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839B1 -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 Google Patents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839B1
KR101329839B1 KR1020120073021A KR20120073021A KR101329839B1 KR 101329839 B1 KR101329839 B1 KR 101329839B1 KR 1020120073021 A KR1020120073021 A KR 1020120073021A KR 20120073021 A KR20120073021 A KR 20120073021A KR 101329839 B1 KR101329839 B1 KR 101329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hot air
burner
preheat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한
최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7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02Brick hot-blast stoves
    • C21B9/04Brick hot-blast stoves with combustion shaf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02Brick hot-blast stoves
    • C21B9/06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4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and with draught
    • F23N1/045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and with draught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18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of the kil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27D2019/0034Regulation through control of a heating quantity such as fuel, oxidant or intensity of current
    • F27D2019/004Fuel quantity
    • F27D2019/0043Amount of air or O2 to the bu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는, 열풍변이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열풍변 내의 내화물을 예열하는 버너를 구비하는 가열부; 및 상기 버너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버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방열커버에 버너가 장착구비됨으로써, 기존에 COG배관의 구멍을 통해 단순히 불꽃을 발산하여 가열하는 것과 비교하여, 내화물 예열 작업시 내화물을 전체적으로 균등하면서도 일정하게 예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에 연료공급라인과 에어공급라인이 연결되고,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계됨으로써, 기존에 작업자가 밸브를 직접 조절하여 열풍변의 가열시간 및 가열정도를 대략적으로 조절하는 것과 비교하여, 작업부하가 거의 없이 안정적이면서도 가열시간 및 가열정도를 정확하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방열커버를 구동모터(32)에 의해 개폐작동하여 열풍변을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고, 방열커버 상부에 배기구가 구성됨으로써, 기존에 풍우로 인하여 불꽃이 꺼지면 누출되는 COG로 인한 중독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화물의 손상으로 인한 열풍변 내의 냉각수라인의 누수를 점검하면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누수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예열작업하는 동안 냉각수라인의 누수도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Apparatus for preheating refractory structure of hot blast valve}
본 발명은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로서, 내화물의 열적충격을 방지하도록 열풍변의 내화물을 예열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고로에 열풍을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일반적인 열풍변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열풍변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로의 열풍로 설비는 고로 내부에 저장된 철광석을 용해시키기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3)에서 연소된 열풍을 축열실(2)에 저장하였다가 축열실(2) 저부를 통해 대형 송풍기(1)가 바람을 공급하게 되면, 혼냉실(4), 열풍변(10), 열풍본관(5)을 통해 고로에 공급되어 용선을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열풍변(10)을 통과하는 열풍은, 1200℃의 고온과 4.0㎏/㎠의 고압을 동반하는데, 상기 고온 고압의 열풍이 고로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기 열풍변(10)은 대형 밸브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풍변(10)은 혼냉실(4)과 열풍본관(5) 사이의 연결관에 설치되며, 연통구가 형성된 바디(11), 상기 연통구를 개폐하도록 상하운동하는 디스크(14), 상기 바디(11)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승된 디스크(14)의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넷(12), 상기 바디(11)의 내부에서 하강된 디스크(14)의 전후 측에 각각 원형고리 형상으로 디스크(14)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된 시트(13), 및 상기 디스크(14)를 상하이동시키는 모터(15)와 상하구동체인(16)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열풍변(10)은 상술된 바디(11)와 본넷(12) 내부를 감싸도록 내화물(17)이 형성되고, 냉각수라인으로는 상기 디스크(14)를 냉각시키는 디스크 냉각유로(18)과, 시트(13)를 냉각시키는 시트 냉각유로(19)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열풍변(10)은, 연결관에 설치되기 전에 내부의 내화물(17)이 열풍변(10) 예열장치로 예열되는데, 이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열풍변 예열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로의 열풍변(10)은 주기적으로 수리 또는 신품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때마다 열풍변(10) 내에 내화물(17)을 신규로 시공하여 사용하게 되어 새로이 시공한 내화물(17)이 급격한 온도변화를 겪게 되기 때문에, 열 충격에 대한 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만약 열충격에 의하여 내화물(17)이 손상을 입게 되면, 손상된 내화물(17)은 열풍변(10)의 하부에 누적되어 열풍변(10)의 닫힘 동작을 방해함으로써, 열풍이 역류하여 연소가 불가능함에 따라 휴로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열풍변(10)에서 내화물(17)이 탈락한 부분의 철피에서는, 급격한 열변화에 의하여 크랙이 발생하거나 변형이 발생하여 냉각용으로 공급하는 냉각수가 누출되어 주변의 내화물(17)에 접촉하면서 내화물(17)의 급격한 균열과 냉각수의 기화에 의한 유체의 급격한 팽창으로 고로에 보내주는 송풍량의 급증을 초래함으로써, 조업중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열풍변(10)을 직립시킨 후 냉각수를 연결하고 방열판을 덮은 다음,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내화물(17)의 예열작업을 한다.
이와 같은 예열작업은, 며칠 동안 연속적으로 지속성 있게 진행하고 단계별로 열원을 변화시켜서 내화물(17)이 열충격에 대비하도록 예열시키는 중요한 일정인데, 하루 24시간 동안 고급기술자가 지켜볼 수 없는 관계로 이에 대한 상당한 어려움과 함께 형식적인 작업으로 인하여 예열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비바람이 치면 내화물(17)을 예열하는 불꽃이 꺼지게 되고, 불꽃이 꺼지면 코크스오븐가스(Cokes Oven Gas, COG)의 누출에 의한 중독 인명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아울러, 화재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음으로써, 사실상은 지속적이고 균등하며 단계적인 예열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중요한 것은 예열작업을 하는 동안에, 내화물(17) 탈락개소는 없는지, 이로 인하여 오링 또는 실링의 손상으로 인한 냉각수 누설개소는 없는지, 응축수는 얼마 정도가 발생 되었는지 등의 사전 테스트항목들이 있음에도 이를 소홀히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내화물(17)의 수명을 단축하거나 고로 조업을 중단하게 되는 빌미를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열풍변(10) 내화물(17) 건조작업에 따른 문제점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열풍변(10) 내화물(17) 예열 작업시 하부의 COG배관(7)에 일정구멍을 뚫어서 화염을 만들고 이 불꽃으로 예열을 함으로써, 균등하면서도 일정한 예열이 어렵다.
아울러, 방열커버(6)의 하측에 COG배관(7)이 연결됨으로써 가열범위가 하부에 편중되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이와 같은 가열수단에 의해서는 약 800℃ 정도 고온으로의 승온이 어렵기 때문에, 열풍변(10)을 설치한 후 초기 송풍시 내화물(17)과 열풍의 접촉에 의하여 내화물(17)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화물(17)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고숙련 작업자가 경험에 의해 COG배관(7)의 밸브를 조작하여 승온시킨다 하더라도, 일정하게 승온시키는 것이 어려울 뿐더러 작업부하도 가중되며, 야간에는 정해진 시간별로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방열커버(6)에 에어구멍(6a)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에어가 유입됨으로써, 가열정도가 조절되지 않아 적정한 승온단계를 조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변(10)에 방열커버(6)가 단순히 철사와 같은 부재로 체결됨에 따라, 비바람이 치면 내화물(17)을 예열하는 불꽃이 꺼지게 되고, 불꽃이 꺼지면 COG의 누출에 의한 중독 인명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넷째, 상술된 이유로 인하여, 내화물(17)이 손상되어 탈락하게 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테스트들도 자동으로 연계되지 않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하여 테스트가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음에 따라, 결과적으로 손상되거나 탈락 내화물(17)은 열풍변(10) 내부에 잔류하면서 열풍변(10) 작동을 방해하고 밸브의 실링능력을 소멸하도록 하여 냉각수가 누수됨에 따라, 결국에는 조업을 중단하게 된다.
아울러, 내화물(17)의 손상은 열풍변(10)을 급격히 손상시키는 역할을 촉진함으로써, 열풍변(10) 수명이 현저히 짧아지게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내화물의 균일하면서도 일정한 가열과, 단계별로 적정한 온도 상승과 높은 고온의 유지, 및 편리한 작업 중에서도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추도록 구성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는, 열풍변이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열풍변 내의 내화물을 예열하는 버너를 구비하는 가열부; 및 상기 버너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버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열풍변의 전후측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며, 상부에 배기구가 형성된 방열커버; 및 상기 열풍변 내측을 가열하도록 상기 방열커버에 장착된 상기 버너;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열커버는, 상기 본체에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동되게 체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방열커버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온도센서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너는, 점화부재가 장착되고 연료공급라인과 에어공급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가열정도가 조절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료공급라인에서의 연료가스는 코크스오븐가스(COG)로서, 상기 연료공급라인에는 타르필터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체에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료가스 누출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에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화물의 손상으로 인한 상기 열풍변 내의 냉각수라인의 누수를 점검하는 누수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누수검지부는, 상기 냉각수라인과 연결되어 냉각수의 기포를 측정하는 냉각수 기포측정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누수검지부는, 상기 열풍변 내에서 상기 내화물 및 냉각수라인의 하측에 형성된 응축수 수집공간에 응축수라인으로 연결되어, 응축수의 용량을 측정하는 응축수 계량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는, 방열커버에 버너가 장착구비됨으로써, 기존에 COG배관의 구멍을 통해 단순히 불꽃을 발산하여 가열하는 것과 비교하여, 내화물 예열 작업시 내화물을 전체적으로 균등하면서도 일정하게 예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너에 연료공급라인과 에어공급라인이 연결되고,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계됨으로써, 기존에 작업자가 밸브를 직접 조절하여 열풍변의 가열시간 및 가열정도를 대략적으로 조절하는 것과 비교하여, 작업부하가 거의 없이 안정적이면서도 가열시간 및 가열정도를 정확하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방열커버를 구동모터(32)에 의해 개폐작동하여 열풍변을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고, 방열커버 상부에 배기구가 구성됨으로써, 기존에 풍우로 인하여 불꽃이 꺼지면 누출되는 COG로 인한 중독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화물의 손상으로 인한 열풍변 내의 냉각수라인의 누수를 점검하면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누수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예열작업하는 동안 냉각수라인의 누수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고로에 열풍을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열풍변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열풍변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열풍변 예열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고로의 열풍변이 내부의 내화물을 교체하거나 새로운 열풍변을 사용 시, 열풍에 의해 초기에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변화에 대응하여, 내화물의 손상 및 탈락을 방지하도록 열풍변 내화물을 예열하는데, 이러한 예열작업에 있어서 내화물의 균일하면서도 일정한 가열과, 단계별로 적정한 온도 상승과 높은 고온의 유지, 및 편리한 작업 중에서도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추도록, 가열부, 연료가스 누출감지기, 누수검지부를 포함하고 이를 제어부로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열풍변(10)이 안착되는 본체(20), 및 상기 본체(20)에 설치된 가열부와 제어부(C)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열풍변(10)을 상방지지하는 장치로서,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취하며 상부에는 열풍변(10)이 안정적으로 올려지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 및 여러 부분에 본 발명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위치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 적정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본체(20)에 설치되어 열풍변(10) 내의 내화물(17)을 예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열부는 본체(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열풍변(10)의 전후측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방열커버(31)와, 상기 방열커버(31)에 장착된 버너(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방열커버(31)는 본체(20)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기 위해, 본체(20)에 힌지(34)로 연결되고, 본체(20)에 고정된 구동모터(32)의 구동축(32a)에 연동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34)는 방열커버(31)의 하부를 본체(20)에 연결되어 구동축(32a)이 회전함에 따라, 방열커버(31)가 하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올라가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 열풍변(10) 전측 또는 후측을 폐쇄하고, 방열커버(31)가 하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내려가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 열풍변(10)을 개방하게 된다.
예열작업을 하기 전에 열풍변(10)을 본체(20) 상에 안착시킬 때는 안정적으로 방열커버(31)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예열작업을 할 때에는 방열커버(31)를 수직방향으로 배치시켜 열풍변(10)을 폐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32)는 회전수를 감속시키면서 큰 토크를 발생시키는 기어드 모터가 활용될 수 있고, 구동축(32a)이 긴 경우 베어링블록(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C)가 구동모터(32)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과 전기적 연계된 표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방열커버(31)는 열풍변(10)의 예열작업 과정에서 일정 부분 연소되지 않고 누출될 수 있는 COG를 외부로 안정적인 방법으로 배기하기 위해, 작업자와 일정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부에 배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커버(31)에는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온도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온도센서로 예열작업 중 열풍변(10) 내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40)는 열풍변(10) 내측으로 불꽃을 발산하도록 방열커버(31)에 장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방열커버(31)의 전체적인 면에 걸쳐 배치되거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열풍변(10) 내부를 균일하게 예열할 수 있다.
이러한 버너(40)는, 점화부재(미도시)가 장착되고 연료공급라인(41)과 에어공급라인(43)이 연결되는데, 상기 연료공급라인(41)은 COG(Cokes Oven Gas, 코크스오븐가스)가 공급되는 라인으로서 코크스오븐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공급라인(41)에는 타르필터(42)가 장착됨으로써, COG 내에 섞인 타르를 깨끗이 필터링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에어공급라인(43)에는 본체에 설치된 에어블로워(44)가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버너(40)는 제어부(C)에 의해 가열정도가 조절제어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원하는 가열시간 및 승온온도까지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에 방열커버가 단순체결됨에 따라 풍우로 인하여 불꽃이 꺼지게 되고, 나아가 꺼진 불꽃으로 인하여 COG가 누출되어 중독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방열커버(31)에 버너(40)가 장착구비됨으로써, 기존에 COG배관의 구멍을 통해 단순히 불꽃을 발산하여 가열하는 것과 비교하여, 내화물(17) 예열 작업시 내화물(17)을 전체적으로 균등하면서도 일정하게 예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너(40)에 연료공급라인(41)과 에어공급라인(43)이 연결되고, 제어부(C)가 전기적으로 연계됨으로써, 기존에 작업자가 밸브를 직접 조절하여 열풍변(10)의 가열시간 및 가열정도를 대략적으로 조절하는 것과 비교하여, 작업부하가 거의 없이 안정적이면서도 가열시간 및 가열정도를 정확하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방열커버(31)를 구동모터(32)에 의해 개폐작동하여 열풍변(10)을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고, 방열커버(31) 상부에 배기구가 구성됨으로써, 기존에 풍우로 인하여 불꽃이 꺼지면 누출되는 COG로 인한 중독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본체(20)에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료가스 누출감지기(5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COG가 누출되는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20)에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20)에 상기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화물(17)의 손상으로 인한 상기 열풍변(10) 내의 냉각수라인의 누수를 점검하는 누수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수검지부는 열풍변(10) 내의 실링 또는 오링의 손상으로 인한 상기 냉각수라인의 기포유입을 점검하도록, 냉각수라인과 연결되어 냉각수의 기포를 측정하는 냉각수 기포측정기(52)를 구비할 수 있다.
손상되거나 탈락된 내화물(17)로 인하여 실링 또는 오링이 손상되면, 실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버너(40)에 의해 가열된 고온 고압의 기체가 디스크 냉각유로(18)와 시트 냉각유로(19) 내의 냉각수에 기포 상태로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기포는 유로의 내주면에 진동 및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 때문에 유로의 내주면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유로의 내주면 손상이 악화되면 냉각수가 다량 유출되면서 열풍관의 철피를 보호하는 내화물(17)에 더욱더 큰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각수 기포측정기(52)는, 디스크 냉각유로(18)와 시트 냉각유로(19)에 각각 연결되어 냉각수 내에 기포함유량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누수검지부는 냉각수라인의 누수를 점검하도록, 열풍변(10) 내에서 상기 내화물(17) 및 냉각수라인의 하측에 형성된 응축수 수집공간(53a)에 응축수라인(53b)으로 연결되어, 응축수의 용량을 측정하는 응축수 계량기(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계량기(53)는 외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한 냉각수라인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일정 정도의 양을 유지하는데, 이러한 응축수의 양이 일시적으로 많아지게 되는 것은 냉각수라인에서 냉각수가 누수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응축수의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열풍변 17 : 내화물
18 : 디스크 냉각유로 19 : 시트 냉각유로
20 : 본체 31 : 방열커버
31a : 배기구 32 : 구동모터
32a : 구동축 33 : 베어링블록
34 : 힌지 40 : 버너
41 : 연료공급라인 42 : 타르필터
43 : 에어공급라인 44 : 에어블로워
51 : 연료가스 누출감지기 52 : 냉각수 기포측정기
53 : 응축수 계량기 53a : 응축수 수집공간
53b : 응축수라인

Claims (9)

  1. 열풍변(10)이 안착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에 설치되며, 상기 열풍변(10) 내의 내화물(17)을 예열하는 버너(40)를 구비하는 가열부; 및
    상기 버너(4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버너(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
    를 포함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본체(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열풍변(10)의 전후측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며, 상부에 배기구가 형성된 방열커버(31); 및
    상기 열풍변(10) 내측을 가열하도록 상기 방열커버(31)에 장착된 상기 버너(4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커버(31)는, 상기 본체(20)에 힌지(34)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구동모터(32)의 구동축(32a)과 연동되게 체결되어, 상기 구동축(32a)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커버(31)에는 상기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온도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40)는, 점화부재가 장착되고 연료공급라인(41)과 에어공급라인(43)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C)에 의해 가열정도가 조절제어되며,
    상기 연료공급라인(41)에서의 연료가스는 코크스오븐가스(COG)로서, 상기 연료공급라인(41)에는 타르필터(42)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연료가스 누출감지기(5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게 설치되며, 상기 내화물(17)의 손상으로 인한 상기 열풍변(10) 내의 냉각수라인의 누수를 점검하는 누수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검지부는,
    상기 냉각수라인과 연결되어 냉각수의 기포를 측정하는 냉각수 기포측정기(5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검지부는,
    상기 열풍변(10) 내에서 상기 내화물(17) 및 냉각수라인의 하측에 형성된 응축수 수집공간(53a)에 응축수라인(53b)으로 연결되어, 응축수의 용량을 측정하는 응축수 계량기(5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KR1020120073021A 2012-07-04 2012-07-04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KR101329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21A KR101329839B1 (ko) 2012-07-04 2012-07-04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21A KR101329839B1 (ko) 2012-07-04 2012-07-04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839B1 true KR101329839B1 (ko) 2013-11-14

Family

ID=4985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021A KR101329839B1 (ko) 2012-07-04 2012-07-04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8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618A (ja) * 1997-06-20 1999-01-19 Kawasaki Steel Corp 高炉改修時の熱風弁保熱方法
KR19990016058U (ko) * 1997-10-23 1999-05-15 이구택 고로출선구 폐쇄기에 충진된 머드재 예열장치
KR19990017156U (ko) * 1997-10-31 1999-05-25 이구택 열풍로의 열풍밸브 누수측정장치
KR20110084772A (ko) *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포스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하는 용철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618A (ja) * 1997-06-20 1999-01-19 Kawasaki Steel Corp 高炉改修時の熱風弁保熱方法
KR19990016058U (ko) * 1997-10-23 1999-05-15 이구택 고로출선구 폐쇄기에 충진된 머드재 예열장치
KR19990017156U (ko) * 1997-10-31 1999-05-25 이구택 열풍로의 열풍밸브 누수측정장치
KR20110084772A (ko) *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포스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하는 용철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7156U (ko) 열풍로의 열풍밸브 누수측정장치
KR1007049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 실험용 수평 가열로
KR101329839B1 (ko) 열풍변 내화물 예열장치
TWI378214B (en) Regenerative burner
KR100964904B1 (ko) 소둔로용 가열장치
TWI665306B (zh) Heating device and heating method for mixed milling iron car
CN206014992U (zh) 一种热风炉用的凉炉、烘炉装置
KR101175504B1 (ko) 코크스 제조용 시험 장치
CN108165735B (zh) 一种球团生产工艺模拟试验系统
KR20080114501A (ko) 재하조건 콘크리트 폭렬실험장비
KR100943818B1 (ko) 플랩 밸브의 디스크 처짐량 모니터링 장치
KR101610242B1 (ko) 용기 예열 장치
CN104163581B (zh) 一种500t/d石灰套筒窑封窑方法
CN114111346B (zh) 一种双膛窑检修后兑火提温快速复产方法
KR101193694B1 (ko) 고로의 미분탄 취입 랜스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21955B1 (ko)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086331B1 (ko) 열풍로 승온용 인버너 장치
CN112981029B (zh) 一种用于模拟气基还原的气基还原装置及气基还原方法
KR100334581B1 (ko) 소둔로연소배가스의냉각장치
KR101322904B1 (ko) 용융로 연소대 모의 실험 장치
JP4124011B2 (ja) 熱風炉燃焼室バーナー部の煉瓦積み替え時における保熱方法および装置
KR101283988B1 (ko)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
EA013362B1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и способ для нагрева газа в установке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спекания
KR20190130885A (ko) 건조장치
KR20150053617A (ko) 불꽃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버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