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715B1 -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715B1
KR101326715B1 KR1020120073215A KR20120073215A KR101326715B1 KR 101326715 B1 KR101326715 B1 KR 101326715B1 KR 1020120073215 A KR1020120073215 A KR 1020120073215A KR 20120073215 A KR20120073215 A KR 20120073215A KR 101326715 B1 KR101326715 B1 KR 101326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ame
milking
oil
benzopyrene
sesam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열
Original Assignee
서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열 filed Critical 서동열
Priority to KR102012007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세척단계에서 참깨의 수분 함유량을 최소화하여 건조시킨 후 배전온도를 고온에서 진행함으로서 소비자에게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맛과 색상을 유지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수의 탈연관계 없이도 엑스펠러 방식으로 착유를 진행함으로서 벤조피렌의 함유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참기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별된 참깨를 정선 후 세척하여 세척된 참깨의 총100중량% 중 잔류 수분함량이 10중량% 내지 20중량%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참깨를 295℃ 내지 305℃로 8분 내지 12분 동안 볶는 배전단계, 상기 볶아진 참깨의 품온을 열교환식 냉각기를 이용하여 급속으로 185℃ 내지 195℃로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된 참깨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착유기로 이송과 동시에 송풍 및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 및 배기단계, 상기 착유기로 이송된 참깨를 분당 47 내지 52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엑스펠러 착유기로 180℃ 내지 200℃로 착유하는 착유단계, 상기 착유된 참기름의 품온을 170℃ 내지 190℃로 유지시키는 품온유지단계 및 상기 냉각된 참기름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Benzopyrene reduced sesame oil manufacturing method}
본원 발명은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참기름이나 들기름 등과 같은 압착유의 제조 공정 중 착유단계에서 엑스펠러 방식으로 착유를 진행함으로서 인체에 유해한 발암 물질인 벤조피렌의 함유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면서도 세균 증식을 방지하고, 또한 특유의 고소한 맛과 색상을 유지한 상태로 압착유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의 일종인 벤조피렌(benzo(a)pyrene, B(a)P)은 60 여년 전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발암 물질로 이미 밝혀졌는데, 이들 PAHs 화합물은 벤조피렌을 비롯한 200여개의 이성체가 존재하며, 이들 화합물 대부분은 분자량이 큰 비극성 화합물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고, 구조식 및 물리적 성질이 대부분 유사하며, 특히 벤조피렌은 PAHs 화합물 중 대표적으로 발암성이 강한 물질로서 여러 종의 동물 실험에서 피부암, 폐암 및 기관지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유럽에서는 식용유에 대하여 2.0 ppb이하, 중국에서는 10 ppb이하로 관리되고 있고, WHO(국제보건기구) 및 LARC(국제암연구소)에서는 발암물질(1A)로 분류되어 있다.
식품에서는 고온 조리에 의한 지방 및 단백질의 탄화에 의해 생성되며, 식품에 부착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숯불구이한 육류, 훈제제품 등에서 벤조피렌이 많이 생성되어 검출되었고, 커피, 소시지 및 압착 유지 등 고온 처리한 가공 식품과 고온 조리식품에서도 벤조피렌이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 훈제 식품의 훈제 시간, 온도 조건 등에 의해서도 벤조피렌의 생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특히, 참기름이나, 들기름 등의 압착유는 제조업체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있으며, 이 차이는 압착유의 제조 공정에 의해서 영향을 받아 생기는 것으로, 특히 배전 조건, 여과 조건 등에 기인하고, 착유 수율은 압착 전의 증자 공정과 압착 공정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압착유의 제조 공정의 차이에 의해 향, 색도 등의 품질 차이와 더불어 벤조피렌의 함량도 차이를 나타낼 수 있고, 최근 참기름 중의 벤조피렌 함량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시판되는 참기름 중의 벤조피렌 함량이 nd-4.43ppb(nd : not detected - 0.1이하) 수준으로 EU에서 정한 올리브유의 권장기준 2ppb 이하를 초과하는 참기름 제품이 상당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최근들어, 참기름이나 들기름 등의 압착유에서 벤조피렌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공개특허공보 제20-2010-0012075호에서는 세척단계에서 참깨의 박피를 정밀하게 진행함으로서 배전단계에서 이물질의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하여 벤조피렌을 저감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고, 특허등록 제10-0891566호에서는 배전공정에서 다수의 탈연단계를 거쳐 참깨의 불완전 연소된 연기를 배출시킴으로서 벤조피렌을 저감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8548호에서는 참깨의 착유단계를 완료한 후 탈산하는 단계에서 활성탄의 고유한 성질을 이용하여 벤조피렌 저감방법 등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배전 온도를 낮추거나 배전 공정 중에 강제 배기를 진행하는 등의 방법으로는 벤조피렌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참기름과 들기름과 같은 압착유 특유의 고소한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압착유 특유의 고소한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의 출현이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세척단계에서 참깨의 수분 함유량을 최소화하여 건조시킨 후 배전온도를 고온에서 진행함으로서 소비자에게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맛과 색상을 유지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수의 탈연관계 없이도 엑스펠러 방식으로 착유를 진행함으로서 벤조피렌의 함유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참기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참기름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별된 참깨를 정선 후 세척하여 세척된 참깨의 총100중량% 중 잔류 수분함량이 10중량% 내지 20중량%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참깨를 295℃ 내지 305℃로 8분 내지 12분 동안 볶는 배전단계, 상기 볶아진 참깨의 품온을 열교환식 냉각기를 이용하여 급속으로 185℃ 내지 195℃로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된 참깨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착유기로 이송과 동시에 송풍 및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 및 배기단계, 상기 착유기로 이송된 참깨를 분당 40 내지 50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엑스펠러 착유기로 180℃ 내지 200℃로 착유하는 착유단계, 상기 착유된 참기름의 품온을 170℃ 내지 190℃로 유지시키는 품온유지단계 및 상기 냉각된 참기름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착유단계는 착유시 배기 장치를 이용하여 착유기 내부의 있는 공기의 50% 이상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단계에서 참깨의 수분 함유량을 최소화하여 건조시킨 후 배전온도를 고온에서 진행함으로서 소비자에게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맛과 색상을 유지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탈연과정을 반복하지 않음으로서 배전 공정을 최단시간으로 단축시키면서도, 엑스펠러방식의 착유기를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유압실린더 방식으로 착유시 발생하는 벤조피렌의 함유량을 최소화함으로서 소비자의 참기름 맛과 건강 및 안정성 모두를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참기름 제조시 순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참기름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별된 참깨를 정선 후 세척하여 세척된 참깨의 총100중량% 중 잔류 수분함량이 10중량% 내지 20중량%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참깨를 295℃ 내지 305℃로 8분 내지 12분 동안 볶는 배전단계, 상기 볶아진 참깨의 품온을 열교환식 냉각기를 이용하여 급속으로 185℃ 내지 195℃로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된 참깨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착유기로 이송과 동시에 송풍 및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 및 배기단계, 상기 착유기로 이송된 참깨를 분당 40 내지 50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엑스펠러 착유기로 180℃ 내지 200℃로 착유하는 착유단계, 상기 착유된 참기름의 품온을 170℃ 내지 190℃로 유지시키는 품온유지단계 및 상기 냉각된 참기름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는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착유단계는 착유시 배기 장치를 이용하여 착유기 내부의 있는 공기의 50% 이상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조단계에서는 수확된 참깨에 섞여있는 흙, 모래, 미성숙된 참깨알 등의 이물질을 정선하여 배전단계에 투입할 참깨를 선별한다. 이렇게 선별된 참깨는 참깨의 표면에 묻은 흙이나 먼지 따위를 세척과 동시 불림을 진행한다. 통상 참깨는 외국에서 수입되거나 또는 재배 단계 및 국내 창고에서 보관 중에 곰팡이 등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를 충분히 세척하지 않는 경우 착유가 완료된 참기름에서 세균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세척단계는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참깨의 불림은 배전단계에서 참깨 표피의 파괴를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때 참깨의 수분은 참깨의 총100중량% 중 잔류 수분함량이 10중량% 내지 20중량%로 유지하여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과 불림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참깨의 수분함량이 참깨의 총100중량% 중 잔류 수분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배전단계에서 참깨의 표피 파괴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참깨의 유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수분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건조단계에서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이 증식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참깨의 수분함량은 10중량% 내지 20중량%로 충분히 건조시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전단계에서는 건조가 완료된 참깨를 295℃ 내지 305℃로 히팅된 로스터에서 8분 내지 12분 동안 볶는다. 이때 배전온도가 295℃ 미만인 경우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맛과 비릿한 맛이 증가하고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이 완전히 살균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배전온도가 305℃를 초과하는 경우 다량의 벤조피렌이 발생할 수 있므로 본원 발명에 따른 배전온도는 295℃ 내지 30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르면 벤조피렌의 생성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전온도를 180℃ 내지 240℃에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이나 기존의 공지 기술에서 제안된 조건으로 배전을 진행하면 벤조피렌의 생성량은 감소할 수 있으나 참깨의 고소한 맛을 내는 세사몰린(Sesamolin)이나 세사민(Sesamin) 함유량이 적어지게 되어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맛이 감소하게 되고, 또한 배전온도가 낮을 수록 비린 맛을 내는 피라진(Pyrazine)과 디메필피라진(Demethypyrazine)의 함유량이 높아져 참기름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라 고온에서 배전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 배전시간이 길면 길수록 벤조피렌의 생성량이 증가하므로 배전시간은 종래의 공지 기술과 비교하여 짧은 8분 내지 12분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배전시간을 8분 미만으로 진행하는 경우 세사몰린(Sesamolin)이나 세사민(Sesamin) 함유량이 적어지거나 피라진(Pyrazine)과 디메필피라진(Demethypyrazine)의 함유량 높아져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맛을 낼 수 없고, 12분을 초과하는 본원 발명의 경우 배전 온도가 높아 벤조피렌 생성량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배전단계가 완료되면 볶아진 참깨의 품온을 열교환식 냉각기를 이용하여 급속으로 185℃ 내지 195℃로 냉각시키다. 배전이 완료된 볶은 참깨는 참깨간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자체 발열이 되면서 온도가 지속적으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참깨 표피간에 탄화가 진행되어 벤조피렌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열교환식 냉각기를 이용하여 급속으로 참깨의 품온을 185℃ 내지 195℃로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된 참깨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착유기로 이송시킨다. 본원 발명에 스크류 방식으로 이송수단을 한정한 것은 상기 냉각단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참깨간의 자체발열로 인한 참깨 표피의 탄화를 최소화 하기 위해 스크류 장치를 이용하여 소량이 이송되도록 하며, 또한 이송 수단 내부에는 송풍 및 배기가 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여 이송 중에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진행함으로서 배전단계에서 자연배기가 되지 않은 연기나 참깨 표피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된 볶음 참깨는 분당 40 내지 50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엑스펠러 착유기로 180℃ 내지 200℃로 유지하면서 참기름을 착유한다. 일반적으로 착유기는 유압실린더 방식과 엑스펠러 방식이 있으나, 유압실린더 방식은 엑스펠러 방식과 비교하여 볶아진 참깨를 착유기통에 투입하여 가압하여 착유한 후 깻묵을 제거한 후 재차 볶아진 참깨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단속적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번 착유시마다 착유기통에 다량의 볶은 참깨을 투입하여 작업이 진행되므로 그 작업 시간이 짧고 대랑 생산에 적합한 장점이 있고, 나아가 수율에 있어서도 엑스펠러 방식보다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볶은 참깨의 특성상 자체발열에 의해 계속적으로 참깨 표피에 탄화가 진행되고, 또한 기존의 유압실린더방식 및 엑스펠러방식의 착유기에는 송풍이나 배기장치가 없어 이송중에 참깨간의 자연발열에 의한 탄화시 발생하여 참깨 표피 등에 흡착되어 있던 벤조피렌이 착유기에 의해 가압되는 과정에서 참기름에 그대로 포함되어 착유가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압실린더 방식의 경우 착유기통이 진공에 가까운 상태에서 가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압시 내부에 있는 연기 등이 참깨 표피 자체에 재흡착되는 문제가 있어서 종래의 벤조피렌이 저감되는 참기름의 제조 방법들은 대부분이 착유전 세척단계 또는 배전단계에서 벤조피렌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조건을 적용한 후 착유를 진행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에서는 엑스펠러 방식의 착유기를 사용하되, 우선 본원 발명은 종래의 기술과 달리 295℃ 내지 305℃의 고온에서 진행하되 시간을 8분 내지 12분으로 단시간으로 배전단계를 진행하여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맛과 색상을 유지하고, 상기 배전단계가 완료된 볶은 참깨를 자체발열되어 탄화가 진행되지 못하도록 열교환방식을 이용한 냉각기를 이용해 급속으로 냉각시켜 착유기로 이송시 스크류 방식을 통해 소량으로 이동시키면서 송풍 및 배기 장치를 이용하여 이송 수단 내부의 연기 등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여 착유전 단계에서 참깨 표피의 탄화를 최소화 하고, 분당 40 내지 50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엑스펠러 방식의 착유기를 이용하여 착유를 진행한다. 상기 엑스펠러의 회전은 분당 40 내지 50으로 제한하는 이유는 분당 40 미만으로 회전하는 경우 대용량 착유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분당 50 초과하여 회전하는 경우 착유기에 다량의 볶은 참깨가 투입되기 때문에 자체발열로 인해 탄화가 발생할 수 있어 참기름에 벤조피렌이 함유되어 착유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엑스펠러의 가압은 450kgf/cm2 내지 500kgf/cm2의 저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450kgf/cm2 미만으로 가압하는 경우 참기름의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500kgf/cm2 초과하는 경우에는 착유시 연기 등에 포함된 벤조피렌이 참깨 표피에 흡착되어 참기름에 벤조피렌이 착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착유기의 온도는 볶은 참깨의 유사한 180℃ 내지 200℃로 유지함으로서 본원 발명에 따른 참기름은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맛과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착유시 배기 장치를 이용하여 착유기 내부의 있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서 제조하는 방법 따라 착유기까지 이송된 볶은 참깨라 하더라도 자체발열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으므로 착유시에도 착유기 내부 공기를 50% 이상 외부로 강제 배기를 진행하면서 착유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유시에 발생하는 연기 등이 참깨 표피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유시에 발생할 수 있는 벤조피렌이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착유된 참기름은 고소한 맛과 향을 유지하기 위해 착유시 온도와 유사한 170℃ 내지 190℃로 품온 유지시키면서 착유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여과함으로 본원 발명에 따른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데이터를 통해 본원 발명의 구성에 따른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배전온도조건
(10분)
고소한 맛 지표물질 비릿한 맛 지표물질
Sesamolin
(㎎/㎏)
Sesamin
(㎎/㎏)
Pyrazine
(㎎/㎏)
Demethylpyrazine
(㎎/㎏)
기존참기름
(온도 200℃)
1583.12 2983.13
24.34 12.07
본원발명
(온도 300℃)
4027.23
5401.21
11.79
3.02
상기 [표 1]은 기존의 참기름과 본원 발명에 따른 배전온도에 따른 고소한 맛을 비교한 표로서, 종래의 일반참기름을 제조시 배전온도 200℃로 10분 동안 진행했을 때 고소한 맛 지표물질인 세사몰린과 세사민의 함유량이 본원 발명에 따라 300℃로 10분 동안 진행했을 때 보다 크게 떨어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고, 또한 종래의 일반참기름을 제조시 배전 온도 200℃로 10분 동안 진행했을 때 비릿한 맛 지표물질인 피라진의 함유량은 본원 발명에 따른 배전온도 300℃로 10분 동안 진행했을 때와 비교하여 상당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배전온도가 높을 수록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맛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착유기방식 유압실린더 착유기 엑스펠러 착유기
475kgf/cm2 550kgf/cm2 475kgf/cm2 550kgf/cm2
벤조피렌(㎍/㎏) 4.98 6.45 2.56 3.93
상기 [표 2]는 300℃로 10분 동안 참깨를 배전한 후 진행 기존의 유압실린더 방식의 착유기와 본원 발명에 엑스펠러 방식에 따른 착유기로 각각 착유시 압력별로 벤조피렌 생성량을 실험한 표이다. 상기 표 2에 의하면 동일한 착유기의 압력하에서는 엑스펠러 방식의 착유기보다 유압실린더 방식의 착유기에서 2배 정도의 벤조피렌이 더 생성되며, 동일한 엑스펠러 방식으로 압력을 다르게 한 경우 착유기의 압력이 증가하면 할 수록 벤조피렌 생성량이 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압실린더 방식의 경우 엑스펠러 방식과 비교하여 착유기 내부가 밀페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착유기로 이송시나 착유기통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체 발열에 의한 참깨 표피의 탄화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바로 가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압시 벤조피렌이 참기름에 포함되어 착유되는 반면, 엑스펠러 방식의 경우 소량의 볶음 참깨가 엑스펠러에 의해 전진하면서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이때 전진시 외부 공기가 유입이 가능하고 가압과 동시에 깻묵이 외부로 방출되면서 탄화된 연기도 동시에 배출될 수 있는 구조여서 동일한 압력이라 하더라도 엑스펠러 방식에 의해 착유된 참기름에서 벤조피렌이 덜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식의 경우에는 착유시 압력이 낮을 수록 벤조피렌이 적게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압력이 낮을 수록 탄화된 참깨 표피에 흡착된 벤조피렌까지 착유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착유시
내부공기
강제배기량
25%
50%
75%
475kgf/cm2 550kgf/cm2 475kgf/cm2 550kgf/cm2 475kgf/cm2 550kgf/cm2
벤조피렌
(㎍/㎏)
0.53 0.98 0.26 0.53 0.18 0.43
상기 [표 3]은 본원 발명에 따라 제조된 참기름에 있어서 착유시 강제 배기를 진행하였을 때의 벤조피렌 생성량이다. 상기 [표 2]에서의 벤조피렌 생성량은 엑스펠러 방식으로 착유를 진행하되 강제 배기를 하지 않은 경우의 생성량이며 [표 3]은 엑스펠러 방식으로 착유를 진행하면도 동시에 착유기 내부에 송풍 및 배기 수단을 이용하여 내부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의 벤조피렌의 생성량이다. 상기 [표 2] 및 [표 3]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동일한 방식과 압력에 의해 착유를 진행한다 하더라도 착유시 강제 배기를 진행하는 것이 벤조피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강제 배기는 50% 이상 진행하는 것이 벤조피렌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참기름은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극소량의 벤조피렌만의 함유되어 있는 고품질의 참기를 제조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참기름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별된 참깨를 정선 후 세척하여 세척된 참깨의 총100중량% 중 잔류 수분함량이 10중량% 내지 20중량%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참깨를 295℃ 내지 305℃로 8분 내지 12분동안 볶는 배전단계,
    상기 볶아진 참깨의 품온을 열교환식 냉각기를 이용하여 급속으로 185℃ 내지 195℃로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된 참깨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착유기로 이송과 동시에 송풍 및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 및 배기단계,
    상기 착유기로 이송된 참깨를 분당 40 내지 50로 회전하고 450kgf/cm2 내지 500kgf/cm2으로 가압되는 엑스펠러 착유기로 180℃ 내지 200℃로 유지하면서 착유하는 착유단계,
    상기 착유된 참기름의 품온을 170℃ 내지 190℃로 유지시키는 품온유지단계 및
    상기 착유된 참기름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단계는 착유시 배기 장치를 이용하여 착유기 내부의 있는 공기의 50% 이상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 방법.
KR1020120073215A 2012-07-05 2012-07-05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KR10132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215A KR101326715B1 (ko) 2012-07-05 2012-07-05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215A KR101326715B1 (ko) 2012-07-05 2012-07-05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715B1 true KR101326715B1 (ko) 2013-11-08

Family

ID=4985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215A KR101326715B1 (ko) 2012-07-05 2012-07-05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7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84B1 (ko) * 2015-11-03 2016-02-24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정선기 이용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KR101596881B1 (ko) * 2015-11-03 2016-02-24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참기름
KR101596886B1 (ko) * 2015-11-03 2016-02-24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냉각용 이송기 사용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429A (ko) * 2007-04-20 2008-10-23 대상 주식회사 벤조(a)피렌 함량이 낮은 압착유의 제조방법
KR100891566B1 (ko) 2008-09-16 2009-04-06 새싹종합식품(주) 벤조피렌의 함량을 최소화한 참기름 제조방법
KR20100012075U (ko) * 2009-06-02 2010-12-10 (주)청양식품 박피기술을 이용한 벤조피렌저감화 참기름, 들기름 생산 방법
KR20110134733A (ko) * 2010-06-09 2011-12-15 손승남 벤조피렌이 저감된 압착유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429A (ko) * 2007-04-20 2008-10-23 대상 주식회사 벤조(a)피렌 함량이 낮은 압착유의 제조방법
KR100891566B1 (ko) 2008-09-16 2009-04-06 새싹종합식품(주) 벤조피렌의 함량을 최소화한 참기름 제조방법
KR20100012075U (ko) * 2009-06-02 2010-12-10 (주)청양식품 박피기술을 이용한 벤조피렌저감화 참기름, 들기름 생산 방법
KR20110134733A (ko) * 2010-06-09 2011-12-15 손승남 벤조피렌이 저감된 압착유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84B1 (ko) * 2015-11-03 2016-02-24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정선기 이용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KR101596881B1 (ko) * 2015-11-03 2016-02-24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참기름
KR101596886B1 (ko) * 2015-11-03 2016-02-24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냉각용 이송기 사용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547B1 (ko) 훈제 오리의 제조방법
KR101216108B1 (ko) 열에 의한 갈변 및 탄화현상이 억제된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124152B1 (ko) 벤조피렌이 저감된 압착유 제조방법
KR101715320B1 (ko) 반건조 조미 전복육의 제조방법
KR101326715B1 (ko)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KR101849155B1 (ko) 초고압 처리를 이용한 숙성 육류의 제조방법
KR20090039525A (ko) 산야초 혼합 녹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51963B1 (ko) 깨를 이용한 기름의 제조 방법
KR20100064760A (ko) 무균화 즉석 포장습식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20120013130A (ko) 황칠차제조방법
KR20150055772A (ko) 발아시킨 곡물을 주원료로 하는 곡차의 제조방법
CN111567639A (zh) 一种蒸青绿茶的生产方法
KR20140074646A (ko) 밤의 외피 및 내피에 균열이 형성되어 탈피가 용이한 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탈피가 용이한 밤
KR102129471B1 (ko) 생들기름의 제조방법
KR20160022559A (ko) 강압팽창 볶음 우엉차의 제조방법
CN110710639A (zh) 一种牛肉干的风干发酵工艺
US11849744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owdered fermented paste
KR20160067407A (ko) 벤조피렌이 저감된 들기름 제조방법
KR100845021B1 (ko) 진공동결건조 오징어 조각의 제조방법
KR101613416B1 (ko) 건조마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69691B1 (ko)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2798B1 (ko) 밤 가공 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밤 가공 식품
KR102124631B1 (ko) 생들기름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48866B1 (ko) 샐러드용 홍고추가루의 제조방법
KR20170049056A (ko) 벤조피렌 생성이 저감된 볶음 참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