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550B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550B1
KR101323550B1 KR1020120055232A KR20120055232A KR101323550B1 KR 101323550 B1 KR101323550 B1 KR 101323550B1 KR 1020120055232 A KR1020120055232 A KR 1020120055232A KR 20120055232 A KR20120055232 A KR 20120055232A KR 101323550 B1 KR101323550 B1 KR 10132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hook
cable
power plug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113A (ko
Inventor
게이지 구리바야시
마사야 요시오카
사토루 우에노
노보루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3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에 불필요한 응력이 걸리는 것을 억제하고,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이 통행의 방해 등이 되는 것을 억제가능한 콘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콘센트는 전원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는 콘센트 본체부(2)와, 콘센트 본체부(2)와 일체로 시공되어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을 거는 훅부(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콘센트{RECEPTACL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지식 전기 자동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등의 차량(이하, "전기 자동차"라고 함)에 탑재되는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회로차단기와, 회로차단기의 부하측에 접속된 콘센트를 일면이 개구하는 상자체내에 수납하고, 상자체의 개구면을 도어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막는 콘센트유닛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콘센트유닛은, 상자체에 대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회로차단기로부터 콘센트까지의 통전경로를 도통하도록 하고,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통전경로를 차단하는 통전경로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콘센트유닛에서는, 도어를 열어서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를 접속할 경우, 항상 콘센트가 비통전상태가 되어 있어, 통전상태에 있는 전원 플러그에 접촉할 우려가 없고, 감전의 발생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2-101508호 공보
그런데, 상술의 콘센트유닛은,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케이블의 전원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다.
충전 케이블은,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 전력을 급전하는 급전선 이외에,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전자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선도 내장하고 있어, 급전선만을 내장한 단순한 전원케이블과 비교해서 직경이 굵고 또한 구부리기 어렵다. 충전 케이블은, 콘센트유닛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정차된 전기 자동차에 대하여도 접속 가능한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충전 케이블은, 바닥면에 두면 부피를 차지하는 경향에 있고, 충전 케이블을 작게 감으면 충전 케이블에 불필요한 응력이 걸릴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충전 케이블은, 충전시에 있어서 이용자의 발이 걸리는 등 하면 전원 플러그 등에 응력이 걸리게 되어, 전원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뽑힐 우려가 있다. 또한, 충전시 이외의 때에서도, 충전 케이블을 옥외에 방치해 두면, 통행인의 발이 걸리는 등 하여 콘센트유닛 부근에서의 통행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또, 상술 한 바와 같은 과제는, 충전 케이블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히, 직경이 굵은 케이블을 갖는 전원 플러그를 접속할 때에도 동일한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비추어 보아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에 불필요한 응력이 걸리는 것을 억제하고,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이 통행의 방해 등이 되는 것을 억제가능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센트는, 전원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는 콘센트 본체부와, 상기 콘센트 본체부와 일체로 시공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 훅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해당 훅부를 벽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부와 상기 벽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마련되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연장부의 상기 벽재측에는, 상기 훅부와 상기 벽재의 사이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패킹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해당 훅부에 걸린 상기 케이블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해당 유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유지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측이 개방되어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유지부에 걸쳐 마련된 절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걸림부에 마련되는 상기 절결부에 의한 개방을 막는 도어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도어부가 상기 절결부에 의한 개방을 막은 상태에서 잠금되도록 하는 잠금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부와 상기 훅부가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부에 부착하기 위한 본체부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에 불필요한 응력이 걸리는 것을 억제하고,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이 통행의 방해 등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콘센트의 분해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콘센트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2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정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배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다른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3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의 콘센트에 있어서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 설명도, (b)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3의 다른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4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4의 콘센트에 있어서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 설명도, (b)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4의 콘센트의 요점부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전원 플러그(30e)(도 3 참조)가 접속 가능한 콘센트 본체부(2)와, 콘센트 본체부(2)와 일체로 시공되어 전원 플러그(30e)의 케이블을 거는 훅(hook)부(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케이블은,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도시 않음)에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케이블(30d)로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의 콘센트 본체부(2)는, 도 2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주택의 옥외의 벽재(W)에 부착하기 위해서,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부(10aa)와, 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부(10aa)의 상측에서 베이스부(10aa)로부터 연속해서 마련된 수납부(10ab)를 가지는 기구본체(10a)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수납부(10ab)의 내부에는, 충전 케이블(30d)의 전원 플러그(30e)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배선 기구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기구본체(10a)는, 베이스부(10aa)의 상측의 중앙부에 관통 구멍(10f)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기구본체(10a)는, 기구설치 나사(11)를 베이스부(10aa)의 상측의 관통 구멍(10f)에 삽입 통과하기 쉽도록, 절결부(10h)를 수납부(10ab)에 마련하고 있다. 기구본체(10a)는, 베이스부(10aa)의 하측의 중앙부에 기구설치 나사(11)를 삽입 통과하는 관통 구멍(10f)이 마련되고 있다. 베이스부(10aa)에는, 베이스부(10aa)의 하측의 관통 구멍(10f)을 덮는 개폐가능한 도어체(10g)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aa)에는, 베이스부(10aa)의 하측의 관통 구멍(10f)을 거쳐서 좌우에, 한 쌍의 훅부 설치 나사(6)에 의해 훅부(1)를 나사고정하는 나사고정부(10e)가 마련되어 있다.
기구본체(10a)는, 설치 나사(12)로 벽재(W)에 미리 나사고정되는 부착프레임(14)의 나사구멍(14b)에 기구설치 나사(11)를 이용해서 나사고정한다. 여기에서, 기구본체(10a)와 부착프레임(14)의 사이에는, 부착프레임(14)의 외주를 덮어 기구본체(10a)와 부착프레임(14)의 사이 및 부착프레임(14)과 벽재(W)의 사이로부터 빗물 등의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방수판(13)이, 부착프레임(14)를 덮어서 마련된다. 또, 부착프레임(14)의 재료는, 예를 들면, ABS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방수판(1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기구본체(10a)는, 벽재(W)측에서 도출하는 전력 코드(15)를 부착프레임(14)의 구멍부(14a), 방수판(13)의 삽통구멍부(13a)를 삽입 통과해서 기구본체(10a)의 내부에 수납된 상술의 배선 기구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기구본체(10a)는, 수납부(10ab)의 하측으로부터 전원 플러그(30e)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에 배선 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기구본체(10a)에는, 수납부(10ab)의 하면보다도 약간 크게 개폐가능한 반원형상의 콘센트 커버(10b)를 구비하고 있다. 콘센트 커버(10b)는, 예를 들면, ABS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있고, 배선 기구의 차입구가 노출되는 수납부(10ab)의 하측을 덮을 수 있다. 또한, 기구본체(10a)는, 예를 들면, ABS 수지에 의해 형성된 화장 커버(10c)로 덮여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에 있어서의 콘센트 본체부(2)는, 화장 커버(10c)와, 내부에 배선 기구 등을 구비한 기구본체(10a)와, 방수판(13)과, 부착프레임(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에 있어서의 훅부(1)는, 긴 판 형상의 금속판(예를 들면, 스테인레스판이나 알루미늄판)을 J자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훅부(1)는, 콘센트 본체부(2)측의 베이스부(10aa)로부터 늘어뜨려지는 연장부(1a)와, 연장부(1a)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유지부(1b)와, 유지부(1b)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걸림부(1c)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1)는, 연장부(1a)의 상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관통 설치 구멍(1aa)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훅부(1)의 관통 설치 구멍(1aa)은, 훅부(1)를 콘센트 본체부(2)에 부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훅부(1)의 관통 설치 구멍(1aa)은, 훅부(1)를 콘센트 본체부(2)에 부착하기 위한 본체부착부(7)로서 기능한다.
훅부(1)는, 콘센트 본체부(2)에 있어서의 베이스부(10aa)의 나사고정부(10e)에, 관통 설치 구멍(1aa)을 삽입 통과한 훅 설치 나사(6)에 의해 나사고정되어 있다. 유지부(1b)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는, 예를 들면, 직경이 12mm의 충전 케이블(30d)의 4개분을 나란히 유지가능한 치수로 하면 좋다. 유지부(1b)는, 환상으로 감긴 충전 케이블(30d)을 걸어서 유지할 수 있다. 또, 유지부(1b)의 길이 치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길이로 하면 좋다. 또한, 걸림부(1c)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치수는, 유지부(1b)에 감긴 충전 케이블(30d)이 탈락하기 어려운 정도의 치수로 설정하면 좋다. 또, 훅부(1)의 걸림부(1c)는, 유지부(1b)에 대하여 둔각이 되는 각도로 유지부(1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훅부(1)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충전 케이블(30d)를 걸기 위한 개구가 커져, 충전 케이블(30d)을 보다 유지부(1b)에 걸기 쉽게 할 수 있다. 걸림부(1c)는,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연직방향으로 되도록 유지부(1b)에 대하여 직각으로 마련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시에 있어서, 훅부(1)의 유지부(1b)에 충전 케이블(30d)의 여분을 수 회 감아 유지함으로써, 충전 케이블(30d)을 지면에 놓이게 하는 일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10)는,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시 이외의 때에 있어서도, 훅부(1)의 유지부(1b)에 충전 케이블(30d)을 감아 유지함으로써, 충전 케이블(30d)을 지면에 놓이게 하는 일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에서는, 콘센트 본체부(2)와 훅부(1)가 별개로 형성되어 있지만, 별개로 형성된 것뿐만 아니라, 콘센트 본체부(2)와 훅부(1)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런 경우, 콘센트 본체부(2)의 기구본체(10a) 등과 훅부(1)는, 수지재료의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콘센트 본체부(2)와 훅부(1)를 일체로 했을 경우, 콘센트(10)는, 콘센트 본체부(2)와 훅부(1)를 분리 구조로 한 경우보다도, 콘센트(10)의 시공이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이용자의 발이 충전 케이블(30d)에 걸리는 등에 의해 전원 플러그(30e)나 배선 기구에 응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10)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 이외의 때에도, 충전 케이블(30d)을 지면에 놓이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충전 케이블(30d)에 통행인 등의 발이 걸리는 등 콘센트 본체부(2) 부근에서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훅부(1)는, 콘센트 본체부(2)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충전 케이블(30d)을 내부에 수납가능한 케이블 수용 용기(도시 하지 않음)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콘센트 본체부(2) 근방에서 충전 케이블(30d)을 정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훅부(1)는, 적절한 크기로 감겨진 충전 케이블(30d)을 걸어 유지할 수 있어, 충전 케이블(30d)에 불필요한 응력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케이블(30d)의 전원 플러그(30e)만이 삽입되어서 충전 케이블(30d)을 훅부(1)에 거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전기 기구(도시 하지 않음)의 전원 플러그(30e)의 케이블을 걸 수도 있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를, 도 4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 1과 같이 콘센트 본체부(1a)의 전면측에 훅부(1)를 마련하는 대신에, 콘센트 본체부(2)의 배면측에 훅부(1)를 마련하는 점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원 플러그(30e)를 접속 가능한 콘센트 본체부(2)와, 콘센트 본체부(2)와 일체로 시공되고, 전원 플러그(30e)의 케이블이 되는 충전 케이블(30d)을 거는 훅부(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콘센트(10)의 훅부(1)는, 콘센트 본체부(2)와 벽재(W)(도 5 참조) 사이에 개재되어 마련되는 연장부(1a)를 가지고 있고, 연장부(1a)의 벽재(W)측에는, 훅부(1)과 벽재(W)의 사이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패킹부(3)를 가지고 있다. 바꿔 말하면, 콘센트(10)는, 훅부(1)의 연장부(1a) 및 연장부(1a)에 마련한 벽재(W)측의 패킹부(3)을 거쳐, 콘센트 본체부(2)를 벽재(W)측에 부착가능하게 하고 있다.
훅부(1)의 연장부(1a)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부(1)의 상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레이스 트랙 형상의 한 쌍의 관통 구멍(1ab)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훅부(1)의 연장부(1a)에는, 상하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레이스 트랙 형상의 한 쌍의 관통 구멍(1ad)이 마련되어 있다. 훅부(1)는, 복수(여기서는, 4개)의 훅 설치 나사(6)에 의해 벽재(W)에 나사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훅부(1)의 관통 구멍(1ab, 1ad)은, 훅부(1)를 벽재(W)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4)로서 기능한다.
또한, 훅부(1)는, 각 관통 구멍(1ab, 1ad)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대략 중앙에 원형형상의 관통 구멍부(1ac)가 형성되어 있다. 기구본체(10a)는, 벽재(W)측에서 도출하는 전력 코드(15)를, 훅부(1)의 관통 구멍부(1ac), 부착프레임(14)의 구멍부(14a), 방수판(13)의 삽통구멍부(13a)를 삽입 통과해서 기구본체(10a)의 내부에 마련한 배선 기구(5)(도 6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여기에서, 부착프레임(14)은, 훅부(1)의 관통 구멍부(1ac)를 거쳐서 상하방향에 마련된 콘센트 부착 구멍(1bb)에 부착나사(12)에 의해 나사고정함으로써, 훅부(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콘센트 본체부(2)는, 기구부착나사(11)에 의해, 부착프레임(14)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훅부(1)를 벽재(W)에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30d)이 걸리는 훅부(1)의 설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패킹부(3)을 가짐으로써, 벽재(W)의 벽면과 훅부(1)의 사이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콘센트(10)가 옥내의 차고 등에 설치되는 경우, 반드시 패킹부(3)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콘센트(10)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부(1)를 거쳐, 콘센트 본체부(2)를 벽재(W)측과 직접 부착 가능한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를,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 1의 훅부(1)에, 걸림부(1c)측이 개방되어 걸림부(1c)로부터 유지부(1b)에 걸쳐 마련된 절결부(1d)를 가지는 점이 상이하다. 또, 도면중에 있어서 실시형태 1이나 실시형태 2의 부재와 같은 부재에 대하여는, 같은 번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원 플러그(30e)를 접속 가능한 콘센트 본체부(2)와, 콘센트 본체부(2)와 일체로 시공되어 전원 플러그(30e)의 케이블이 되는 충전 케이블(30d)을 거는 훅부(1)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1)는, 걸림부(1c)측이 개방되어 걸림부(1c)로부터 전원 플러그(30e)가 삽입되는 배선 기구(5)의 차입구에 대응하는 유지부(1b)의 중앙부에 걸쳐 절결부(1d)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에는, 예를 들면, 도 9의 (a)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에 마련된 충전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건(gun)형 플러그를 구성하는 충전 건인 충전 커넥터(30)의 전원 플러그(30e)가 접속될 수 있다. 충전 커넥터(30)는, 콘센트(10)로부터 급전되어 충전 케이블(30d)을 거쳐서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 커넥터(30)는, 선단부(30b)가 원주형상으로 돌출하는 L자 형상의 바디부(30a)를 구비하고 있다. 충전 커넥터(30)는, 바디부(30a)의 선단부(30b)와 반대측으로부터 충전 케이블(30d)이 도출되어 있다. 충전 커넥터(30)는, 선단부(30b)에 내장된 도전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술의 충전 포트측에 급전한다. 충전 커넥터(30)의 바디부(30a)에는, 이용자가 충전 커넥터(30)을 쥐기 쉽도록 그립부(30h)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충전 커넥터(30)에는,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중에 충전 커넥터(30)가 전기 자동차의 충전 포트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충전 포트에 마련된 전기 자동차의 계지(係止)부에 걸리는 계지조(係止爪)(30ga)를 구비한 금속제의 래치부(30g)가 마련되어 있다.
충전 커넥터(30)의 바디부(30a)에는, 충전 케이블(30d)이 도출되는 바디부(30a)의 배면에, 푸쉬버튼식의 해제 스위치(30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30d)에는, 전원 플러그(30e)측에 충전회로차단장치(CCID: 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40)가 부착되어 있다. 충전회로차단장치(40)는, 전기 자동차와의 접속 상태의 검출이나 누전 검출, 이상시에 있어서의 전기 자동차측과 전원측 사이의 전기적 접속의 차단을 행할 수 있다.
충전회로차단장치(40)는, 콘센트(10)측과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의 사이의 급전 경로를 온/오프하는 릴레이(도시하지 않음)와,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직방체형상의 케이스에 수납해서 구성하고 있다. 충전회로차단장치(40)는, 릴레이가 열린 상태에서는 콘센트(10)측으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경로가 차단되고, 릴레이가 닫힌 상태에서는, 콘센트(10)측으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 회로는, 파일럿 신호를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콘센트(10)측 및 충전 케이블(30d)의 정격전류를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CU에서는, 콘센트(10)측 및 충전 케이블(30d)의 정격전류에 근거한 충전 전류로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를 충전한다. 또한, 제어 회로는, 누전 등의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 릴레이를 강제적으로 열어서 급전 경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충전회로차단장치(40)의 전면에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표시등(40a)이 상하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표시등(40a)은, 각각 예를 들면, 서로 발광색이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점등 상태에 의해,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의 충전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부(1c)측이 개방되어 걸림부(1c)로부터 유지부(1b)에 걸쳐 마련된 절결부(1d)의 사이로, 배선 기구(5)에 삽입된 전원 플러그(30e)로부터 도출된 충전 케이블(30d)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배선 기구(5)에 삽입된 전원 플러그(30e)로부터 도출된 충전 케이블(30d)이 방해되는 일없이, 유지부(1b)에 충전 케이블(30d)을 감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도 3에 나타낸 콘센트(10)와 비교하여, 전원 플러그(30e)로부터 도출되는 충전 케이블(30d)이 훅부(1)에 의해 구부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원 플러그(30e)에 걸리는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충전회로차단장치(40)를 구비한 충전 케이블(30d)의 경우, 충전 케이블(30d)에 걸리는 하중이 커지므로, 충전 케이블(30d)이나 전원 플러그(30e)에 걸리는 하중을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충전 케이블(30d)의 충전회로차단장치(40)로부터 전원 플러그(30e)까지의 거리는, 30cm이내인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콘센트(10)는, 충전회로차단장치(40)를 구비한 충전 케이블(30d)이 도출되는 전원 플러그(30e)를 접속시킬 경우, 절결부(1d)에 전원 플러그(30e)로부터 도출되는 충전 케이블(30d)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충전회로차단장치(40)를 훅부(1)의 하측에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콘센트(10)는, 충전 케이블(30d)을 걸 때에 충전회로차단장치(40)가 방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충전 케이블(30d)이 도출되는 전원 플러그(30e) 와 같이, 전원 플러그(30e)의 가까이 비교적 큰 기기를 구비한 케이블이 도출되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절결부(1d)를 이용하여, 충전회로차단장치(40)에 마련한 끈(41)을 훅부(1)의 유지부(1b)에 거는 것에 의해, 전원 플러그(30e)에 걸리는 하중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절결부(1d)를 가지는 훅부(1)는, 콘센트 본체부(2)의 전면측에 마련한 것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부(2)의 배면측에 마련한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4)
이하,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를, 도 11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실시형태 3과 같이, 절결부(1d)를 가지는 훅부(1)에 더하여, 걸림부(1c)에 마련되는 절결부(1d)에 의한 개방을 막는 도어부(1e)를 가지는 점이 상이하다. 또, 도면중에 있어서 실시형태 3의 부재와 같은 부재에 대하여는, 같은 번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전원 플러그(30e)를 접속 가능한 콘센트 본체부(2)와, 콘센트 본체부(2)와 일체로 시공되어 전원 플러그(30e)의 케이블이 되는 충전 케이블(30d)을 거는 훅부(1)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훅부(1)가, 걸림부(1c)에 마련되는 절결부(1d)에 의한 개방을 막는 도어부(1e)를 가지고 있다.
도어부(1e)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판 등의 금속판에 의해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부(1e)는, 훅부(1)의 걸림부(1c)에 있어서의 개방된 절결부(1d)를 막는 닫힘 위치와, 절결부(1d)를 개방하는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자재(도 13의 (a)의 쌍방향의 화살표 참조)가 되도록, 힌지부(1f) 및 핀(1g)에 의해 좌측단부가 걸림부(1c)의 좌단부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어부(1e)의 우단부에는, 관통 구멍(1h)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걸림부(1c)에는, 도어부(1e)가 닫힘 위치에 있어서, 도어부(1e)의 관통 구멍(1h)과 동축의 관통 구멍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관통 구멍(1h')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어부(1e)와 걸림부(1c)의 관통 구멍(1h, 1h')은, 도어부(1e)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예를 들면, 맹꽁이 자물쇠(20) 등의 자물쇠에 의해, 도어부(1e)를 걸림부(1c)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훅부(1)에는, 도어부(1e)와 걸림부(1c)를 별도로 마련한 맹꽁이 자물쇠(20) 등의 자물쇠에 의해 고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훅부(1) 자체에 자물쇠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즉, 훅부(1)는, 도어부(1e)가 절결부(1d)에 의한 개방을 막은 상태에서 잠그는 자물쇠 등의 잠금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절결부(1d)를 막는 도어부(1e)를 가지는 훅부(1)는, 콘센트 본체부(2)의 전면측에 마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형태 2에 나타낸 콘센트(10)의 훅부(1)와 같이 콘센트 본체부(2)의 배면측에 마련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0)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전원 플러그(30e)의 케이블인 충전 케이블(30d)을 콘센트(10)로부터 용이하게 취할 수 없게 해서 충전 케이블(30d)의 장난이나 도난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W: 벽재 1: 훅부
1b: 유지부 1c: 걸림부
1d: 절결부 1e: 도어부
2: 콘센트 본체부 3: 패킹부
4: 부착부 7: 본체부착부
10: 콘센트 30d: 충전 케이블
30e: 전원 플러그

Claims (8)

  1. 전원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는 콘센트 본체부와, 상기 콘센트 본체부와 일체로 시공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 훅부를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 본체부는 상기 전원 플러그를 하측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훅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부로부터 늘어뜨린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훅부에 걸린 상기 케이블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유지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걸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훅부를 벽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부와 상기 벽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마련되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연장부의 상기 벽재측에는, 상기 훅부와 상기 벽재의 사이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패킹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걸림부측이 개방되고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유지부에 걸쳐 마련된 절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걸림부에 마련되는 상기 절결부에 의한 개방을 막는 도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도어부가 상기 절결부에 의한 개방을 막은 상태에서 잠금되도록 하는 잠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부와 상기 훅부가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부에 부착하기 위한 본체부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1020120055232A 2011-05-24 2012-05-24 콘센트 KR101323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5537A JP5849217B2 (ja) 2011-05-24 2011-05-24 コンセント
JPJP-P-2011-115537 2011-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113A KR20120131113A (ko) 2012-12-04
KR101323550B1 true KR101323550B1 (ko) 2013-10-29

Family

ID=4720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232A KR101323550B1 (ko) 2011-05-24 2012-05-24 콘센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49217B2 (ko)
KR (1) KR101323550B1 (ko)
CN (1) CN102801062B (ko)
TW (1) TWI4596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7572A (zh) * 2018-09-05 2018-11-06 苏州正北连接技术有限公司 应用于连接器的三重防水密封结构
JP7236693B2 (ja) * 2019-03-29 2023-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382Y1 (ko) * 2002-02-25 2002-06-20 양상진 벽고정용 콘센트
JP2007103258A (ja)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水コンセント
US7837156B1 (en) 2009-10-19 2010-11-23 Jordan Handler Cable support hook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0275U (ko) * 1979-03-28 1980-10-06
JP2001126803A (ja) * 1999-10-26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水コンセント
JP3097566U (ja) * 2003-05-01 2004-01-29 兼子 義則 盗電防止用カバー
US20050265013A1 (en) * 2004-06-01 2005-12-01 Keith Scott M Modular communications shelf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7559788B2 (en) * 2007-06-04 2009-07-14 The Nielsen Company (Us), Llc Connector retainers and methods of securing a connector in a receptacle
CN101431204A (zh) * 2008-08-27 2009-05-13 刘峰 一种具有挂钩件的墙壁开关插座
JP5285377B2 (ja) * 2008-09-30 2013-09-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給電装置
JP2010110053A (ja) * 2008-10-28 2010-05-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JP5640215B2 (ja) * 2009-08-25 2014-12-17 日東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CN201584588U (zh) * 2009-12-02 2010-09-15 安费诺精密连接器(深圳)有限公司 一种能防雷击及屏蔽大电流的线缆连接器
CN201820940U (zh) * 2010-10-21 2011-05-04 连斌 组装式翻盖托板插座面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382Y1 (ko) * 2002-02-25 2002-06-20 양상진 벽고정용 콘센트
JP2007103258A (ja)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水コンセント
US7837156B1 (en) 2009-10-19 2010-11-23 Jordan Handler Cable support hoo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01062A (zh) 2012-11-28
TW201308777A (zh) 2013-02-16
TWI459649B (zh) 2014-11-01
CN102801062B (zh) 2016-08-03
JP5849217B2 (ja) 2016-01-27
KR20120131113A (ko) 2012-12-04
JP2012243709A (ja)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5456B2 (ja) コネクタ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充電装置
KR101021618B1 (ko) 복합형 급속 충전스테이션
JP5645266B2 (ja) 電気車両用充電設備のモジュール、及び電気車両用充電設備
US7766695B1 (en) Power inlet box with removable socket mounting member
US10348019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feature
JP2011182640A (ja) 充電スタンド
KR101440802B1 (ko)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 배전반
KR101323550B1 (ko) 콘센트
JP5934579B2 (ja) 電気自動車充電コンセント装置
KR101040179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용 배선패널
JP5285377B2 (ja) 給電装置
JP6088764B2 (ja) 電動車両充電装置
US6705880B2 (en) Male plug protector for trailer wiring harness
JP2016134310A (ja) コンセント、ケーブル、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接続装置
JP6074718B2 (ja) 車両用電源供給装置及び充電スタンド
KR20170140898A (ko) 단자부 보호커버 장착 구조를 개선한 릴레이 소켓
JP6238160B2 (ja) 充電ボックス
JP2010055837A (ja) プラグ受け装置
AU2021107525A4 (en) A housing assembly for an emergency light and an emergency light including the same
US9648767B2 (en) Emergency lighting enclosure with integrated electrical box
JP5383729B2 (ja) 屋外コンセント保護用カバー
US20220271379A1 (en) Battery box
CN210350719U (zh) 一种电气线路管理盒
JPH05144506A (ja) 防雨形ジヨイントボツクス
CN108860418B (zh) 电动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