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658B1 -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658B1
KR101328658B1 KR1020110129887A KR20110129887A KR101328658B1 KR 101328658 B1 KR101328658 B1 KR 101328658B1 KR 1020110129887 A KR1020110129887 A KR 1020110129887A KR 20110129887 A KR20110129887 A KR 20110129887A KR 101328658 B1 KR101328658 B1 KR 10132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ounting
fishing
crad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392A (ko
Inventor
김정실
Original Assignee
김정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실 filed Critical 김정실
Priority to KR102011012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6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낚시대가 안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는 낚시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관형의 걸림구가 포함된 거치수단과, 상기 거치수단 하부에 구비되어 거치수단을 지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고정시켜 상기 걸림구를 상기 거치부에 탈부착하는 탈착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과 상기 거치수단 사이를 결합하되 상기 수평축과 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수평축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한 쌍의 조임구로 구성되는 접철수단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A foldable jig for fishing}
본 발명은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낚시대를 거치하는 거치수단을 한 쌍으로 설치하되, 상기 거치수단을 접철 가능하게 하여 부피를 줄여서 보관이 편리한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낚시용 거치대는 낚시대를 오랜시간 동안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낚시를 편안히 즐길 수 있도록 한 지지대이다.
이러한, 낚시용 거치대는 여가를 즐기는 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여러 종류의 낚시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왔다.
위와 같은 낚시용 거치대에 관한 종래기술 중 하나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1999-0036312호 '릴 낚시대 고정용 받침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표현 도로써, 도 1을 참조하면, 지면에 고정하는 박음용 육각봉(21)과, 상기 박음용 육각봉 상측에 몸체(20)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 걸이 가이드(13)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 가이드에 낚시대를 올려놓고 낚시를 즐길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몸체 상부에 양측으로 걸이 가이드가 있어 낚시대 한쌍을 거치할 수 있는데, 양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걸이 가이드가 있으므로 그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보관상에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상기 걸이 가이드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어서 낚시대를 완전히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낚시를 받치는 거치수단을 접철하여 전체적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낚시대를 완전히 감싸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낚시대를 거치대에서 쉽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낚시대가 안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는 낚시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관형의 걸림구가 포함된 거치수단과, 상기 거치수단 하부에 구비되어 거치수단을 지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고정시켜 상기 걸림구를 상기 거치부에 탈부착하는 탈착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과 상기 거치수단 사이를 결합하되 상기 수평축과 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수평축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한 쌍의 조임구로 구성되는 접철수단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구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유니트와, 상기 고정유니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구의 하부를 상기 고정유니트에 탈부착하는 체결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니트는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홈이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 내,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을 고정시키는 볼 베어링 형상의 걸림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유니트는 상기 고정유니트 일측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상기 삽입구 외주면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편을 작동시키는 클램프와, 일측은 상기 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클램프를 상하로 이동되게 연결되는 방아쇠 및 상기 클램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의 위치를 원상 복귀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접철수단에 의해서 낚시대를 거치하는 거치수단을 고정수단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철하므로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는 낚시용 거치대의 전체적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동이나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걸림구로 낚시대를 완전히 고정되게 하고, 걸림구를 거치부에서 탈부착할 수 있게 하여 낚시대를 쉽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릴 낚시대 고정용 받침대를 표현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탈착수단의 상세 부품도.
도 4는 도 2의 접철수단의 부품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는 크게 거치수단(100)과, 고정수단(200), 탈착수단(300) 및 접철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먼저, 상기 거치수단(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거치수단(100)은 낚시대를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200)을 중심으로 상측에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수단(100)이 상기 고정수단(2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수단(200) 상부에 접철수단(400)이 결합되고 상기 접철수단(400)의 양 단부에 상기 거치수단(100)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 거치수단(100)은 거치부(120), 걸림구(140) 및 거치구(16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거치부(120)는 낚시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 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걸림구(140)는 상기 거치부(120)의 상부에 탈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낚시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관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구(140)는 상기 낚시대와 결합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걸림구(140)가 상기 탈착수단(300)에 의해서 상기 거치부(120)에 쉽게 탈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탈착수단(300)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거치구(160)는 상기 거치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걸림구(140)와 일직선상으로 이격되게 설치하여 낚시대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것으로, 상측이 개방된 형상인 반원관이 되게 한다.
다음은, 고정수단(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거치수단(10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수단(10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수단(200)은 지면으로 세워지고, 상기 고정수단(200) 상부에 상기 접철수단(400)이 결합되어 상기 거치수단(10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부에 형성된 연결봉(220)과 하부에 형성된 지지봉(240)으로 구성되게 되어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것이다.
상기 연결봉(220)은 상측은 상기 탈착수단(300)과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지지봉(240)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지지봉(240)은 상측은 상기 연결봉(220)과 결합되고, 하측은 지면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220)의 측면에 관통되어 이동되게 구비되는 체결핀(260)으로 상기 연결봉(220)에 삽입된 상기 지지봉(240)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체결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탈착수단(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탈착수단(300)을 상세히 표현한 도 3은 도 2의 탈착수단의 상세 부품도 이며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탈착수단(300)은 상기 거치부(120)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구(14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42)을 고정시켜 상기 걸림구(140)를 상기 거치부(120)에 탈부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탈착수단(300)은, 상기 거치부(1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구(140)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유니트(320)와, 상기 고정유니트(3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구(140)의 하부를 상기 고정유니트(320)에 탈부착하는 체결유니트(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니트(320)는, 상기 거치부(1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홈이 형성된 삽입구(322)와, 상기 삽입구(322) 내,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42)을 고정시키는 볼 베어링 형상의 걸림편(3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유니트(340)는, 상기 고정유니트(320) 일측에 구비되는 브라켓(342)과, 상기 삽입구(322) 외주면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편(324)을 작동시키는 클램프(344) 및 일측은 상기 브라켓(342)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클램프(344)를 상하로 이동되게 연결되는 방아쇠(346) 및 상기 클램프(34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344)의 위치를 원상 복귀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34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방아쇠(346)의 작동에 상기 클램프(344)가 연동되어 상기 걸림편(324)을 작동시켜 상기 걸림구(14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42)을 구속하거나 개방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방아쇠(346)의 원터치 동작으로 상기 걸림구(140)를 상기 거치부(120)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접철수단(4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접철수단(400)은 도 2에서처럼 상기 거치수단(100)을 접철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양단에 거치수단(100)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 접철수단(400)은 상세하게 구분하면 수평축(420), 회전축(440) 및 조임구(46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수평축(420)은 상기 고정수단(200)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축(420)의 양단은 상기 회전축(44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접철수단(400)을 상세하게 표현한 도 4는 도 2의 접철수단의 부품도를 표현한 것으로 도 2와 도 4를 같이 참조하기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평축(420)의 양단은 측면을 관통하는 홈(422)이 형성되고, 상기 홈(422)에 상기 회전축(440)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회전축(440)은 상기 수평축(420)과 상기 거치수단(100) 사이를 회전 결합하기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평축(420)의 양단에 핀(442)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핀(442)은 상기 회전축(440)에 형성된 관통홀(444)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축(420)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444)은 상기 핀(442) 보다 충분히 크게하고, 상기 회전축(440)의 길이가 긴 방향으로 상기 관통홀(444)을 충분히 길게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440)을 상기 수평축(420)으로 슬라이드 동작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구(460)는 상기 수평축(420)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44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구(460)는 관형으로 형성되게 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수평축(420)도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구(460)가 상기 수평축(420)의 길이방향으로 체결 또는 분리되어 상기 수평축(420)을 구속하거나 해방되게 한다.
예를 들어, 낚시를 하기 위해 본 발명인 접철 가능한 낚시대 거치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축(420)의 방향과 일치하게 상기 회전축(440)을 위치하게 하고 상기 조임구(460)를 회전시켜 고정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440)을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본 발명인 접철 가능한 낚시대 거치대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임구(460)를 상기 수평축(420)으로 부터 분리하면 상기 회전축(440)은 상기 조임구(460)의 간섭에서 자유로워져 회전가능하게 되어 접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접철수단(400)에 의해서 상기 고정수단(200)의 양측으로 설치된 거치수단(100)을 위 또는 아래로 접철시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부피를 적게할 수 있고 보관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정수단 상부에 양측으로 형성된 거치수단을 접철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부피를 줄여 보관과 이동이 편리한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거치수단 120: 거치부
140: 걸림구 142: 걸림턱
160: 거치구 200: 고정수단
220: 연결봉 240: 지지봉
300: 탈착수단 320: 고정유니트
322: 삽입구 324: 걸림편
340: 체결유니트 342: 브라켓
344: 클램프 345: 스프링
346: 방아쇠 400: 접철수단
420: 수평축 422: 홈
440: 회전축 442: 핀
444: 관통홀 460: 조임구

Claims (4)

  1. 낚시대가 안착되는 거치부(120)와,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는 낚시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관형의 걸림구(140)가 포함된 거치수단(100)과, 상기 거치수단 하부에 구비되어 거치수단을 지지하는 고정수단(200)과,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구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42)을 고정시켜 상기 걸림구를 상기 거치부에 탈부착하는 탈착수단(300)으로 구성되되,
    상기 거치수단(100)은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수평축(420)과, 상기 수평축과 상기 거치수단 사이를 결합하되 상기 수평축과 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회전축(440) 및 상기 수평축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한 쌍의 조임구(460)로 구성되는 접철수단(400)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300)은,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구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유니트(320)와, 상기 고정유니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구의 하부를 상기 고정유니트에 탈부착하는 체결유니트(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니트(320)는,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홈이 형성된 삽입구(322)와, 상기 삽입구 내,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을 고정시키는 볼 베어링 형상의 걸림편(3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니트(340)는,
    상기 고정유니트 일측에 구비되는 브라켓(342)과, 상기 삽입구 외주면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편을 작동시키는 클램프(344)와, 일측은 상기 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클램프를 상하로 이동되게 연결되는 방아쇠(346) 및 상기 클램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의 위치를 원상 복귀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34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KR1020110129887A 2011-12-06 2011-12-06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KR101328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887A KR101328658B1 (ko) 2011-12-06 2011-12-06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887A KR101328658B1 (ko) 2011-12-06 2011-12-06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392A KR20130063392A (ko) 2013-06-14
KR101328658B1 true KR101328658B1 (ko) 2013-11-14

Family

ID=4886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887A KR101328658B1 (ko) 2011-12-06 2011-12-06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087B1 (ko) * 2019-04-10 2021-02-09 김병도 낚시대 받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653A (ja) * 1995-05-15 1997-05-27 Buei Kaku 釣竿スタンド
JP2004215622A (ja) 2003-01-17 2004-08-05 Yoshio Kishino 釣竿固定装置
KR20080003535U (ko) * 2007-02-21 2008-08-26 김춘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653A (ja) * 1995-05-15 1997-05-27 Buei Kaku 釣竿スタンド
JP2004215622A (ja) 2003-01-17 2004-08-05 Yoshio Kishino 釣竿固定装置
KR20080003535U (ko) * 2007-02-21 2008-08-26 김춘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392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928B1 (ko) 낚시대 거치구
KR101328658B1 (ko)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JP6478314B2 (ja) ハンガー吊り具
KR101876083B1 (ko) 조립식 스탠딩 해먹장치
KR101357831B1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KR200409540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KR200465317Y1 (ko) 민물낚시대 받침대
KR101357832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거치대
KR101592164B1 (ko) 낚시용 받침대
KR200361642Y1 (ko) 낚싯대용 받침구
CN210124487U (zh) 可折叠儿童床
KR10101601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결합구조
KR101745302B1 (ko) 낚싯대 받침 어셈블리
KR102597714B1 (ko) 접이식 낚시 받침대
JP4612916B1 (ja) 釣竿保持具
KR20100067228A (ko) 낚시용 절첩식 거치대
CN218931344U (zh) 线架收纳支架
JP3216154U (ja) ハンガー用フック保持具及び物干し装置
KR20130060415A (ko) 뒷받침대가 회동하는 낚시받침대 고정구
JP3211256U (ja) 布体吊下げ装置、布体吊下げ構造
KR200285682Y1 (ko) 릴낚싯대용 받침대
JPH0636048U (ja) 卓上型映写スクリーン
KR200482776Y1 (ko) 세탁물 건조대의 받침대 수납장치
KR101357830B1 (ko) 낚시용 거치대
CN205492195U (zh) 一种带夹具的筏钓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