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955B1 -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955B1
KR101421955B1 KR1020120135259A KR20120135259A KR101421955B1 KR 101421955 B1 KR101421955 B1 KR 101421955B1 KR 1020120135259 A KR1020120135259 A KR 1020120135259A KR 20120135259 A KR20120135259 A KR 20120135259A KR 101421955 B1 KR101421955 B1 KR 10142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temperature
cooling
hea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692A (ko
Inventor
윤상철
송치헌
유현종
임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3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9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2001/1605Repairing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18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of the kil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휴지-재연소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열풍로의 축열상태를 오래 유지할 뿐만 아니라 체커연와의 열충격 방지가 가능하도록 된 열풍로의 보열 제어방법은, 축열실 내에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개시하고, 상기 연소와 동시에 수금물의 냉각을 위한 냉각 공기의 통입을 개시하는 연소 및 수금물 냉각 단계와; 상기 축열실의 돔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온도 이상이 되고, 상기 수금물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2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축열실 내의 연소용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중지하는 휴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RETAINING OF BLAST FURNACE}
본 발명은 열풍로 내부 고온의 열을 유지하기 위한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소-휴지-재연소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열풍로의 축열상태를 오래 유지할 뿐만 아니라 체커연와의 열충격 방지가 가능하도록 된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풍로는 연소실과 축열실을 갖추고 있고, 연소실 내로는 가스와 공기가 공급되어 연소를 통해 높은 온도(1350℃)를 발생하게 되고, 축열실은 연소시 발생된 고온의 열을 전달받아 축적시켜 놓고, 그 가운데로 송풍을 행하여 축적된 열로 공기가 1200℃ 정도로 고온화 되게 한 것을 고로로 보내주는 설비이다.
이와 같은 열풍로는, 높은 온도(1350℃)와 압력(4.5 Kg/㎠)에 견디도록 내화물과 철피로 축조되고 있으나, 장시간 사용하면 철피 및 내화물의 손상이 야기되어 보수작업이 요구된다.
보수작업은 수리계획을 수립한 후 일정기간 냉각(1200℃ 고열에서 조업중이던 열풍로 설비를 수리를 위해 상온으로 냉각하는 작업, 이하 냉각이라 함), 수리, 승온(수리가 완료된 열풍로를 상온에서 조업 가능한 1200℃까지 올리는 작업, 이하 승온이라 함)의 순서대로 진행하게 된다.
특히, 열풍로 내부의 온도 저하시 체커연와가 열변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로 개수(조업중인 용광로를 수리하기 위해 내부의 장입물을 배출하고 용적 확대하는 작업)가 완료되는 시점(약 120일)까지 열풍로의 내부 온도를 1200℃ 이상으로 상시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연소-휴지-역송풍 단계의 보열작업(고온의 열을 유지하기 위한 정상 조업수준의 설비관리)을 행하게 된다.
보열작업시에, 먼저 해당 열풍로를 휴지하고, 역송풍을 수행하는데, 수금물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용 배관으로 외부에서 급기관을 통해 냉각 공기를 공급하여 수금물를 냉각시키며(350℃ 이하로 관리), 이때 축열실 내의 고온의 열이 혼냉실 상부의 방산구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한 보열작업은 약 2.5시간 연소작업을 진행하고, 약 2.5시간 휴지하게 되며, 다음 연소를 위해 수금물의 냉각을 위한 역송풍 작업을 3시간 정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열풍로 1기당 하루에 약 3회 정도의 역송풍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역송풍 작업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축열실 내의 열이 대기로 방산시키게 되므로, 다량의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고 있으며, 따라서 열풍로의 축열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역송풍시 급속 냉각으로 인하여 축열실 내의 체커연와가 열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열작업시 연소-휴지-재연소 과정으로 진행하여 인위적인 역송풍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열풍로의 축열상태를 오래 유지할 뿐만 아니라 역송풍시 급속 냉각으로 인한 체커연와의 열충격 방지가 가능하도록 된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은, 축열실과 연소실이 나란히 배치되어 상방이 상호 연통되어 있고, 상기 축열실의 내부에는 열을 축적시켜 두는 체커연와가 조적되어서 그 하측의 수금물로 지지되어 있는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금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기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 상기 수금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용 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냉각용 배관은 입구에서 안쪽 벽측까지 길게 설치되어 상기 급기관과 연결되는 1자형 배관과, 상기 1자형 배관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냉각공기를 배출하는 다수의 노즐 배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풍로의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와 동시에 상기 수금물의 냉각을 위한 냉각 공기의 통입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풍로의 보열 제어방법은, 축열실과 연소실이 나란히 배치되어 상방이 상호 연통되어 있고, 상기 축열실의 내부에는 열을 축적시켜 두는 체커연와가 조적되어서 그 하측의 수금물로 지지되어 있는 열풍로의 보열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열실 내에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개시하고, 상기 연소와 동시에 상기 수금물의 냉각을 위한 냉각 공기의 통입을 개시하는 연소 및 수금물 냉각 단계와; 상기 축열실의 돔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온도에 도달되고, 상기 수금물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2 온도에 도달되면, 상기 축열실 내의 연소용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중지하는 휴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온도는 약 1100℃이며, 제2 온도는 약 3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축열실의 돔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3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축열실 내에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재개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온도는 약 900℃이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연소단계는 약 2.5시간 동안 진행되며, 상기 휴지단계는 약 7.5시간 동안 진행된다.
또한, 상기 연소 개시와 동시에 연도변을 개방하여, 상기 냉각 공기가 상기 수금물의 냉각후 개방된 연도변을 통하여 대기로 방산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금물의 냉각은, 연소 초기에 약 5000 N㎥/Hr의 냉각 공기량으로 냉각을 실시하는 단계와, 연소작업중 상기 수금물의 온도가 약 10℃씩 상승할 때 냉각 공기량을 약 500N㎥/Hr씩 증가시키는 단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열작업시 연소-휴지-재연소 과정으로 진행하여 인위적인 역송풍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열풍로의 축열상태를 오래 유지할 뿐만 아니라 역송풍시 급속 냉각으로 인한 연와의 열충격 방지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소시 냉각 공기를 통입시키면, 냉각 공기가 수금물의 냉각후 개방된 연도변을 통하여 대기로 방산되므로, 본체 연와에 축열된 열손실을 최소화시키고, 인위적 냉각인 역송풍을 하지 않으므로 열풍로 축열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연소주기를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평균 연소횟수가 3회에서 2회로 감소되어, 연소시 사용되는 COG 가스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결과 연소 회수가 줄어든 만큼 연소가스 공급 등으로 인한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감소시키게 된다(연소용 COG 가스는 발열량 4300Kcal/N㎥, 유량 950~1000N㎥/Hr가 소요되며, 연소용 공기는 COG 가스 사용량의 약 6배 정도 필요함).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 보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각용 배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보열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열풍로의 체커연와에 관한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열작업시간과 본 발명에 따른 보열작업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 보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풍로는 열량을 저장하는 축열실(10)과 혼합가스와 연소공기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연소실(20)이 나란히 배치되어 상방이 상호 연통되어 있고, 상기 축열실(10)의 내부에는 열을 축적시켜 두는 체커연와(도시안됨)가 조적되어서 그 하측의 수금물 지지대(32)에 의해 지지되는 수금물(30)로 지탱되어 있다.
상기 축열실(10)의 하부는 연도변(42)을 통해 연도(40)와 연통되고, 상기 연소실(20)은 연소실(20)에서 승온된 공기를 목표온도로 조절하는 혼냉실(50)과 열풍변(52)을 경유하여 도시 생략된 고로에 연통되는 열풍관(54)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수금물(30)의 하부에는 냉각용 배관(60)을 설치하고, 외부의 압축팬(Combustion Air Fan : CAF)(70)에서 급기관(72)으로 냉각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수금물(30)을 냉각시킨다.
또한, 연소실(20)의 연소버너에 연소용 혼합가스인 COG를 공급하기 위해, 고로 가스 배관에는 COG 공급 탱크가 COG 유량 제어변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소용 가스의 경우, 1고로에서 문제 발생시 2고로에서 공급이 가능하도록 백업(backup) 배관을 설치하여 1고로 COG 라인과 연결하여 차단밸브를 설치하고,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내부 퍼지(Purge)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질소 배관을 추가로 설치한다.
특히,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연도변(42)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혼냉실(50)의 상부에도 개폐가 가능한 방산관(56)이 설치된다.
또한, 열풍로의 연소과정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돔 온도의 감지를 위한 계기들이 추가로 제공된다. 일실시예에서, 열풍로의 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돔의 상부에는 온도감지 수단인 온도 계측기(TC1)가 제공되고, 연도변(42)의 전단에는 배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계측기(TC2)가 제공되며, 수금물(30) 또는 수금물 지지대(3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계측기(TC3)가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각용 배관(60)은 수금물의 냉각을 위하여 수금물(3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에 1자형 배관(62)이 입구에서 안쪽 벽측까지 길게 설치되고, 1자형 배관(62)의 일정한 간격 위치에 좌,우로 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노즐 배관(64)이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냉각용 배관(60)은 상기 수금물(3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기관(72)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 상기 수금물(30)을 냉각시키며, 입구에서 안쪽 벽측까지 길게 설치되어 상기 급기관(72)과 연결되는 1자형 배관(62)과, 상기 1자형 배관(62)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연결되어 좌,우로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냉각공기를 배출하는 다수의 노즐 배관(64)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이후에 상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열풍로의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와 동시에 상기 수금물(30)의 냉각을 위한 냉각 공기의 통입을 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소 개시와 동시에 연도변(42)을 개방하여, 상기 냉각 공기가 상기 수금물(30)의 냉각후 개방된 연도변(42)을 통하여 대기로 방산되도록 한다.
일실시예에서, 급기관(72)은 1자형 배관(62)과 2단 분리 연결되고, 각각 수동 차단변(66a, 66b)이 설치되며, 그 전단에는 자동변(68)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2단 분리된 급기관(72)에는 유량 검출기(69)가 각각 부착될 수 있으며, 냉각 공기량이 이러한 유량 검출기(69)에 의해 상시 감시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수금물 지지대(32)에는 온도 검출기, 이를테면 온도 계측기(TC3)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온도 검출기는 수금물(30)의 온도를 상시 감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보열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열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연소실(20)의 연소버너에 연소용 혼합가스인 COG 가스가 공급되어 연소버너의 착화가 완료된다(S100).
연소버너의 착화가 완료되면 연소가 개시되며(S110), 이때 수금물(30)의 냉각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S120).
상기 연소와 동시에 수행되는 수금물(30)의 냉각은 수금물(30)의 하부에 냉각용 배관(62, 64)을 통해 냉각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연소는 보열관리시 필요한 1100℃까지 수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축열실(10)의 돔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예를 들면 1100℃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112). 여기서, 축열실(10)의 돔 온도는 축열시 돔의 상부에 제공된 온도감지 수단인 온도 계측기(TC1)에 의해 측정된다.
돔 온도가 110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축열실(10) 내에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지속한다.
만약 돔 온도가 1100℃에 도달한 경우에, 축열실(10) 내의 연소용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중지한다(S114).
다음에, 상기 축열실(10)의 돔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이하가 되고, 상기 수금물(30)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축열실(10) 내에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단계(S110)를 재개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축열실(10)의 돔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예를 들면 900 ℃ 이하가 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S116), 돔 온도가 900℃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연소단계(S110)를 재개시한다.
도 4는 열풍로의 체커연와에 관한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소실의 온도는 체커연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700℃ 이상으로 유지하게 되고(규석연와의 변태점이 약 650℃ 부근임), 돔 온도의 하한치는 연소실의 온도를 측정할 때의 계기 오차 등을 고려하여 약 840℃가 되며, 본 발명에서는 조업상 안전율을 고려하여 돔 온도가 900℃이하일 때 연소를 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금물(30)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예를 들면 350℃에 도달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S125), 수금물(30)의 온도가 약 350℃에 도달되면, 상기 축열실(10) 내의 연소용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중지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소와 동시에 수행되는 수금물(30)의 냉각은 수금물(30)의 하부에 냉각용 배관(40)을 통해 냉각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수금물(30)의 냉각은, 초기에 약 5000 N㎥/Hr의 공기량으로 냉각을 실시하게 되며, 수금물 지지대(32)에 부착된 온도 계측기(TC3)에서 온도를 상시 검출하여 냉각 공기량을 약간씩 증가시키게 된다(S121 내지 S124).
수금물(30)의 냉각시, 수동변들(66a, 66b)은 각각 일정한 개도(유량: 2500N㎥/Hr)를 유지하게 되며, 그 전단의 자동변(68)이 개방되어 연소작업과 동시에 수금물(30)의 냉각을 개시한다.
일실시예에서, 자동변(68)을 오픈함으로써 수금물의 냉각이 개시되고(S121), 연소에 기인한 수금물의 온도 상승을 체크하고(S122), 연소초기 250℃ 수준에서 10℃ 상승한다고 가정할 때, 자동변(68)을 추가로 오픈시킴으로써(S123), 냉각 공기량을 약 500N㎥/Hr씩 증가시킨다(S124).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열작업시 연소와 동시에 수금물의 냉각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역송풍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열풍로는 내부의 온도 저하시 체커연와의 열변형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므로 1300 ℃의 온도를 상시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연소-휴지-역송풍의 단계로 진행한 반면, 본 발명에서는 연소시 축열실 하부의 수금물의 변형방지를 위한 냉각을 병행하여 연소-휴지-재연소로 진행하여 역송풍 공정을 제거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연도변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연소시에만 개방함), 축열실의 하부에 냉각 공기를 공급하여 축열실 → 연소실 → 혼냉실 → 방산관으로 배기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연소작업 개시와 동시에 연도변을 개방하고 수금물의 냉각을 위한 냉각 공기를 동시에 투입하므로, 상기 냉각 공기는 상기 수금물의 냉각후 열려진 연도변을 통하여 대기로 방산되는 방식을 취한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열작업시간과 본 발명에 따른 보열작업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약 2.5시간 동안 연소작업을 진행하고, 약 2.5시간 동안 휴로(또는 휴지)하게 되며, 다음 연소를 위해 수금물의 냉각을 위한 역송풍 작업을 약 3시간 동안 진행한다. 즉, 고로의 보수기간 동안 열풍로의 역송풍을 1싸이클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연소작업을 약 2.5시간 동안 진행하면서 동시에 수금물의 냉각을 통한 온도 상승억제(수금물의 온도가 저하되고 있음)로 인하여, 종래와 대비하여 약 3시간 정도의 역송풍이 불필요하게 되고, 반면에 휴로 시간이 약 7.5 시간(2.5 시간 + 5시간)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열풍로의 축열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연소주기를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축열실 20 : 연소실
30 : 수금물 32 : 수금물 지지대
40 : 연도 42 : 연도변
50 : 혼냉실 60 : 냉각용 배관
70 : 압축팬 72 : 급기관

Claims (9)

  1. 연도변을 통해 연도와 연통되고, 내부에는 열을 축적시켜 두는 체커연와가 조적되어 그 하측의 수금물로 지지되는 축열실;
    상기 축열실과 나란히 배치되어 상방이 상호 연통되고, 승온된 공기를 목표온도로 조절하는 혼냉실과 연통된 연소실;을 포함하며,
    상기 수금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기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 상기 수금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용 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냉각용 배관은 입구에서 안쪽 벽측까지 길게 설치되어 상기 급기관과 연결되는 1자형 배관과, 상기 1자형 배관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냉각공기를 배출하는 다수의 노즐 배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풍로의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와 동시에 상기 수금물의 냉각을 위한 냉각 공기의 통입을 개시하며, 연소 개시와 동시에 연도변을 개방하여 상기 냉각 공기가 상기 수금물의 냉각 후 개방된 연도변을 통하여 대기로 방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2. 삭제
  3. 축열실과 연소실이 나란히 배치되어 상방이 상호 연통되어 있고, 상기 축열실의 내부에는 열을 축적시켜 두는 체커연와가 조적되어서 그 하측의 수금물로 지지되어 있는 열풍로의 보열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열실 내에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개시하고, 상기 연소와 동시에 상기 수금물의 냉각을 위한 냉각 공기의 통입을 개시하는 연소 및 수금물 냉각 단계와;
    상기 축열실의 돔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온도에 도달되고, 상기 수금물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2 온도에 도달되면, 상기 축열실 내의 연소용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중지하는 휴지단계;
    상기 연소 개시와 동시에 연도변을 개방하여, 상기 냉각 공기가 상기 수금물의 냉각후 개방된 연도변을 통하여 대기로 방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축열실의 돔 온도가 미리 결정된 840 내지 900℃ 범위 이하가 되면, 상기 축열실 내에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여 보열작업을 위한 연소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의 보열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약 1100℃이며, 제2 온도는 약 3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의 보열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단계는 약 2.5시간 동안 진행되며, 상기 휴지단계는 약 7.5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의 보열 제어방법.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금물의 냉각은, 연소 초기에 약 5000 N㎥/Hr의 냉각 공기량으로 냉각을 실시하는 단계와, 연소작업중 상기 수금물의 온도가 약 10℃씩 상승할 때 냉각 공기량을 약 500N㎥/Hr씩 증가시키는 단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의 보열 제어방법.
KR1020120135259A 2012-11-27 2012-11-27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42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59A KR101421955B1 (ko) 2012-11-27 2012-11-27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59A KR101421955B1 (ko) 2012-11-27 2012-11-27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692A KR20140067692A (ko) 2014-06-05
KR101421955B1 true KR101421955B1 (ko) 2014-07-22

Family

ID=5112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259A KR101421955B1 (ko) 2012-11-27 2012-11-27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0035A (zh) * 2020-05-27 2020-11-10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型顶燃式热风炉的快速凉炉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107A (ja) * 1998-09-29 2000-04-11 Nkk Corp 熱風炉燃焼室のバーナ部の煉瓦積替え方法および装置
KR100500137B1 (ko) * 2002-12-11 2005-07-11 주식회사 포스코 열풍로 개보수를 위한 강제 휴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107A (ja) * 1998-09-29 2000-04-11 Nkk Corp 熱風炉燃焼室のバーナ部の煉瓦積替え方法および装置
KR100500137B1 (ko) * 2002-12-11 2005-07-11 주식회사 포스코 열풍로 개보수를 위한 강제 휴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692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053B1 (ko) 축열식 가열로의 연소 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421955B1 (ko) 열풍로의 보열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201367436Y (zh) 一种高炉热风炉烘烤装置
JP4801185B2 (ja) 蓄熱式燃焼装置
EP2980476B1 (en) Pressurized fluidized furnace equipment
KR20090030515A (ko) 소둔로용 가열장치
CN101418358B (zh) 硅砖热风炉凉炉方法
JP3823403B2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US11592176B2 (en) RPM control method for inducer for gas furnace
EP2993398B1 (en) Flue-gas treatment apparatus and its method of operation
CN103664008B (zh) 一种环形套筒窑烘炉低温控制工艺
KR20130110496A (ko) 가열로의 역화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082092B2 (ja) 熱風炉の保熱方法
JP2000104107A (ja) 熱風炉燃焼室のバーナ部の煉瓦積替え方法および装置
JP7027498B2 (ja) 流動炉及びその冷却方法
KR101419880B1 (ko) 가스 승압 장치를 구비하는 선재 제조 장치
JP2009235437A (ja) 大減尺休風時の高炉操業管理方法
JP7076742B2 (ja) 昇温脱離分析法における液体窒素を用いた冷却機構付低温式昇温炉
JP3823335B2 (ja) ガラス溶融炉の二次空気湿度制御装置
JP5914134B2 (ja) 熱風管の冷却方法および補修方法
JP5557708B2 (ja) 施設園芸用温風暖房機およびその冷却制御方法
JP4839921B2 (ja) 熱風炉の冷却方法
KR100784048B1 (ko) 미분탄 제조설비의 열풍로 폐가스 온도 제어장치
KR101099679B1 (ko)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RU60184U1 (ru) Подогреватель газа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