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534B1 - 코너브라켓 - Google Patents

코너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534B1
KR101327534B1 KR1020130007774A KR20130007774A KR101327534B1 KR 101327534 B1 KR101327534 B1 KR 101327534B1 KR 1020130007774 A KR1020130007774 A KR 1020130007774A KR 20130007774 A KR20130007774 A KR 20130007774A KR 101327534 B1 KR101327534 B1 KR 10132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bracket
pin
corner
horizontal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철
Original Assignee
(주)지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산업 filed Critical (주)지오산업
Priority to KR102013000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단열재로서 복합진공단열재 판넬 시공시, 현장가공 및 접착이 불가능한 복합진공단열재 규격품을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본 부자재를 개발함으로써 시공을 가능케 하고,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은 건설현장에서 복합진공단열재가 벽면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은 동일한 구성의 한 개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고안하여 코너부(우각부), 기둥부, 개구부, 창(문)틀 주위 등에 설치가 필요한 여려 종류의 부자재가 하나로 통합되게 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현장의 시공성을 크게 개선하였다. 이러한 코너브라켓은 복합진공단열재의 표준시공법에 적용됨으로써 복합진공단열재가 건설현장의 내장단열재로 널리 적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Description

코너브라켓 {Corner Bracket}
본 발명은 건축물 구조체에 단열재로서 판상형 복합진공단열재를 코너부(우각부), 개구부 주위의 벽면과 기둥부에 고정시켜 주고, 내장마감재인 석고보드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Corner Bracket}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환경보존을 위해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세계 각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범정부적 차원에서 탄소배출량 감소와 연계된 에너지 절감을 위한 각종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절감의 방안은 각 분야에서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건설분야에서도 정부시책에 발맞추어 그린에너지, 제로에너지하우스, 패시브하우스 등 여러 가지의 에너지 절감형 주택 또는 건물이 구상되고 있다. 주택 또는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감방안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과 부합되는 방향은 고효율 단열재를 효과적으로 시공가능케 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하는 것이다.
복합진공단열재는 현재까지 개발된 단열재 중에서 단열 효과가 상당히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공장에서 일정한 판상형으로 가공된 후에는 현장에서 코너부(우각부) 및 기둥부, 개구부 및 창(문)틀 주위(이하 "코너부 등" 이라 함)에서의 필요에 따른 가공, 절단 등이 불가하여 기존 G/W(글라스울/유리면단열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의 일반적인 시공이 대단히 어려웠다. 또한, 복합진공단열재는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G/W이 덧대어 제작되므로, 일반 평면벽체에서는 기존 G/W지지핀(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91248)으로 부착이 가능하였으나, 코너부 등에서는 기존 G/W 지지핀을 사용하여 복합진공단열재 내부의 진공단열재를 관통시켜 고정할 수 없기에 시공하는 데 있어 상당한 어려움에 봉착하였다.
본 발명은 내장단열재로서 판상형 복합진공단열재 판넬 시공시, 현장가공 및 접착이 불가능한 복합진공단열재 규격품을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본 부자재를 개발함으로써 시공을 가능케 하고, 복합진공단열재가 코너부 등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내장마감재를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제작하여 복합진공단열재가 내장단열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본 코너브라켓을 활용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의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코너부, 기둥부, 개구부 등에 각각 필요한 부자재가 한 개의 모델로 활용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을 개선한 제품으로써 복합진공단열재의 부착과 내장마감재의 고정이라는 목적에 충실하면서도 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구축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고 건설현장에 보다 적극적으로 복합진공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도록 코너브라켓을 개발하여 복합진공단열재가 벽면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은 동일한 구성의 한 개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고안하여 코너부 등에 설치가 필요한 여려 종류의 부자재가 하나로 통합되게 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현장의 시공성을 크게 개선하였다. 또한, 복합진공단열재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현장에서 시공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복합진공단열재 사용에 따른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은 복합진공단열재의 표준시공법에 적용됨으로써 복합진공단열재가 건설현장의 내장단열재로 널리 적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의 입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의 입체도인 도 1-(A)를 Z축 방향으로 180˚ 회전시킨 입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 배면의 입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 배면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 밑면의 입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 밑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입체도 (상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입체도 (하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과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기본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과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코너브라켓 L핀과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결합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의 기둥부(우측) 시공 입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의 기둥부(좌측) 시공 입체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의 코너부(우각부) 시공 입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의 코너부(우각부) 시공 입체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의 개구부, 바닥부, 천정부 시공 입체도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은 코너브라켓 L핀 및 코너브라켓 하프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기 위한 부자재로서, 기존의 유리면단열재를 고정시켜 주는 벽판고정형 결착구(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91248)로 시공이 어려운 코너부(우각부) 및 기둥부, 개구부 및 창(문)틀 주위에 복합진공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결합을 통해 현장에서의 전반적인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은 코너브라켓 L핀(100) 및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으로 구성되며 각각 도1 내지 도5를 참고하여 각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100)에 관한 것으로, 도 1-(A)는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의 입체도이고, 도 1-(B)는 도 1-(A)를 Z축 방향으로 180˚ 회전시킨 입체도이며, 도 2-(A)는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 배면의 입체도, 도 2-(B)는 도 2-(A)의 기둥부 배면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 밑면의 입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바닥부 밑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100)은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110),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120) 및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 L핀(100)은 복합진공단열재 및 내장마감재를 지지하기 위해 건축구조물 벽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도 1 내지 도 3 을 참고하여 각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130)는 본드홀(131), 탄성을 갖는 결착편(132), 레일 요(凹)부(133), 앞단 곡선부(134)로 구성된다. 본드홀(131)은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130)와 건축구조물 벽체 사이에서 접착제가 굳어짐으로써 코너브라켓 L핀이 벽체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한 구성이고, 상기 접착제로는 초산 비닐계 수지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130)의 레일 요(凹)부(133)는 또 다른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의 레일 철(凸)부(12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2개의 코너브라켓 L핀의 결합 시, 결합하려는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130)의 레일 요(凹)부(133)에는 결합하고자 하는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120)의 레일 철(凸)부(122) 상단에 위치한 탈락 방지턱(123)에 결착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결착편(13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탄성을 갖는 결착편(132)은 2개의 코너브라켓 L핀 결합시 과삽입을 방지하고, 바닥부에 설치된 결착편이 탄성을 갖도록 약간의 공간을 두어 탈락 방지턱(123)을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삽입 반대 방향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코너브라켓 L핀의 바닥부(130)에는 앞단 곡선부(134)를 두어 또 다른 코너브라켓 L핀과 결합 시 결착이 용이하고 복합진공단열재를 끼워 넣을 때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130)에 걸리지 않도록 바닥부 앞단이 곡선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도 1을 참조로 한다.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 L핀의 기둥부(120)는 보강리브(121), 레일 철(凸)부(122) 및 탈락 방지턱(123)로 구성되며, 도 2를 참고하여 각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 배면의 레일 철(凸)부(122)는 또 다른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의 레일 요(凹)부(133)와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기둥부 배면의 레일 철(凸)부(122)를 따라 홈파기를 하여 꺾임에 대응하도록 설계하였다. 기둥부 양 끝단에는 기둥부와 헤드부 또는 기둥부와 바닥부의 휨 또는 꺾임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리브(121)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코너브라켓 L핀의 기둥부 배면의 레일 철(凸)부(122) 상단에는 탈락 방지턱(123)을 포함하고, 2개의 코너브라켓 L핀의 결합 시, 결합하려는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130)의 레일 요(凹)부(133)에는 결합하고자 하는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120)의 레일 철(凸)부(122)의 상단에 위치한 탈락 방지턱(123)이 탄성을 갖는 결착편(132)에 결착되도록 설계하였다.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110)는 수평 결착구(111), 수직 결착구(112), 휨 방지 결착구(113) 및 측면 결착구(114)로 구성되고,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각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코너브라켓 L핀의 헤드부(110)는 1개 또는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이 수평(하프캡 1개 결착시) 또는 수직(하프캡 2개 결착시)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110)의 수평결착구(111)는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수평으로 결합될 경우 수평 결착구(111-a), (111-b)에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 수평 결합 기둥(221-b)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110)의 수직결착구(112)는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수직으로 결할될 경우 수직 결착구(112-a), (112-b)에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 수평 결합 기둥(221-b)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수평 결착구(111)와 수직 결착구(112)는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이 동시에 직각으로 결합될 경우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수평 결착고리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비대칭으로 설계하였다.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110)의 휨 방지 결착구(113)는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휨 방지턱(223)이 결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휨 방지 결착구(113)는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 배면까지 뚫려 있어,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이 동시에 직각으로 체결되어도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결착구의 위치를 설계하였다.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의 측면 결착구(114)는 측면수평 결착구(114-a)와 측면수직 결착구(114-b)로 구성되고, 코너브라켓 하프캡과 수평으로 결합되는 경우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측면 결착고리(222)가 측면수평 결착구(114-a)에 결착 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결착 홈을 설계하였으며, 코너브라켓 하프캡과 수직으로 결합되는 경우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측면 결착고리(222)가 측면수직 결착구(114-b)에 결착 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결착 홈을 설계하였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에 관한 것으로,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키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이하 '지지부'라 한다.)와 결착부로 구성된다. 코너브라켓 하프캡 지지부(210)는 본드 관통홀(211), 상부 보강리브(212-a), 하부 보강리브(212-b)로 구성되고, 코너브라켓 하프캡 결착부(220)는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 수평 결합 기둥(221-b), 측면 결착고리(222), 측면 결착고리 보강리브(222-1) 및 휨 방지턱(223)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지지부(210)는 내장 마감재 지지를 위해 석고본드가 잘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본드 관통홀(211)을 포함하고, 휨 응력에 대응하도록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상부 보강리브(212-a), 하부 보강리브(212-b)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코너브라켓 하프캡 결착부(220)의 수평 결착고리(221)은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과 수평 결합 기둥(221-b)을 포함하는 구성이고,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110)의 수평결착구(111)에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수평으로 결합될 경우 코너브라켓 하프캡 결착부(220)의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 수평 결합 기둥(221-b)이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의 수평 결착구(111-a), (111-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110)의 수직결착구(112)에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수직으로 결합될 경우 코너브라켓 하프캡 결착부(220)의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 수평 결합 기둥(221-b)이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의 수직 결착구(112-a), (112-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수평 결착고리(221)를 2개 모두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의 형태로 설계하였을 경우 결착력이 너무 강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므로 기둥형태로 하여 상하 꺾임을 방지하도록 한 쪽은 수평 결합 기둥(221-b)으로 설계하였으며, 1개의 코너브라켓 L핀과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 결합 시 석고본드 및 내장마감재의 두께를 고려한 여유공간을 두어 곡각부에서 내장마감재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코너브라켓 하프캡을 반원보다 조금 더 크게 설계하였다. 코너브라켓 하프캡 결착부(220) 좌측 끝단에 위치한 측면 결착고리(222)는 코너브라켓 L핀과 수평으로 결합할 경우에는 측면 수평 결착구(114-a)와, 수직으로 결합할 경우에는 측면 수직 결착구(114-b)와 결합되어 코너브라켓 하프캡이 좌우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로의 휨 응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측면 결착고리 보강리브(222-1)를 두어 작업성은 높이되 결착력은 유지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 하프캡 결착부(220)의 휨 방지턱(223)은 코너브라켓 L핀에 결합된 후 상하로의 휨 응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휨 방지턱(223) 끝단부에는 결착턱을 두어 코너브라켓 L핀의 휨 방지 결착구(113)에 결착됨으로써 상향의 휨 응력에 더욱 견고하게 대응하도록 설계하였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L핀(100)과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결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6은 코너브라켓 L핀과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기본 결합 구조, 도 7은 코너브라켓 L핀과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이 결합된 구조, 도 8은 2개의 코너브라켓 L핀과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이 결합된 구조이다.
도 6은 코너브라켓 L핀과 코너브라켓 하프캡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기본 구조로써, 코너브라켓 L핀의 수평 결착구(111-a), (111-b)에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 수평 결합 기둥(221-b)이, 코너브라켓 L핀의 휨 방지 결착구(113)에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휨 방지턱(223)이, 코너브라켓 L핀의 측면 결착구(114-a)에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측면 결착고리(222)가 동시에 수평 결착되는 구조로써,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코너브라켓 L핀과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이 동시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써, 도 6의 기본 결합 구조에 제 2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 수평 결합 기둥(221-b)이 코너브라켓 L핀의 수직 결착구(112-a), (112-b)에, 코너브라켓 L핀의 휨 방지 결착구(113)에 제 2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휨 방지턱(223)이, 코너브라켓 L핀의 측면 결착구(114-b)에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측면 결착고리(222)가 동시에 수직 결착되는 구조이며, 상기 수평 결착 및 수직 결착은 공간적 위치에 따라 순서가 바뀔 수 있다.
도 8은 2개의 코너브라켓 L핀이 결합된 구조로써, 도6의 기본 결합 구조 2개가 결합된 형태로써, 2개의 코너브라켓 L핀의 결합 시, 결합하려는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130)의 레일 요(凹)부(133)에는 결합하고자 하는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120)의 레일 철(凸)부(122)의 상단에 위치한 탈락 방지턱(123)에 탄성을 갖는 결착편(132)이 결착되고, 각각의 코너브라켓 L핀은 상기 도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너브라켓 하프캡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 L핀(100)은 각각의 구성요소인 헤드부(110), 기둥부(120), 바닥부(130)가 상기 코너브라켓 L핀에서 설명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헤드부는 사각형 또는 부드러운 곡면을 갖는 각형, 원통형 등으로 설계 및 제작할 수 있고, 기둥부는 사각의 평판형 또는 다각의 평판형, 1개 내지 다수개 원통의 기둥형 등으로 설계 및 제작할 수 있고, 바닥부는 사각 또는 다각의 평판형, 원형 또는 반원형 등으로 설계 및 제작할 수 있으며,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은 코너브라켓 하프캡에서 설명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지부(210)를 반원형 또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코너브라켓 L핀과 코너브라켓 하프캡은 결착과 결합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복합 P.P 또는 복합 P.E, ABS 등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원료로 제작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고무재, 목재, 철재의 재질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 L핀과 코너브라켓 하프캡이 결합되어 건설 현장에서 시공 및 설치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은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기 위한 부자재로서, 기존의 유리면단열재를 고정시켜 주는 벽판고정형 결착구(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1248호)로 시공이 어려운 코너부(우각부), 기둥부, 개구부 및 창(문)틀 주위에 복합진공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결합을 통해 현장에서의 전반적인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도 9는 벽면에 기둥이 돌출되어 있는 벽체로써, 도9-(A), (A')를 참고하여 2개의 코너브라켓 L핀(100, 100')과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200')을 기둥부 좌측(420(2)) 또는 우측(420(3))에 시공하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코너브라켓 L핀(100)의 바닥부를 기둥부 좌측 (420(2)) 끝단에 세로로 부착시키고 제 1 코너브라켓 L핀 (100) 기둥부 배면에 제 2 코너브라켓 L핀(100') 바닥부밑면을 결합시킨 후, 측벽부 단열재와(삭제) 기둥부 좌측(420(2)) 단열재와 기둥부 정면(420(1)) 단열재를 차례대로 설치하고 단열재를 고정시켜주는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200')을 각각의 코너브라켓 L핀(100, 100') 헤드부에 연결시킴으로써, 기둥부에서도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 L핀(100. 100')과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200')을 사용하여 복합진공단열재를 보다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9-(B)는 코너부(우각부)에 복합진공단열재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벽면에 설치될 복합진공단열재의 두께만큼을 남기고 기둥부 우측 코너에 코너브라켓 L핀(100)의 바닥부를 부착시킨 후, 측벽부 단열재(410)와 기둥부 우측부(420(3)) 단열재를 차례대로 설치하고 상기 단열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130, 130')을 동시에 직각으로 결합하여 코너부(우각부)의 복합진공단열재의 시공을 개선하였다. 도 10-(A)도 코너부(우각부)에 복합진공단열재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9-(B)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다. 도 10-(B)는 개구부, 바닥부, 천정부에 복합진공단열재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코너브라켓 L핀(100) 기둥부의 배면을 개구부로 향하고 바닥부를 벽체에 부착시킨 후, 개구부 단열재를 설치하고 코너브라켓 하프캡(130)을 코너브라켓 L핀(100)의 헤드부에 결합하여 창(문)틀이나 문이 설치되는 개구부에도 본 발명의 코너브라켓 L핀과 코너브라켓 하프캡을 사용하여 복합진공단열재를 보다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 도 9 및 도 10의 설명으로 통하여 코너브라켓 L핀(100) 및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수평으로 결합되는 경우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지지부(210)의 하부, 코너브라켓 L핀(100)의 기둥부(120)의 정면 및 코너브라켓 L핀(100)의 바닥부(130)의 윗면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또는 코너브라켓 L핀(100)과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수직으로 결합되는 경우 코너브라켓 L핀(100)의 기둥부(120) 배면과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지지부(210)의 하부에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의 시공방법을 알 수 있다.
(100, 100') 코너브라켓 L핀 (200, 200') 코너브라켓 하프캡
(110)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 (210) 코너브라켓 하프캡 지지부
(120) 코너브라켓 L핀 기둥부 (220) 코너브라켓 하프캡 결착부
(130) 코너브라켓 L핀 바닥부 (211) 본드 관통홀
(111), (111-a), (111-b) 수평 결착구 (212) 보강리브
(112), (112-a), (112-b) 수직 결착구 (212-a) 상부 보강리브
(113) 휨 방지 결착구 (212-b) 하부 보강리브
(114) 측면 결착구 (221) 수평 결착고리
(114-a) 측면수평 결착구 (221-a)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
(114-b) 측면수직 결착구 (221-b) 수평 결합 기둥
(121) 기둥 보강리브 (222) 측면 결착고리
(122) 레일 철(凸)부 (222-1) 측면 결착고리 보강리브
(123) 탈락 방지턱 (223) 휨 방지턱
(131) 본드홀 (300) 콘크리트 벽체
(132) 탄성을 갖는 결착편 (400) 단열재
(133) 레일 요(凹)부 (410) 측벽부 단열재
(134) 앞단 곡선부 (420) 기둥부 단열재
(420(10)) 기둥부 정면 위치 (420(20)) 기둥부 좌측 위치
(420(30)) 기중부 우측 위치 (430) 개구부 단열재

Claims (20)

  1. 복합진공단열재 및 내장마감재를 지지하기 위해 건축구조물 벽체에 부착되는 바닥부(130), 바닥부(130)와 헤드부(110)를 연결하는 기둥부(120),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결착할 수 있는 헤드부(110)로 구성되는 코너브라켓 L핀(100); 및 코너브라켓 L핀(100)의 헤드부(110)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결착할 수 있는 결착부(220), 복합진공단열재 및 내장마감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0)로 구성되는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수평으로 결합되는 경우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지지부(210) 밑면, 코너브라켓 L핀(100)의 기둥부(120) 정면 및 코너브라켓 L핀(100)의 바닥부(130) 윗면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또는 코너브라켓 L핀(100)과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수직으로 결합되는 경우 코너브라켓 L핀(100)의 기둥부(120) 배면과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지지부(210)의 하부;에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L핀(100)은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결착부(220)의 수평결착고리탄성핀(221-a) 및 수평결합기둥(221-b)과 결착하는 수평 결착구(111-a, 111-b) 및 수직 결착구(112-a, 112-b),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결착부(220)의 휨방지턱(223) 및 측면결착고리(222)와 결착하여 상하로의 휨응력 및 좌우로 과도한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휨 방지 결착구(113) 및 측면 결착구(114)를 포함하는 헤드부(110)와; 헤드부(110)와 바닥부(130)를 연결하면서 기둥부(120)와 헤드부(110) 또는 기둥부(120)와 바닥부(130)의 휨 또는 꺽임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리브(121), 코너브라켓 L핀(100) 바닥부(130)의 레일 요부(凹)부(133)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2개의 코너브라켓 L핀(100)을 연결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코너브라켓 L핀(100') 기둥부(120) 배면의 레일 철(凸)부(122), 2개의 코너브라켓 L핀(100, 100')을 연결할 때 하나의 코너브라켓 L핀(100')의 바닥부(130) 레일 요(凹)부의 상단에 위치한 탄성을 갖는 결착편(132)이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 결착되는 기둥부(120) 배면의 레일 철(凸)부(122)의 상단에 위치한 탈락방지턱(123)을 포함하는 기둥부(120); 건축물 벽체에 코너브라켓을 접착제로 고정을 하기위한 본드홀(131), 탄성을 갖는 결착편(132), 레일 요(凹)부(133), 앞단 곡선부(134)를 포함하는 바닥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은 내장 마감재 지지를 위해 석고본드가 잘 통과되도록 하는 본드 관통홀(211), 휨 응력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보강리브(212-a), 하부 보강리브(212-b)를 포함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 주고 내장 마감재를 지지하는 지지부(210); 코너브라켓 L핀 헤드부(110)의 수평결착구(111-a, 111-b)에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 수평 결합 기둥(221-b), 코너브라켓 L핀(100)에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결합될 때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이 좌우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 결착고리(222) 및 상하로의 휨 응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휨방지턱(223)을 포함하는 결착부(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L핀(100)은 바닥부(130)에 본드홀(131)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건축구조물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L핀(100)은 바닥부(130) 밑면에 레일 요(凹)부(13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또 다른 코너브라켓 L핀(100')의 기둥부(120) 배면의 레일 철(凸)부(12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L핀(100)은 바닥부 앞단이 곡선형의 기울기를 갖는 앞단 곡선부(134)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상기 앞단 곡선부(134)는 또 다른 코너브라켓 L핀(100')과 결합 시 결착이 용이하고 복합진공단열재를 끼워 넣을 때 코너브라켓 L핀(100) 바닥부(130)에 걸리지 않도록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L핀(100)은 바닥부(130) 밑면의 레일 요(凹)부(133)의 상단에 위치한 탄성을 갖는 결착편(132)이 탄성을 갖도록 약간의 공간을 두어 또 다른 코너브라켓 L핀(100') 기둥부(120) 배면의 탈락 방지턱(123)을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L핀(100)은 헤드부에 1개 또는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200')의 수평 결합고리 탄성핀(221-a) 및 수평 결합 기둥(221-b)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동시에 직각으로 결합되도록 수평 결착구(111-a, 111-b) 및 수직 결착구(112-a, 112-b)를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L핀(100)은 헤드부에 1개 또는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200')의 측면결착고리(222)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동시에 직각으로 결합되도록 측면 수평 결착구(114-a) 및 측면 수직 결착구(114-b)를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은 코너브라켓 L핀(100) 헤드부(110)에 1개 또는 2개의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200')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동시에 직각으로 결합되도록 수평 결착고리(221-a, 221-b)를 비대칭으로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 결착고리(221-a, 221-b)는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 과 수평 결합 기둥(221-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은 결착부(220) 좌측에 코너브라켓 L핀(100)의 측면 수평 결착구(114-a) 및 측면 수직 결착구(114-b)에 끼움식으로 결착되어 좌우 및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의 측면 결착고리(222)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결착고리(222)에 보강리브(222-1)를 두어 결착의 작업성은 높이되 결착력은 유지하도록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은 결착부(220)에 코너브라켓 L핀(100)과 결합 시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너브라켓 L핀(100)의 헤드부(110)에 형성된 휨방지 결착구(113)에 끼움식으로 결착되도록 결착부(220)의 하부에 휨 방지턱(223)을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L핀(100)의 헤드부(110)는 사각형 또는 부드러운 곡면을 갖는 각형, 원통형으로 설계 및 제작할 수 있고, 코너브라켓 L핀(100)의 기둥부(120)는 사각의 평판형 또는 다각의 평판형, 1개 내지 다수개 원통의 기둥형으로 설계 및 제작할 수 있고, 코너브라켓 L핀(100)의 바닥부(130)는 사각 또는 다각의 평판형,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설계 및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지지부(210)는 반원형 또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설계 및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 L핀(100) 및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재 또는 목재 또는 철재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진공단열재를 고정시켜주고 내장마감재를 지지하는 코너브라켓.
  18. 코너브라켓 L핀(100)의 수평 결착구(111-a, 111-b)에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과 수평 결합 기둥(221-b)이 끼움식으로 결착되고; 코너브라켓 L핀(100)의 휨 방지 결착구(113)에 코너브라켓 하프캡의 휨 방지턱(223)이 끼움식으로 결착되며; 코너브라켓 L핀의 측면 결착구(114-a, 114-b)에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측면 결착고리(222)가 끼움식으로 결착되는 것으로서, 코너브라켓 L핀(100)에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을 밀어 붙이면서 동시에 수평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브라켓 결합방법.
  19. 코너브라켓 L핀(100)의 수평 결착구(111-a, 111-b)에 제 1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과 수평 결합 기둥(221-b)이 끼움식으로 결착되며; 코너브라켓 L핀(100)의 휨 방지 결착구(113)에 제 1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휨 방지턱(223)이 끼움식으로 결착되며; 코너브라켓 L핀(100)의 측면 수평 결착구(114-a)에 제 1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측면 결착고리(222)가 끼움식으로 결착되는 것으로서, 코너브라켓 L핀(100)에 제1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을 밀어 붙이면서 동시에 수평 결착되는 단계와 코너브라켓 L핀(100)의 수직 결착구(112-a, 112-b)에 제 2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수평 결착고리 탄성핀(221-a)과 수평 결합 기둥(221-b)이 끼움식으로 결착되며; 코너브라켓 L핀(100)의 휨 방지 결착구(113)에 제 2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휨 방지턱(223)이 끼움식으로 결착되며; 코너브라켓 L핀(100)의 측면 결착구(114-b)에 제 2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의 측면 결착고리(222)가 끼움식으로 결착되는 것으로서, 코너브라켓 L핀(100)에 제2 코너브라켓 하프캡(200')을 밀어 붙이면서 동시에 수직 결착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브라켓 결합방법.
  20. 제1 코너브라켓 L핀(100) 바닥부(130) 밑면의 레일 요(凹)부(133)와 제2 코너브라켓 L핀(100') 기둥부(120) 배면의 레일 철(凸)부(122)가 결착되는 단계; 제 1코너브라켓 L핀(100) 바닥부(130) 밑면의 탄성을 갖는 결착편(132)에 제 2 코너브라켓 L핀(100') 기둥부(120)의 탈락 방지턱(123)이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 결착되는 단계; 각각의 코너브라켓 L핀(100, 100') 헤드부(110)에 코너브라켓 하프캡(200, 200')이 결착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브라켓 결합방법.
KR1020130007774A 2013-01-24 2013-01-24 코너브라켓 KR10132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774A KR101327534B1 (ko) 2013-01-24 2013-01-24 코너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774A KR101327534B1 (ko) 2013-01-24 2013-01-24 코너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534B1 true KR101327534B1 (ko) 2013-11-08

Family

ID=4985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774A KR101327534B1 (ko) 2013-01-24 2013-01-24 코너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5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837A (ko) * 2015-07-02 2017-01-11 전순복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KR101860894B1 (ko) * 2015-07-02 2018-05-24 전순복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US10508433B2 (en) 2015-07-02 2019-12-17 Soon-Bok JEO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20200033599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케이씨씨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단열시스템
WO2022084167A1 (de) * 2020-10-19 2022-04-28 Swisspearl Group Ag Plattenverbindungs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226U (ko) * 1990-03-29 1991-12-18
KR20030023315A (ko) * 2001-09-13 2003-03-19 임영빈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KR20060042558A (ko) * 2004-11-10 2006-05-15 케이디엠산업 주식회사 단열벽 고정구
KR20110109093A (ko) * 2010-03-30 2011-10-06 박용덕 마감재의 모서리 고정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226U (ko) * 1990-03-29 1991-12-18
KR20030023315A (ko) * 2001-09-13 2003-03-19 임영빈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KR20060042558A (ko) * 2004-11-10 2006-05-15 케이디엠산업 주식회사 단열벽 고정구
KR20110109093A (ko) * 2010-03-30 2011-10-06 박용덕 마감재의 모서리 고정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837A (ko) * 2015-07-02 2017-01-11 전순복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KR101860894B1 (ko) * 2015-07-02 2018-05-24 전순복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KR101884849B1 (ko) * 2015-07-02 2018-08-07 전순복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US10508433B2 (en) 2015-07-02 2019-12-17 Soon-Bok JEO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20200033599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케이씨씨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단열시스템
KR102250439B1 (ko) * 2018-09-20 2021-05-11 주식회사 케이씨씨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단열시스템
WO2022084167A1 (de) * 2020-10-19 2022-04-28 Swisspearl Group Ag Plattenverbindungs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534B1 (ko) 코너브라켓
KR101781378B1 (ko) 슬라브 옥상 스틸방수 시스템
DK178478B1 (da) System til konstruktion af en bygning
US9719540B2 (en) Hollow groove pipe structure
JP6377420B2 (ja) フェンス及び安全柵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KR101726779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체의 부력방지장치
KR20180047905A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및 그 고정구의 제작방법
KR101310889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연결구조
KR101372300B1 (ko) 증축용 유닛 모듈러 구조체
KR101492009B1 (ko) 결속형 판상 벽면 마감재
KR101614937B1 (ko) 마감패널 시공용 조립체
WO2019065238A1 (ja) 取付具及び建物の壁構造
KR20130087668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
KR200480610Y1 (ko) 외장 패널용 고정구
CN103572936A (zh) 装饰板的安装结构
CN107965161A (zh) 一种集装板房
KR101420626B1 (ko) 프리캐스트패널을 이용한 구조물
JP2009068307A (ja) 基礎石に立設した柱の補強装置
JP6801864B2 (ja) 外装材の仮支持部材
JP2010084477A (ja) 制震構造
CN203919313U (zh) 一种混凝土模板用固定管之间的快速装卸夹具
KR20120011688A (ko) 조립식 건물
CN203531315U (zh) 装饰板的安装结构
KR20120115923A (ko) 지하이중벽용 경량철골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