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253B1 -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253B1
KR101324253B1 KR1020110136723A KR20110136723A KR101324253B1 KR 101324253 B1 KR101324253 B1 KR 101324253B1 KR 1020110136723 A KR1020110136723 A KR 1020110136723A KR 20110136723 A KR20110136723 A KR 20110136723A KR 101324253 B1 KR101324253 B1 KR 101324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port
crane
lug
fastening device
wir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150A (ko
Inventor
오상윤
김창학
이건우
강기웅
강정훈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Priority to KR102011013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2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과 슬래그 포트 간에 자동으로 연결되어 고정함을 제공하도록, 양측면에 트러니언이 구비되고 후방에 러그가 형성된 슬래그 포트를 와이어풀리 상에 주권과 보권이 구비된 크레인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포트의 뒤쪽 하단에 상기 러그보다 후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되고 한 쌍이 서로 평행상태를 이루며 고정설치되는 안착대와 함께 상기 안착대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 설치하는 축봉이 형성되는 러그부와; 상기 러그부를 향해 하강하면 상기 축봉에 하단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크레인으로부터 승강 작동하는 상기 와이어풀리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권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omitted}
본 발명은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슬래그 포트로부터 덤핑(dumping)작업할 때 크레인과 슬래그 포트 간에 자동으로 연결되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는 강철을 녹인 용강으로부터 탄소와 각종 불순물을 제거하여 강을 만드는 과정에서 용제나 비금속 물질, 금속산화물 등과 같은 슬래그가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된 슬래그를 처리하도록 슬래그를 담아 이동하거나 사용 후 남은 용강을 모아 분리하기 위해 슬래그 포트가 사용된다.
상기한 슬래그 포트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54720호에는 상부가 개구된 주발모양의 용기형상으로 된 포트몸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트몸체의 좌우 양측면에는 각각 트러니언이 일체로 장착되는 측면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트러니언을 축으로 포트몸체가 전후방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여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몸체는 전방 또는 후방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주둥이형상의 용강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강용 슬래그 포트에 있어서, 상기 용강배출구가 형성된 부분의 포트몸체 내주면에는 포트몸체의 바닥면에서 용강배출구까지 상하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포트몸체의 내측에 담겨있는 슬래그와 하부에 고여있는 용강의 배출시 용강이 포트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퍼지지 않고 가이드홈을 따라 모여 흐르면서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용강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용 슬래그 포트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슬래그 포트는 내열성 및 보수성이 뛰어난 주철이나 주강, 합금강 등의 금속재질로 되어 있음은 물론 그 크기도 크기 때문에 작업시 이동하거나 전반적인 작업과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크레인을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 크레인을 사용하여 슬래그 포트의 이동작업을 진행함에는 슬래그 포트의 트러니언에 크레인의 주권훅을 걸은 다음 슬래그 포트의 후방 중앙에 구비되는 암에 크레인의 보권훅을 걸어 고정하는 작업이 선행되는데, 모두 작업자가 슬래그 포트의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후 직접 수작업에 의해 행해짐에 따라 고온인 슬래그 포트로부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크레인의 보권훅은 와이어풀리의 하단에서 단순히 후크 형상만을 이루기 때문에 크레인으로부터 수직으로 하강시 슬래그 포트의 상단에 걸릴 뿐 하부가 안쪽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슬래그 포트의 암에 보권훅을 걸기 위해서 작업자가 직접 잡아당겨야만 하는 등 작업상 어려움이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크레인을 조정하는 작업과 슬래그 포트에 주권훅 및 보권훅을 각각 걸어 고정하는 작업이 함께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인원이 많이 투입되어 인건비가 늘어나고 모두 수작업에 의해 이뤄짐에 따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는 결국 전체적인 공정에도 영향을 미쳐 작업이 지연됨은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시 크레인과 슬래그 포트 간에 자동으로 결합하여 원활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인원을 줄임은 물론 전반적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레인에서 보권의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슬래그 포트와 보권 간에 안전한 결합구조를 이루므로 간단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며 설비의 유지보수비용을 줄임은 물론 작업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는 양측면에 트러니언이 구비되고 후방에 러그가 형성된 슬래그 포트를 와이어풀리 상에 주권과 보권이 구비된 크레인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포트의 뒤쪽 하단에 상기 러그보다 후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되고 한 쌍이 서로 평행상태를 이루며 고정설치되는 안착대와 함께 상기 안착대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 설치하는 축봉이 형성되는 러그부와; 상기 러그부를 향해 하강하면 상기 축봉에 하단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크레인으로부터 승강 작동하는 상기 와이어풀리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권부재는 상기 와이어풀리에 결합가능하게 연결구멍이 형성되는 결합링과, 상기 결합링의 하단에 하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암과, 상기 연장암의 한쪽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러그부의 축봉에 걸리도록 구부러진 고정후크로 구성된다.
상기 보권부재의 연장암은 상기 결합링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수직구간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굽어져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구간을 형성한다.
상기 연장암은 상기 수직구간에 대한 가상의 수직선상으로부터 상기 경사구간이 15~45°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상기 연장암은 상기 수직구간에서 상기 경사구간으로 굽어진 부분에 대해 보강하도록 외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보강부재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권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슬래그 포트의 러그부에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보권부재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보권부재의 체결각도 변경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웨이트발란스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권부재는 상기 슬래그 포트의 무게로 인해 휨 현상을 방지하도록 전체적으로 세 겹이 용접된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에 의하면 크레인의 와이어풀리 상에 연결되는 보권부재와 슬래그 포트에 후방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는 러그부를 각각 구성하여 크레인을 통한 슬래그 포트와의 결합에 대한 작업의 자동화를 구현하고, 이는 작업인원을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함은 물론 자동화에 따른 작업의 안전성을 높이고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는 보권부재에 대해 구조적으로 보강하도록 전체적으로 겹겹이 3중 접합함은 물론 보강부재를 구성하여 내구성을 향상하고 설비가 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설비의 유지보수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작업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슬래그 포트의 러그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러그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권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권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권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양측면에 트러니언이 구비되고 후방에 러그가 형성된 슬래그 포트를 와이어풀리 상에 주권과 보권이 구비된 크레인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포트의 뒤쪽 하단에 상기 러그보다 후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되고 한 쌍이 서로 평행상태를 이루며 고정설치되는 안착대와 함께 상기 안착대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 설치하는 축봉이 형성되는 러그부와; 상기 러그부를 향해 하강하면 상기 축봉에 하단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크레인으로부터 승강 작동하는 상기 와이어풀리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권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권부재는 상기 와이어풀리에 결합가능하게 연결구멍이 형성되는 결합링과, 상기 결합링의 하단에 하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암과, 상기 연장암의 한쪽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러그부의 축봉에 걸리도록 구부러진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권부재의 연장암은, 상기 결합링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수직구간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굽어져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구간을 형성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암은 상기 수직구간에 대한 가상의 수직선상으로부터 상기 경사구간이 15~45°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암은 상기 수직구간에서 상기 경사구간으로 굽어진 부분에 대해 보강하도록 외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권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슬래그 포트의 러그부에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보권부재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보권부재의 체결각도 변경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웨이트발란스를 포함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권부재는 상기 슬래그 포트의 무게로 인해 휨 현상을 방지하도록 전체적으로 세 겹이 용접된 구조로 형성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그 포트(1)와 크레인(5)을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체결구조로서, 러그부(10)와, 보권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슬래그 포트(1)는 내부에 용강을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 자체를 기울이는 작동에 의해 용강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좌우 양측면에는 각각 트러니언(2)이 돌출형성되며 후방에 러그(3)가 구성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크레인(5)은 상하는 물론 전후 및 좌우로 각각 이동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와이어풀리(8) 상에 주권(6)과 보권이 각각 구비된 구조를 이루어 상기 슬래그 포트(1)를 이동하거나 기울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러그부(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래그 포트(1)의 뒤쪽 하단에 상기 러그(3)보다 후방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구조를 이루며, 안착대(11)와 축봉(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대(11)는 상기 슬래그 포트(1)에 좌우 거리를 두고 한 쌍을 이루며 서로 평행상태를 이루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축봉(15)은 원형의 단면형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환봉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대(11)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러그부(10)의 축봉(15)은 상기 러그(3)로부터 후방을 향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보권부재(20)의 한쪽이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축봉(15)은 상기 안착대(11) 상에 끼움 결합한 후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권부재(20)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5)으로부터 승강 작동하는 상기 와이어풀리(8)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풀리(8)로부터 하측 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보권부재(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래그 포트(1)의 러그부(10)를 향해 하강하면 상기 축봉(15)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서, 결합링(21)과 연장암(23) 및 고정후크(25)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링(21)은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풀리(8)에 결합가능하게 연결구멍(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링(21)의 연결구멍(22)은 상기 와이어풀리(8)에 구비된 연결축(9)의 직경보다 크게 공차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권부재(20)는 상기 결합링(21)의 연결구멍(22)에 의해 상기 와이어풀리(8)의 연결축(9)에 끼움 결합된 구조를 이룸에 따라 전후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보권부재(20)가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링(21)의 연결구멍(22)을 상기 연결축(9)보다 크게 공차를 형성함에 따라 와이어의 원심력과 베어링의 설치구조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와이어풀리(8)의 작동에 간섭받지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암(23)은 상기 결합링(21)의 하단에 하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권부재(20)의 연장암(23)은 상기 결합링(21)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23a)과, 상기 수직구간(23a)으로부터 한쪽 방향(예를 들면, 상기 슬래그 포트(1)가 결합하여 연결되는 방향)으로 굽어져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구간(23b)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암(23)은 상기 수직구간(23a)에 대한 가상의 수직선상으로부터 상기 경사구간(23b)이 15~45°의 경사각(α)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구간(23a)으로부터 상기 경사구간(23b)에 대한 경사각(α)이 30°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권부재(20)의 연장암(23)을 상기 수직구간(23a)과 상기 경사구간(23b)으로 구분토록 형성함에 따라 상기 연장암(23)의 경사구간(23b)이 상기 러그부(10)의 축봉(15)에 원활하게 접하면서 상기 고정후크(25)에 의해 자동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암(23)에는 상기 수직구간(23a)에서 상기 경사구간(23b)으로 굽어진 부분에 대해 보강하도록 외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보강부재(24)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부재(24)는 상기 수직구간(23a)에서 상기 경사구간(23b)을 향해 굽어지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수직구간(23a)과 상기 경사구간(23b)을 향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후크(25)는 상기 러그부(10)의 축봉(15)에 걸리도록 구부러진 형태의 갈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암(23)의 한쪽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보권부재(20)에는 상기 보권부재(20)의 하단부가 상기 슬래그 포트(1)의 러그부(10)에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보권부재(20)의 체결각도 변경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웨이트발란스(30)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웨이트발란스(3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권부재(20)의 고정후크(25)가 상기 러그부(10)의 축봉(15)에 결합한 후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슬래그 포트(1)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권부재(20)가 흔들리거나 설정각도를 벗어나 회전할 때 상기 웨이트발란스(30)가 상기 와이어풀리(8)에 접하여 정지토록 상기 보권부재(2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상기 웨이트발란스(30)는 상기 와이어풀리(8)에 인접한 위치인 상기 보권부재(20)의 상부 후방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보권부재(2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세 겹이 용접되어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보권부재(20)는 상기 결합링(21)에서부터 상기 연장암(23)과 상기 고정후크(25)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구성이 폭 방향을 따라 세 겹으로 접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에서처럼 보권부재(20)의 전반적인 구성을 겹겹이 형성함에 따라 상기 슬래그 포트(1)의 상당한 무게로 인한 휨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지관리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슬래그 포트(1)를 통한 작업을 위해 이동코자 할 때는 상기 크레인(5)을 조작하여 상기 와이어풀리(8)를 상하 조정하고, 상기 와이어풀리(8)로부터 상기 러그부(10)를 향해 상기 보권부재(20)가 수직으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보권부재(20)와 상기 러그부(10)가 서로 연결되어 자동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보권부재(20)가 상기 러그부(10)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권부재(20)가 상기 크레인(5)의 와이어풀리(8)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러그부(10)의 축봉(15)에 상기 고정후크(25)가 결합가능한 상태를 이루어 자동으로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에 의하면, 크레인의 와이어풀리 상에 연결되는 보권부재와 슬래그 포트에 후방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는 러그부를 각각 구성하여 크레인을 통한 슬래그 포트와의 결합에 대한 작업의 자동화를 구현하고, 이는 작업인원을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함은 물론 자동화에 따른 작업의 안전성을 높이고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보권부재에 대해 구조적으로 보강하도록 전체적으로 겹겹이 3중 접합함은 물론 보강부재를 구성하여 내구성을 향상하고 설비가 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설비의 유지보수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작업상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슬래그 포트 2 : 트러니언
3 : 러그 5 : 크레인
6 : 주권 8 : 와이어풀리
9 : 연결축 10 : 러그부
11 : 안착대 15 : 축봉
20 : 보권부재 21 : 결합링
22 : 연결구멍 23 : 연장암
23a : 수직구간 23b : 경사구간
24 : 보강부재 25 : 고정후크
30 : 웨이트발란스

Claims (7)

  1. 양측면에 트러니언이 구비되고 후방에 러그가 형성된 슬래그 포트를 와이어풀리 상에 주권과 보권이 구비된 크레인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포트의 뒤쪽 하단에 상기 러그보다 후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되고 한 쌍이 서로 평행상태를 이루며 고정설치되는 안착대와 함께 상기 안착대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 설치하는 축봉이 형성되는 러그부와;
    상기 러그부를 향해 하강하면 상기 축봉에 하단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크레인으로부터 승강 작동하는 상기 와이어풀리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권부재는, 상기 와이어풀리에 결합가능하게 연결구멍이 형성되는 결합링과, 상기 결합링의 하단에 하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암과, 상기 연장암의 한쪽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러그부의 축봉에 걸리도록 구부러진 고정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권부재의 연장암은, 상기 결합링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수직구간으로부터 슬래그포트 방향으로 15~45°의 경사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경사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구간에서 상기 경사구간으로 굽어진 부분에 대해 보강하도록 외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권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슬래그 포트의 러그부에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보권부재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보권부재의 체결각도 변경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웨이트발란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
  7. 삭제
KR1020110136723A 2011-12-16 2011-12-16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 KR101324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723A KR101324253B1 (ko) 2011-12-16 2011-12-16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723A KR101324253B1 (ko) 2011-12-16 2011-12-16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150A KR20130069150A (ko) 2013-06-26
KR101324253B1 true KR101324253B1 (ko) 2013-11-01

Family

ID=4886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723A KR101324253B1 (ko) 2011-12-16 2011-12-16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2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0304A (en) * 1980-09-26 1982-11-23 Amca International Corporation Extendable crane trolley and method
JPH03124695U (ko) * 1990-03-30 1991-12-17
JPH0516786U (ja) * 1991-03-06 1993-03-0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吊り具
JP2002234687A (ja) * 2001-02-08 2002-08-23 Mitsubishi Heavy Ind Ltd レードルクレーン用補巻フ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0304A (en) * 1980-09-26 1982-11-23 Amca International Corporation Extendable crane trolley and method
JPH03124695U (ko) * 1990-03-30 1991-12-17
JPH0516786U (ja) * 1991-03-06 1993-03-0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吊り具
JP2002234687A (ja) * 2001-02-08 2002-08-23 Mitsubishi Heavy Ind Ltd レードルクレーン用補巻フ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150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3144B1 (en) Roof for electric furnace
KR20000053630A (ko) 타워 크레인의 마스트헤드 설치 방법 및 장치
KR101324253B1 (ko) 크레인 보권을 이용한 슬래그 포트 자동체결장치
KR100991910B1 (ko) 슬래그 포트 대차의 케이블 보호 장치
JP5552837B2 (ja) 転炉出鋼孔の補修方法
CN113529724B (zh) 一种基坑混凝土浇筑施工方法
CN208814512U (zh) 一种简易圆桶吊装辅助装置
CN209273058U (zh) 一种铁屑箱
CN206927468U (zh) 一种用于炼铁炉的投料装置
KR101063905B1 (ko) 탈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래들 커버의 탈착시스템
CN220245329U (zh) 一种电动葫芦门式起重机吊装装置
CN2920930Y (zh) 一种轨行式物料储运设备的防风装置
RU2818063C1 (ru) Дротик для отсечки конечного конвертерного шлака от металла,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и система отсечки конечного конвертерного шлака
CN209953789U (zh) 一种安全性高的铁水包
KR200366335Y1 (ko) 크레인 후크의 연결구조
CN207226825U (zh) 一种铸造起重机双层旋转吊梁
JP6296102B2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ガイラインとパレットウエイトとの接続方法及び移動式クレーン
CN204672949U (zh) 一种新型铁水罐渣壳去除装置
CN210909738U (zh) 一种便于装配工件的夹具
CN207943801U (zh) 装配式吊支架
KR101256531B1 (ko) 용탕대차의 래들 정립장치
CN213202064U (zh) 一种钢结构栏杆吊具、钢结构栏杆吊具系统
CN208455009U (zh) 一种可拆卸开口机保护挡板
CN219860071U (zh) 一种副钩钩头固定机构
CN210146973U (zh) 一种高强度的中间包挡渣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