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885A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885A
KR20190130885A KR1020180055581A KR20180055581A KR20190130885A KR 20190130885 A KR20190130885 A KR 20190130885A KR 1020180055581 A KR1020180055581 A KR 1020180055581A KR 20180055581 A KR20180055581 A KR 20180055581A KR 20190130885 A KR20190130885 A KR 20190130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t air
injector
air suppl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학
김형우
손기완
김현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화성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화성테크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5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0885A/ko
Publication of KR20190130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배관 내부에 설치된 내화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관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풍 공급부; 상기 배관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열풍 공급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배관의 출구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배관 내부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하고, 배관 내부에 설치된 내화물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내부에 설치된 내화물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내의 철광석을 용해하기 위해서, 송풍지관을 통해 고로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고압으로 공급한다. 열풍이 고로 내부로 장입된 코크스를 연소시키면, 주변의 철광석이 용해 및 환원되어 용선이 생산된다.
송풍지관의 내부에는 부정형 내화물이 축조된다. 이에, 내화물이 송풍지관의 외피를 열풍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송풍지관을 장시간 사용하면 내화물이 균열되거나 침식되기 때문에, 내화물 교체작업이나 수리작업을 자주 수행한다.
한편, 송풍지관의 내화물을 시공할 때 수분이 첨가된다. 그러나 수분이 첨가된 상태로 내화물을 사용하면 내화물의 강도나 내식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송풍지관에 내화물을 시공한 후 내화물을 건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내화물이 시공된 송풍지관을 대기장에 적치시켜 내화물을 자연 건조(또는, 양생)시킨 후, 잔여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송풍지관 내부를 불꽃을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즉, 일정 간격으로 구멍이 뚫린 배관을 송풍지관 중심축 상에 삽입하고, 구멍에서 나오는 가스에 의해 생성되는 화염들로 송풍지관 내부를 건조시켰다.
그러나 가열 범위가 화염 주변에만 편중되어 내화물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내화물 중 일부에 수분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거나, 화염 주변의 내화물과 화염에서 떨어진 내화물의 가열 온도 차이로 인해 내화물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화염이 바람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꺼지는 경우, 배관에서 나오는 가스가 연소되지 않고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누출되는 가스에 작업자가 중독되는 위험성이 있다.
KR 2001-0060400 A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 시공된 내화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 설치된 내화물을 효과적으로 건조시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배관 내부에 설치된 내화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관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풍 공급부; 상기 배관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열풍 공급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배관의 출구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배관 내부의 열풍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풍 공급부는, 내부에 열풍이 생성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분사기; 상기 분사기 내부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분사기와 연결되는 연료 공급라인; 상기 분사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분사기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라인; 및 상기 분사기 내부에 화염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분사기에 설치되는 점화기;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기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가 형성되는 제1 관; 상기 제1 관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연료가스와 공기의 연소실이 형성되는 제2 관; 및 상기 제1 관과 연결되는 분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분사기에 설치되는 화염 감지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료 공급라인은, 내부에 연료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연료 공급관, 및 상기 분사기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연료 공급관에 설치되는 제1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라인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 공급관, 및 상기 분사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공기 공급관에 설치되는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조절부재는, 상기 공기 공급관과 연결되는 블로워;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댐퍼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조절부재 및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온도 측정기; 및 상기 온도 측정기의 온도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조절부재와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머에서 측정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조절부재와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연료가스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공급관은 코크스 오븐 가스 공급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배관의 입구를 커버할 수 있고, 상기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1 차단판; 및 상기 삽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열풍 공급부가 열풍을 공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열풍 공급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삽입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배관의 출구를 커버할 수 있고, 상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차단판; 및 상기 배관 내부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조절기;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배관들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배관들을 일렬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서 상기 배관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배관들과 접촉할 수 있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에 일측 배관의 돌출부와 타측 배관의 돌출부가 함께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배관은 고로에 설치되는 송풍지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관 내부 전체로 균일하게 열풍을 공급해줄 수 있다. 이에, 배관 내부에 설치된 내화물이 열풍에 의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어, 내화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내화물의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건조장치에서 발생시키는 화염이 바람과 같은 외부 요인으로 인해 꺼져, 건조장치에서 연료가스가 연소되지 않고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누출되는 가스에 작업자가 중독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관과 제2 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차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차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관과 제2 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장치(1000)는 입구(10a)와 출구(10b)를 구비하는 배관(10) 내부에 설치된 내화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이다. 건조장치(1000)는 열풍 공급부(100), 제1 차단부(200), 및 제2 차단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배관(10)은 고로에 설치되는 송풍지관일 수 있다. 배관(10)은 내부에 열풍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고로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는 약 1100℃이기 때문에, 배관(10)을 외형을 형성하는 철피가 열풍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철피 내부에 내화물이 시공 또는 설치되어, 내화물이 열풍으로부터 철피를 보호해줄 수 있다.
한편, 배관(10)을 제작할 때, 내화물에 수분이 첨가된다. 그러나 수분이 첨가된 상태로 내화물을 사용하면 내화물의 강도나 내식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고로에 배관(10)을 설치하기 전에 내화물을 건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내화물이 시공된 배관(10)을 대기장에 적치시켜 내화물을 자연 건조(또는, 양생)시킨 후, 내화물 내 잔여 수분을 건조장치(1000)로 제거할 수 있다.
열풍 공급부(100)는 배관(1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배관(10) 내부의(또는, 내화물 내) 잔여 수분이 열풍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열풍 공급부(100)는 분사기(110), 점화기(미도시), 연료 공급라인(120), 및 공기 공급라인(130)을 포함한다.
분사기(110)는 내부에 열풍이 생성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분사기(110)에서 열풍을 분사하는 분사구는 배관(10)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이에, 분사기(110)는 내부에서 생성되는 열풍을 배관(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분사기(110)는 제1 관(111), 제2 관(112), 분사부재(113)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관(111)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가 형성된다. 제1 관(111)은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11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전단부가 개방되고, 후단부는 막힐 수 있다. 그러나 제1 관(11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관(112)은 제1 관(111) 내부에 설치된다. 제2 관(112)은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관(11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전단부와 후단부가 모두 개방될 수 있다. 제2 관(112)의 후단부와 제1 관(111)의 후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제2 관(112)과 제1 관(111) 후단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 관(111) 내로 공급된 공기 중 일부(또는, 연소용 공기)가 제2 관(11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111) 내부로 공급된 공기 중 일부가 제2 관(112)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2 관(112) 내부에 연료가스와 공기의 연소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112) 내부로 연료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제2 관(112) 내부에서 연료가스와 공기가 함께 혼합되거나 만날 수 있고, 점화기로 제2 관(112) 내부에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화염은 공기 공급라인(130)과 연료 공급라인(120)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가스의 흐름에 의해 제2 관(112)의 전방을 향해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관(112) 내부에서 생성된 화염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어 열풍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관(11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111)의 내경보다 제2 관(112)의 외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관(111)의 벽체와 제2 관(112)의 벽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관(111) 내부로 공급된 공기(또는, 냉각용 공기)가 제1 관(111)의 벽체와 제2 관(112)의 벽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관(112) 내부가 화염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제1 관(111)과 제2 관(112)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2 관(112)을 냉각시켜줄 수 있다. 이에, 제2 관(112)이 화염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분사부재(113)는 제1 관(111)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분사부재(113)는 노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열풍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분사부재(113)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분사부재(113)의 후단부로 공급된 열풍이 전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제2 관(112)에서 발생한 화염 열이, 분사부재(113) 내부의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용 공기가 제2 관(112)을 냉각시키고 분사부재(113) 내부로 공급되어, 제2 관(112)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연소용 공기 중 화염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지 않은 공기 중 일부도 화염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또는, 분사부재(113)에 별도로 공기를 공급하는 파이프가 연결되어 분사부재(113)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제2 관(112)에서 생성된 화염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분사기(1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가스의 흐름에 의해 분사기(110) 내부에서 생성된 열풍이 분사기(110)에서 배관(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재(113)는 제1 차단부(200)의 삽입구(10a)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분사부재(113)는 제2 관(112) 내에 생성된 화염으로 인해 가열된 공기인 열풍을 배관(10)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분사부재(113)는 전단부의 내경(또는, 분사구)이 후단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분사구로 분사되는 열풍의 압력을 상승시켜, 열풍이 배관(10) 내부로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다. 그러나 분사부재(11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점화기는 분사기(110)에 설치된다. 상세하게 점화기는 제1 관(111) 또는 제2 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점화기는 제2 관(112)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점화기는 불꽃을 생성할 수 있다. 점화기에서 생성한 불꽃이 제2 관(112) 내에서 공기 및 연료가스와 만나 연소되면서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분사기(110) 내부에 발생된 화염이 제1 관(111) 또는 제2 관(112) 내에서 연소되지 않은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연료 공급라인(120)은 분사기(110)와 연결된다. 연료 공급라인(120)은 분사기(110) 내부로 연료가스를 공급해줄 수 있다. 연료 공급라인(120)은 연료 공급관(121) 및 제1 조절부재(122)를 포함한다.
연료 공급관(121)은 내부에 연료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연료 공급관(121)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료가스는 코크스 오븐에서 코크스를 생성하면서 발생한 코크스 오븐 가스일 수 있다.
또한, 연료 공급관(121)의 후단부는 코크스 오븐 가스 공급라인(5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코크스 오븐 가스 공급라인(50)을 따라 이동하는 연료가스가 연료 공급관(121)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연료 공급관(121)의 전단부는 제1 관(111)의 후단부 벽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제2 관(11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연료 공급관(121)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가스가 제2 관(11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111)에서 제2 관(112) 내부로 이동한 공기와, 연료 공급관(121)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가스가 제2 관(112) 내부에서 혼합되거나 만날 수 있다.
제1 조절부재(122)는 연료 공급관(121)에 설치된다. 제1 조절부재(122)는 분사기(110)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부재(122)는 밸브일 수 있고, 연료 공급관(121) 내 연료가스의 이동경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절부재(122)가 개방해주는 정도에 따라 분사기(110)의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이 많아지거나 적어질 수 있다.
이때, 연료 공급라인(120)에 유량계(12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유량계(123)는 연료 공급관(121)에 설치된다. 유량계(123)는 연료 공급관(121)을 통해 분사기(110)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량계(123)를 통해 분사기(110)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확인하면서, 분사기(110)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해줄 수 있다.
공기 공급라인(130)은 분사기(110)와 연결된다. 공기 공급라인(130)은 분사기(11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해줄 수 있다. 공기 공급라인(130)은 공기 공급관(131) 및 제2 조절부재(132)를 포함한다.
공기 공급관(131)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공기 공급관(131)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관(131)의 후단부는 블로워(132a)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블로워(132a)를 통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공기 공급관(131)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기 공급관(131)의 전단부는 제1 관(111)의 후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공급관(131)의 전단부는 굴절되어 제1 관(111)의 후단부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공기 공급관(131)을 통해 제1 관(111)의 후단부 상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제1 관(1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111) 내부로 공급된 공기 중 일부는 제1 관(111)과 제2 관(112) 사이를 따라 제1 관(111)의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이동하고, 다른 일부는 제2 관(11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공기 공급관(131)과 제1 관(111)이 연결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2 관(112)의 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공급관(131)을 통해 제1 관(111) 내부로 공급된 공기 중 일부가, 제2 관(112)의 후단부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제2 조절부재(132)는 공기 공급관(131)에 설치된다. 제2 조절부재(132)는 공기 공급관(131)을 통해 분사기(110)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조절부재(132)는 블로워(132a) 및 댐퍼 플레이트(132b)를 포함한다.
블로워(132a)는 분사기(11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블로워(132a)는 내부에 임펠러를 구비할 수 있고, 임펠러의 회전운동으로 공기에 에너지를 가해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블로워(132a)는 공기 공급관(131)과 연결된다. 이에, 블로워(132a)에서 흡입한 공기가 공기 공급관(131)으로 이동하여, 분사기(1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로워(132a)에 의해 공기가 이동하면서, 분사기(110) 내부의 열풍을 배관(10) 내부로 밀어낼 수 있다.
댐퍼 플레이트(132b)는 적어도 일부가 공기 공급관(13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댐퍼 플레이트(132b)는 공기 공급관(131)의 단면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댐퍼 플레이트(132b)는 공기 공급관(131) 내 공기의 이동경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댐퍼 플레이트(132b)가 회전한 정도에 따라 공기 공급관(131)을 통해 분사기(110)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댐퍼 플레이트(132b)의 구조와 형상 및 작동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열풍 공급부(100)는 화염 감지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화염 감지기는 분사기(110)에 설치된다. 상세하게 화염 감지기는 제2 관(112)에 설치될 수 있다. 화염 감지기는 제2 관(112) 내부에 화염이 발생했는지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제2 관(112) 내부에서 실화가 발생하는 경우, 화염 감지기가 제2 관(112)으로의 연료가스 공급을 차단하고, 작업자에게 경보로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차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차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차단부(200)는 배관(10)의 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차단부(200)에는 열풍 공급부(1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0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차단부(200)는 제1 차단판(210) 및 삽입관(220)을 포함한다.
제1 차단판(210)은 배관(10)의 단면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1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제1 차단판(210)도 원형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차단판(210)이 배관(10)의 입구(10a)를 커버하면, 배관(10)의 입구(10a)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판(210)에 삽입구(10a)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구(10a)에는 열풍 공급부(100)의 분사부재(113)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분사부재(113)가 삽입구(10a)를 통해 배관(10)의 입구(10a) 측에서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 삽입구(10a)는 제1 차단판(21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분사부재(113)가 배관(10)의 중심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부재(113)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배관(10)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삽입구(10a)에는 단열소재의 O-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분사부재(113)가 삽입구(10a)에 삽입될 때, 분사부재(113)와 삽입구(10a)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열풍이 분사부재(113)와 삽입구(10a)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열풍이 배관(10) 내부로 안정적을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 차단판(210)에 제1 체결구(212) 및 제1 체결부재(21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차단판(210)에는 배관(10)의 입구(10a) 측에 형성된 체결홀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 체결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213)가 제1 체결구(212)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된다. 이에, 제1 체결부재(213)가 제1 체결구(212)를 관통하여 배관(10)의 체결홀에 체결되면, 제1 차단판(210)과 배관(1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213)를 풀어주면 제1 차단판(210)과 배관(10)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 내부를 건조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만, 제1 차단판(210)과 배관(10)을 결합하고, 이후에는 분리시켜 배관(10)을 고로에 설치할 수 있다.
삽입관(220)은 삽입구(10a)에 설치된다. 삽입관(220)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열풍 공급부(100)가 열풍을 공급하는 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삽입관(22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개방되고, 내부에 열풍 공급부(100)의 분사부재(113)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즉, 삽입관(220)의 전단부는 제1 차단판(210)의 후면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제1 차단판(210)에서 열풍 공급부(100) 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재(113)를 삽입관(220)에 끼우면, 분사부재(113)가 삽입구(10a)를 향하여 안내될 수 있고, 분사부재(113)가 삽입관(220)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배관(1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해줄 수 있다.
이때, 삽입구(10a) 또는, 삽입관(220)에는 단열소재의 O-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분사부재(113)가 삽입구(10a)에 삽입될 때, 분사부재(113)와 삽입구(10a)(또는, 삽입관(220) 내벽)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열풍이 분사부재(113)와 삽입구(10a)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열풍이 배관(10) 내부로 안정적을 공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차단부(300)는 배관(10)의 출구(10b)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차단부(300)에는 배관(10) 내부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0b)가 구비된다. 이에, 배관(10)의 입구(10a) 측으로 공급된 열풍이 배관(10)의 출구(10b) 측으로 이동하여, 배출구(10b)를 통해 배관(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열풍이 배관(10) 내부 전체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차단부(300)는 제2 차단판(310) 및 조절기(320)를 포함한다.
제2 차단판(310)은 배관(10)의 단면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1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제2 차단판(310)도 원형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차단판(310)이 배관(10)의 출구(10b)를 커버하면, 배관(10)의 출구(10b)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판(310)에 배출구(10b)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10b)를 통해 배관(10) 내부의 가스(예를 들어, 열풍)이 배관(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0b)는 제2 차단판(31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배관(10) 내부의 열풍이 배관(10)의 중심부로 모아져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열풍이 배관(10) 내부 전체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2 차단판(310)에 제2 체결구(312) 및 제2 체결부재(31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차단판(310)에는 배관(10)의 출구(10b) 측에 형성된 체결홀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체결구(312)가 구비될 수 있다.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313)가 제2 체결구(312)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된다. 이에, 제2 체결부재(313)가 제2 체결구(312)를 관통하여 배관(10)의 체결홀에 체결되면, 제2 차단판(310)과 배관(1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313)를 풀어주면 제2 차단판(310)과 배관(10)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 내부를 건조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만, 제2 차단판(310)과 배관(10)을 결합하고, 이후에는 분리시켜 배관(10)을 고로에 설치할 수 있다.
조절기(320)는 제2 차단판(310)의 배출구(10b)에 설치된다. 조절기(320)는 배관(10) 내부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기(320)는 몸체(321) 및 조절체(322)를 포함한다.
몸체(321)는 배출구(10b)에 설치된다. 몸체(321)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열풍 공급부(100)가 열풍을 공급하는 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몸체(321)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개방되고, 내부에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즉, 몸체(321)의 후단부는 제2 차단판(310)의 후면에 연결되고, 전단부는 제2 차단판(3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조절체(322)는 적어도 일부가 몸체(32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절체(322)는 몸체(321)의 단면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조절체(322)는 몸체(321) 내 가스(예를 들어, 열풍)의 이동경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체(322)가 회전한 정도에 따라 몸체(321)를 통해 배관(10)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예를 들어, 열풍)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조절체(322)는 열풍이 배관(10) 내부에 잔류하는 시간, 및 배관(10) 내에서 열풍이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체(322)가 몸체(321) 내 열풍의 이동경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감소시키면, 몸체(321)를 통해 배관(10) 내 열풍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배관(10) 내에서 열풍이 이동하는 속도가 감소하고, 배관(10) 내부에 열풍이 잔류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 내부로 열풍이 안정적으로 확산되어 배관(10) 내부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어, 조절체(322)가 몸체(321) 내 열풍의 이동경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증가시키면, 몸체(321)를 통해 배관(10) 내 열풍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배관(10) 내에서 열풍이 이동하는 속도가 증가하고, 배관(10) 내부에 열풍이 잔류하는 시간이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배관(10) 내부에서 열풍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절체(322)의 구조와 형상 및 작동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배관(10)의 입구(10a)와 출구(10b)를 제1 차단부(200)와 제2 차단부(300)로 차단한 상태에서 배관(10) 내부의 내화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외부로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관(10) 내부에 잔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열풍이 배관(10) 내부로 전체로 용이하게 확산되어, 배관(10) 내부 전체를 균일하게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부(200)와 제2 차단부(300)가 배관(10) 내부로 바람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외부의 요인으로 인해, 배관(10) 내부의 온도가 변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으로 배관(10)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차단부(300)의 배출구(311)를 통해 배출된 열풍은 완전 연소된 상태이기 때문에, 별도의 처리공정을 거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311)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별도로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조장치(1000)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조절부재(122) 및 제2 조절부재(132)의 작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온도 측정기(420) 및 제어기(410)를 포함한다.
온도 측정기(420)는 열전대일 수 있다. 온도 측정기(420)는 배관(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10)의 외측면에서 내부공간을 향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온도 측정기(420)는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배관(10)이 구비되는 경우, 배관(10)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온도 측정기(4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온도 측정기(420)는 배관(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기(410)는 온도 측정기(42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에, 제어기(410)에 온도 측정기(420)에서 측정되는 온도 측정결과가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410)는 배관(10) 내부의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410)는 온도 측정기(420)에서 측정된 온도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온도 설정범위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설정범위는 0~600℃일 수 있다. 제어기(410)는 온도 측정값이 온도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배관(10) 내부의 온도가 온도 설정범위 내로 진입하도록 배관(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410)는 열풍 공급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기(410)는 제1 조절부재(122)와 제2 조절부재(132)와 연결되어, 온도 측정기(420)의 온도 측정결과에 따라 제1 조절부재(122)와 제2 조절부재(13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측정값이 온도 설정범위보다 작으면, 제어기(410)는 블로워(132a)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증가시키고, 댐퍼 플레이트(132b)가 공기의 이동경로를 개방하는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기(410)는 제1 조절부재(122)의 작동을 제어하여 연료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개방하는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분사기(110)로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가스의 양을 증가시켜, 분사기(110) 내부에서 생성되는 열풍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이 증가하여 배관(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반대로, 온도 측정값이 온도 설정범위보다 크면, 제어기(410)는 블로워(132a)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감소시키고, 댐퍼 플레이트(132b)가 공기의 이동경로를 개방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기(410)는 제1 조절부재(122)의 작동을 제어하여 연료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개방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분사기(110)로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가스의 양을 감소시켜, 분사기(110) 내부에서 생성되는 열풍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이 감소하여 배관(10) 내부의 온도의 상승이 억제되거나 온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410)는 조절기(32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배관(10)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양을 조절하여, 배관(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온도 측정값이 온도 설정범위보다 작으면, 제어기(410)는 조절기(320)가 열풍의 이동경로를 개방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풍이 배관(10) 내부에 잔류하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배관(10) 내부가 열풍에 의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반대로, 온도 측정값이 온도 설정범위보다 크면, 제어기(410)는 조절기(320)가 열풍의 이동경로를 개방하는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열풍이 배관(10) 내부에 잔류하는 시간이 감소하고, 신속하게 배관(10) 외부로 배출되어 배관(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배관(10) 내부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타이머(4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타이머(430)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머(430)로 배관(10) 내부를 건조하는 시간이 경과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타이머(430)는 제어기(410)와 연결된다.
또한, 제어기(410)는 타이머(430)에서 측정된 시간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시간 설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에, 제어기(410)는 타이머(430)에서 측정되는 시간에 따라 제1 조절부재(122)와 제2 조절부재(13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시간 측정값이 시간 설정값을 초과하면 제어기(410)는 제1 조절부재(122)와 제2 조절부재(132)의 작동을 제어하여, 공기와 연료가스가 분사기(110)로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사기(110)에서 열풍이 생성되지 않아 배관(10) 내부로 열풍이 공급되는 것이 중단되면서, 배관(10) 내부의 건조작업이 자동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이때, 시간 설정값으로 80~100시간 중 어느 하나의 값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머(430)로 건조작업을 수행할 때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까지 자동적으로 건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건조장치(1000)는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부(500)는 배관(10)들을 일렬로 지지해줄 수 있다. 이에, 배관(10)이 복수개가 구비되더라도, 지지부(500)가 배관(10)들을 모두 지지해주어, 배관(10)들의 건조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의 건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지지부(500)에 의해 배관(10)들이 서로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고, 배관(10)들의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지지부(500)는 지지판(510) 및 지지대(520)를 포함한다.
지지판(510)은 건조작업이 수행되는 작업장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510)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5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지지판(510)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관(1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520)는 지지판(510)에서 배관(10)을 향하여(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52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배관(10)들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배관(10)이 지지대(520) 상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대(520)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지지대(520)에 안착되는 배관(10)들도 전후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배관(10)들은 지지대(520) 상에서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들의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고, 일측 배관(11)의 입구(10a) 측으로 공급된 열풍이 배관(10)들 내부를 통과하여 타측 배관(12)의 출구(10b)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관(10)이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 배관(10)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대(520)들에 안착된 배관(10)들 중 최후방에 배치된 배관(10)의 입구(10a)에 제1 차단부(200)가 결합되고, 최전방에 배치된 배관(10)의 출구(10b)에 제2 차단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최후방에 배치된 배관(10)으로 공급되는 열풍으로 최전방에 배치된 배관(10) 내부까지 건조시킬 수 있다.
배관(10)에는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에는 돌출부(또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배관(11)의 전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타측 배관(12)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볼트로 돌출부들을 결합해줄 수 있다. 이에, 배관(10)들 사이의 틈새로 열풍이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지지대(520)들은 돌출부들의 간격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돌출부들이 지지대(520)들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520)에는 삽입홈(52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521)은 지지대(520)의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521)에는 일측 배관(11)의 돌출부와 타측 배관(12)의 돌출부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삽입홈(521)에 제1 차단판(210)과 배관(10)의 입구(10a) 측 돌출부가 함께 삽입되거나, 제2 차단판(310)과 배관(10)의 출구(10b) 측 돌출부가 함께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 삽입홈(521)은 전후방향 폭은, 일측 배관(11)의 돌출부와 타측 배관(12)의 돌출부의 전후방향 폭을 합친 크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일측 배관(11)의 돌출부와 타측 배관(12)의 돌출부를 삽입홈(521)에 함께 끼우면, 돌출부들이 서로 접촉하여 배관(10)들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0)들 사이를 볼트로 체결하지 않더라도 삽입홈(521)에 의해 배관(10)들 내부가 서로 연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지지대(520) 각각은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의 상부면은 지지판(510)의 중심부를 향하는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지지부재들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배관(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5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고,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이처럼, 건조장치(1000)가 배관(10) 내부 전체로 균일하게 열풍을 공급해줄 수 있다. 즉, 열풍 공급부(100)에서 배관(10) 내부로 공급된 열풍이 제1 차단부(200)와 제2 차단부(300)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배관(10) 내부 전체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배관(10) 내부에 설치된 내화물이 열풍에 의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어, 내화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내화물의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건조장치에서 발생시키는 화염이 바람과 같은 외부 요인으로 인해 꺼져, 건조장치에서 연료가스가 연소되지 않고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누출되는 가스에 작업자가 중독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배관 100: 열풍 공급부
110: 분사기 120: 연료 공급라인
130: 공기 공급라인 200: 제1 차단부
210: 제1 차단판 220: 삽입관
300: 제2 차단부 310: 제2 차단판
320: 조절기 400: 제어부
140: 제어기 420: 온도 측정기
500: 지지부 510: 지지판
520: 지지대 1000: 건조장치

Claims (16)

  1.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배관 내부에 설치된 내화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관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풍 공급부;
    상기 배관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열풍 공급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배관의 출구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배관 내부의 열풍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부는,
    내부에 열풍이 생성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분사기;
    상기 분사기 내부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분사기와 연결되는 연료 공급라인;
    상기 분사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분사기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라인; 및
    상기 분사기 내부에 화염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분사기에 설치되는 점화기;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가 형성되는 제1 관;
    상기 제1 관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연료가스와 공기의 연소실이 형성되는 제2 관; 및
    상기 제1 관과 연결되는 분사부재;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분사기에 설치되는 화염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라인은, 내부에 연료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연료 공급관, 및 상기 분사기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연료 공급관에 설치되는 제1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라인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 공급관, 및 상기 분사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공기 공급관에 설치되는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재는,
    상기 공기 공급관과 연결되는 블로워;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기 공급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댐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재 및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온도 측정기; 및
    상기 온도 측정기의 온도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조절부재와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타이머에서 측정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조절부재와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건조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공급관은 코크스 오븐 가스 공급라인과 연결되는 건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배관의 입구를 커버할 수 있고, 상기 삽입구를 구비하는 제1 차단판; 및
    상기 삽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열풍 공급부가 열풍을 공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열풍 공급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삽입관;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배관의 출구를 커버할 수 있고, 상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차단판; 및
    상기 배관 내부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조절기;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배관들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배관들을 일렬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서 상기 배관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배관들과 접촉할 수 있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일측 배관의 돌출부와 타측 배관의 돌출부가 함께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건조장치.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고로에 설치되는 송풍지관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KR1020180055581A 2018-05-15 2018-05-15 건조장치 KR20190130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81A KR20190130885A (ko) 2018-05-15 2018-05-15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81A KR20190130885A (ko) 2018-05-15 2018-05-15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85A true KR20190130885A (ko) 2019-11-25

Family

ID=6873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581A KR20190130885A (ko) 2018-05-15 2018-05-15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08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400A (ko) 1999-12-21 2001-07-07 신현준 고로 송풍지관 내장재용 캐스타블 내화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400A (ko) 1999-12-21 2001-07-07 신현준 고로 송풍지관 내장재용 캐스타블 내화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78819A (ja) 燃焼効率の制御方法
CN103697475A (zh) 纤维材料燃烧器、热滚筒及滚筒加热设备
KR20190130885A (ko) 건조장치
KR20130090577A (ko) 주방용 가스 버너
KR20140011214A (ko)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
KR101359089B1 (ko) 산소부하 연소장치 및 방법
US20110053099A1 (en) Radiant heating apparatus
KR100346238B1 (ko) 용접부 예열방법 및 그 장치
CN203190412U (zh) 一种带自动点火和火焰检测装置的侧壁明火烧嘴
CN106090905A (zh) 一种燃烧炉炉头及燃烧炉
KR20110131732A (ko) 역화방지 버너
KR20120087558A (ko) 코크스 제조용 시험 장치
KR20200023832A (ko) 가스 난방기용 버너
KR101765333B1 (ko) 용사보수기의 다열 샌드위치식 버너장치
KR100941442B1 (ko) 재하조건 콘크리트 폭렬실험장비
KR20100049866A (ko) 실물화재실험용 교정버너
KR102543543B1 (ko) 회전로 노상 및 그 개조 방법
CN203656924U (zh) 纤维材料燃烧器、热滚筒及滚筒加热设备
KR102143120B1 (ko) 건조 장치 및 방법
JP6976128B2 (ja) ハイブリッド加熱炉
KR100819492B1 (ko) 고효율 직화식 건조기
CN103175204A (zh) 一种带自动点火和火焰检测装置的侧壁明火烧嘴
CN103591581A (zh) 自动点火多单元组合式平板加热装置
CN203533554U (zh) 自动点火多单元组合式平板加热装置
CN219689584U (zh) 一种用于玻璃窑炉的烤炉烧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