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309A -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309A
KR20230101309A KR1020210191301A KR20210191301A KR20230101309A KR 20230101309 A KR20230101309 A KR 20230101309A KR 1020210191301 A KR1020210191301 A KR 1020210191301A KR 20210191301 A KR20210191301 A KR 20210191301A KR 20230101309 A KR20230101309 A KR 20230101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ochlorous acid
acid water
water
spraying
infl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보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
Priority to KR102021019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309A/ko
Publication of KR2023010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05B12/006Pressure or flow rat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제로 유기물을 제거한 유입수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며,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융합되어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의 내부 동작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은 전처리 장치로 차아염소산수 제조를 위한 유입수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단계;와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로 상기 전처리 장치를 통과한 유입수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단계;와 분무장치로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를 공급받아 분무하는 분무단계;와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며, 주변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센서 및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카메라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무장치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자동조절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Hypochlorous Acid Water}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제로 유기물을 제거한 유입수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며,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융합되어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의 내부 동작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평균수명 증가는 의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위생적인 상수도의 보급이 큰 기여를 하였으며 안전하고 위생적인 상수도보급은 염소를 활용한 소독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 국내 정수처리공정에서도 소독공정에 염소가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과거에는 대부분 소독공정에서 염소가스(chlorine gas)를 액화시킨 액화염소(liquefied chlorine gas)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액화염소는 독성이 강한 고압가스 형태로 유해화학물질로 취급되고 있어 최근 액화염소와 동일한 소독성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안전하고 안정적인 차아염소산을 소독제로 대체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는 염산 또는 식염수를 전기분해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차아염소산(HOCl)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액이다.
차아염소산수는 pH 및 유효염소에 따라 강산성 차아염소산(pH 2.7 이하), 약산성 차아염소산(pH 2.7~5)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pH 5~6.5)으로 분류된다.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는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격막으로 분리된 양극 및 음극에 의해 구성된 유격막 전해조 내에서 전해해서 양극 측으로부터 얻어지며,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2~6% 염산을 격막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양극과 음극에 의해 구성된 무격막 전해조 내에서 얻어지는 수용액으로서 과실류나 채소류 등 식품과 기구 등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되며, 실생활에 가장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염산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분해 중에 발생하는 생성물이 전해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든 접합면을 용접시켜 밀폐시킨 후 내부에서 전기분해 및 혼합을 시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고 있다.
종래의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는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때의 내부 동작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술의 적용부재로 생산량, 염산 공급량, 작동상황 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아염소산을 제조함에 있어 전해처리대상 유입수의 성상은 전해처리효율 및 차아염소산의 생성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유입수의 유기물의 함량 및 성상을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고율로 차아염소산을 제조하고, 차아염소산을 제조함에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방법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13487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15840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10700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제로 유기물을 제거한 유입수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며,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융합되어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의 내부 동작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은 전처리 장치로 차아염소산수 제조를 위한 유입수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단계;와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로 상기 전처리 장치를 통과한 유입수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단계;와 분무장치로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를 공급받아 분무하는 분무단계;와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며, 주변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센서 및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카메라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무장치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자동조절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유입수가 저장되는 유입수 저장탱크;와 상기 유입수 저장탱크의 유입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와 내부에 유기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가 수용되며, 상기 공급펌프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통과되는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전처리 장치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분무장치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수의 생산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모듈은 흡착제를 고정하기 위한 메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에 의하면, 차아염소산 제조를 위한 유입수의 유기물을 흡착제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유입수의 성상을 일정하게 만들어 차아염소산을 고율로 안정적으로 생성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융합되어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의 내부 동작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장치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전해조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전해조의 반응조를 분리시켜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전해조의 반응조 내부에 흐르는 염소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전해조의 반응조 및 희석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전해조의 공급관 및 출수관을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가 구비된 차아염소산 발생 실험장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를 통과한 수돗물의 DOC 함량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전처리 장치가 구비된 차아염소산 발생 실험장치에서 미산성차아염소산 발생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제로 유기물을 제거한 유입수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며,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융합되어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의 내부 동작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은 차아염소산수 제조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도 2는 차아염소산수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아염소산수 제조시스템은 전처리 장치(60),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10), 제어부(20), 분무장치(30), 카메라(40), 환경센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은 전처리 장치로 차아염소산수 제조를 위한 유입수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단계와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로 상기 전처리 장치를 통과한 유입수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단계와 분무장치로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를 공급받아 분무하는 분무단계와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며, 주변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센서 및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카메라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무장치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자동조절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전처리 단계에서는 전처리 장치로 차아염소산수 제조를 위한 유입수를 전처리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장치(60)의 예시도로, 도 3(A)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를 위한 유입수 전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수 제조를 위한 유입수 전처리 장치에 메쉬가 배치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전처리 장치(60)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10)의 선단에 배치되어 차아염소산수 제조를 위한 유입수를 전처리하는 장치로, 유입수가 저장되는 유입수 저장탱크(61)와 상기 유입수 저장탱크의 유입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62)와 내부에 유기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64)가 수용되며, 상기 공급펌프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통과되는 흡착모듈(63)을 포함한다.
유입수 저장탱크(61)는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기 위한 유입수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으로 상기 유입수는 수돗물, 지하수, 유기물을 포함하는 원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펌프(62)는 유입수 저장탱크(61)와 흡착모듈(63)을 연결하는 연결관에 형성되어 유입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저장된 유입수를 흡착모듈(63)로 이송시키기 위한 압력을 공급한다. 상기 공급펌프는 유입수를 2 내지 5 kgf/㎠ 의 압력으로 흡착모듈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유입수가 수돗물일 경우 별도 동력의 공급없이 수돗물 자체 압력으로 흡착모듈로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흡착모듈(63)은 내부에 유기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64)가 수용되며, 상기 공급펌프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통과되며, 이때 유입수는 분당 2~ 17 L 로 흡착모듈을 통과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 따른 흡착모듈(63)은 일측에서 유입수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유기물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 형상을 갖는 수용공간인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수용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는 흡착제(64)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제(64)는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흡착제의 평균입경은 10 내지 100 ㎛, 비표면적은 10 내지 100㎡/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착제(64)의 평균입경이 10 ㎛ 미만이거나 비표면적이 100㎡/g를 초과할 경우 수용부 내부 압력이 높아져 유입수가 통과되기 어렵고, 잦은 흡착제 오염이 발생하여 도리어 유기물 제거율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며, 평균입경이 100 ㎛을 초과하거나 비표면적이 10㎡/g 미만일 경우 유기물 제거율이 낮기 때문에 상기 평균입경 및 비표면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착제(64)는 평균입경 20 내지 40 ㎛, 비표면적 20 내지 40㎡/g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착제(64)는 수용부 내부 공간의 30 내지 95%를 차지하도록 충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를 차지하도록 충진될 수 있는데, 상기 충진범위 내에서 유지관리보수가 용이하고, 유기물 제거 효율이 우수하다.
제 2실시예에 따른 흡착모듈(6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흡착모듈(63)에 메쉬(65)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메쉬(65)는 흡착제를 고정하거나 자체적으로 여과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쉬(65)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레이온, 나일론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천연섬유는 면(cotton), 양모(wool), 마(linen), 견섬유(silk)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메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쉬(65)는 배출구에 형성되어 처리수 배출시 흡착제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거나(도 3(B) 왼쪽에 도시), 배출구와 유입구 모두에 배치되거나(도 3(B) 가운데에 도시) 흡착제를 수용한 후 적층된 흡착제의 상부에 배치하거나(도 3(B) 오른쪽에 도시)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메쉬(65)는 1 내지 100 ㎛의 기공크기는 갖는 것을 사용하되, 흡착제의 평균입경보다 작은 기공크기를 갖는 메쉬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메쉬(65)는 다공성 나노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나노입자는 유입수에 잔여하는 미세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나노입자는 메쉬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10 내지 500 nm 이며, 영가철, 자성철, 이원금속철, 탄소나노튜브,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산화지르코늄, 산화텅스텐, 산화바나듐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나노입자는 메쉬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 메쉬 필라멘트 원사 자체에 포함하는 방법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메쉬 필라멘트 원사 자체에 포함하는 방법은 섬유 조성물에 다공성 나노입자를 투입한 후 전계방사하여 다공성 나노입자가 포함된 필라멘트 원사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장치(60)는 흡착모듈(63)을 통과한 처리수의 유기물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미도시)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처리수의 유기물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유입수 저장탱크로 처리수를 이송하는 순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에서는 흡착모듈을 통과한 처리수의 유기물 농도를 측정하게 되며, 유기물 농도는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이하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이하 COD), 총 유기탄소량(Total Organic Carbon, 이하 TOC)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유기물함량 지표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에서는 측정된 처리수의 유기물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흡착제의 교체 및 재생시기를 연동된 알림부(미도시)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에서는 측정된 처리수의 유기물 농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센서부와 연동된 순환부에서 처리수를 유입수 저장탱크로 이송하여 흡착모듈을 통과시킴으로써 재순환공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아염소산수 제조단계에서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로 상기 전처리 장치를 통과한 유입수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게 되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10)는 상기 전처리 장치(60)를 통과한 유입수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기 위한 전극판이 전해조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전극판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 전해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분무단계에서는 분무장치로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를 공급받아 분무하게 된다.
분무장치(30)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10)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를 공급받아 분무하는 장치이다.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10)가 방역, 살균, 탈취를 위해 축사 등에 설치될 경우, 분무장치(30)를 통해 출입하는 차량이나, 배설물, 악취발생장소에 차아염소산수를 분사한다.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며, 주변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센서 및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카메라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무장치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자동조절하게 되며, 상기 제어단계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환경센서(50)는 주변환경정보를 수집하는데,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황화수소를 감지하는 센서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40)는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객체를 인식하는데, 접근하는 차량, 동물, 사람을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20)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10)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며, 환경센서(50) 및 카메라(40)의 정보를 토대로 분무장치(30)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제어한다. 제어부(20)는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1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거나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카메라(40)의 객체인식정보를 바탕으로 접근하는 차량, 동물, 사람을 인식한 후 분무장치(30)를 자동 제어하여 차아염소산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환경센서(50)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황화수소 수치를 고려하여 특정 조건에서 분무장치(30)를 제어하여 차아염소산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분무장치(30)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고려하여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10)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수의 생산속도를 자동조절 할 수 있다.
상술한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은 온습도의 확인과 조절을 통해 최적의 생육환경 조성할 수 있고, 차아염소산수(HOCL)의 강력한 살균력으로 위생환경 개선할 수 있으며, 차아염소산수의 강력한 탈취력으로 악취제거 및 주변 민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은 차아염소산수 생성과정에서 자동/수동 조절 기능, 염산공급량 조절, 생산전류확인, 원수공급밸브 자동개폐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은 차아염소산수 분사과정에서 자동/수동 조절 기능, 스프링클러 작동시간 표시 및 조정, 분사시간, 동작간격, 온도 설정, 대기시간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은 고수위, 염산저수위, 생산온도 표시, DC전류, 전압, 원수공급량, 총생산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시간당 1TON의 HOCL생성량, 온, 습도, CO2, 암모니아, 황화수소 수치 측정값 표시 및 기록하고, 스마트폰 앱, PC를 통해 온, 습도, 환경 등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를 지원한다.
또한,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은 외부의 시스템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경제어시스템(온풍기, 환풍기, 분무기), CCTV영상정보수집, 생육환경저장, 번식정보 수집(입식일 알림, 발정탐지, 체크), 환경정보수집(조도, 풍향, 풍속), 생산정보수집(체중측정) 시스템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농정원 시스템과도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 전해조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220)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 전해조는 전면은 개구되어 있고 내부는 비어 있는 사각형 형태의 희석조(100)와, 희석조(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염산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물을 형성하는 반응조(200)와, 희석조(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반응조(200)로부터 형성된 생성물과 1차로 혼합시켜 수용액을 형성한 후 희석조(10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관(300)과, 희석조(100) 내부에 형성되며 희석조(100) 내부에 저장된 수용액을 2차로 혼합시켜 농도가 일정한 상태의 수용액을 배출하는 출수관(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희석조(100)는 공급관(300)으로부터 배출된 수용액을 저장하여 희석조(100) 내부에 저장된 수용액의 농도가 삼투압에 의해 균일해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희석조(100)는 내부에 차아염소산수를 임시로 저장하고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다수 개의 격판(110)을 서로 연결하여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사각형 형태로 구성한 후 후면에는 후면커버(120)를 결합하여 희석도의 후면을 밀폐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희석조(100)의 개구된 전면에는 염산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반응조(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반응조(200)는 다수 개의 체결부재(500)에 의해 희석조(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희석조(100)의 전면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500)는 스테인리스 헬리코일을 이용하여 염산에 의해 나사산이 부서지거나 부식되는 단점을 보완하였으며, 체결부재(500)에 테프론테이프를 감아 체결부재(500)의 나사산을 따라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조(200)는 전극판(220)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정량펌프를 통해 펄스로 투입되는 염산을 전기분해하여 수소가스와 염소가스로 이루어진 생성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반응조(200)에 투입되는 염산은 반응조(200) 내부에서 전기분해된 후 희석조(100) 내부로 이동되게 되므로, 희석조(100) 내부에 염산이 직접적으로 투입되지 않아 생성된 차아염소산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응조(200)를 구성하는 결합커버(210)의 전면에는 다수 개의 체결부재(500)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커버(210)의 전면 중앙에는 염산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212)이 형성되고, 투입홀(212)의 양측에는 전극판(220)에 전력을 가하기 위한 음극볼트(224)와 양극볼트(222)가 형성되어 있다.
반응조(200)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도면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공급관(300)은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반응조(200)로부터 생성된 생성물을 원수와 혼합시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희석조(1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희석조(100)의 상부 일측에서 원수를 공급받아 희석조(100)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이때 공급관(300)은 반응조(200)로부터 공급되는 생성물을 원수와 1차 혼합시켜 수용액을 형성한 후 희석조(100) 내부로 배출하게 된다.
희석조(100) 내부에 투입되는 수용액은 임시 저장되며, 저장된 수용액의 삼투압에 의해 농도가 전반적으로 균일해질 수 있게 되므로, 농도가 균일한 상태의 수용액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출수관(400)은 희석조(100) 내부에 저장된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액을 출수관(400) 내부로 유입시키면서 수용액에 와류를 발생시켜 농도를 맞추면서 미희석된 염소가스가 원수에 희석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출수관(400)은 외부에 형성된 펌프와 연결되어 있어 희석조(100) 내부에 저장된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220)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 전해조의 반응조(200)를 분리시켜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220)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 전해조의 반응조(200) 내부에 흐르는 염소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220)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 전해조의 반응조(200)는 희석조(100)의 전면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염산을 투입 받을 수 있도록 투입홀(212)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염산이 통과될 수 있도록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커버(210)와, 삽입홈(211)에 형성되며 삽입홈(211)을 통과하는 염산을 전기분해시켜 염소가스와 수소가스로 이루어진 생성물을 생성하는 전극판(220)과, 결합커버(2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삽입홈(211)을 밀폐시키고 생성물을 이송관(243)을 통해 공급관(300) 내부로 이동시키는 지지판(2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커버(210)는 도 4에 형성된 희석조(100)의 격판(1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홀이 전면에서 후면 방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희석조(100) 내부 방면으로 형성되는 결합커버(210)의 내측면에는 전극판(2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홈(211)은 전극판(220)을 구성하는 양극판(221)과 음극판(223)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전극판(220)이 삽입홈(211)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판(220)은 양극판(221)과 음극판(223)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두 극판 모두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양극판(221)은 하단 일측이 돌출된 후 도 4의 양극볼트(2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극홀(214)이 형성되고, 음극판(223)은 파단 타측이 돌출된 후 도 4의 음극볼트(2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음극홀(2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극판(221)과 음극판(223)은 전기분해를 위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양극판(221)과 음극판(223) 사이에 염산이 이동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음극판(223)의 하단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홈(211)은 높낮이를 서로 다르게 위치되도록 하는 이격단차(213)가 형성되어 있어 음극판(223)이 삽입되었을 때 이격단차(213)의 높이만큼 음극판(223)과 양극판(221) 사이가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극판(221)과 음극판(223)은 각각 양극볼트(222)와 음극볼트(224)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양극판(221)은 삽입홈(2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음극판(223)은 지지판(240)의 전면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지지판(240)은 결합커버(2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커버(210)와 내측면 사이에 위치된 전극판(220)을 고정시키고, 염산이 결합커버(210)의 투입구로부터 투입되었을 때 결합커버(210)와 지지판(240) 사이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지지판(240)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패킹오링(242)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커버(210)와 지지판(240)이 밀착되었을 때 패킹오링(242)이 압착되면서 결합커버(210)와 지지판(240) 사이의 틈새를 메워 염산이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염산은 전극판(220) 사이로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판(240)과 결합커버(210)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도 4의 체결부재(500)가 결합커버(210)와 지지판(240)을 서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판(240)에는 전극판(220)에 의해 전기분해된 생성물이 반응조(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송홀(241)이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커버(210)의 투입홀(212)로부터 염산이 투입되면 삽입홈(211)에 형성된 전극판(220) 사이로 염산이 이동되면서 전기분해되고, 전기분해로 인해 생성된 생성물은 지지판(240)의 이송홀(241)을 통해 반응조(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220)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 전해조의 반응조(200) 및 희석조(100)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220)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 전해조의 공급관(300) 및 출수관(400)을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220)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 전해조의 반응조(200)는 체결부재(500)에 의해 희석조(100)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전기분해에 의해 부산물이 전극판(220)에 형성되어 전기분해 효율이 감소되는 경우 반응조(200)만 분리시켜 전극판(220)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조(200)의 전면이 개구된 희석조(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반응조(200)의 결합커버(210)와 희석조(100)의 격판(110)에는 체결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부재(500)는 결합커버(210)를 관통하여 격판(11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결합커버(210)와 접촉되는 격판(110)에는 희석조(100) 내부에 저장된 수용액이 결합커버(210)와 격판(11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밀오링(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밀오링(111)은 결합커버(210)가 격판(110)에 밀착되면 결합커버(210)에 의해 압착되면서 결합커버(210)와 격판(110)사이의 틈새를 메워 수용액이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500)는 결합커버(210)와 지지판(240)을 서로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되며, 결합커버(210)와 지지판(240) 사이에는 패킹오링(242)이 형성되어 있어 반응조(200) 내부에 투입되는 염산 또는 전기분해되어 생성된 생성물이 결합커버(210)와 지지판(240) 사이의 틈새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체결부재(500)에 의해 반응조(200)가 희석조(100)에 탈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전극판(220)이 손상되거나 이물질이 쌓여 청소가 필요한 경우 체결부재(500)를 풀어 반응조(200)를 희석조(100)로부터 분리시키고, 지지판(240)을 결합커버(210)로부터 분리한 후 전극판(220)을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전극판(220)을 쉽게 변경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염산을 전기분해하는 전극판(220)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며,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해조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희석조(100)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120)도 체결부재(500)에 의해 격판(1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희석조(100) 내부에 형성된 공급관(300)이나 출수관(400)을 유지보수하기 용이하다.
후면커버(120)와 격판(110)이 서로 밀착되는 부위에도 수밀오링(111)이 형성되어 있어 희석조(100) 내부의 수용액이 후면커버(120)와 격판(110) 사이의 틈새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조(200)는 염산을 전기분해하면서 생성되는 수소가스와 염소가스를 공급관(300)의 하부로 공급함으로써 기체 상태 생성물이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혼합을 촉진시키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조(200)에서 염산이 투입되면 전극판(220) 사이로 이동되면서 전기분해되어 기체 상태인 수소가스와 염소가스로 이루어진 생성물이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생성물은 지지판(24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관(243)을 통해 공급관(300)의 하단으로 이송되고, 기체 상태의 생성물은 원수 속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며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원수에 용해되어 혼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포가 발생되면서 원수는 주변으로 퍼지면서 대류를 일으킬 수 있게 되며, 생성물과 접촉되지 않은 원수와 접촉될 수 있는 기회가 더욱 많아지므로 원수와 접촉되는 시간 및 면적을 증가시켜 더욱 많은 수용액(차아염소산수)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급관(300)은 희석조(100)의 상부 일측에서 희석조(100)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단에는 원수가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공급홀(311)이 형성되어 있는 공급챔버(310)와, 희석조(100) 내부에서 공급챔버(3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생성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원수와 생성물을 혼합시킨 후 상단 측면에 형성된 배출홀(321)을 통해 희석조(100) 내부로 배출시키는 혼합챔버(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급챔버(310)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희석조(10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한 후 하단이 희석조(100)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측면에는 원수가 측면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공급홀(311)이 형성되어 있다.
혼합챔버(3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있어 내부에 공급챔버(3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측면으로 수용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홀(3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반응조(200)로부터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생성물이 투입되기 위한 이송관(243)이 연결되어 있다.
즉, 공급챔버(31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와 반응조(200)로부터 생성된 기체 상태의 생성물은 혼합챔버(320) 내부로 투입되어 혼합되게 되며, 기체 상태의 생성물은 상부 방면으로 이동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원수와 접촉되는 면적 및 시간을 증가시키고, 원수에 용해되어 원수와 혼합되게 된다.
혼합챔버(320) 내부에는 생성물에 의한 기포가 발생되므로 기포에 의해 원수가 대류를 일으키면서 생성물과 접촉되지 못한 원수가 생성물과 접촉되면서 수용액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혼합챔버(320)내에서 생성물과 원수가 체류하게 되면서 수용액이 형성되면 혼합챔버(320)의 배출홀(321)을 통해 희석조(100) 내부로 이동하게 되며, 희석조(100) 내부에 수용액이 저장되면 삼투압 현상에 의해 희석조(100) 내부의 수용액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희석조(100) 내부에 저장된 수용액은 출수관(400)을 통해 희석조(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출수관(400)은 희석조(100)의 상부 타측에서 희석조(100)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단에는 수용액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출수홀(421)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챔버(420)와, 희석조(100) 내부에서 배출챔버(4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단 측면에는 희석조(100) 내부에 저장된 수용액이 투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411)이 형성되어 있어 수용액이 투입되면서 와류를 발생시켜 농도가 균일해지도록 혼합시킨 후 배출챔버(420)로 이동시키는 와류챔버(4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수관(400)은 배출챔버(420)와 와류챔버(410)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챔버(420)는 외부에 형성된 펌프와 연결되어 희석조(100) 내부에 저장된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배출챔버(420)의 하부면에는 배출챔버(420)로 수용액이 유입되기 위한 출수홀(421)이 형성되어 있다.
와류챔버(4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있어 내부에 배출챔버(4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측면에는 희석조(100)에 저장된 수용액이 와류챔버(4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411)이 형성되어 있다.
희석조(100)에 저장된 수용액은 원수 및 생성물이 공급관(300)에 공급되면서 희석조(100)로 공급되면 희석조(100) 내부에 채워진 수용액이 와류챔버(410) 내부로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와류챔버(410)의 유입홀(411)을 통해 수용액이 유입될 때 와류를 발생시켜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생성물과 원수를 2차로 혼합시키게 된다.
이때 와류챔버(410)는 수용액이 상단 측면으로 유입되고 배출챔버(4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출수홀(421)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와류를 발생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와류챔버(410) 내부에 다수 개의 돌기를 형성시켜 이동 경로 중에 와류가 보다 활성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의 교체가 용이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용 사각 전해조에 의하면, 전해조를 분해하여 전극판 및 내부 손상된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뛰어나며, 전기분해된 생성물이 원수와 혼합되는 시간을 증가시켜 차아염소산수의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염산이 이동되는 경로에 전극판을 형성함으로써 염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되는 염산이 전기분해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공급관(300)에는 제1 도플러 센서 및 제2 도플러 센서가 구비되고, 출수관(400)에는 제3 도플러 센서 및 제4 도플러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도플러 감지센서는 마이크로파 신호가 움직이는 대상에 부딪히면, 이 신호의 주파수는 도플러 효과에 의해 주파수 변화가 발생한다. 만약, 움직임이 발생한다면, 움직임에 따라 마이크로파 신호의 위상변화가 있게 된다. 도플러 감지센서는 송신부 및 수신부가 쌍으로 구성되며, 주파수 또는 출력전원을 조절하여 감지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도플러 센서 및 제2 도플러 센서는 내부공간, 즉 공급관(300)의 유로 따라 이동하는 물질의 흐름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 도플러 센서와 제2 도플러 센서는 파이프 형태의 유로를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유로 내의 물질의 흐름을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1 도플러 센서와 제2 도플러 센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송신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두 개의 센서의 정보를 모두 취합하여 동시에 물질의 흐름이 감지되었을 경우에만 측정정보를 신뢰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플러 센서의 최대측정거리 내에 있는 인접한 타영역의 흐름이 오검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출수관(400)에 포함된 제3 도플러 센서 및 제4 도플러 센서의 동작은 제1 도플러 센서 및 제2 도플러 센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를 위한 유입수 전처리 장치를 도 9와 같이 미산성차아염소산 발생장치의 전단에 설치하고, 실험실 규모(lab-scale)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흡착제는 평균 입자크기 25~30μm, BET 비표면적은 30.5 m2/g를 갖는 산화알루미늄을 준비하였고, 흡착제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15μm의 평균기공크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메쉬를 준비하였다.
전처리 장치와 미산성차아염소산 발생장치의 연결은 8mm 피팅을 이용하였다. 흡착 모듈의 상하단에 흡착제가 유실되지 않도록 seive를 깔고 흡착제를 넣은 후 덮어 카트리지 형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유입수로는 수돗물을 준비하였고, 별도의 펌프없이 수돗물의 압력으로 구동시켰으며, 약 10L/min의 유량으로 15초간 전처리 장치에 통과시켰다. 도 10은 전처리 장치를 통과한 수돗물의 DOC 함량을 보여준다.
수돗물의 경우 상수처리가 완료되어 유기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처리효율이 약 40% 내외로 측정되었으나 고함량의 유기물을 포함할 경우 높은 수준의 유기물 제거율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였다.
도 11은 유입수 종류에 따른 미산성차아염소산 발생 정도를 비교한 것으로,고함량의 유기물을 포함하는 원수(1000mg-C/L), 수돗물, 전처리 장치로 전처리된 수돗물의 미산성차아염소산 장치에서 유리잔류염소(ACC)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함량의 유기물을 포함하는 원수에서는 11~15ppm, 전처리되지 않은 수돗물의 경우 약 20~22ppm, 전처리를 거친 수돗물은 약 35~37ppm 범위의 미산성차아염소산 발생을 보였다.
이를 통해, 전해조로 투입되는 유입수의 유기물 함량이 미산성차아염소산 발생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유입수의 전처리를 통해 보다 고농도의 미산성차아염소산을 발생시키며,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전처리 장치가 유입수의 유기물 제거에 탁월하고, 유입수의 성상을 미산성차아염소산의 발생에 최적화되도록 개질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20 : 제어부
30 : 분무장치
40 : 카메라
50 : 환경센서
60 : 전처리 장치
61 : 유입수 저장탱크 62 : 공급펌프
63 : 흡착모듈 64 : 흡착제
65 : 메쉬
100 : 희석조 110 : 격판
111 : 수밀오링 120 : 후면커버
130 : 받침판 200 : 반응조
210 : 결합커버 211 : 삽입홈
212 : 투입홀 213 : 이격단차
214 : 양극홀 215 : 음극홀
220 : 전극판 221 : 양극판
222 : 양극볼트 223 : 음극판
224 : 음극볼트 240 : 지지판
241 : 이송홀 242 : 패킹오링
243 : 이송관 300 : 공급관
310 : 공급챔버 311 : 공급홀
320 : 혼합챔버 321 : 배출홀
400 : 출수관 410 : 와류챔버
411 : 유입홀 420 : 배출챔버
421 : 출수홀 500 : 체결부재

Claims (4)

  1. 전처리 장치로 차아염소산수 제조를 위한 유입수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단계;와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로 상기 전처리 장치를 통과한 유입수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단계;와
    분무장치로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를 공급받아 분무하는 분무단계;와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며, 주변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센서 및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카메라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무장치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자동조절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단계는
    유입수가 저장되는 유입수 저장탱크;와
    상기 유입수 저장탱크의 유입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와
    내부에 유기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가 수용되며, 상기 공급펌프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통과되는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전처리 장치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분무장치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차아염소산수 제조장
    치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수의 생산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모듈은
    흡착제를 고정하기 위한 메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KR1020210191301A 2021-12-29 2021-12-29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KR20230101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301A KR20230101309A (ko) 2021-12-29 2021-12-29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301A KR20230101309A (ko) 2021-12-29 2021-12-29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309A true KR20230101309A (ko) 2023-07-06

Family

ID=8718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301A KR20230101309A (ko) 2021-12-29 2021-12-29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30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487A (ko) 2010-04-09 2011-10-17 (주) 시온텍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30015840A (ko) 2011-08-05 2013-02-14 주식회사 한국전해수시스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7006A (ko) 2019-03-05 2020-09-16 주식회사 심스바이오닉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전기분해 장치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살균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487A (ko) 2010-04-09 2011-10-17 (주) 시온텍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30015840A (ko) 2011-08-05 2013-02-14 주식회사 한국전해수시스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7006A (ko) 2019-03-05 2020-09-16 주식회사 심스바이오닉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전기분해 장치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살균수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6966B2 (en) Portable water disinfection system
US6632347B1 (en)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olution
US4724059A (en) Automated chlorine generator
US20070051640A1 (en)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olution
KR101193544B1 (ko) 정수 처리 시스템
US20090242419A1 (en) On-site on-demand chlorine gas generator
KR20090048153A (ko) 이종 액체 혼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소독수 제조장치
KR20230101309A (ko) 차아염소산수 제조방법
KR20230101306A (ko) 차아염소산수 제조 시스템
KR20180008813A (ko)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CN208604678U (zh) 一种城市二次供水泵房自动加药消毒装置
CN211141715U (zh) 一种污水处理用消毒池
KR102007787B1 (ko)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KR101941375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CN110040887A (zh) 一种有机废液处理方法及装置
JP2011016065A (ja) 電解水混合装置
KR20230033373A (ko) 사물 인터넷 융합형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172074B1 (ko)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한 분뇨 마쇄 소독 장치
CN219260223U (zh) 一种高效的次氯酸钠发生器装置
JP2013085979A (ja) 次亜塩素酸水の製造装置
CN207699276U (zh) 一种消毒剂发生器
KR20170132454A (ko)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MX2009010771A (es) Sistema integral de desinfección para el agua de piscinas.
JP3991296B2 (ja) 残留塩素含有水の製造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206486607U (zh) 一种次氯酸钠发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