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643B1 -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643B1
KR101330643B1 KR1020110139084A KR20110139084A KR101330643B1 KR 101330643 B1 KR101330643 B1 KR 101330643B1 KR 1020110139084 A KR1020110139084 A KR 1020110139084A KR 20110139084 A KR20110139084 A KR 20110139084A KR 101330643 B1 KR101330643 B1 KR 10133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ate
conveyor belt
tension
extruder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710A (ko
Inventor
박진천
고영길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028Forc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085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38Conveying, transporting or storage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23Forc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8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33Conveying, transporting or storage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시 압출공정의 압출기에서 토출해 내는 압출물이 원하는 형상에 적합하도록 생산할 수 있는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압출기(1)의 압출다이(1a)를 통하여 토출해 내는 압출물(100)이 경사 컨베이어 벨트(2)를 거쳐 라인 컨베이어 벨트(3)로 이송되면서 장력이 조절되는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1)의 압출다이(1a)와 경사 컨베이어 벨트(2) 사이에는 속도제어용 롤러(4)가 설치되고, 상기 속도 제어용 롤러(4)는 센서(5)에서 감지하는 압출물(100)의 루프 길이(6) 정보에 따라 자체 회전속도가 변경되면서 압출물(100)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Tension control apparatus of tire extrudate}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시 압출공정의 압출기에서 토출해 내는 압출물이 원하는 형상에 적합하도록 생산할 수 있는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제조시 압출공정은 정련(혼합)공정에서 생산된 배합고무를 분쇄 및 열입작업을 거쳐 일정한 속도, 일정한 온도 및 가속도로 연속적으로 압출기에 공급하여 규정된 압출다이(Die)을 통해 제조 시방서에 의거 일정한 형상의 타이어 반제품인 압출물을 토출해 내는 작업인데, 이러한 압출공정에서 압출되는 압출물의 종류는 캡 트레드(Cap tread), 언더 트레드(Under tread), 사이드 트레드(Side tread), 사이드월(Side wall), 블라더(Bladder)등이 있다.
이러한 압출물의 압출작업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 벨트(107)를 통하여 공급되는 배합고무가 압출기(101)의 투입호퍼에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들어가서 압출기(101)의 압출다이(101a)를 통해 원하는 형상의 압출물이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압출기(101)의 압출다이(101a)를 통해 토출해 낸 압출물은 프리롤러로 구성된 경사 컨베이어 벨트(102)를 거쳐 라인 컨베이어 벨트(103)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압출기(101)에서 생성되는 압출물은 라인 컨베이어 벨트(103)로 이송되기까지 반복적으로 장력(Tension)이 부가되는데, 이는 원하는 압출물을 생성하는 변동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압출설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압출기(101)에서 토출해 내는 압출물에서 고무종류 및 그 크기에 따라서 부풀어 팽창하는, 이른바 스웰(Swell)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라인 컨베이어 벨트(103)와의 이송속도 편차에 의해 장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장력에 의한 영향으로 생성된 압출물에 편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원하는 압출물 형상을 맞추기 위하여 라인 컨베이어 벨트(103)이 이송속도를 제어하여도 압출물의 장력 제어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압출기를 통해 생성되는 압출물의 장력을 감지 제어하여 원하는 형상의 압출물을 만들 수 있도록 유지하는 타이어 트레드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출기의 압출다이를 통하여 토출해 내는 압출물이 경사 컨베이어 벨트를 거쳐 라인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면서 장력이 조절되는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의 압출다이와 경사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는 속도 제어용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속도 제어용 롤러는 센서에서 감지하는 압출물의 루프 길이를 정보에 따라 자체 회전속도가 변경되면서 압출물의 이송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는 압출기에서 생성되는 압출물을 라인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할 때 압출물의 장력을 감지 제어하여 보내기 때문에 원하는 형상에 맞는 압출물의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무종류의 특성에 따라 압출기에서 토출해 내는 압출물의 스웰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압출물의 초기 안정화의 품도 개선에 도움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를 갖춘 타이어의 압출설비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종래 타이어 반제품 압출설비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압출기(1)의 압출다이(1a)를 통하여 토출해 내는 압출물(100)이 경사 컨베이어 벨트(2)를 거쳐 라인 컨베이어 벨트(3)로 이송되면서 장력이 조절되는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1)의 압출다이(1a)와 경사 컨베이어 벨트(2) 사이에는 속도제어용 롤러(4)가 설치되고, 상기 속도 제어용 롤러(4)는 센서(5)에서 감지하는 압출물(100)의 루프 길이(6) 정보에 따라 자체 회전속도가 변경되면서 압출물(100)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압출기(1)의 압출다이(1a)를 통해 생성되는 압출물(100)의 장력을 센서(5)가 감지하고, 상기 센서(5)에 감지된 정보는 공지의 압출 PLC로 보내져서 이를 분석한 다음, 적정 장력값에 맞도록 속도제어용 롤러(4)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1)의 압출다이(1a)를 통해 토출된 압출물(100)이 경사 컨베이어 벨트(2)를 거쳐 라인 컨베이어 벨트(3)로 연속 이송되는데, 여기서 상기 압출물(100)은 압출기(1)와 경사 컨베이어 벨트(2) 사이에서 장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때 압출물(100)이 팽팽하게 당겨져 장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본 발명에서는 센서(5)가 압출물(100)의 루프길이(6)를 감지하고, 상기 루프길이(6)에 따라 속도제어용 롤러(4)의 회전속도를 변동시켜 줌에 따라 압출기(1)를 통해 생성되는 압출물(100)의 장력을 방지하여 원하는 압출물 형상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속도제어용 롤러(4)의 장력 측정에 대한 속도제어는 공지의 압출 PLC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가변시 허용범위는 라인 컨베이어 이송속도(3)의 ±10% 이내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1 : 압출기, 1a : 압출다이,
2 : 경사 컨베이어 벨트, 3 : 라인 컨베이어 벨트,
4 : 속도제어용 롤러, 5 : 센서,
6 : 루프(Loop) 길이.

Claims (2)

  1. 압출기(1)의 압출다이(1a)를 통하여 토출해 내는 압출물(100)이 경사 컨베이어 벨트(2)를 거쳐 라인 컨베이어 벨트(3)로 이송되면서 장력이 조절되는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1)의 압출다이(1a)와 경사 컨베이어 벨트(2) 사이에는 속도제어용 롤러(4)가 설치되고, 상기 속도 제어용 롤러(4)는 센서(5)에서 감지하는 압출물(100)의 루프 길이(6) 정보에 따라 자체 회전속도가 변경되면서 압출물(100)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용 롤러(4)의 속도제어는 라인 컨베이어 벨트(3) 이송속도의 ±10% 이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
KR1020110139084A 2011-12-21 2011-12-21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 KR10133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084A KR101330643B1 (ko) 2011-12-21 2011-12-21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084A KR101330643B1 (ko) 2011-12-21 2011-12-21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10A KR20130071710A (ko) 2013-07-01
KR101330643B1 true KR101330643B1 (ko) 2013-11-19

Family

ID=4898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084A KR101330643B1 (ko) 2011-12-21 2011-12-21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3440B (zh) * 2021-04-28 2023-01-24 重庆科技学院 一种丁基胶减振阻尼带生产线及张力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48B1 (ko) * 2005-09-14 2007-02-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압출물의 자체 터닝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48B1 (ko) * 2005-09-14 2007-02-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압출물의 자체 터닝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10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7975B2 (ja) ゴムストリップ材料を製造する装置
KR101551936B1 (ko) 비닐제조장치
EP2049324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uilding pneumatic tyres
JP6772684B2 (ja) ゴム押出物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WO20160879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optimising a dehumidifying and/or drying process
KR101330643B1 (ko) 타이어 반제품 압출물의 장력조절장치
JP6560031B2 (ja) ゴム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740595B2 (ja) ゴム押出装置
JP2018069666A (ja) 押出機
JPH0474173B2 (ko)
JP6855739B2 (ja) ゴム押出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システム
KR101363434B1 (ko) 압출기의 압출고무 공급량 자동조절 장치
KR101563326B1 (ko) 플라스틱 시트 압출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
JP2012000949A (ja) 未加硫ゴムの押出成形装置および押出成形方法
JP6658055B2 (ja) ゴム押出機へのゴム材料供給装置および方法
KR100625063B1 (ko) 윈치 저장존을 갖는 타이어 압출 스트립 저장장치
KR101179184B1 (ko) 압출기의 배합고무 공급장치
JP2016002712A (ja) ゴム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6043660A (ja) 押出成形機へのゴム材料の供給方法
JP2006192582A (ja) 複合押出機の押出制御方法
JP4068692B2 (ja) 二軸押出機および二軸押出機の圧力制御方法
KR100345414B1 (ko) 인너라이너 재료의 온드럼 공급 시스템
KR20060099621A (ko) 타이어 압출공정에 있어서 압출기의 압출물 자동속도변경장치
KR102105754B1 (ko) 연속 가류방법 및 가류장치
KR100452931B1 (ko) 타이어 제조용 압출공정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