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535U -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 Google Patents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535U
KR20080003535U KR2020070003034U KR20070003034U KR20080003535U KR 20080003535 U KR20080003535 U KR 20080003535U KR 2020070003034 U KR2020070003034 U KR 2020070003034U KR 20070003034 U KR20070003034 U KR 20070003034U KR 20080003535 U KR20080003535 U KR 200800035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fishing rod
support
fish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1928Y1 (ko
Inventor
김춘길
Original Assignee
김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길 filed Critical 김춘길
Priority to KR2020070003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928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갯바위의 틈새에 고정하기 편리하고 상하좌우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전체적으로 직선부가 긴 타원형상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낚싯대가 걸쳐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거치대와, 거치대에 연결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나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너트와, 연결부재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부와 빈 원통형상의 원통부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설치되며 원통부 하단 끝면에는 방사상으로 톱니형상이 다수 형성되는 지지대와, 하단부 끝부분에는 쐐기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지지대의 원통부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수나사가 형성되는 조립부가 상단부에 설치되고 지지대의 하단 끝면에 형성되는 방사상의 톱니형상과 맞물리는 톱니부가 조립부보다 큰 지름으로 조립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기둥과, 기둥의 조립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를 제공한다.
갯바위, 낚싯대, 받침대, 톱니, 지지, 조절, 각도, 회전, 결합, 쐐기

Description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Support Device of Fishing Rod for Fishing from Rocks on Seasho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둥과 고정너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둥과 지지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조기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둥의 삽입부를 보조기둥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둥을 가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망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과 고정너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 하좌우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갯바위의 틈새에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한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민물낚시와 바다낚시로 구분하며, 바다낚시는 민물낚시에 비하여 많은 장비를 필요로 한다. 또 바다낚시 중에서 돌돔이나 참돔 등의 대형 어종을 낚는 갯바위 낚시는 낚싯대가 매우 중량이기 때문에, 낚시를 하는 사람이 장시가 들고 있기가 힘이 든다. 나아가 갯바위 낚시의 경우 어종의 힘이 세고 파도의 영향도 크게 받으므로, 안전하게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낚싯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낚싯대용 받침대를 갯바위에 견고하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갯바위의 틈이나 홈에 비교적 연질의 금속인 납(낚시용구 중의 하나인 봉돌을 이용)을 망치 등으로 박아넣어 메꾸고, 납으로 메꾼 위에 받침대를 망치 등으로 가격하여 하단부를 납속으로 파고들게 하여 받침대를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받침대 고정방법은 환경오염 물질인 납을 갯바위의 틈새에 남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비록 낚시를 마친 후 납을 회수하고자 하여도, 완벽하게 납을 회수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받침대는 갯바위의 구조에 따라 상하의 각도 및 좌우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갯바위에서 낚싯대를 드리울 적절한 포인트를 찾아 받침대를 고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갯바위의 틈새에 고정하기 편리하도록 하단부를 쐐기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하좌우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는 전체적으로 직선부가 긴 타원형상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낚싯대가 걸쳐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거치대와, 상기 한쌍의 거치대에 연결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나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너트와, 상기 연결부재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부와 빈 원통형상의 원통부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설치되며 원통부 하단 끝면에는 방사상으로 톱니형상이 다수 형성되는 지지대와, 하단부 끝부분에는 쐐기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원통부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수나사가 형성되는 조립부가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 끝면에 형성되는 방사상의 톱니형상과 맞물리는 톱니부가 상기 조립부보다 큰 지름으로 조립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조립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대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굽혀지는 양쪽 끝부분에는 마찰력이 큰 재질의 고무, 실리콘, 연질 합성수지 등을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마찰부가 형성된다.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는 물이 묻은 손으로 잡는 경우에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망치로 기둥을 가격하는 경우에도 잡은 손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예를 들면 표면이 거친 고무나 연질 합성 수지, 천이나 섬유 등)으로 코팅하는 손잡이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싯대(2)가 걸쳐지는 거치대(10)와, 연결부재(20)와, 지지대(30)와, 결합너트(40)와, 기둥(50)과, 고정너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대(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선부(12)가 긴 타원형상(예를 들면 트랙형상)이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거치대(10)의 양쪽 끝부분(14), (16)은 위쪽으로 굽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낚싯대(2)를 지지하기 위한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면 상기 거치대(10)는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직선부(12)가 위치하고, 직선부(12)의 양쪽 끝부분(14), (16)은 반원형상 또는 직선형상으로 연결되며, 양쪽 끝부분(14), (15)은 위쪽으로 굽혀지는 형상(한쪽은 위쪽으로 경사지게 굽혀졌다가 수평을 유지하고 다른쪽은 위쪽으로 경사지게 굽혀졌다가 다시 아래쪽으로 굽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위쪽으로 경사지게 굽혀졌다가 수평을 유지하는 한쪽 끝부분(16)에는 낚싯대(2)의 손잡이 부분이 아래쪽으로 접하며 위치하고, 위쪽으로 경사지게 굽혀졌다가 다시 아래쪽으로 굽혀지는 다른쪽 끝부분(14)에는 낚싯대(2)의 중간부분이 위쪽에 걸쳐져 위치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10)의 양쪽 끝부분(14), (16)에는 마찰력이 큰 재질의 고무, 실 리콘, 연질 합성수지 등을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마찰부(15), (17)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마찰부(15), (17)를 형성하게 되면, 낚싯대(2)를 거치한 경우 낚싯대(2)가 쉽게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거치대(10)와 낚싯대(2)가 직접 마찰하여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낚싯대(2)가 거치대(10)에 걸쳐져 지지되면, 물속으로 잠기는 낚싯줄과 낚시바늘, 미끼 등의 무게에 의한 힘과 다른쪽 끝부분(14)을 기준으로 한쪽 끝부분(16)쪽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앞쪽(바다쪽)으로 위치하는 부분이 훨씬 길게 위치함에 따른 무게에 의한 힘 때문에, 낚싯대(2)의 손잡이부분이 위쪽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되고, 거치대(10)의 한쪽 끝부분(16)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특히 미끼를 물고기가 물었을 경우에는 다른쪽 끝부분(14)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더욱 크게 작용하므로, 낚싯대(2)의 손잡이부분은 한쪽 끝부분(16)에 더욱 밀착되게 되고, 낚싯대(2)가 거치대(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거치대(10)를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거치대(10)의 다른쪽 끝부분(14)쪽 낚싯대(2)를 잡아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거치대(10)로부터 낚싯대(2)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매우 편리하다.
상기 거치대(10)는 충분한 강도와 바닷물에 대한 내식성이 있는 스테인레스강이나 합성수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거치 대(10)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맞닿는 끝부분에는 수나사(2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와 한쌍의 거치대(10)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일체로 서로 연결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충분한 강도와 바닷물에 대한 내식성이 있는 스테인레스강판이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지지대(3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32)와 원통부(36)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32)와 원통부(36)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0)는 충분한 강도와 바닷물에 대한 내식성이 있는 스테인레스강이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32)에는 상기 연결부재(20)의 수나사(22)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33)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부(36)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부(36)의 하단 끝면에는 방사상으로 톱니형상이 다수 형성되는 톱니면(37)이 설치된다.
상기 톱니면(37)의 톱니형상은 대략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자연스럽게 이동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너트(4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의 수나사(22)와 체결되는 암나사(43)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너트(4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몸통부(42)와,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44)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손잡이부(44)를 다각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결합너트(40)를 돌리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결합너트(40)를 먼저 각각 연결부재(20)의 수나사(22)에 손잡이부(44)가 거치대(10)쪽을 향한 상태로 결합하고, 연결부재(20)의 수나사(22)를 양쪽에서 상기 지지대(30)의 결합부(32)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거치대(10)와 연결부재(20), 지지대(30), 결합너트(40)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일체로 결합된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의 결합부(32) 한쪽 측면과 상기 결합너트(40)의 몸통부(42) 측면이 각각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20)의 수나사(2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거치대(10)의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되고 유지된다.
상기에서 결합너트(40)와 지지대(30) 결합부(32)의 밀착은 낚싯대(2)의 손잡이가 접하는 상기 거치대(10)의 한쪽 끝부분(16)이 위쪽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20)가 회전함에 따라 더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결합너트(40)와 지지대(30)를 연결부재(2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낚싯대(2)의 손잡이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연결부재(20)를 회전시킬 때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지만, 낚싯대(2)의 손잡이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연결부재(20)를 회전시킬 때에는 결합너 트(40)와 지지대(30)의 결합부(32)가 밀착되어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결합너트(40)와 지지대(30)를 연결부재(2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20)의 수나사와 상기 결합너트(40) 및 지지대(30)의 암나사(43), (33)를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로 결합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너트(40)와 지지대(30)를 연결부재(20)에 결합시키게 되면, 낚싯대(2)가 거치대(10)에 거치된 상태에서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낚싯대(2)에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져 낚싯대(2)의 손잡이쪽이 위쪽으로 힘을 받게 될 때에 연결부재(20)가 회전되지 않게 되고, 거치대(10)의 자세가 고정되어 낚싯대(2)가 거치대(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낚싯대(2)를 위쪽으로 잡아채거나 거치대(10)의 한쪽 끝부분(16)을 눌러 잡아채기를 할 때에는 연결부재(20)가 자연스럽게 회전되므로, 잡아채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50)은 은 도 1 내지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52)와 조립부(54), 톱니부(56)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50)은 바닷물에 내식성이 강하고 갯바위에 박아넣기 위하여 망치로 가격하여도 쉽게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강도가 충분한 스테인레스강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52)는 하단부 끝부분에 쐐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부(52)를 쐐기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갯바위의 작은 틈새에도 용이하게 기둥(50)을 때려 박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립부(54)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둥(50)의 상단 부 끝부분이 상기 지지대(30)의 원통부(36)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립부(54)의 상단부 및 삽입부(52)는 망치 등을 이용하여 가격하는 경우에 쉽게 뭉그러지거나 손상을 입지않도록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립부(54)에는 수나사(55)를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55)에 상기 고정너트(60)를 나사체결하여 상기 기둥(50)과 지지대(30)의 결합을 일체적으로 유지한다.
상기 고정너트(60)는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기둥(50) 조립부(54)의 수나사(55)에 결합되는 암나사(64)가 형성되고,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66)가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너트(60)의 손잡이부(66)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얼링 가공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손잡이부(66)를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너트(6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너트(60)와 기둥(50)을 줄(68)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줄(68)로는 쇠사슬, 와이어, 합성수지 끈, 고무줄, 가죽끈 등이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고정너트(60)와 기둥(50)에는 각각 상기 줄(68)의 양쪽 끝부분을 고정하기 위하여 스냅링이나 돌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부(67)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둥(50)의 톱니부(56)는 상기 지지대(30)의 원통부(36) 하단 끝면에 형성되는 방사상의 톱니형상 톱니면(37)과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54)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5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톱니부(56)의 톱니형상은 상기 톱니면(37)의 톱니형상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형성하며,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자연스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대략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50)의 상단부에는 물이 묻은 손으로 잡는 경우에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이 거친 고무나 연질 합성수지 등으로 코팅하는 손잡이부(58)를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부(58)는 기둥(50)을 갯바위 틈새에 망치로 가격하여 박아넣을 때 잡은 손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완충효과가 있는 스폰지나 발포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58)는 헝겊이나 천을 다층으로 감아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실이나 끈을 두껍게 감아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일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둥(50)의 삽입부(52)가 삽입되는 보조기둥(10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기둥(100)의 하단부도 상기 기둥(50)의 하단부와 마찬가지로 갯바위의 작은 틈새에도 용이하게 박히도록 쐐기형상으로 삽입부(10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기둥(100)의 위쪽에는 상기 기둥(50)의 삽입부(52)가 삽입되도록 중공부(104)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104)는 상기 기둥(5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공부(104)의 바닥부분은 상기 기둥(5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기둥(5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중공부(104)의 바닥부분이 위치하는 부위에는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구멍(10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중공부(104)의 바닥부분과 걸림구멍(108)을 형성하게 되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둥(50)의 쐐기형상 삽입부(52)가 걸림구멍(108)에 형성된 부분에 삽입되고, 중공부(104) 바닥부분의 내경이 기둥(50)의 삽입부(52) 최대지름보다 작으므로 기둥(50)이 회전되는 것이 규제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보조기둥(100)에는 원기둥형상의 본체부(102) 상단부에 고정나사(106)를 설치하여, 상기 기둥(50)의 삽입부(52)가 중공부(104)와 걸림구멍(108)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나사(106)를 강하게 조여서 기둥(50)의 이탈을 방지하고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기둥(100)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중공부(104)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개(110)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개(110)는 보조기둥(100)을 갯바위에 망치 등으로 가격하여 박을 때에 보조기둥(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타격력이 작용하는 부분으로 사용되므로, 열처리 등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110)는 상기 중공부(104)에 삽입되는 조립부(112)와 상기 조립부(112)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단턱부(1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기둥(100)과의 사이에 줄(120)을 설치하여 분실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줄(120)로는 쇠사슬, 와이어, 합성수지 끈, 고무줄, 가죽끈 등이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보조기둥(100)과 마개(110)에는 각각 상기 줄(120)의 양쪽 끝부분을 고정하기 위하여 스냅링이나 돌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부(105), (116)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이 갯바위 낚시를 행하고자 하는 적당한 장소를 물색한 다음, 그 장소 부근의 갯바위를 살펴 틈새나 간극이 찾아 상기 기둥(50)의 삽입부(52)를 틈새나 간극에 위치시키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망치(90) 등을 이용하여 기둥(50)의 조립부(54) 상단면을 가격하여 기둥(50)을 갯바위에 때려 박는다.
상기에서 기둥(50)의 길이가 부족하여 보조기둥(100)을 추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기둥(100)의 삽입부(101)를 갯바위의 틈새나 간극에 위치시키고, 망치(90) 등을 이용하여 보조기둥(100)에 조립된 마개(110)의 상단면을 가격하여 갯바위에 때려 박는다.
상기와 같이 보조기둥(100)을 갯바위에 확실하게 고정한 다음, 상기 보조기 둥(100)으로부터 마개(110)를 제거하고, 상기 기둥(50)의 삽입부(101)를 보조기둥(100)의 중공부(104) 및 걸림구멍(108)에 잘 맞추어 조립하고, 상기 고정나사(106)를 이용하여 기둥(50)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기둥(50)을 갯바위에 확실하게 고정한 다음, 상기 기둥(50)의 조립부(54)에 상기 지지대(30)의 원통부(36)를 조립하고, 낚싯대(2)를 드리울 방향으로 거치대(10)의 방향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너트(60)를 지지대(30) 위쪽에서 체결하여 기둥(50)과 지지대(30)를 일체화시켜 고정한다. 이때 지지대(30)와 거치대(10), 연결부재(20), 결합너트(40)는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낚싯대(2)를 거치대(10)에 거치하여 드리워지는 각도를 살펴보고, 상기 결합너트(40)를 풀어 거치대(10)의 각도를 조절한 다음 다시 결합너트(40)를 조여 낚싯대(2)의 드리워지는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낚싯대(2)의 드리워지는 각도가 설정되면, 상기 결합너트(40)와 지지대(30)의 결합부(32) 측면이 강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너트(40)를 조인다.
또 필요에 따라 낚싯대(2)의 드리우는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너트(60)를 약간 푼 다음, 지지대(30)를 회전시키고, 다시 고정너트(60)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때 고정너트(60)를 체결한 상태에서는 기둥(50)의 톱니부(56) 톱니형상과 지지대(30)의 톱니면(37) 톱니형상이 서로 밀착되어 위치하므로, 지지대(30)의 톱니면(37)과 기둥(50)의 톱니부(56)가 서로 타넘어가지 못하여 거치대(10)의 방향이 임의로 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는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거치대(10) 사이를 하나의 연결부재(20)를 사용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20)에는 중앙부에 수나사(2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너트(40)도 하나만 사용된다.
상기에서는 연결부재(20)에 결합너트(40)와 지지대(30)를 결합한 상태에서 거치대(1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부재(20)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조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에 의하면, 기둥의 하단부 삽입부가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갯바위에 조그만 틈새가 있는 경우에도 이 부분에 용이하게 망치로 때려박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납을 사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기둥을 갯바위에 확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환경오염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에 의하면, 톱니형상의 톱니면과 톱니부에 의하여 360도 자유롭게 좌우로 회전시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둥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거치대의 방향을 변경시켜 항상 바다쪽으로 낚싯대를 드리우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에 의하면, 결합너트를 풀어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둥의 설치각도(갯바위 틈새의 각도)에 대응하여 낚싯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둥의 설치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에 의하면, 거치대에 마찰부를 설치하므로, 낚싯대가 거치대로부터 미끄러져 바다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에 의하면, 거치대에 낚싯대가 "X"형상으로 거치되므로, 낚싯대에 물고기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낚싯대가 더욱더 거치대에 밀착되는 구조로 되고, 낚싯대가 거치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에 의하면, 사용자가 잠시 다른 일을 하거나 낚싯대에서 눈을 떼는 경우에도 낚싯대가 순간적으로 바다쪽으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의 불안감을 줄여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잠간씩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로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전체적으로 직선부가 긴 타원형상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낚싯대가 걸쳐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거치대와,
    상기 한쌍의 거치대에 연결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나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너트와,
    상기 연결부재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부와 빈 원통형상의 원통부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되고 원통부 하단 끝면에는 방사상으로 톱니형상이 다수 형성되는 지지대와,
    하단부 끝부분에는 쐐기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원통부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수나사가 형성되는 조립부가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 끝면에 형성되는 방사상의 톱니형상과 맞물리는 톱니부가 상기 조립부보다 큰 지름으로 조립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조립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양쪽 끝부분에는 마찰력이 큰 재질을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마찰부가 형성되는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는 손으로 잡은 경우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망치로 가격할 때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너트와 지지대의 상기 연결부재와의 결합은 상기 거치대의 한쪽 끝부분이 위쪽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결합너트와 지지대의 결합부 측면이 더 강하게 밀착되도록 행하는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와 기둥을 줄로 연결하는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보조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기둥의 하단부에는 쐐기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부분은 상기 기둥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중공부가 상기 보조기둥의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바닥부분이 위치하는 부위에는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기둥에는 상기 기둥이 중공부에 삽입된 경우 체결되어 기둥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나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기둥에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마개가 줄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KR2020070003034U 2007-02-21 2007-02-21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KR200441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034U KR200441928Y1 (ko) 2007-02-21 2007-02-21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034U KR200441928Y1 (ko) 2007-02-21 2007-02-21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35U true KR20080003535U (ko) 2008-08-26
KR200441928Y1 KR200441928Y1 (ko) 2008-09-23

Family

ID=4149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034U KR200441928Y1 (ko) 2007-02-21 2007-02-21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9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63B1 (ko) * 2009-09-01 2012-03-16 봉수열 낚시대 받침장치
KR101288634B1 (ko) * 2011-08-16 2013-07-22 양태영 낚시대 받침지주의 회전 록킹구조
KR101328658B1 (ko) * 2011-12-06 2013-11-14 김정실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KR20160137828A (ko) 2015-05-22 2016-12-01 이수진 낚싯대 꽂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237Y1 (ko) 2010-04-13 2012-10-24 김춘길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63B1 (ko) * 2009-09-01 2012-03-16 봉수열 낚시대 받침장치
KR101288634B1 (ko) * 2011-08-16 2013-07-22 양태영 낚시대 받침지주의 회전 록킹구조
KR101328658B1 (ko) * 2011-12-06 2013-11-14 김정실 접철 가능한 낚시용 거치대
KR20160137828A (ko) 2015-05-22 2016-12-01 이수진 낚싯대 꽂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928Y1 (ko) 2008-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928Y1 (ko)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KR200441929Y1 (ko)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KR101044484B1 (ko) 릴 낚싯대의 웨이트 밸런스 캡
KR200463237Y1 (ko)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US3162970A (en) Fishing rod holder
KR100582935B1 (ko)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JP4552145B2 (ja) 釣り竿保持具
KR102131434B1 (ko) 양식용 발 인양기
KR200284642Y1 (ko) 양식장용 부구.
KR101209001B1 (ko) 견지낚시 겸용 민물 및 계곡낚시용 낚싯대
JP4320759B2 (ja) つり用浮き
KR20090035334A (ko) 낚싯대용 받침대
KR20050079918A (ko) 안전낚시바늘
US20020112675A1 (en) Pet exerciser
JP3897906B2 (ja) 尻栓構造
KR200454068Y1 (ko) 로프 결박이 용이한 김발 간답대
US9635846B2 (en) Barge assistant rod saver
AU2017203343B2 (en) Anchor peg assembly
JP3104251U (ja) 磯釣り用釣り竿立て器
JP2007089570A (ja) コマセを運ぶ巾着ネットウキ
KR20220117731A (ko) 낚시 채비
KR200239327Y1 (ko) 낚시 뜰채의 손잡이 길이 조절용 캡
JP2009131226A (ja) 背針
KR200344821Y1 (ko) 낚시용 자새
KR970002854Y1 (ko) 팜사 설치용 고정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