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679B1 -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679B1
KR101099679B1 KR1020090046171A KR20090046171A KR101099679B1 KR 101099679 B1 KR101099679 B1 KR 101099679B1 KR 1020090046171 A KR1020090046171 A KR 1020090046171A KR 20090046171 A KR20090046171 A KR 20090046171A KR 101099679 B1 KR101099679 B1 KR 101099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ot
hot air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641A (ko
Inventor
양성운
문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67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은: 열풍로의 본체건조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본체건조가 종료되면 본체건조에 사용되는 가열공기를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열풍본관으로 이송된 가열공기를 고로로 유입되기 전에 외측으로 배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풍로, 고로, 열풍본관, 본체건조

Description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DRYING METHOD OF HOT BLAST PIPE WHEN HOT STOVE DRIED}
본 발명은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본관의 건조에 들어가는 설비의 비용을 절감하며, 열풍본관의 건조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의 고로 작업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로가 구비된다. 열풍로는 연료가스와 공기가 공급된 버너를 통하여 연소하는 연소실과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저장하는 축열실을 포함한다.
연소실에서 축열실로 들어가는 연소가스는 스텍으로 빠져나가며, 열풍로는 고로에 1250도 내외의 열풍을 공급하도록 축열실 내부에는 열을 축적하는 내화연와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열풍로는 연소실과 축열실이 한쌍을 이루며 3 내지 4기가 열풍본관을 따라 구비되며, 열풍로의 연소와 송풍과정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된다.
열풍로의 개보수를 위해 냉각된 열풍로나 신설된 열풍로는, 축열실의 초기 승온시 축열실내에 축조된 내화연와 및 이에 부착되는 몰타르(Mortar)의 수분을 제거를 위한 건조작업을 실시한다.
건조잡업은 열풍로의 연소실과 축열실을 건조하는 본체 건조작업과, 열풍로와 고로를 연결하는 열풍본관의 건조작업으로 구분된다.
열풍로 본체 건조시는 본체건조버너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열풍본관 건조시에는 열풍본관 건조버너를 따로 설치하여 각각 건조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연소실과 축열실로 이루어진 열풍로 건조와 열풍로와 고로를 연결하는 열풍본관의 건조에 사용되는 버너를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설비 비용이 증가하며 버너 설치에 따른 건조기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열풍로와 열풍본관의 건조 작업시, 본체건조버너를 겸용으로 사용하므로 설비 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건조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은: 열풍로의 본체건조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본체건조가 종료되면 본체건조에 사용되는 가열공기를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열풍본관으로 이송된 가열공기를 고로로 유입되기 전에 외측으로 배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열풍본관으로 가열된 공기를 이송시킨 후 열풍본관의 건조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건조에 사용된 가열공기를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는, 고로와 가장 먼 곳에 위치한 열풍로의 가열공기를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본체건조에 사용된 가열공기를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는, 본체건조버너에 의해 가열된 가열공기를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은, 열풍로의 본체건조가 종료된 이후, 열풍로의 본체건조에 사용되는 가열공기를 열풍본관으로 이송시켜 열풍본관을 건조하므로 설비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열풍본관에 별도의 버너를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이에 따른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건조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로에 열풍을 공급하는 설비라인에 사용되는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 건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본관 건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와 열풍본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로(1)는 연소실(3) 및 연소실(3)과 연결된 축열실(5)을 포함한다.
연소실(3)의 하측에는 본체건조버너(19)가 설치되어 연소실(3)과 축열실(5)을 건조시키는 본체건조에 사용된다.
그리고, 연소실(3)에는 연소가스밸브(11)가 설치된 연소가스관로(12)와, 연소공기밸브(13)가 설치된 연소공기관로(14)가 설치된다.
연소실(3)의 하측에는 연소가스와 연소공기가 혼합되어 발화되므로 축열실(5)을 가열하는 열원이 된다.
축열실(5)의 내측에는 열을 축적하는 내화연와(7)가 설치되며, 연소실(3)과 축열실(5)을 통과한 가열공기는 연도밸브(17)와 스텍(Stack)(9)을 통해 외측으로 배기된다.
축열실(5)의 하측에는 축열실(5)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관로를 개폐하는 송풍밸브(1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열풍로(1)는 3기 내지 4기 정도 설치되며, 연소실(3) 과 연결된 연결관로(20)는 열풍본관(30)의 제1열풍관(32)과 연결된다.
연결관로(20)에는 연결밸브(22)가 설치되어 연소실(3)의 가열공기가 열풍본관(30)을 통해 혼냉실(24)로 이동됨을 제어한다.
혼냉실(24)에서는 열풍로(1)에서 연결관로(20)를 통해 이동된 열풍이 고로(50)로 유입되기 전에 혼냉실(24)에서 외부공기와 혼합되므로, 가열공기는 고로(50)에 공급되기 위한 적정 온도로 조절된다.
열풍본관(30)은 열풍로(1)를 통하여 공급된 열풍이 고로(50)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열풍본관(30)은, 열풍로(1)와 혼냉실(24)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열풍관(32)과, 혼냉실(24)과 고로(5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열풍관(34)을 포함한다.
고로(50)와 인접된 열풍본관(30)에는, 건조를 위해 열풍본관(30)을 따라 이동되는 열풍이 고로(50) 내로 진입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본관밸브(36)가 설치된다.
본관밸브(36)는 제2열풍관(34)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로(50)의 원주 둘레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 송풍지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열풍본관(30)은 고로(50)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된 관로와 제1열풍관(32)과 제2열풍관(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2열풍관(34)에는 열풍본관(30)의 건조를 위해 이동되는 가열공기를 외측으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관로(40)가 구비되며, 배기관로(40)에는 유로를 차폐하는 배기밸브(42)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은, 열풍로(1)의 본체건조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0)
열풍로(1)의 본체건조는 연소실(3)과 축열실(5)을 건조하는 것으로, 열풍로(1)에 구비된 온도계를 통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열풍로(1)의 본체건조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한다.
또는 설정된 온도와 시간으로 가열 작업이 수행된 뒤에 본체건조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본체건조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열풍로(1)의 본체건조시, 연결밸브(22)를 닫고 연도밸브(17)를 연 상태에서 본체건조버너(19)에 의해 가열된 가열공기는, 연소실(3)과 축열실(5)을 거쳐서 스텍(9)을 통해 외측으로 배기되면서 연소실(3)과 축열실(5)을 건조시킨다.
본체건조가 종료되면 본체건조에 사용되는 가열공기를 열풍본관(30)으로 이송시킨다.(S20)
이를 위하여 고로(50)와 연결된 본관밸브(36)와 스텍(9)과 연결된 연도밸브(17)를 닫고 연결밸브(22)를 연 상태에서, 본체건조버너(19)에 의해 발생된 가열공기는 연소실(3)과, 열풍본관(30)의 제1열풍관(32)과, 혼냉실(24)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2열풍관(34)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열풍로(1)의 연소실(3)과 축열실(5)을 건조시키는 가열공기는 열풍 본관(30)으로 이송된다.
열풍로(1)에서 가열된 공기를 열풍본관(30)으로 이송시킬 때, 본체건조버너(19)에 의해 가열된 가열공기를 열풍본관(30)으로 이송시킬 수도 있으며, 축열실(5)을 가열하는 버너를 작동시켜 공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열풍본관(30)과 연결된 열풍로(1) 가운데, 고로(50)와 가장 먼 곳에 위치한 열풍로(1)의 가열공기를 열풍본관(30)으로 이송시키므로 열풍본관(30)의 전구간에 걸쳐서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열풍본관(30)으로 이송된 가열공기가 고로(50)로 유입되기 전에 외측으로 배기시킨다.(S30)
이를 위해 배기관로(40)에 구비된 배기밸브(42)는 개방되므로 제2열풍관(34)을 따라 이동된 가열공기는 배기관로(40)를 따라 외측으로 배기된다.
그리고, 열풍본관(30)으로 가열된 공기를 이송시킨 후 열풍본관(30)의 건조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열풍본관(30)에 구비된 온도계를 이용하여 열풍본관(30)의 건조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열풍본관(30)에 공급된 가열공기의 온도와 공급시간 등으로 고려하여 열풍본관(30)의 건조 여부를 판단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열풍본관(30)의 건조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열풍본관(30)의 건조가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본체건조에 사용되는 가열공기를 열풍본관(30)으로 이송하여, 가열공기가 고로(50)로 유입되기 전에 외측으로 배기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열풍로(1)의 본체건조에 사용되는 본체건조버너(19)를 이용하여 열풍본관(30)의 건조도 수행하므로, 버너의 설치 개수가 감소되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열풍본관(30)의 건조를 위해 별도의 버너를 설치하고, 설치된 버너를 이용하여 열풍본관(30)을 건조하는 기존 방식에 비하여 버너를 설치하는 시간이 감소되므로 건조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고로에 열풍을 공급하는 설비라인에 사용되는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열풍을 이용하는 다양한 가열장치에 구비된 열풍로에도 본 발명의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 건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본관 건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와 열풍본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열풍로 3: 연소실
5: 축열실 9: 스텍
17: 연도밸브 19: 본체건조버너
20: 연결관로 22: 연결밸브
24: 혼냉실 30: 열풍본관
32: 제1열풍관 34: 제2열풍관
36: 본관밸브 40: 배기관로
42: 배기밸브 50: 고로

Claims (4)

  1. 열풍로의 본체건조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본체건조가 종료되면, 상기 본체건조에 사용되는 가열공기를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풍본관으로 이송된 가열공기를 고로로 유입되기 전에 외측으로 배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본관으로 가열된 공기를 이송시킨 후 상기 열풍본관의 건조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건조에 사용된 가열공기를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로와 가장 먼 곳에 위치한 상기 열풍로의 가열공기를 상기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건조에 사용된 가열공기를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는,
    본체건조버너에 의해 가열된 가열공기를 상기 열풍본관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KR1020090046171A 2009-05-26 2009-05-26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KR101099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71A KR101099679B1 (ko) 2009-05-26 2009-05-26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71A KR101099679B1 (ko) 2009-05-26 2009-05-26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641A KR20100127641A (ko) 2010-12-06
KR101099679B1 true KR101099679B1 (ko) 2011-12-28

Family

ID=4350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171A KR101099679B1 (ko) 2009-05-26 2009-05-26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6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9206A (en) 1978-11-14 1980-05-24 Sumitomo Metal Ind Ltd Drying method for blast furnace main body brick
JPS56214A (en) 1979-06-12 1981-01-06 Sumitomo Metal Ind Ltd Automatic control for moisture in hot 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9206A (en) 1978-11-14 1980-05-24 Sumitomo Metal Ind Ltd Drying method for blast furnace main body brick
JPS56214A (en) 1979-06-12 1981-01-06 Sumitomo Metal Ind Ltd Automatic control for moisture in hot 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641A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RE20080032A1 (it) &#39;&#39; metodo per la cottura di prodotti ceramici, e relativo forno &#39;&#39;
CN103423865B (zh) 一种具有多层旋转换热炉胆的热风炉
CN101900489B (zh) 链箅机-回转窑-环冷机烘炉装置及其烘炉方法
CN105403061B (zh) 一种循环利用冷却余热提高助燃风温度的节能窑炉
CN106967448A (zh) 一种干熄焦系统耐材大面积更换后的烘炉方法
CN103940213A (zh) 焦炭烘干系统干燥气温度与流量自调节控制装置及方法
CN206014992U (zh) 一种热风炉用的凉炉、烘炉装置
JP2007314821A (ja) 熱風管路補修時の熱遮断方法
CN103063044B (zh) 转底炉烟气余热利用系统和转底炉烟气余热利用方法
KR101099679B1 (ko) 열풍로 건조시 열풍본관 병행 건조방법
CN205482401U (zh) 一种余热锅炉的尾部排空烟气余热利用装置
JP4757596B2 (ja) 蓄熱式バーナ装置とその運転方法
CN201285212Y (zh) 低温烟气余热再利用装置
CN215049884U (zh) 一种采用正压烘炉技术的焦炉负压烘炉设备
CN107781829A (zh) 一种能实现临时停炉保温的旋转rto炉体及其保温方法
CN108267009A (zh) 链箅机热风系统
CN205228190U (zh) 一种循环利用冷却余热提高助燃风温度的节能窑炉
CN108278854A (zh) 一种柴油烘炉方法
CN102735043A (zh) 高效节能多温区烘道
CN207716892U (zh) 一种预热罩装置
CN205774662U (zh) 一种带有自动快速降温装置的带钢连续燃气辐射管退火炉
CN206280959U (zh) 一种蓄热式多管束辐射管燃烧装置
CN205604055U (zh) 沥青路面燃油热风加热装置
JP5914134B2 (ja) 熱風管の冷却方法および補修方法
CN212747327U (zh) 冶金烧制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