접촉하는 스탑퍼를 더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해제유닛의 초기위치를 한정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링크부가 상기 스탑퍼에 접촉할 때, 상기 트레이에 마련된 프레임과 접촉하는 위치한정부를 더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12. 청구항 제7항에 기재된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샤시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업베이스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메인샤시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락킹해제유닛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베이스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락킹해제신호에 따라 상기 스텝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스텝모터에 연결된 리드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리드스크류에 연결된 피드가이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픽업베이스를 상기 디스크의 외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단계:는
    상기 피드가이드가 상기 간섭부와 부딪히면서 상기 링크부를 회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링크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상기 락레버부가 회동되면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락킹돌기와 이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락레버부와 상기 연결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락킹돌기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락킹해제유닛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텝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리드스크류를 역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피드가이드가 상기 간섭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링크부는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KR1020100140686A 2010-12-31 2010-12-31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KR10133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686A KR101330823B1 (ko) 2010-12-31 2010-12-31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US13/295,964 US8453168B2 (en) 2010-12-31 2011-11-14 Disk drive having a tray lock releasing unit and a method of releasing a tray lock using the tray lock releas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686A KR101330823B1 (ko) 2010-12-31 2010-12-31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401A KR20120078401A (ko) 2012-07-10
KR101330823B1 true KR101330823B1 (ko) 2013-11-15

Family

ID=4638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686A KR101330823B1 (ko) 2010-12-31 2010-12-31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53168B2 (ko)
KR (1) KR101330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312B1 (ko) * 2010-12-31 2013-06-14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KR101255341B1 (ko) * 2011-04-08 2013-04-16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
KR101350983B1 (ko) * 2011-04-08 2014-01-14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
CN103366774B (zh) * 2012-03-26 2015-11-25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光驱及其托盘锁定装置
CN103377669A (zh) * 2012-04-20 2013-10-30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光驱的托盘锁定装置
CN103383850B (zh) * 2012-05-03 2015-10-28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光驱的托盘锁定装置
KR102197575B1 (ko) * 2014-07-16 2021-01-0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 디스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666A (ja) * 1997-03-26 1998-10-09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120078402A (ko) * 2010-12-31 2012-07-10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4307B2 (ja) 1989-09-11 1998-09-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マガジン収納ディスクプレーヤ
MY123883A (en) * 1997-08-20 2006-06-30 Sony Corp Pick-up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and tray unlocking mechanism.
JP4087502B2 (ja) 1998-05-28 2008-05-21 三星電子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のロード機構
US20040117807A1 (en) * 2001-03-01 2004-06-17 Shoji Takahashi Disk drive device
JP2003288748A (ja) * 2002-01-24 2003-10-10 Nec Corp ディスク装置のロック機構
KR100468744B1 (ko) * 2002-07-06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및 이를 재용한광디스크드라이브
TWI226614B (en) * 2003-09-29 2005-01-11 Aopen Inc Optical disc drive which can firmly fix its tray module within its housing
JP2006012304A (ja) 2004-06-25 2006-01-12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
JP4232736B2 (ja) 2004-12-14 2009-03-04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TWI274325B (en) * 2005-05-17 2007-02-21 Lite On It Corp Tray locking device for optical disc drive
JP2007012227A (ja) * 2005-07-04 2007-01-18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
TWI266293B (en) * 2005-07-27 2006-11-11 Lite On It Corp Locking device
TWI288919B (en) * 2005-07-27 2007-10-21 Lite On It Corp A lock mechanism
TWI268493B (en) * 2005-08-11 2006-12-11 Benq Corp Carrying mechanism and optical disc drive using the same
JP4298734B2 (ja) * 2006-09-28 2009-07-22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光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666A (ja) * 1997-03-26 1998-10-09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120078402A (ko) * 2010-12-31 2012-07-10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53168B2 (en) 2013-05-28
US20120174134A1 (en) 2012-07-05
KR20120078401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823B1 (ko)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JP4543300B2 (ja) ディスク式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KR101275312B1 (ko) 락킹해제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락킹해제유닛을 이용한 트레이 락킹해제방법
JP2004039217A (ja) ドアロック手段を有するディスクドライブのフロントパネル組立体及びこれを具備したディスクドライブ
KR101106642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KR101255341B1 (ko) 디스크 드라이브
KR101350983B1 (ko) 디스크 드라이브
KR101316029B1 (ko)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KR101330815B1 (ko) 접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KR100818644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추에이터 래치장치 및 그를구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20040000618A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JP3006172B2 (ja) 記録再生装置
US7336447B2 (en) Disk device with inertia arm retaining portion stepped up from top yoke
JP3867855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375479B2 (ja) ディスク保持装置
JP2008057727A (ja) 電子機器の駆動力伝達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ディスク再生/記録装置
JP2899169B2 (ja) 光学式ディスク装置
KR101316028B1 (ko) 디스크 드라이브
KR100505654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디스크 드라이브
JP2005044480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475790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4334960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938122B1 (ko) 방진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플레이어
KR101315448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CN1655267A (zh) 具有盘盒的盘驱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