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988B1 -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988B1
KR101283988B1 KR1020110144384A KR20110144384A KR101283988B1 KR 101283988 B1 KR101283988 B1 KR 101283988B1 KR 1020110144384 A KR1020110144384 A KR 1020110144384A KR 20110144384 A KR20110144384 A KR 20110144384A KR 101283988 B1 KR101283988 B1 KR 10128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ube
contact
temperature
detect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010A (ko
Inventor
송낙인
김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9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4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09Monitoring the pressure in an enclosure or kil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12Monitoring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or of one of thei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25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a part or of an element of the furnace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27D2019/0056Regulation involving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광로용 열풍로설비의 축열실과 연소실을 연결하는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락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풍 소음을 검지하는 소음검출부와, 연락관의 내부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검출부와, 연락관의 외부 철피의 내부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출부와, 연락관의 외부 철피를 통해 내부로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냉각기체공급부와, 소음검출부, 압력검출부 및 온도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소음, 압력 및 온도에 대한 측정치와 기설정치를 각각 비교하여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와, 비교판단부에서 전송되는 연락관의 이상여부 판단에 따라 냉각기체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는 열풍로의 연락관 철피가 손상되는 초기를 감지하고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CONNECTION PIPE OF HOT STOVE FOR BLAST FURNACE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용광로용 열풍로설비의 축열실과 연소실을 연결하는 연락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락관의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누풍을 감지할 수 있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풍로에는 용광로의 내부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시키기 위한 열풍로 설비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열풍로 설비에는 축열실과 연소실을 서로 연통시켜주는 연락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연락관의 내부에는 고온연소(약 1350℃) 및 고압(4.0kg/㎠)을 견딜 수 있도록 내화벽돌이 축조된 상태이고 외부에는 두꺼운 철피로 견고하게 감싸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용광로용 열풍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광로의 열풍로에서 송풍작업은 연소작업중 축열실(1)에 저장된 열을 송풍기(2)에서 공급하는 냉풍(150℃~200℃)이 축열실(1) 내부의 축조된 축열연와를 통하는 동안 승열되어 연락관(4), 연소실(5) 순으로 이동되며, 혼냉실(6)에서 일부 냉풍과 혼합되어 일정 송풍온도를 유지하며, 송풍시간 동안 용광로(미도시)에 열풍본관(7)을 통해 고열, 고압의 바람을 공급한다. 상기 용광로에서는 철광석과 코크스를 장비한 후에 열풍로 설비에서 보내지는 뜨거운 공기를 불어 넣어주면 용융환원 반응을 일으켜 쇳물이 생성된다. 한편, 연소작업은 송풍작업이 끝난 상태에서 연소실 내 버너(미도시)로 연소가스와 공기가 투입되면 연소실(5)의 내부에서 연소되고, 생성된 고열의 배기가스가 연락관(4)을 통해서 축열실(1)로 들어가 연와를 가열하고, 연돌(3)로 최종 방출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연락관(4)은 좌우측으로 신축관(4c, 도 2참조)이 연결되어 있어 고온,고압에 대한 수축팽창의 열응력을 흡수한다. 그런데, 축열실(1)에 있던 고온의 열풍과 송풍기(2)에서 공급되는 냉풍이 연락관(4) 내에서 혼합됨으로 인하여 연락관(4)의 신축관(4c)을 갖는 철피(4b, 도 2참조)를 급격히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팽창수축 반복과정에서 연락관(4)의 내부 연와 균열 및 열응력의 지속작용으로 철피(4b)에 크랙이 발생되어 심한 소음과 함께 고온 고압의 열풍이 연락관(4) 외부로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연락관(4)의 손상과 용광로의 조업이 중지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 특허출원된 특허출원번호 10-1999-64534(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시장치)가 있으나, 상기 출원된 특허는 비접촉식 온도계, 레이져 센서가 장착된 이동장치본체와 이동레일로 구성되어 있어 측정부를 통한 감시를 하고 있으나, 연락관의 원주 전체면적을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풍로의 연락관 철피가 손상되는 초기를 감지하고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용광로용 열풍로설비의 축열실과 연소실을 연결하는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락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풍 소음을 검지하는 소음검출부; 상기 연락관의 내부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검출부; 상기 연락관의 외부 철피의 내부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출부; 상기 연락관의 외부 철피를 통해 내부로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냉각기체공급부; 상기 소음검출부, 상기 압력검출부 및 상기 온도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소음, 압력 및 온도에 대한 측정치와 기설정치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 및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연락관의 이상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냉각기체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온도검출부는 상기 연락관의 철피 내부의 캐스타블과 세라믹울 사이의 온도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냉각기체공급부는, 상기 연락관의 철피를 통해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질소공급배관; 상기 질소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질소가스의 유량을 검지하는 질소유량검출센서; 및 상기 질소공급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질소가스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질소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비교판단부는 상기 온도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상기 연락관의 철피 내부 온도 측정치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연락관이 이상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상기 연락관이 이상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질소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연락관의 철피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질소가스의 압력이 상기 연락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열풍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질소공급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광로용 열풍로설비의 축열실과 연소실을 연결하는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음검출부에서 상기 연락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풍 소음을 검지하고, 검출된 소음값을 마이크로폰을 통해 증폭하는 단계; (b) 압력검출부에서 상기 연락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의 열풍 압력을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단계; (c) 온도검출부에서 상기 연락관의 외부 철피의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단계; (d) 비교판단부에서 상기 소음검출부, 상기 압력검출부 및 상기 온도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소음, 압력 및 온도에 대한 측정치와 기설정치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연락관의 이상여부 판단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연락관의 외부 철피를 통해 내부로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냉각기체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비교판단부는 상기 온도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상기 연락관의 철피 내부 온도 측정치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연락관이 이상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상기 연락관이 이상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연락관의 철피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냉각기체의 압력이 상기 연락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열풍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냉각기체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은 열풍로의 연락관 철피가 손상되는 초기를 감지하고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운전자에게 알려주며, 열풍로 내부로 흐르던 고온의 열풍이 외부로 누출되어 주변설비의 화재로 인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더 효율적인 열풍로 조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용광로용 열풍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열풍로의 연락관 이상여부 감지에 대한 감지장치의 출력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100)는 소음검출부(110), 압력검출부(120), 온도검출부(130), 냉각기체공급부(140), 비교판단부(150), 제어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하여, 용광로용 열풍로 설비의 축열실(1, 도 1 참조)과 연소실(5, 도 1 참조)을 연결하는 연락관(4, 도 1 참조)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데 이용된다. 여기서, 연락관(4)은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그 구조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소음검출부(110)는 연락관(4)의 철피(4b) 외부로부터 내부로 통해 연락관(4)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풍 소음을 검지하는 소음검출센서이다. 또한, 소음검출부(110)는 검출된 소음값은 증폭기(마이크로폰)를 통해 증폭할 수 있다.
압력검출부(120)는 연락관(4)의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의 열풍 압력을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압력검출센서(압력계)이다.
온도검출부(130)는 연락관(4)의 철피(4b)의 내부 분위기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온도검출센서(온도계)이다. 온도검출부(130)는 연락관(4)의 철피(4b) 내부의 캐스타블(4d)과 세라믹울(4e) 사이의 내부 분위기 온도를 검지한다.
냉각기체공급부(140)는 연락관(4)의 이상 과열 시 연락관(4)의 내부를 순식간에 냉각할 수 있도록 연락관(4)의 외부 철피(4b)를 통해 내부로 냉각기체, 구체적으로는 불활성가스인 질소(N2)를 공급한다. 냉각기체공급부(140)는 연락관(4)의 철피(4b)를 통해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질소공급배관(141)과, 질소공급배관(141)을 통해 공급되는 질소가스의 유량을 검지하는 질소유량검출센서(143)와, 질소공급배관(141) 상에 설치되어 질소가스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질소공급밸브(145)를 포함한다.
비교판단부(150)는 소음검출부(110), 압력검출부(120) 및 온도검출부(130)에서 검출되는 소음, 압력 및 온도에 대한 측정치와 기설정치를 각각 비교하여 연락관(4)의 이상여부를 판단한다. 비교판단부(150)는 온도검출부(130)에서 검출되는 연락관(4)의 철피(4b) 내부 분위기 온도 측정치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치 이상으로 실시간 비례에 의하여 증가하게 되면 연락관(4)이 이상 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비교판단부(150)에서 전송되는 연락관(4)의 이상여부 판단에 따라 냉각기체공급부(140)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비교판단부(150)에서 연락관(4) 철피(4b) 내부의 분위기 온도가 이상 과열시 연락관(4)이 이상 있다고 판단하여 질소공급배관(141)을 통해 연락관(4)의 철피(4b) 내부로 불활성가스인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순식간에 냉각시킨다. 이때, 제어부(160)는 질소공급배관(141)을 통해 연락관(4)의 철피(4b) 내부로 공급되는 질소가스의 압력이 연락관(4)의 내부를 통과하는 열풍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하여 고온의 열기가 연락관(4)의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질소공급밸브(141)를 개방하고, 질소유량검출센서(143)를 통해 질소공급유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질소유량 증감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경향(Trand)관리 정보들을 표시하여 작업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실시간으로 연락관(4)의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경향관리하는 마이크로폰 출력값은 수개의 소음기를 설치하여 일정값(100Db) 이상을 측정하고 지속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추이를 비교하여, 최종 소음크기를 마이크로폰에서 측정하여 그 값을 경향관리 화면으로 보내져 경향관리 그래프로 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소음검출부(110)에서 연락관(4)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풍 소음을 검지하고, 검출된 소음값을 마이크로폰을 통해 증폭한다. 이때, 마이크로폰 출력값은 수개의 소음기를 설치하여 일정값(100Db) 이상을 측정하고 지속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추이를 비교하여, 최종 소음크기를 마이크로폰에서 측정하여 그 값을 경향관리 화면으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압력검출부(120)에서 연락관(4)의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의 열풍 압력을 실시간으로 검지한다. 이때, 열풍로 설비의 연락관을 통해 내부 열풍 압력이 조업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4.0kg/㎠ 이상으로 설정한다. 이상은 고로에 불어넣는 열풍의 압력 최대값이다.
다음으로, 온도검출부(130)에서 연락관(4)의 외부 철피(4b)의 내부 분위기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지한다. 여기서, 내부 분위기 온도는 캐스타블(4d)과 세라믹울(4e) 사이의 내부 분위기 온도를 검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100℃ 이하 인데, 만약에 연락관(4)을 구성하고 있는 세라믹 연와가 크렉이 가거나 이상이 생겨 연락관(4) 내부에 흐르는 열풍이 그 틈새로 새어 나와서(Leak), 온도가 100℃ 이상 되었을 때는 연락관(4)의 손상이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교판단부(150)에서 소음검출부(110), 압력검출부(120) 및 온도검출부(130)에서 검출되는 소음, 압력 및 온도에 대한 측정치와 기설정치를 각각 비교하여 연락관(4)의 이상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비교판단부(150)는 온도검출부(130)에서 검출되는 연락관(4)의 철피(4b) 내부 온도 측정치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치 이상이면 연락관(4)이 이상 있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비교판단부(150)에서 전송되는 연락관(4)의 이상여부 판단에 따라 제어부(160)가 연락관의 외부 철피(4b)를 통해 내부로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냉각기체공급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비교판단부(150)에서 연락관(4)이 이상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연락관(4)의 철피(4b) 내부로 공급되는 냉각기체의 압력이 연락관(4)의 내부를 통과하는 열풍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냉각기체공급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연락관(4)의 손상이나 이상이 있는 경우 질소공급밸브(145)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연락관(4)의 철피(4b)를 통해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연락관(4)의 내부 분위기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냉각을 실시한다. 또한, 연락관(4)의 내부 분위기 온도의 가감 여부에 따라 질소의 공급유량을 가감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풍로의 연락관(4) 철피(4b)가 손상되는 초기를 감지하고 연락관(4)의 이상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운전자에게 알려주며, 열풍로 내부로 흐르던 고온의 열풍이 외부로 누출되어 주변설비의 화재로 인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더 효율적인 열풍로 조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열풍로의 연락관 이상여부 감지에 대한 감지장치의 출력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풍로의 연락관(4) 이상여부 감지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마이크로폰, 질소유량검출센서, 온도계, 압력계에서 측정하여 각각의 값을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경향관리 화면으로 보내져 경향관리 그래프 형태로 보여줌으로써, 작업자는 열풍로의 연락관 손상이나 이상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110 : 소음검출부
120 : 압력검출부 130 : 온도검출부
140 : 냉각기체공급부 141 : 질소공급배관
143 : 질소유량검출센서 145 : 질소공급밸브
150 : 비교판단부 160 : 제어부
170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용광로용 열풍로 설비의 축열실과 연소실을 연결하는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락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풍 소음을 검지하는 소음검출부;
    상기 연락관의 내부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검출부;
    상기 연락관의 외부 철피의 내부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출부;
    상기 연락관의 외부 철피를 통해 내부로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냉각기체공급부;
    상기 소음검출부, 상기 압력검출부 및 상기 온도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소음, 압력 및 온도에 대한 측정치와 기설정치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 및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연락관의 이상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냉각기체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부는 상기 연락관의 철피 내부의 캐스타블과 세라믹울 사이의 온도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체공급부는,
    상기 연락관의 철피를 통해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질소공급배관;
    상기 질소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질소가스의 유량을 검지하는 질소유량검출센서; 및
    상기 질소공급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질소가스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질소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단부는 상기 온도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상기 연락관의 철피 내부 온도 측정치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연락관이 이상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상기 연락관이 이상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질소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연락관의 철피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질소가스의 압력이 상기 연락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열풍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질소공급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6. 용광로용 열풍로 설비의 축열실과 연소실을 연결하는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음검출부에서 상기 연락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풍 소음을 검지하고, 검출된 소음값을 마이크로폰을 통해 증폭하는 단계;
    (b) 압력검출부에서 상기 연락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의 열풍 압력을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단계;
    (c) 온도검출부에서 상기 연락관의 외부 철피의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단계;
    (d) 비교판단부에서 상기 소음검출부, 상기 압력검출부 및 상기 온도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소음, 압력 및 온도에 대한 측정치와 기설정치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연락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연락관의 이상여부 판단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연락관의 외부 철피를 통해 내부로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냉각기체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비교판단부는 상기 온도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상기 연락관의 철피 내부 온도 측정치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연락관이 이상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상기 연락관이 이상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연락관의 철피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냉각기체의 압력이 상기 연락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열풍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냉각기체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방법.
KR1020110144384A 2011-12-28 2011-12-28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283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384A KR101283988B1 (ko) 2011-12-28 2011-12-28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384A KR101283988B1 (ko) 2011-12-28 2011-12-28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10A KR20130076010A (ko) 2013-07-08
KR101283988B1 true KR101283988B1 (ko) 2013-07-09

Family

ID=4898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384A KR101283988B1 (ko) 2011-12-28 2011-12-28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6461A (zh) * 2016-03-10 2016-05-1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风炉气体管道吹扫装置及吹扫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4580A (ja) * 1994-10-18 1996-05-07 Nkk Corp 圧力のかかる容器の異常検知方法及び装置
KR100338646B1 (ko) 1997-10-21 2002-09-26 주식회사 포스코 연락관손상감지기가구비된용광로용열풍공급장치
KR100447892B1 (ko) 2000-12-06 2004-09-08 주식회사 포스코 교환이 가능하고 냉각기능을 갖춘 열풍로 연락관
KR100554728B1 (ko) 1999-12-20 2006-02-24 주식회사 포스코 열풍로 익스팬션 발열 감지 및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4580A (ja) * 1994-10-18 1996-05-07 Nkk Corp 圧力のかかる容器の異常検知方法及び装置
KR100338646B1 (ko) 1997-10-21 2002-09-26 주식회사 포스코 연락관손상감지기가구비된용광로용열풍공급장치
KR100554728B1 (ko) 1999-12-20 2006-02-24 주식회사 포스코 열풍로 익스팬션 발열 감지 및 냉각장치
KR100447892B1 (ko) 2000-12-06 2004-09-08 주식회사 포스코 교환이 가능하고 냉각기능을 갖춘 열풍로 연락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6461A (zh) * 2016-03-10 2016-05-1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风炉气体管道吹扫装置及吹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10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7156U (ko) 열풍로의 열풍밸브 누수측정장치
CN104428618B (zh) 用于探测熔炉的至少一个冷却装置的区域中的泄漏的方法和装置及熔炉
KR101283988B1 (ko) 용광로용 열풍로의 연락관 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5652194B2 (ja) 炉の空気予熱器の診断方法
JP5328648B2 (ja) オーバーヒート検知システム
KR101657415B1 (ko) 가열로 열효율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344503B1 (ko) 복사관식 버너
CN109642726A (zh) 用于在炉上游预热流体的方法
CN108463671A (zh) 控制至少一辐射管燃烧器操作和安全的电子控制模块和方法
KR100636396B1 (ko) 고급전기강판 제조용 연속소둔로의 온도제어방법
JP6879267B2 (ja) 耐火物ライニング構造体、および温度センサ
KR101193694B1 (ko) 고로의 미분탄 취입 랜스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226609A (ja) ランスの異常監視方法
US20220298591A1 (en) Tuyere stock,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air blast system for melting furnace
KR20210029994A (ko) 배관불량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0792845B1 (ko) 열풍로용 축열실의 냉각장치
KR101205069B1 (ko) 연료가스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3004229A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の燃焼不良検知方法および装置
KR100822970B1 (ko) 고로 저부 누출가스 연소장치
JP3869647B2 (ja) リジェネレイティブバーナの三方弁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3869653B2 (ja) リジェネレイティブバーナのガス切替弁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11220933A (ja) 管路内耐火物の残厚推定方法
JP3594720B2 (ja) 蓄熱式バーナ装置群の燃焼制御方法及び蓄熱式バーナ装置の燃焼制御装置
KR101808420B1 (ko) 압연소재 보온장치의 댐퍼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23112866A (ja) 炉内圧力制御システム、燃焼炉、および、炉内圧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