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467B1 - 차량의 서브프레임 - Google Patents

차량의 서브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467B1
KR101327467B1 KR1020070122879A KR20070122879A KR101327467B1 KR 101327467 B1 KR101327467 B1 KR 101327467B1 KR 1020070122879 A KR1020070122879 A KR 1020070122879A KR 20070122879 A KR20070122879 A KR 20070122879A KR 101327467 B1 KR101327467 B1 KR 10132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vehicle
pipe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971A (ko
Inventor
박희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4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pinched frame type, i.e. formed of at least two longitudinal frame sections connected by other longitudinal frame sections of lesser transverse dim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서브프레임은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용접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생산수율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서브프레임{Sub-fram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한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브 프레임은 프론트 서브프레임이라고도 하고, 차체의 전방 저면에 설치되는 대략 우물정자형 구조물로서, 엔진룸에 탑재되는 엔진이나 변속기와 같은 동력전달계통의 부품 및 서스펜션 등을 지지하며, 정비 편의성, 충돌 성능 및 NVH성능 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고정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2)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 차량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제1,2사이드 멤버(3,4)와, 상기 제1,2 사이드 멤버(3,4)의 전방에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프론트 크로스 멤버(5)와, 상기 제1,2사이드 멤버(3,4)의 후방에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 치된 리어 크로스멤버(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브프레임(2)은 차체에 장착되고, 부쉬를 통해 차체에 연결되지 않는 솔리드 타입의 경우 파이프(7)를 관통시킨 후, 상기 파이프(7)와 서브프레임(2)을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서브프레임(2)은 파이프(7)를 고정하기 위해 크로스멤버(5)(6)와 파이프(7)를 용접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한 차량의 서브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제 1 가공홀이 형성된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2 가공홀이 형성된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2 가공홀의 주변부가 절곡되게 형성된 차량의 서브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서브프레임은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용접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생산수율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용접이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2 플레이트에 열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프레임(10)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2 플레이트(12)(14)와, 상기 제 1, 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6)의 내부는 중공(16a)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플레이트(12)에는 제 1 가공홀(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공홀(12a)과 상기 파이프(16)의 중공(16a)은 서로 중심이 일치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14)에도 제 2 가공홀(14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공홀(14a)과 상기 파이프(16)의 중공(16a)도 중심이 서로 일치되게 배치된다.
이후, 프레스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2 플레이트(12)(14)의 제 1, 2 가공홀(12a)(14a) 주변을 상기 파이프(16)의 내측면으로 절곡시킴으로서 상기 파이프(16)를 상기 서브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그래서 상기 제 1 플레이트(12)의 제 1 가공홀(12a) 주변부(12b)는 상기 파이프(16)의 일측단(17)에 접하여 절곡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14)의 제 2 가공홀(14a) 주변부(14b)는 상기 파이프(16)의 타측단(18)에 접하여 절곡된다.
이와 같이 가공된 상기 서브프레임(10)은 상기 파이프(16)를 고정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용접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생산수율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와 같은 용접이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2 플레이트(12)에 열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하 차량의 서브 프레임에 관한 나머지 구성은 종래기술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고정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
<도면의 부호에 관한 간략한 설명>
10 : 서브프레임 12 : 제 1 플레이트
12a : 제 1 가공홀 12b : 주변부
14 : 제 2 플레이트 14a : 제 2 가공홀
14b : 주변부 16 : 파이프
16a : 중공

Claims (1)

  1.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제 1 가공홀이 형성된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2 가공홀이 형성된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2 가공홀의 주변부가 절곡되게 형성된 차량의 서브프레임.
KR1020070122879A 2007-11-29 2007-11-29 차량의 서브프레임 KR10132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879A KR101327467B1 (ko) 2007-11-29 2007-11-29 차량의 서브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879A KR101327467B1 (ko) 2007-11-29 2007-11-29 차량의 서브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71A KR20090055971A (ko) 2009-06-03
KR101327467B1 true KR101327467B1 (ko) 2013-11-08

Family

ID=4098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879A KR101327467B1 (ko) 2007-11-29 2007-11-29 차량의 서브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4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478A (ja) 2000-12-21 2002-09-06 Wakamoto Seisakusho:Kk 連結構造
KR20050015330A (ko) * 2003-08-05 2005-02-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서브프레임 마운팅 구조
KR20050093942A (ko) * 2004-03-19 2005-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 포밍 튜브용 너트
KR20050116942A (ko) * 2004-06-09 2005-12-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478A (ja) 2000-12-21 2002-09-06 Wakamoto Seisakusho:Kk 連結構造
KR20050015330A (ko) * 2003-08-05 2005-02-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서브프레임 마운팅 구조
KR20050093942A (ko) * 2004-03-19 2005-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 포밍 튜브용 너트
KR20050116942A (ko) * 2004-06-09 2005-12-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71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3172B2 (en) Body structure of vehicle
JP6417668B2 (ja) バッテリの車載構造
JP2005343454A (ja) 車両用フロント・エンド構造体
US6830289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KR100826473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US10160275B2 (en) Suspension member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EP3099875B1 (en) Hood hinge structure and hood hinge
JP2008195094A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US7445243B2 (en) Mount structure of vehicular sub-frame
JP6200000B2 (ja) 車両用サブフレーム
KR101327467B1 (ko) 차량의 서브프레임
CN108382468B (zh) 车辆下部结构
CN106895061B (zh) 用于副架的装配螺栓
JP2009168189A (ja) パワーユニットの支持構造
JP2017081509A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JP3523782B2 (ja) 自動車のサブフレーム構造
JP2009029197A (ja) 車両の後部構造
CN107662646B (zh) 侧围a柱结构和车辆
JP6215662B2 (ja) リーフスプリング支持構造
JP2018058425A (ja) 車体下部構造
JP5629228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16150626A (ja) 車軸の支持構造
CN110949520B (zh) 副车架结构
JP2006275193A (ja) ナックル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JP5782360B2 (ja)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