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506B1 -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506B1
KR101323506B1 KR1020110078112A KR20110078112A KR101323506B1 KR 101323506 B1 KR101323506 B1 KR 101323506B1 KR 1020110078112 A KR1020110078112 A KR 1020110078112A KR 20110078112 A KR20110078112 A KR 20110078112A KR 101323506 B1 KR101323506 B1 KR 10132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cell
hydrochloric acid
chamber
electrode plate
hypochlorous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840A (ko
Inventor
안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전해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전해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전해수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7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5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7DC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의 차아염소산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세정과 살균력이 높은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극성이 같은 양측 전극판(11)과 양측 전극판(11)과는 극성이 다른 중앙 전극판(12)에 의해 구획된 1,2실(10a)(10b)을 구비하는 전해조(10); 상기 전해조(10)의 1실(10a)로 정량의 희염산을 공급하는 염산공급부(20); 상기 전해조(10)의 2실(10b)로 원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30); 상기 전해조(10)의 1실(10a)과 2실(10b)에서 각각 전해된 수용액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희석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전해조(10)의 1실(10a)에 2~9% 희염산을 투입하여 전해하고, 전해조(10)의 2실(10b)에 원수를 투입하여 전해한 후, 상기 전해조(10)의 1실(10a)과 2실(10b)에서 각각 전해된 수용액을 희석조(40)로 투입 혼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light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본 발명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차아염소산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세정과 살균력이 높은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는 염산 또는 식염수를 전기분해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차아염소산(HOCl)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액이다.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는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격막으로 분리된 양극 및 음극에 의해 구성된 유격막 전해조 내에서 전해해서 양극 측으로부터 얻어지는 수용액이며,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2~6% 염산을 격막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양극과 음극에 의해 구성된 무격막 전해조 내에서 얻어지는 수용액으로서 과실류나 채소류 등 식품과 기구 등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일가염화물의 전해에 의하여 차아염소산(HOCl)을 10 내지 200ppm 함유하고, pH가 5.0 이상 6.5 이하의 수용액으로서 살균소독제로 사용될 수 있다.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는 소금을 전해질로 하여 유격막 전해조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염산액을 전해질로 하여 무격막 전해조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동일한 유효염소농도 하에서는 강산성 차아염소산수가 낮은 pH, 높은 산화전위 등으로 다른 것보다 높은 살균력을 보이고 있으나, 유효염소의 안전성에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우수하다.
차아염소산수는 기존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ㅣ)에 비하여 생체독성이 낮으면서 살균력은 80~100배 강하며, 식품재료에 이미,이취를 남기지 않으며, 환경부하가 적고, 작업자에게 위해를 주지 않는 점 등으로 인해 식품위생관리에 있어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살균소독제로서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종래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는, 판형 또는 튜브형 2개의 전극을 사용하여 양극과 음극이 대향되어 있는 1실형 무격막 전해조 내에 염산을 원수에 첨가하여 공급하고, 직류 전류를 공급하여 전해하여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고, 원수를 희석하여 용도에 맞춰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는 고농도, 대량생산이 어렵고, 미분해 염화물이 존재할 우려가 있었다.
즉, 염산과 원수를 쉽게 결합하기 위해서는 물의 클러스터를 작게 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염산만 전기분해하고 원수는 전기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희석하였기 때문에, 물의 클러스터가 커서 고품질의 수용액을 생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로 인해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과 미분해 염화물이 존재하여 침투력이 낮아 세정과 살균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2HCl + H2O → HOCl + HCl + H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고품질의 차아염소산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세정과 살균력이 높은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전해조의 내부 양측과 중앙에 서로 극성이 달리하는 3개의 전극판을 “음극-양극-음극” 또는 “양극-음극-양극” 순서로 배치하여 서로 구획된 1실과 2실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전해조의 1실에 염산공급부로 정량의 희염산을 공급하며, 상기 전해조의 2실에 물공급부로 원수를 공급하고, 상기 전해조의 1실과 2실에서 각각 전해된 수용액을 희석조로 혼합하여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전해조의 1실에 2~9% 희염산을 투입하여 전해하고, 전해조의 2실에 원수를 투입하여 전해한 후, 상기 전해조의 1실과 2실에서 각각 전해된 수용액을 희석조로 투입 혼합하여 생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희염산과 원수를 각각 전해한 후 혼합하여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물의 클러스터를 작게 하여 고품질의 차아염소산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미분해 염화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세정과 살균력이 높은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 배치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극성이 같은 양측 전극판(11)과 양측 전극판(11)과는 극성이 다른 중앙 전극판(12)에 의해 구획된 1,2실(10a)(10b)을 구비하는 전해조(10); 상기 전해조(10)의 1실(10a)로 정량의 희염산을 공급하는 염산공급부(20); 상기 전해조(10)의 2실(10b)로 원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30); 상기 전해조(10)의 1실(10a)과 2실(10b)에서 각각 전해된 수용액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희석조(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해조(10)는 희염산과 원수를 각각 전기분해하여 전해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전해조(10)의 내부 양측과 중앙에는 서로 극성이 달리하는 3개의 전극판(11)(12)이 배치되고, 양측 전극판(11)과 중앙 전극판(12) 사이에는 서로 구획된 1,2실(10a)(10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 전극판(12)은 전극의 역할과 1실(10a)과 2실(10b)을 구획하는 격벽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전해조(10)의 1실(10a)에는 염산공급부(20)와 희석조(40)에 연결되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고, 2실(10b)에는 물공급부(30)와 희석조(40)에 연결되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된다.
상기 전극판(11)(12)은 두께 2㎜ 티타늄판에 백금을 도금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크기는 60×120㎜로 이루어지며, 전극판(11)(12)에는 전해를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장치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양측 전극판(11)은 음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전극판(12)은 양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개의 전극판(11)(12)은 “음극-양극-음극” 순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양측 전극판(11)은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전극판(12)은 음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개의 전극판(11)(12)은 “양극-음극-양극” 순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측 전극판(11)과 중앙 전극판(12)은 3㎜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전극판(11)(12)에는 6V의 직류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산공급부(20)는 전해조(10)의 1실(10a)로 정량의 희염산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염산공급부(20)에는 희염산을 정량공급하는 정량펌프(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희염산은 염산원액(농도38%)을 정제수에 희석하여 6% 희염산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물공급부(30)는 전해조(10)의 2실(10b)로 원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물공급부(30)에는 원수의 부유물을 제거하는 필터(31)와, 원수를 공급하는 펌프(32)와, 원수의 공급량을 2~4리터로 조절하는 수동밸브(33)와, 전원의 공급 시에만 원수를 공급토록하는 전자밸브(34)와, 원수의 공급량을 관찰할 수 있는 플로미터(35)와, 정상적으로 원수가 공급되는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36)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며, 원수는 수돗물(경도70ppm, pH 7.5)을 분당 4리터로 공급하고, 희염산은 원수의 1/2000로 정량공급하여 전기분해하면 염소농도 30ppm, pH 6.0 차아염소산수 240리터/시간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희석조(40)는 전해조(10)의 1실(10a)과 2실(10b)에서 각각 전해된 수용액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희석조(40)에는 전해조(10)의 1실(10a)과 2실(10b)에서 각각 전해된 수용액이 투입된다. 이때, 상기 희석조(40)에는 혼합된 수용액을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은, 전해조(10)의 1실(10a)에 2~9% 희염산을 투입하여 전해하고, 전해조(10)의 2실(10b)에 원수를 투입하여 전해한 후, 상기 전해조(10)의 1실(10a)과 2실(10b)에서 각각 전해된 수용액을 희석조(40)로 투입 혼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희염산은 염산공급부(20)의 정량펌프(21)에 의해 전해조(10)의 1실(10a)로 정량만큼 투입되고, 이와 같이 전해조(10)의 1실(10a)로 정량 투입된 2~9% 희염산은 1실(10a)에 배치된 일측 전극판(11)과 중앙 전극판(12)에 의해 전기분해되며, 전기분해된 희염산 수용액은 희석조(40)로 투입된다.
원수는 물공급부(30)의 필터(31),펌프(32),수동밸브(33),전자밸브(34),플로미터(35),압력센서(36)를 거쳐 전해조(10)의 2실(10b)로 투입되고, 이와 같이 전해조(10)의 2실(10b)로 투입된 4리터 원수는 2실(10b)에 배치된 중앙 전극판(12)과 타측 전극판(11)에 의해 전기분해되며, 전기분해된 원수 수용액은 희석조(40)로 투입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조(10)의 2실(10b)을 통해 원수도 전해되기 때문에 물의 클러스터가 작아지고, 이에 의해 원수 수용액과 희염산 수용액이 쉽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미분해 염화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전해조(10)의 1실(10a)과 2실(10b)에서 각각 전해된 상태에서 희석조(40)로 투입된 희염산과 원수 수용액은 혼합되어 차아염소산수 수용액으로 생성되고, 이와 같이 희석조(40)에서 혼합되어 생성된 차아염소산수 수용액은 희석조(40)의 토출구로 토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 방식의 크기와 소비전력으로 2000배의 량을 생성할 수 있으며, 원수를 별도로 전기분해 과정을 거침으로 물의 클러스터를 작게 하여 고품질의 수용액이 생성되어 침투력이 높아 세정과 살균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HCl → 2H + 2Cl
Cl2 + H2O → HOCl + HCl
10 : 전해조 10a : 1실
10b : 2실 11,12 : 전극판
20 : 염산공급부 21 : 정량펌프
30 : 물공급부 31 : 필터
32 : 펌프 33 : 수동밸브
34 : 전자밸브 35 : 플로미터
36 : 압력센서 40 : 희석조

Claims (6)

  1. 극성이 같은 양측 전극판(11)과 양측 전극판(11)과는 극성이 다른 중앙 전극판(12)에 의해 구획된 1,2실(10a)(10b)을 구비하는 전해조(10); 상기 전해조(10)의 1실(10a)로 정량의 희염산을 공급하는 염산공급부(20); 상기 전해조(10)의 2실(10b)로 원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30); 상기 전해조(10)의 1실(10a)과 2실(10b)에서 각각 전해된 수용액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희석조(40)를 포함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전극판(11)은 음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전극판(12)은 양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전극판(11)은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전극판(12)은 음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전극판(11)과 중앙 전극판(12)은 3㎜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전극판(11)(12)에는 6V의 직류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산공급부(20)에는 희염산을 정량공급하는 정량펌프(21)가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부(30)에는 필터(31),펌프(32),수동밸브(33),전자밸브(34),플로미터(35),압력센서(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6. 삭제
KR1020110078112A 2011-08-05 2011-08-05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2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112A KR101323506B1 (ko) 2011-08-05 2011-08-05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112A KR101323506B1 (ko) 2011-08-05 2011-08-05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840A KR20130015840A (ko) 2013-02-14
KR101323506B1 true KR101323506B1 (ko) 2013-10-29

Family

ID=4789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112A KR101323506B1 (ko) 2011-08-05 2011-08-05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5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94B1 (ko) 2018-05-23 2019-01-09 박세웅 차아염소산수 살균 장치
KR102536412B1 (ko) 2022-01-26 2023-05-26 주식회사 세니젠 차아염소산과 피트산을 포함하는 내생포자 사멸용 조성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73259B1 (ko) 2022-07-14 2023-08-30 박범진 가정용 싱크대 빌트인 타입의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521A (ko) 2021-02-25 2022-09-0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산성차아염소산 제조를 위한 유입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입수 전처리 방법
KR20230101306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한빛 차아염소산수 제조 시스템
KR20230101309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한빛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2550A (ja) 1998-07-31 2000-02-15 Toto Ltd 電気分解槽
JP2007313489A (ja) * 2006-05-23 2007-12-06 Hokuetsu:Kk 殺菌用水製造装置
KR100883894B1 (ko) * 2008-02-12 2009-02-17 한국코스믹라운드(주)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제조방법
KR100970708B1 (ko) 2009-09-01 2010-07-16 한국코스믹라운드(주)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제조방법 및 미산성 차아염소수산수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2550A (ja) 1998-07-31 2000-02-15 Toto Ltd 電気分解槽
JP2007313489A (ja) * 2006-05-23 2007-12-06 Hokuetsu:Kk 殺菌用水製造装置
KR100883894B1 (ko) * 2008-02-12 2009-02-17 한국코스믹라운드(주)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제조방법
KR100970708B1 (ko) 2009-09-01 2010-07-16 한국코스믹라운드(주)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제조방법 및 미산성 차아염소수산수의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94B1 (ko) 2018-05-23 2019-01-09 박세웅 차아염소산수 살균 장치
KR102536412B1 (ko) 2022-01-26 2023-05-26 주식회사 세니젠 차아염소산과 피트산을 포함하는 내생포자 사멸용 조성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73259B1 (ko) 2022-07-14 2023-08-30 박범진 가정용 싱크대 빌트인 타입의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840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8413B1 (en) A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method and a generator therefor
KR101323506B1 (ko)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02361B1 (ko) 전해살균 소독수 공급장치
US20150329385A1 (en) A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method and a generator
JPH0494785A (ja) 殺菌水製造方法及び装置
WO200604208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lyzed water
CN106029581B (zh) 游离氯浓度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以及使用该方法和装置的杀菌方法和杀菌装置
CN204873953U (zh) 电解水生成装置
KR100883894B1 (ko)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제조방법
JPH07155760A (ja) 電解水製造装置
KR101436139B1 (ko) 차아염소산용액 생성용 염수의 전기분해장치
JP4597263B1 (ja) 電解水製造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電解水の製造方法
CN205710944U (zh) 一种制备次氯酸的电解装置
KR200392719Y1 (ko) 식품용 살균수 제조장치
JP5678000B2 (ja) 洗浄水の製造方法
KR20130077099A (ko) 저수탱크 살균 기능을 갖는 정수 및 이온수 제공 장치
KR101313698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CN105734603B (zh) 一种制备次氯酸的电解装置及电解方法
JP2002153874A (ja) 殺菌水製造方法と殺菌水製造装置
JP3205527B2 (ja) 弱酸性殺菌水及び弱アルカリ性水の製造方法
KR100496152B1 (ko) 전기분해수 제조장치 및 방법
WO2022014127A1 (ja) 電解水生成装置
JPH11319831A (ja) 電解機能水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9253651A (ja) 殺菌水製造装置および殺菌水の製造方法
KR20120001197A (ko) 미산성 차아염소산 용액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