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233B1 - 활어의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 Google Patents

활어의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233B1
KR101326233B1 KR1020120068688A KR20120068688A KR101326233B1 KR 101326233 B1 KR101326233 B1 KR 101326233B1 KR 1020120068688 A KR1020120068688 A KR 1020120068688A KR 20120068688 A KR20120068688 A KR 20120068688A KR 101326233 B1 KR101326233 B1 KR 10132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ve fish
tank
position corresponding
tan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대
차경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8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233B1/ko
Priority to PCT/KR2013/004921 priority patent/WO20140033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컨테이너용 수조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활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조본체부와 상기 수조본체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는 분리형으로서 컨테이너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이 용이하여 활수산물의 적입 및 하역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활어의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VESSEL FOR CARRYING LIVING FISH IN CONTAINER}
본 발명은 활어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국제운송용 컨테이너에 적재하거나 컨테이너로부터 반출이 용이한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용 컨테이너는 해상 운송에 많이 쓰이는 직육면체 형상의 철제 용기로서 그 길이는 20피트, 40피트, 40피트 하이큐브형 등의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의한 표준 규격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는 다시 일반화물용 컨테이너와 냉동 및 냉장용 단열 컨테이너로 구분된다.
즉, 단열 컨테이너의 구조는 단열이 되는 본체 즉 베이스, 사이드, 루프 및 도어로 구성된 일체형 단열 컨테이너로 필요 시 냉동 또는 냉장 온도를 유지하는 냉동유니트를 프론트 벽면에 볼팅으로 부착하는 형태이다. 근래에는 육류에서 수산물로의 식생활 변화와 수산물에 대한 각국의 수요 증가로 활수산물의 국제간 운송이 시작되었고, 고가의 항공 화물을 이용한 고비용 소량 운송에서 표준 규격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대량수송의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일반 컨테이너 및 단열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해상 운송을 통해 주요 화물을 수출 혹은 수입하게 되는데, 현재 활수산물의 대량 수출을 위해 고안된 종래방식의 활 수산물 운송용 컨테이너는 표준 단열 컨테이너의 화물칸의 일측에 인위적으로 격벽을 만들어 구획을 나눈다. 이때, 구획 내부에 기계실을 만들어 냉동유닛과 산소공급장치 등, 활 수산물에 필요한 생존 장치들을 설치하고 화물칸에는 대형 수조를 붙박이로 형성하여 활어를 운송한다.
이때, 활 수산물을 운반하는 수조가 한 개의 대형수조로 형성되어 상기 수조로 사람이 진입하여, 활 수산물을 적입 및 하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활 수산물의 적입 및 하역이 용이하며, 컨테이너에 적재 또는 컨테이너로부터 반출이 용이한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활어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활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조본체부, 상기 수조본체부의 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수조본체부의 제1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본체부의 제1 측면을 대향하는 상기 수조본체부의 제2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돌기부가 삽입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는 고정용 볼트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결합홈은 컨테이너 바닥부의 공기순환유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결합홈에 삽입된 볼트는 상기 공기순환유로에 삽입된 너트와 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직육면체를 모따기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는 슬라이드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패드는 태핑스크류의 헤드가 상기 슬라이드패드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하기 위한 스크류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에의 바닥부에 돌기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수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에는 상기 수조가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어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에 따르면,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활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조본체부와 상기 수조본체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수조를 컨테이너에 적재하거나 컨테이너로부터 반출하는 것이 용이하여 활 수산물의 상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내부에서 복수의 수조들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조를 컨테이너 바닥에 결합 시에 컨테이너의 바닥부의 T자형 플로우의 공기 유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때문에 컨테이너 바닥부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조의 저면에는 슬라이드 패드가 설치되어, 컨테이너 바닥부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의 저면과 컨테이너의 바닥부의 마찰을 줄여 수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의 제1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의 제2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의 슬라이드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의 볼트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의 볼트 결합홈에 삽입되는 볼트와 채결하는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 컨테이너용 수조가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 컨테이너용 수조가 컨테이너에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중에 수조 또는 위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또는 제2 또는 그 이상의 표제로 구성될 수 있다.
단, 복수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표제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제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용 컨테이너용 수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용 컨테이너용 수조의 제1 측면도이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컨테이너용 수조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활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조본체부(100)와 상기 수조본체부(100)의 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120) 및 상기 수조본체부(100)의 제1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11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용 컨테이너용 수조의 제2 측면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는 고정용 볼트결합홈(122)가 형성된다. 복수의 지지부재(120)가 이격되어 수조본체부(100)의 저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복수의 지지부재(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수조를 컨테이너 내부로 반입하거나 컨테이너로부터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지게차를 이용할 때, 포크리트프가 삽입되거나 또는 복수의 수조가 컨테이너로 반입되는 경우에, 다른 수조의 돌기부가 삽입되는 오목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돌기부(110)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테이퍼가 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용 컨테이너용 수조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용 컨테이너용 수조의 슬라이드 패드(121)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3과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0)의 저면에는 지지부재(120)와 컨테이너의 바닥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패드(121)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패드(121)는 태핑스크류의 헤드가 슬라이드 패드(121)의 표면 바깥으로 노출되는 경우에, 컨테이너의 바닥부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패드(121)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크류홈(123)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패드(121)는 알루미늄 재질의 컨테이너 바닥에 손상을 주지 않는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의 볼트결합 단면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면에는 고정용 볼트결합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결합홈(122)은 컨테이너 바닥부의 공기순환유로(20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컨테이너의 바닥부에는 냉각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순환유로(2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순환유로(200)는 단면에서 보면 T자형 볼트결합홈(122)에 삽입된 볼트는 상기 공기순환유로(200)에 삽입된 너트(124)와 결합되어 체결됨으로써, 컨테이너의 바닥부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수조를 컨테이너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 컨테이너용 수조의 볼트결합홈(122)에 삽입되는 볼트와 채결하는 너트(124)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너트(124)는 직육면체를 모따기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볼트가 채결될 시 공기순환유로(200)의 공간의 면과 밀착되는 면적이 크게 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 컨테이너용 수조가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 컨테이너용 수조가 컨테이너에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부에 돌기부(110)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수용부(130)가 설치된다. 이때 테이퍼진 돌기부(110)는 돌기수용부(130)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수용부(130)는 상기 테이퍼진 돌기부(110)와 대응하도록 밀착하여 고정이 용이하다.
또한, 제 1 수조본체부(100)의 제1 측면을 대향하는 상기 제 1 수조본체부(100)의 제2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제 2수조의 돌기부(11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수조가 컨테이너 내부에 반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수조가 컨테이너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수조본체부 110: 돌기부
120: 지지부재 121: 슬라이드패드
122: 볼트결합홈 123: 스르큐홈
124: 너트 130: 돌기수용부
200: 공기순환유로

Claims (9)

  1.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활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조본체부;
    상기 수조본체부의 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수조본체부의 제1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활어 운반용 컨테이너용 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테이퍼진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본체부의 제1 측면을 대향하는 상기 수조본체부의 제2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돌기부가 삽입가능한,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는 고정용 볼트결합홈이 형성되는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결합홈은 컨테이너 바닥부의 공기순환유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결합홈에 삽입된 볼트는 상기 공기순환유로에 삽입된 너트와 결합되어 체결되는,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직육면체를 모따기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는 슬라이드 패드가 부착되는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패드는 태핑스크류의 헤드가 상기 슬라이드패드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하기 위한 스크류홈이 형성되는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9. 바닥부에 돌기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수용부가 설치되고,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조가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활어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
KR1020120068688A 2012-06-26 2012-06-26 활어의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KR101326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88A KR101326233B1 (ko) 2012-06-26 2012-06-26 활어의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PCT/KR2013/004921 WO2014003324A1 (ko) 2012-06-26 2013-06-04 활어의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88A KR101326233B1 (ko) 2012-06-26 2012-06-26 활어의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233B1 true KR101326233B1 (ko) 2013-11-11

Family

ID=4978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688A KR101326233B1 (ko) 2012-06-26 2012-06-26 활어의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6233B1 (ko)
WO (1) WO20140033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388B1 (ko) * 2014-03-12 2014-06-13 사단법인 거제어류양식협회 활어수조 수납적재식 활어컨테이너
KR20190010120A (ko) 2017-07-21 2019-01-30 김재훈 스마트 이동식 어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176A (ja) 1999-09-01 2001-03-21 Ykk Corp 液体輸送用の可撓性容器とその容器による液体輸送方法及び同容器による液体輸送装置
KR20040033330A (ko) * 2001-10-04 2004-04-21 아르카 시스템즈 에이비 수송 및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752Y2 (ja) * 1993-02-24 1999-06-2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
JPH0811980A (ja) * 1994-07-04 1996-01-16 Shinwa Corp:Kk 輸送容器の蓋取付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176A (ja) 1999-09-01 2001-03-21 Ykk Corp 液体輸送用の可撓性容器とその容器による液体輸送方法及び同容器による液体輸送装置
KR20040033330A (ko) * 2001-10-04 2004-04-21 아르카 시스템즈 에이비 수송 및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388B1 (ko) * 2014-03-12 2014-06-13 사단법인 거제어류양식협회 활어수조 수납적재식 활어컨테이너
KR20190010120A (ko) 2017-07-21 2019-01-30 김재훈 스마트 이동식 어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3324A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168B2 (en) Portable refrigeration apparatus
CN2551599Y (zh) 隔热容器
EP3284702B1 (en) Freight contain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cargo
JP5646853B2 (ja) 船舶
US20070087087A1 (en) Insulated logistic container and delivery system using such insulated container
KR101365419B1 (ko) 특장차용 발포식 초단열 냉동냉장탑
CN101415622A (zh) 运送冷却货物的容器
JP6452825B2 (ja) 非貯水式生存保持装置および当該非貯水式生存保持装置を有する冷却家電機器
KR101326233B1 (ko) 활어의 운반을 위한 컨테이너용 수조
CN107406024B (zh) 鸥翼门型危险品保管装置
KR20120050792A (ko)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CN112577227A (zh) 集装设备和物品存放运输方法
KR20170016546A (ko)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US20120181268A1 (en) Refrigerated freight container
KR20170049156A (ko)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
GB2097108A (en) Cargo ship having a cooling system
CN210063920U (zh) 一种生鲜保温箱
CN104528172A (zh) 一种冷藏箱
JP4131549B2 (ja) 冷凍漁船用低温保冷庫
KR200486593Y1 (ko) 냉장포장상자
CN212557590U (zh) 一种冷链物流箱
CN108945820A (zh) 一种保温冷藏箱
KR20150007802A (ko) 히팅 컨테이너
CN215754369U (zh) 一种冷链运输用多温区的集装箱
RU45684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онтейнер-термо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