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245B1 - 테니스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테니스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245B1
KR101326245B1 KR1020120042332A KR20120042332A KR101326245B1 KR 101326245 B1 KR101326245 B1 KR 101326245B1 KR 1020120042332 A KR1020120042332 A KR 1020120042332A KR 20120042332 A KR20120042332 A KR 20120042332A KR 101326245 B1 KR101326245 B1 KR 10132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nis
unit
collection
shootin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295A (ko
Inventor
명태식
고준빈
이화랑
서홍철
이민호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24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떨어진 테니스공이 수거되도록 마련된 수거부; 및, 상기 수거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거부에서 수거된 테니스공이 발사되도록 마련된 슈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는,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수거 본체, 상기 수거 본체의 경사면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수거 본체에 구비된 수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슈팅부는, 전방에 마련된 발사관, 상기 수거 본체와 상기 발사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에서 수거된 테니스공을 상기 발사관으로 전달하는 공 이송부, 및 상기 발사관으로 전달되는 테니스공이 발사되도록 상기 발사관에 구비된 슈팅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클레이 코트에서 모래나 흙과 같은 다른 이물질이 아닌 테니스공들만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테니스 연습장치의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테니스 연습장치{apparatus for training playing tennis}
본 발명은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니스 연습 또는 교습시 코트에 널려진 테니스공들을 신속 용이하게 수집하여 재발사하기 위한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니스는 현대인의 여가활용 및 체력단련을 위한 스포츠 중에서도 매우 인기가 높은 종목으로, 주변에서도 많은 테니스 연습장 또는 교습장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이러한 테니스 연습장 또는 교습장에서 테니스를 연습하거나 교습받은 후에는 많은 테니스공들이 코트에 널려지게 되는데, 이 테니스공들을 인력으로 하나하나씩 수집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테니스 연습 또는 교습시 코트에 널려진 테니스공들을 신속 용이하게 수집하기 위한 테니스공 수집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니스공 수집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660975호(2006년12월18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테니스공 수집장치는 코트에 널려진 테니스공들을 진공 흡입방식으로 수집하기 때문에 클레이 코트(clay court)에서는 테니스공 뿐만아니라 모래나 흙과 같은 다른 이물질도 함께 흡입되어 장치의 고장이 쉽게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테니스공 수집장치는 테니스공을 수집할 수만 있을 뿐 수집된 테니스공을 발사시키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혼자서 테니스 연습을 할 때에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660975호(2006년12월18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클레이 코트에서 모래나 흙과 같은 다른 이물질이 아닌 테니스공들만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장치 고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테니스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테니스공들이 수거된 뒤 수거된 테니스공들이 자동으로 발사되도록 함으로써 연습자가 혼자서 테니스 연습하더라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니스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연습장치는, 지면에 떨어진 테니스공이 수거되도록 마련된 수거부; 및, 상기 수거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거부에서 수거된 테니스공이 발사되도록 마련된 슈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는,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수거 본체, 상기 수거 본체의 경사면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수거 본체에 구비된 수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슈팅부는, 전방에 마련된 발사관, 상기 수거 본체와 상기 발사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에서 수거된 테니스공을 상기 발사관으로 전달하는 공 이송부, 및 상기 발사관으로 전달되는 테니스공이 발사되도록 상기 발사관에 구비된 슈팅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거 본체는 상기 슈팅부와의 사이에 구비된 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는 일정 구간별로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거 본체의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연습장치는 상기 수거 구동부 및 상기 슈팅 구동부에 연결 구비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레이 코트에서 모래나 흙과 같은 다른 이물질이 아닌 테니스공들만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테니스 연습장치의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테니스공들이 수거된 뒤 수거된 테니스공들이 테니스 연습장치에서 자동으로 발사되도록 함으로써 연습자가 혼자서 편리하게 테니스 연습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연습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카트 및 슈팅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수거부에서 카트를 제외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컨베이어 벨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연습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연습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떨어진 테니스공이 수거되도록 마련된 수거부(20)와, 수거부(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수거부(20)에서 수거된 테니스공이 발사되도록 마련된 슈팅부(5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코트에 널려진 테니스공들을 수거하는 수거부(20)와 수거된 테니스공들을 발사하는 슈팅부(50)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연습자가 혼자서 편리하게 테니스 연습을 할 수 있다.
수거부(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1a)을 갖는 수거 본체(21)와, 수거 본체(21)의 경사면(21a)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30)와, 컨베이어 벨트(30)를 구동시키도록 수거 본체(21)에 구비된 수거 구동부(3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코트가 클레이 코트이더라도 모래나 흙과 같은 다른 이물질이 아닌 테니스공들만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테니스 연습장치(10)의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 본체(21)는 슈팅부(50)와의 사이에 구비된 카트(23)를 포함하고, 수거 본체(21)의 하부에는 지면과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바퀴(25)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거부(20)의 컨베이어 벨트(3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수거된 테니스공들이 컨베이어 벨트(30)가 구동됨에 따라 수거 본체(21)의 경사면(21a) 상단부까지 이송되어 그 지점에서 카트(23)의 바닥을 향해 자유 낙하 되어 카트(23)에 수용될 수 있고, 수거 본체(21)를 이동시켜 다른 곳에 있는 테니스공들을 수거하거나 테니스 연습장치(10)를 다른 장소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수거 본체(21) 및 카트(23) 하부에 구비된 바퀴(25)에 의해 테니스 연습장치(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 본체(21)에는 프레임의 중간에 보강 지지대(27)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거 본체(21)의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테니스 연습장치(10)가 견고하게 지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30)의 표면에는 일정 구간별로 돌기(3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31)는 컨베이어 벨트(30)의 폭을 가로질러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면에 떨어진 테니스공들이 지면으로부터 수거되어 컨베이어 벨트(30)를 통해 수거 본체(21)의 경사면(21a) 상단부까지 이송될 때에 컨베이어 벨트(30)와의 마찰력이 최소화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30)의 장력은 수거 본체(21)의 경사면(21a) 하단부와 상단부에 구비된 롤러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롤러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거시 테니스공과 컨베이어 벨트(30) 간의 끼임이 방지되도록 컨베이어 벨트(30)의 재질은 고무나 우레탄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30)의 파손 방지나 유지 보수를 위해 컨베이어 벨트(30)의 내부에는 철심이 내재 된 것이 바람직하고, 컨베이어 벨트(30)가 수거 본체(21) 내에서 구동될 때에 수거 본체(21)와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컨베이어 벨트(30)의 단면상으로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가공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 구동부(3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A/C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수거부(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어들로 마련된 수거 전동부(40)와, 수거 본체(21)의 경사면(21a) 하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수거 플레이트(4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수거 플레이트(45)는 수거 구동부(35)의 구동에 의해 상호 펼침과 오므라짐이 반복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지면에 떨어진 테니스공들이 지면으로부터 컨베이어 벨트(30)로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다.
슈팅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마련된 발사관(51)과, 수거 본체(21) 및 발사관(51) 사이에 구비되어 수거부(20)에서 수거된 테니스공을 발사관(51)으로 전달하는 공 이송부(53)와, 발사관(51)으로 전달되는 테니스공이 발사되도록 발사관(51)에 구비된 슈팅 구동부(5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수거부(20)에 의해 수거되어 카트(23)로 수용된 테니스공들을 재발사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연습자가 혼자서 편리하게 테니스 연습을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 이송부(53)는 카트(23)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원반 형태로 마련되고, 공 이송부(53)의 판면에는 카트(23)에 수용된 테니스공들이 하나씩 발사관(51)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테니스공의 크기에 대응되게 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공 이송부(53)의 회전은 수거 구동부(35)의 구동에 연동 될 수도 있고, 별도의 모터 구동수단에 의해 이뤄질 수도 있다.
슈팅 구동부(55)는 공압 실린더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슈팅 구동부(55)가 공압 실린더로 마련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슈팅 구동부(55)는 전기 모터에 의한 동력전달 방식으로 롤러 구동을 통해 테니스공이 발사관(51)에서 발사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연습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작동 여부가 입력될 수 있도록 구비된 입력부(60)와, 입력부(60)에서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수거 구동부(35) 또는 슈팅 구동부(55)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수거 구동부(35) 및 슈팅 구동부(55)에 연결 구비된 제어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원부(미도시)로부터의 전원 공급과 입력부(60)로부터의 신호 공급에 의해 제어부(70)가 수거 구동부(35)나 슈팅 구동부(55)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테니스공들이 수거된 뒤 수거된 테니스공들이 테니스 연습장치(10)에서 자동으로 발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클레이 코트에서 모래나 흙과 같은 다른 이물질이 아닌 테니스공들만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테니스 연습장치(10)의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고, 테니스공들이 수거된 뒤 수거된 테니스공들이 테니스 연습장치(10)에서 자동으로 발사되도록 함으로써 연습자가 혼자서 편리하게 테니스 연습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테니스 연습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을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스포츠 종목의 훈련 연습장치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연습장치는 스포츠 용품 기기 산업 등에 적용될 수 있다.
20 : 수거부 21 : 수거 본체
30 : 컨베이어 벨트 31 : 돌기
35 : 수거 구동부 50 : 슈팅부
51 : 발사관 53 : 공 이송부
55 : 슈팅 구동부 60 : 입력부
70 : 제어부

Claims (5)

  1. 지면에 떨어진 테니스공이 수거되도록 마련된 수거부; 및
    상기 수거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거부에서 수거된 테니스공이 발사되도록 마련된 슈팅부;
    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는,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수거 본체, 상기 수거 본체의 경사면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수거 본체에 구비된 수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슈팅부는, 전방에 마련된 발사관, 상기 수거 본체와 상기 발사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부에서 수거된 테니스공을 상기 발사관으로 전달하는 공 이송부, 및 상기 발사관으로 전달되는 테니스공이 발사되도록 상기 발사관에 구비된 슈팅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거 본체는 상기 슈팅부와의 사이에 구비된 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는 일정 구간별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본체의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5. 제1항,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구동부 및 상기 슈팅 구동부에 연결 구비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KR1020120042332A 2012-04-23 2012-04-23 테니스 연습장치 KR10132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332A KR101326245B1 (ko) 2012-04-23 2012-04-23 테니스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332A KR101326245B1 (ko) 2012-04-23 2012-04-23 테니스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295A KR20130119295A (ko) 2013-10-31
KR101326245B1 true KR101326245B1 (ko) 2013-11-11

Family

ID=4963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332A KR101326245B1 (ko) 2012-04-23 2012-04-23 테니스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2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67A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본체 내에서 낙하한 공을 배출할 수 있는 공 이송 장치
KR20190058093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공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214812A (zh) * 2020-02-03 2020-06-02 北方民族大学 一种网球训练用网球收集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00126036A (ko) 2019-04-29 2020-11-06 최호기 테니스공 발사와 수거를 수행하는 로봇
KR102498644B1 (ko) 2022-06-07 2023-02-10 주식회사 엔이티페이 테니스 레슨 및 연습을 위한 무인 로봇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7286B (zh) * 2015-10-19 2018-05-04 新乡医学院 一种网球教学训练的拾球器
KR102414761B1 (ko) * 2020-09-01 2022-06-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9930A (en) 1998-11-09 2000-06-27 Valdes-Rodriguez; Robert Apparatus for tennis ball retrieval
JP2008000561A (ja) 2006-06-20 2008-01-10 Kichiji Kashiwa ボール回収器
KR20100018120A (ko) * 2008-08-06 2010-02-17 권동혁 테니스공 수집장치
KR20110100699A (ko) * 2010-03-05 2011-09-15 안상욱 스윙 연습용 토싱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9930A (en) 1998-11-09 2000-06-27 Valdes-Rodriguez; Robert Apparatus for tennis ball retrieval
JP2008000561A (ja) 2006-06-20 2008-01-10 Kichiji Kashiwa ボール回収器
KR20100018120A (ko) * 2008-08-06 2010-02-17 권동혁 테니스공 수집장치
KR20110100699A (ko) * 2010-03-05 2011-09-15 안상욱 스윙 연습용 토싱머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67A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본체 내에서 낙하한 공을 배출할 수 있는 공 이송 장치
KR102016695B1 (ko) 2017-11-01 2019-09-02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본체 내에서 낙하한 공을 배출할 수 있는 공 이송 장치
KR20190058093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공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5395B1 (ko) 2017-11-21 2019-11-04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공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26036A (ko) 2019-04-29 2020-11-06 최호기 테니스공 발사와 수거를 수행하는 로봇
CN111214812A (zh) * 2020-02-03 2020-06-02 北方民族大学 一种网球训练用网球收集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98644B1 (ko) 2022-06-07 2023-02-10 주식회사 엔이티페이 테니스 레슨 및 연습을 위한 무인 로봇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295A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245B1 (ko) 테니스 연습장치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US20050200079A1 (en) Mobile practice target
US9227123B2 (en) Lacrosse training device
US5911214A (en) Soccer ball projecting apparatus
KR101581929B1 (ko) 자동화 티 배팅 장치
CN104117188B (zh) 一种捡球器
CN105407990A (zh) 体育训练机器
KR101915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10099550A (ko) 셔틀콕 자동 발사기
KR101864393B1 (ko) 피칭머신의 볼 이송 엉킴 방지장치 및 볼 이송 엉킴 방지방법
KR20120006167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WO2016174484A2 (en) Ball serving apparatus
KR101579903B1 (ko) 원격제어형 피칭머신
CN108525267A (zh) 一种体育定点投篮训练用发球设备
CN105709389A (zh) 一种乒乓球练习设备
KR101882760B1 (ko) 피칭머신의 볼 투척장치
KR101265516B1 (ko) 골프공 오토티업장치
CN110227248B (zh) 一种足球发射器
KR101885958B1 (ko) 피칭 머신
KR200221256Y1 (ko) 골프연습장치
CN106110616B (zh) 一种体育排球场用辅助训练装置
KR100686915B1 (ko) 천연 잔디 골프매트와 그 공급장치
CN110730682B (zh) 用于排出和收集球的系统及相关操作方法
WO2006013288A3 (fr) Dispositif d’assistance au ramassage de balles de tenn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