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240B1 - 치과용 축 부착 지석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축 부착 지석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240B1
KR101328240B1 KR1020070010456A KR20070010456A KR101328240B1 KR 101328240 B1 KR101328240 B1 KR 101328240B1 KR 1020070010456 A KR1020070010456 A KR 1020070010456A KR 20070010456 A KR20070010456 A KR 20070010456A KR 101328240 B1 KR101328240 B1 KR 10132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stone
dental
shaft
polish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323A (ko
Inventor
간지 마츠타니
히로유키 하기와라
사토시 데츠카
도시유키 다카세
미에코 아카바
Original Assignee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6Tooth grinding or polishing discs;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결합재와 지립 (砥粒) 을 혼합하여 지석을 성형하고, 그 지석을 축의 선단에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이며, 지석의 표면을 적당한 지립의 회전 지석 등으로 깎아냄으로써, 그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의 절삭 정도를, 설계 상, 예정한 피연마 대상물을 충분히 연마했을 때에 얻어지는 정상적인 절삭 정도와 거의 동등하게 하였다. 그 결과,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절삭 정도가, 신품일 때부터 폐기될 때까지, 거의 동일해진다.

Description

치과용 축 부착 지석 및 그 제조 방법 {DENTAL SHANK-ATTACHED GRINDSTON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의 연마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표면에 있어서의 지립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지석의 절삭 정도와 지석의 연마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표면에 있어서의 지립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
10 :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1 : 섕크
12 : 지석 12a : 지립
12b : 결합재 100 : 연마 장치
110 : 회전 지석 111 : 회전축
113 : 베어링 115 : 모터
117 : 구동 전달 119 : 이송 핸들
120 : 콜릿 척 122 : 베어링
124 : 모터 126 : 구동 전달 수단
128 : 척 개폐 레버 131, 132 : 핸들
본 발명은, 치과용 합금이나 치과용 도재나 치과용 합성 수지 등으로 제작된 인레이나 크라운이나 브릿지 등의 치과용 수복물의 형태 수정이나 교합 조정 등을 위해 연마하는데 사용하는 치과용 축 부착 지석 (砥石) 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 말하는 「연마」는, 지석으로 워크에 실시하는 가공을 총칭하고, 통상 「연삭」이라고 일컬어지는 연마량이 큰 가공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종래부터, 치과용 합금, 치과용 도기 또는 치과용 합성 수지 등으로 제작된 인레이나 크라운이나 브릿지의 형태 수정이나 교합 조정을 하기 위해, 금속제 섕크의 선단에 지석을 설치한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을 사용하고 있다. 치과용 축 부착 지석에는, 실리콘카바이드 등의 지립을 결합재로 굳힌 것을 사용한다.
치과용 축 부착 지석에는, 카보런덤 포인트 (carborundum points) 라고 칭하는 단단한 지석과, 실리콘 포인트라고 칭하는 약간 탄성이 있는 지석이 있다. 양자 모두 지립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카보런덤 포인트는, 결합재로서, 점토, 장석 등의 세라믹계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 결합재와 지립이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여 금형 내에 채워 성형하고, 성형 후에 금형으로부터 꺼내어 고온에서 소결하여 성형한다.
실리콘 포인트는, 결합재로서 고무, 각종의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이 축 고정 지석의 제조 방법은, 우선, 소정의 입도의 지립과 반용융 상태의 결합재를 혼합하고, 지립이 균등하게 분포하도록 혼련한다. 이와 같이 혼련되어 반용융 상태의 원료를, 금형 내에 압입하고 가열 고화하여, 지석을 성형한다.
지석과 섕크의 결합은, 지석을 성형할 때에 섕크의 선단을 금형 내에 삽입하고 일체로 하여 성형하는 방법과, 지석 성형시에 섕크가 들어가는 구멍을 형성하고, 지석을 성형 후에, 지석의 구멍에 섕크를 삽입하여 접착재로 접착 고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실리콘 포인트에서는, 전자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카보런덤 포인트에서는 후자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 상기의 카보런덤 포인트와 실리콘 포인트는, 합금, 도기, 합성 수지 등의 피연마 대상물이나, 조연마, 중연마, 마무리 연마 등의 연마의 목적에 맞추어 지립이나 입도를 대신하여 여러 가지의 타입이 제공되어 있다.
도 4 는,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종래의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표면에 있어서의 지립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지석 (12) 은, 도시하지 않은 금형에 밀어넣어 성형되므로, 지립 (12a) 의 평평한 면이 금형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정된다. 따라서, 성형 후의 상태는, 지립의 모서리부인 칼날이 결합재 내에 매몰되고, 지석 표면은 거의 절삭되지 않은 부분만으로 구성되어, 매끄러운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는데, 지석 (12) 의 내부에는 지립 (12a) 이 균등한 상태에서 혼입되어 있다.
이러한 지석 (12) 에서 인레이나 크라운이나 브릿지를 연마하면, 맨 처음에서는, 지립 (12a) 이 표면에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혀 절삭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함에 따라, 결합재 (12b) 나 지립 (12a) 이 탈락하고, 지립 (12a) 의 칼날 (모서리부) 이 나타나면, 돌연 절삭되는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연마의 컨트롤에 매우 신경을 쓰게 된다. 또, 매끄러운 상태의 지석 (12) 으로 연마하면, 마찰열이 발생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환자에게 고통을 주게 된다. 또, 구강 외에서 작업하고 있는 경우에도, 마찰열에 의해 피연마 대상물의 색이 타서 변색하는 경우도 있어, 피연마 대상물의 상품 가치를 손상시키게 된다.
섕크를 설치한 직후의 축 고정 지석은, 버 (bur) 가 있으므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17459호의 단락 [0014] 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에머리 페이퍼 (emery paper) 로 버절삭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문제로서, 섕크를 설치한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은 약간 편심되어 있기도 하다. 축 고정 지석은, 20,000~30,000rpm 의 고속 회전을 하므로, 편심이 있으면 진동을 발생시켜, 특히, 세심한 부분의 연마가 하기 어려워지는 등, 사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에머리 페이퍼로의 연마는, 버절삭 정도 밖에 할 수 없고, 연마 능력의 개량은 물론, 편심의 수정도 할 수 없어, 종래의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은, 신품일 때의 연마 능력이 낮아, 사용하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사실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신품일 때부터 다 사용할 때까지, 거의 일정한 절삭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치과용 축 부착 지석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은, 제조된 지석을 축으로 고정하거나, 혹은 축 상에 일체적으로 지석을 제조한 치과용 축 부착 지석에 있어서, 그 지석의 표면을 적당한 수단 및 조건으로 깎아냄으로써, 상기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의 절삭 정도를, 설계상 예정한 피연마 대상물을 충분히 연마했을 때에 얻어지는 정상적인 절삭 정도와 거의 동등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지석의 종류와 피연마 대상물과, 조연마, 중연마, 마무리 연마 등의 연마의 종류에 의해 결정하는 형 (型) 번호의 설계 공정과, 그 형 번호 마다 포괄적으로 실행하는, 상기 치과용 축 부착 지석에서 설계 상 예정한 피연마 대상물을 충분히 연마했을 때에 얻어지는 정상적인 절삭 정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의 절삭 정도를, 상기 정상적인 절삭 정도와 거의 동등하게 하기 위한 수단 및 조건을 결정하는 공정과, 각각의 제품 마다 실행하는, 지석을 제조하여 축으로 고정하거나 혹은 축 상에 일체적으로 지석을 제조하는 공정과, 그 지석의 표면이 결정된 상기 수단 및 조건에서 깎아내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별도의 지석이 회전 지석에서, 상기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을 회전하여 연마하고,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편심을 수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섕크를 설치한 후의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지석 외주면 전체를, 축 고정 지석의 종류, 피연마 대상물, 연마의 목적 등에 맞추어 적당한 수단 및 조건으로 깎아냄으로써, 지석의 표면에 지립의 에지로 이루어지는 칼날을 균등한 분포로 돌출시키고, 신품일 때부터 피연마 대상물을 충분히 연마했을 때에 얻어지는 정상적인 절삭 정도와 거의 동등한 절삭 정도를 얻을 수 있다. 또, 그 후의 사용에 의해, 표면의 결합재나 지립이 박리되어 새로운 연마면이 형성되어도, 신품일 때의 연마면과 동일한 것이 나타나게 되고, 지석이 신품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부터 절삭 정도가 좋고, 게다가, 사용 가능 기간의 마지막까지 거의 동일한 절삭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연마와 동시에 편심의 수정을 할 수 있고, 사용시의 진동을 억제하여, 안정된 연마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연마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연마 장치 (100) 는, 도면 중앙의 약간 우측에 회전 지석 (110) 을 갖는다. 회전 지석 (110) 은, 총형 (總形) (즉, 워크의 표면과 동일한 연마면을 갖는 지석) 이며,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의 지석 (12) 의 외형에 딱 접촉할 수 있는 형상의 연마면을 갖고 있다. 회전 지석 (110) 은, 회전축 (111) 의 선단에 설치되고, 회전축 (111) 은, 양단을 베어링 (113, 113)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 (111) 은, 모터 (115) 와 벨트 등의 구동 전달 (117) 에 의해 접속되고, 회전 지석 (110) 은, 회전축 (111)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송 핸들 (119) 은, 모터 (115) 에서 회전 지석 (110) 까지를 일체로 하고,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회전 지석 (110) 의 하방에는,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이 있는데, 이것은, 콜릿 척 (collet chuck; 120) 에 파지되어 있다. 콜릿 척 (120) 은, 베어링 (122) 에 의해 지지되고, 모터 (124) 의 회전을 구동 전달 수단 (126) 에 의해 전달되어 회전한다.
척 개폐 레버 (128) 는, 일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 콜릿 척 (120) 이 선단에 파지되어 있는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을 개방한다. 개방한 위치에서 척 개폐 레버 (128) 를 자유롭게 하면, 척 개폐 레버 (128) 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체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콜릿 척 (120) 을 닫는다. 이 닫은 상태가, 워크를 유지 한 상태이다. 핸들 (131, 132) 을 회전시킴으로써, 워크로서의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을 포함한 콜릿 척 (120) 으로부터 모터 (124) 까지를, 도 1 의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은, 축 (섕크 ; 11) 의 선단에 지석 (12) 이 고정된 것으로, 이 제조 방법은, 종래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은, 지석의 종류와 피연마 대상물과 조연마, 중연마, 마무리 연마 등의 연마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형 번호 등이 설계된다.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의 연마 방법을 설명한다. 척 개폐 레버 (128) 를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콜릿 척 (120) 이 열리고,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의 축 (11) 을 삽입한다. 척 개폐 레버 (128) 에 부가한 힘을 제 거하면, 척 개폐 레버 (128) 는 탄성 수단에 의해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고,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의 축 (11) 을 꽉 파지한다.
모터 (115) 와 모터 (124) 를 회전시켜 회전 지석 (110) 과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의 쌍방을 회전시킨다. 핸들 (131, 132) 을 돌려 지석 (12) 을 회전 지석 (110) 에 접근시켜, 대충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 후, 이송 핸들 (119) 로 미세 조정하면서 지석 (12) 의 표면을 연마한다.
회전 지석 (110) 의 연마에 의해, 지석 (12) 은 편심이 수정되고, 또한 총형으로 연마됨으로써, 지석 (12) 은, 도 4 의 상태로부터 도 2 의 상태로 변화한다. 이 때, 당연히, 지석 (12) 에 있던 버도 제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지석 (12) 의 연마에 대해 설명한다.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의 지석 (12) 을 성형하는 경우, 지립 (12a) 과 결합재 (12b) 를 혼합하여 지립 (12a) 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이것을 금형 등에 밀어넣어 성형하는데, 금형에 밀어넣을 때에, 지립 (12a) 의 가장 외측의 것은, 그 평평한 면을 금형의 내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안정된다. 따라서, 성형된 지석 (12) 은, 표면이 매끄럽고, 또한, 지립 (12a) 의 평평한 면이 표면에 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 은, 지석 (12) 의 절삭 정도와 지석 (12) 의 연마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횡축은 절삭 정도로서, 이것은, 단위 시간에 연마한 절삭분의 중량으로 평가하고 있다. 횡축은 연마 시간이다.
곡선 1 에 나타내는 지석 (12) 은 통상의 지석이다. 지석 (12) 은, 성형 된지 얼마 안된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표면이 매끄러워 절삭 정도는 매우 나쁘다. 그러나, 설계상에서 예정된 피연마 대상물을 연마하면, 우선, 표면측으로부터 결합재 (12b) 가 박리되기 시작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지립 (12a) 이 돌출되기 시작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절삭 정도는 상승한다. 그러나, 최초로 돌출하는 지립 (12a) 은, 지석 (12) 의 표면에 있던 것으로, 평평한 면이 겉으로 나와 있다. 지립 (12a) 은, 날카로워진 에지 부분이 칼날이 되어, 피연마 대상물을 연마하므로, 평평한 면에서는 그다지 연마할 수 없다.
또한, 지석 (12) 이 피연마 대상물을 연마하면, 표면에 있던 지립 (12a) 도 박리되고, 다음의 지립 (12a) 에 의한 연마면이 형성된다. 이 때의 지석 (12) 의 표면 상태를 도 2 에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지립 (12a) 의 방향이 랜덤되어 있고, 상당한 수의 지립 (12a) 의 에지가 외측으로 향하고 있다. 따라서, 표면에 있던 지립 (12a) 에 의한 연마보다도 절삭 정도가 좋아진다.
그리고, 연마를 계속함으로써 결합재 (12b) 나 지립 (12a) 이 박리되어, 새로운 연마면이 형성되는데, 새롭게 돌출한 지립 (12a) 은, 랜덤한 방향으로 되어 있고, 에지도 거의 일정한 수의 지립 (12a) 이 지석 (12) 의 표면에 거의 일정 상태로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곡선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상 거의 동일한 절삭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곡선 2 는, 피연마 대상물을 연마했을 때, 일시적으로 절삭 정도가 상승하고, 그 후 절삭 정도가 낮아 정상인 상태가 되는 경우의 예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성형 직후의 지석 (12) 은, 상기 서술한 것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워 절삭 정도가 나쁘다. 그로 인해, 절삭압을 높게 하면, 결합재 (12b) 의 박리와 함께 지립 (12a) 의 파쇄도 일어난다. 지립 (12a) 은 파쇄에 의해 칼날이 되는 에지가 다수 발생하므로, 절삭 정도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절삭 정도의 상승에 의해 절삭압이 저하하게 되어, 지립 (12a) 의 파쇄가 감소되고, 에지의 수가 저하되어, 정상적인 절삭 정도에 도달한다고 생각된다.
곡선 1 의 경우에도, 곡선 2 의 경우에도, 또, 정상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거나 짧은 등의 어떠한 차이는 있어도, 어느 하나는 정상적인 절삭 정도에 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 또는 도 3 에 나타내는 정상적인 절삭 정도가 될 때까지 지석 (12) 을 회전 지석 (110) 으로 연마하는 것이다.
회전 지석 (110) 에서 지석 (12) 을 연마하고, 정상적인 절삭 정도로 하는 수단 및 조건, 즉, 회전 지석 (110) 의 지립의 재질, 입도, 결합재, 연마 속도 등은, 어떠한 형 번호의 지석 (12) 을 연마할지에 따라 다른데, 시행 착오로 형 번호 마다 최적의 조건을 포괄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
지석 (12) 이 정상적인 절삭 정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는, 실제로 지석 (12) 을 사용하여 도 3 에 나타내는 선도를 얻는 것으로 알 수 있는데, 다른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상당한 시간 사용하여 절삭 정도가 거의 안정적으로 양호해진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은, 정상적인 절삭 정도를 갖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지석 (12) 이 설계상 예정된 피연마물을 연마했을 때의 절삭 정도를 측정하고, 이것과 동일한 절삭 정도가 되도록 지석 (12) 을 회전 지석 (110) 에서 연 마하는 방법도 있다.
이들 정상적인 절삭 정도를 측정하는 공정 및 지석 (12) 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의 절삭 정도를, 그 정상적인 절삭 정도와 거의 동등하게 하기 위한 수단 및 조건을 결정하는 공정은, 형 번호 마다 포괄적으로 실행한다.
워크로서의 지석 (12) 이 정상적인 절삭 정도에 도달하면, 그 때의 연마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회전 지석 (110) 에 의한 연마를 하면, 다음의 지석 (12) 에 대해서 반복 연마를 할 수 있고, 대량 생산도 가능해진다.
또, 각종의 지석 (12) 에 대해서 사용하는 회전 지석 (110) 과, 연마 조건을 표면화시켜 둠으로써, 워크가 어떠한 지석 (12) 이 되어도, 간단하게 연마 조건을 결정하여 연마할 수 있다.
종래의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은, 버제거를 위한 연마는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버제거의 연마량은 통상 매우 작다. 또, 에머리 페이퍼에 의한 연마에서는 편심은 취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의 연마량은, 지립 (12a) 이 지석 (12) 의 표면에 돌출하는 정도까지 실시하고 있다. 또, 회전 지석 (110) 에서 회전하는 지석 (12) 을 연마하므로, 편심도 수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생긴 치과용 축 부착 지석 (10) 은, 표면에 균일한 분포에서 각 피연마 대상물에 맞는 정도로 지립 (12a) 의 모서리부인 칼날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신제품 상태에서부터 연마력이 우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회전 지석 (110) 으로서는, 다이아몬드 지립을 이용한 총형의 전착 지석을 사용하였는데, 전착 지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메탈 본드 지석, CBN 지석, 또한, 스틱형 지석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회전 지석 (110) 으로서 총형의 지석을 사용하면, 지석 (12) 의 전체 외주면을 한번에 연마할 수 있는데, 원통형의 축 고정 지석 등, 측면만을 사용하는 타입이면, 총형일 필요는 없다. 지립 (12a) 을 지석 (12) 의 표면에 돌출시키고, 정상적인 절삭 정도로 할 뿐이라면, 회전 지석 (110) 이외의 지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 지석 (110) 과 지석 (12) 의 회전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접촉부에서는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고, 작은 회전수로 큰 연마 속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도, 동일한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더 넓은 양태의 본 발명의 관점을 벗어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른 변형 및 개선도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을 신품일 때부터 다 사용할 때까지, 거의 일정한 절삭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제조된 지석을 축으로 고정시키거나, 혹은 축 상에 일체적으로 지석을 제조한 치과용 축 부착 지석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을 회전시켜 그 지석의 표면을 별도의 회전 지석으로 깎아냄으로써, 상기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의 절삭 정도를, 설계상 예정한 피연마 대상물을 충분히 연마했을 때에 얻어지는, 절삭 정도가 일정해지는 정상적인 절삭 정도와 동등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축 부착 지석.
  2.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지석의 종류와 피연마 대상물과, 조연마, 중연마, 마무리 연마 등의 연마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형 번호의 설계 공정과,
    상기 형 번호 마다 포괄적으로 실행하는, 상기 치과용 축 부착 지석에서 설계상 예정한 피연마 대상물을 충분히 연마했을 때에 얻어지는, 절삭 정도가 일정해지는 정상적인 절삭 정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의 절삭 정도를, 상기 정상적인 절삭 정도와 동등하게 하기 위한 수단 및 조건을 결정하는 공정과,
    지석을 제조하고 축으로 고정시키거나 혹은 축 상에 일체적으로 지석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지석의 표면을 상기 결정된 수단 및 조건에서 깎아내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수단은 회전 지석이고, 상기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을 회전시켜 연마하고,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편심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축 부착 지석의 제조 방법.
KR1020070010456A 2006-02-01 2007-02-01 치과용 축 부착 지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8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4109 2006-02-01
JP2006024109A JP4815226B2 (ja) 2006-02-01 2006-02-01 歯科用軸付砥石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323A KR20070079323A (ko) 2007-08-06
KR101328240B1 true KR101328240B1 (ko) 2013-11-14

Family

ID=3828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456A KR101328240B1 (ko) 2006-02-01 2007-02-01 치과용 축 부착 지석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834602B1 (ko)
JP (1) JP4815226B2 (ko)
KR (1) KR101328240B1 (ko)
CN (1) CN1010112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8454B2 (en) 2008-09-30 2013-03-19 American Dental Association Apparatus for testing the polishability of materials
ITUA20163255A1 (it) * 2016-05-09 2017-11-09 Umbragroup S P A Mola per la rettifica di profili ad elica
CN107212935B (zh) * 2017-05-27 2020-09-04 重庆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牙科全冠牙体预备用装置
CN113692332A (zh) * 2019-07-31 2021-11-23 马尼株式会社 牙科用金刚砂车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459A (ja) * 1995-10-25 1997-05-06 G C:Kk 歯科用研磨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672C (de) * 1922-05-04 Klemens Edlerherr Vorrichtung zum Abrichten von Schleifscheiben fuer zahnaerztliche Zwecke
JPS55144961A (en) * 1979-04-23 1980-11-12 Noritake Co Ltd Dressing method of resinoid grind stone
JPS5761466A (en) * 1980-09-25 1982-04-13 Toyoda Mach Works Ltd Turning method for grinding wheel
DE8811689U1 (ko) * 1988-09-15 1988-11-24 Neuenhausen, Juergen, 5300 Bonn, De
JPH05237763A (ja) * 1992-02-28 1993-09-17 Asahi Daiyamondo Kogyo Kk 電着式砥石の目立て方法
JPH08309668A (ja) * 1995-05-16 1996-11-26 Mitsubishi Materials Corp 内周刃砥石の製造方法
EP1059141B1 (en) * 1998-10-21 2006-03-22 Nakanishi Inc. Hand scaler polishing unit and hand scaler polishing apparatus
JP2000153462A (ja) * 1998-11-18 2000-06-06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鋳薄刃砥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459A (ja) * 1995-10-25 1997-05-06 G C:Kk 歯科用研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1294A (zh) 2007-08-08
CN101011294B (zh) 2010-09-29
JP2007202743A (ja) 2007-08-16
EP1834602A1 (en) 2007-09-19
JP4815226B2 (ja) 2011-11-16
EP1834602B1 (en) 2011-10-05
KR20070079323A (ko) 2007-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240B1 (ko) 치과용 축 부착 지석 및 그 제조 방법
JP3795778B2 (ja) 水添ビスフェノールa型エポキシ樹脂を用いたレジノイド研削砥石
JP5060626B2 (ja) 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2017077454A (ja) 歯科修復物プリフォーム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02541908A (ja) セラミックから医療、歯科医療、歯科技術および技術用の部品を製造する方法
CN108857586B (zh) 人造牙齿抛光方法和人造牙齿抛光装置
FR2935281A1 (fr) Procede pour fabriquer une pierre a aiguiser rotative, et pierre a aiguiser rotative fabriquee selon ce procede
WO2002022310A1 (fr) Meule a grains tres abrasifs pour poli miroir
EP2186584B1 (en)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utting tool
JP2008221459A (ja) セラミック切削インサート
JP5300939B2 (ja) 仕上加工用工具を用いた加工方法
JP2006297528A (ja) 塊状砥粒を有するレジノイド砥石の製造方法
JPH07500045A (ja) 歯科作業のための工具に関する改良
JP2004268200A (ja) 複合型レジノイド砥石
US11191614B2 (en) Method of forming a dental prosthesis
JPH0773588B2 (ja) 歯科用研削・研磨材
US20130052612A1 (en) Tool for the treatment of surfaces of dental materials
JPH02256464A (ja) 歯車型ドレッサの製造方法
JPH09117459A (ja) 歯科用研磨具
JPH11277453A (ja) 歯科用修復物研磨用軸付き工具および歯科用修復物の 製造方法
JP2005144653A (ja) レジンボンドダイヤモンド砥石
JPH0217804Y2 (ko)
JPH11138446A (ja) 多刃研削工具の製造方法
JP3027865U (ja) 刃物研磨用砥石
JPS63237868A (ja) ダイヤモンド砥石の成形加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