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149B1 -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149B1
KR101323149B1 KR1020120105368A KR20120105368A KR101323149B1 KR 101323149 B1 KR101323149 B1 KR 101323149B1 KR 1020120105368 A KR1020120105368 A KR 1020120105368A KR 20120105368 A KR20120105368 A KR 20120105368A KR 101323149 B1 KR101323149 B1 KR 101323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ght
line
unit
day
ti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세
Original Assignee
이태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세 filed Critical 이태세
Priority to KR102012010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00Pasturing equipment, e.g. tethering devices; Grids for preventing cattle from straying; Electrified wire fencing
    • A01K3/005Electrified fencing for pas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경지 내에 야생동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 울타리장치에 있어서, 농경지 둘레의 지주들을 따라 고압통전선(4)과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함께 설치하고,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21)와 고압통전선(4)에 고압을 인가하는 고압발생부(20)와 농경지에 설치되어 주야를 감지하는 주야감지부(14)를 구비하며,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한 주간작동모드에서는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됨에 따라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며,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한 야간작동모드에서는 타이머(18)에 설정된 반복주기로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고,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됨에 따라 고압발생부(20)를 이용해 고압통전선(4)에 고압을 인가함과 함께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될 때에만 고압통전선에 전류가 흐르게 제어하여 감전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야생동물의 침입이 드문 낮에는 호랑이 울음소리만 발생시키고 야생동물의 침입이 잦은 밤에는 호랑이 울음소리와 함께 전선에 전류가 흐르도록 전기울타장치리를 제어함으로써 절전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FENCE APPARATUS FOR PROTECTING WILD ANIMALS AND PROT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호하는 울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울타리장치에 인계선을 추가설치하여 감전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함과 함께 절전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연보호와 환경보호, 동물 포획금지로 인하여 국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산짐승이나 조류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자연적으로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일이지만 일부 산짐승이나 조류 등이 논이나 밭, 과수원 등 농지에 무단으로 침입하여 농작물의 파종된 씨앗을 먹거나, 추수가 다가오는 농작물을 먹어치우는 등 상당한 피해가 발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농부들은 자구책으로 허수아비를 세우거나 반짝이 줄, 펑소리가 나는 폭약 등으로 산짐승이나 조류의 접근을 막거나, 그물망이나 철책, 철조망을 설치하여 침입을 방지하여 왔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여 현실적으로 큰 효과를 보지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783465호 '전기울타리'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기울타리는 항상 전압선에 고압전류가 흘러 사람이 자주 다니는 낮이나 어두워 전압선이 잘 보이지않는 밤에 고압전류에 감전되는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전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는 줄이고 절전효과는 도모하면서 야생동물의 침입은 확실히 막아주는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경지 내에 야생동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 울타리장치에 있어서, 농경지 둘레의 지주들을 따라 고압통전선(4)과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함께 설치하고,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21)와 고압통전선(4)에 고압을 인가하는 고압발생부(20)와 농경지에 설치되어 주야를 감지하는 주야감지부(14)를 구비하며,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한 주간작동모드에서는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됨에 따라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며,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한 야간작동모드에서는 타이머(18)에 설정된 반복주기로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고,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됨에 따라 고압발생부(20)를 이용해 고압통전선(4)에 고압을 인가함과 함께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농경지 둘레의 지주들을 따라 고압통전선과 침입감지용 인계선을 함께 설치하여 구성한 방호 울타리장치에서의 농경지 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한 주간대에는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되면 제어부(8)의 제어 하에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는 과정과,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한 야간대에는 타이머(18)에 의해 설정된 반복주기로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고,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되면 제어부(8)의 제어하에 고압발생부(20)를 이용해 고압통전선(4)에 고압을 인가함과 함께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계선을 통해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될 때에만 고압통전선에 전류가 흐르게 제어하여 감전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야생동물의 침입이 드문 낮에는 호랑이 울음소리만 출력하고 야생동물의 침입이 잦은 밤에는 호랑이 울음소리를 주기적으로 출력하고 인계선으로 야생동물 침입을 감지하면 호랑이 울음소리와 함께 전선에 고압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멧돼지와 같은 야생동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막아 줌과 동시에 절연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방호할 농경지 주위의 울타리 설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울타리장치에서의 방호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울타리장치(2)는 농경지 둘레를 따라 설치된 지주들에 고압통전선(4)과 인계선(6)을 함께 쳐서 울타리를 구성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울타리장치(2)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압통전선(4)을 구비하며, 최하단에 설치된 고압통전선(4)은 지면(30) 높이로 설치된다. 이격되게 설치된 고압통전선(4) 사이에는 야생동물의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인계선(6)이 다수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통전선(4)은 인계선(6)에 의해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야간에 인계선(6)을 통해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될 때에만 고압통전선(4)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여 야생동물을 방호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인계선(6)은 낚시줄과 같은 질긴 선이며, 다양한 크기의 야생동물의 방호를 위해 고압통전선(4) 사이에 다수가 가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인계선(6)은 멧돼지와 같이 낮은 곳으로 침입하는 습성을 가진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해 지상 50~60㎝ 높이범위에 설치하는 것이 좋고, 노루와 같이 울타리를 넘으려는 습성을 가진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해 지상 1m 높이 부근에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장치(2)의 블록 구성도로서,본 발명의 울타리장치(2)는 울타리장치(2)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8)와, 제어부(8)에 의해 동작하는 울타리장치(2)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0)와, 인계선(6)의 작동을 감지하는 작동감지부(12)와, 울타리장치(2)의 주야구분작동모드와 상시작동모드 설정하는 모드스위치(16)를 포함한다.
제어부(8)는 주간작동, 야간작동, 상시작동모드에 의해 울타리장치(2)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어부(8)에 의한 울타리장치(2)의 제어모드 설정은 모드스위치(16)의 작동과 주야감지부(14)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제어부(8)는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해서 주야를 구분하여 다르게 작동하지만, 주야를 구분하기 싫은 경우 사용자는 모드스위치(16)를 이용해서 제어부(8)가 주야구분 없이 상시작동하게 할 수 있다.
울타리장치(2)의 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스위치(16)의 ON 작동시에는 울타리장치(2)가 상시작동모드로 설정되어 동작하며, OFF 작동시에는 주야구분작동모드로 설정된다.
또한, 주야감지부(14)는 광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모드스위치(16)의 OFF 작동시 설정된 주야구분작동모드일 경우, 주야감지부(14)에 비치는 빛의 양을 측정하여 주간과 야간을 구분하고 주간일 경우에는 주간작동모드로, 야간일 경우에는 야간작동모드로 울타리장치(2)가 자동설정된다. 또 모드스위치(16)가 없이도 주간에도 야생동물의 출몰이 빈번한 경우에는 주야감지부(14)인 광센서를 가려 빛의 감지를 차단함으로써 야간작동모드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계선(6)에 연결설치된 작동감지부(12)는 인계선(6)의 작동을 감지하여 제어부(8)로 침입감지신호를 제공한다. 작동감지부(12)는 야생동물이 고압통전선(4)과 함께 설치된 인계선(6)을 건드려 밀게 되면 인계선(6)과의 접점이 떨어짐에 따라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인계선(6)은 야생동물 이외의 다른 조건에 의해 늘어나거나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인계선(6)의 흔들림에 의한 작동감지부(12)의 감지 범위를 설정하여 야생동물의 침입시에만 작동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울타리장치(2)는 사람이 주로 활동하는 주간에는 고압통전선(6)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으며, 인계선(6)을 통해 야생동물의 외부 침입이 감지되면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주간에도 인계선(6)을 통해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되면 고압통전선(4)에 전류가 흐르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향출력부(21)는 제어부(8)의 제어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화하는 컨버터(22)와, 변환된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음성증폭기(24)와, 증폭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6)로 구성된다.
컨버터(22)는 제어부(8)에서 전송된 전기신호를 D-A 컨버터를 통해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변환된 음성신호는 음성증폭기(24)로 전송된다.
음성증폭기(24)는 변환된 음성신호가 농경지 전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소리를 증폭시켜 스피커(26)로 출력하며, 출력되는 소리는 가청주파수인 20~20,000㎐로 출력되며, 출력되는 소리가 멀리 전파될 수 있도록 초저주파인 20㎐ 이하로 출력될 수 있다.
사람의 활동이 적은 야간에는 야생동물이 자주 출몰하므로 인계선(6)을 통해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타이머(18)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반복주기에 지속시간 동안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여 야생동물의 접근을 미리 차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0~30분 주기로 약 2분 동안 호랑이 울음소리를 지속적으로 출력하여 야생동물의 접근을 차단하며, 출력되는 호랑이 울음소리는 여러 마리의 호랑이가 동시에 울음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효과음으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계선(6)을 통해 야생동물의 외부 침입이 감지되면 제어부(8)의 제어하에 고압통전선(4)에 전류를 인가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울타리장치(2)는 110V 또는 220V 의 상용전원, 12V 정도의 배터리의 전압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전압으로는 전기충격에 의해 야생동물을 방호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8)의 제어하에 고압통전선(4)에 전류를 인가하는 고압발생부(20)를 설치하여 울타리장치(2)의 구동전압을 승압시켜 고압통전선(4)에 전류를 인가한다. 고압통전선(4)에 인가되는 전압은 야생동물이 감전사하지 않을 정도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1000V 이상의 고전압으로 승압시킨 후 고압통전선(4)에 전류를 인가하여 야생동물이 인계선(6)에 접근할 때에 순간적인 전기 충격으로 야생동물의 침입으로부터 농경지를 방호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8)의 제어모드에 따른 울타리장치(2)의 동작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모드스위치(16)에 의해 울타리장치(2)의 작동을 주야구분작동모드와 상시작동모드로 설정된다.
모드스위치(16)의 OFF 작동에 의해 울타리장치(2)가 주야구분작동모드로 설정되면, 주야감지부(14)에 의해 주간과 야간을 구분하여 울타리장치(2)의 작동이 달라진다.
낮에는 주야감지부(14)에 의해 울타리장치(2)가 주간작동모드로 설정되며, 주간작동모드 동작시에는 인계선(6)을 통해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만을 출력하여 야생동물을 쫓아내게 된다. 이때 고압통전선(4)에는 전류를 인가하지 않게 되는데, 사람의 이동이 잦은 낮에 고압통전선(4)에 전류를 인가하면 사람이 접근하여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밤에는 주야감지부(14)에 의해 울타리장치(2)가 야간작동모드로 설정되며, 야간작동모드에서는 타이머(18)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반복주기에 일정시간 동안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여 야생동물의 접근을 미리 차단한다. 인계선(6)을 통해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되면 작동감지부(12)의 침입감지신호를 제어부(8)로 전송하고 고압발생부(20)를 통해 고압통전선(4)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여 야생동물에게 전기충격을 줌과 동시에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여 농경지에 침입한 야생동물이 달아나게 한다.
모드스위치(16)의 ON 작동에 의해 울타리장치(2)가 상시작동모드로 설정되면, 주야 구분없이 타이머(18)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반복주기에 일정시간 동안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여 야생동물의 접근을 미리 차단한다. 인계선(6)을 통해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되면 작동감지부(12)의 침입감지신호를 제어부(8)로 전송하고 고압발생부(20)를 통해 고압통전선(4)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여 야생동물에게 전기충격을 줌과 동시에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여 농경지에 침입한 야생동물이 달아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2)의 방호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울타리장치(2)는 침입감지 대기상태에서 울타리장치(2)가 주야구분 없이 공통으로 작동하도록 관리하는 모드스위치(16)에 의해 감지 제어모드를 설정하게 되는데, 모드스위치(16)가 OFF작동일 경우에는 주야구분작동모드로, ON작동일 경우에는 상시작동모드로 동작한다.
모드스위치(16)가 OFF 상태인 주야구분작동모드에서는 주간과 야간에 따라 울타리장치(2)의 동작이 달라진다.
주야감지부(14)에 의해 감지된 시간이 밤이면, 울타리장치(2)가 야간작동모드로 작동하여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타이머(18)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반복주기로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한다. 인계선(6)을 통해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되면 고압발생부(20)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고압통전선(4)을 통전시킴으로써 야생동물이 전기 감전으로 놀라게 함과 함께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도 출력하여 야생동물이 달아나게 된다.
주야감지부(14)에 의해 감지된 시간이 낮이면, 울타리장치(2)가 주간작동모드로 동작한다. 낮에는 야생동물이 농경지에 침입하는 경우가 밤에 비해 빈번하지 않으므로, 인계선(6)에 의한 야생동물의 침입 감지시에 미리 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만을 출력하여 야생동물이 달아나게 한다. 낮에서 농경지에 사람의 이동이 많아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고압발생부(20)의 작동은 정지시킨다.
모드스위치(16)가 ON 상태인 상시작동모드에서는 주야구분 없이 타이머(18)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반복주기로 호랑이 울음소리를 음향출력부(26)를 통해 출력한다. 인계선(6)을 통해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되면 고압발생부(20)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고압통전선(4)을 통전하여 야생동물을 감전시켜 놀라게 함과 함께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도 출력하여 야생동물이 달아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될 때에만 고압통전선(4)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여 감전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야생동물의 침입이 드문 낮에는 호랑이와 같은 천적의 울음소리만 발생시키고 야생동물의 침입이 잦은 밤에는 인계선에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될 때에만 고압통전선(4)에 전류가 흐르도록 울타리장치(2)를 제어함으로써 절전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 울타리장치 4 : 고압통전선
6 : 인계선 8 : 제어부
10 : 메모리부 12 : 작동감지부
14 : 주야감지부 16 : 모드스위치
18 : 타이머 20 : 고압발생부
21 : 음향출력부 22 : 컨버터
24 : 음성증폭기 26 : 스피커

Claims (4)

  1. 농경지 내에 야생동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 울타리장치에 있어서,
    농경지 둘레의 지주들을 따라 고압통전선(4)과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함께 설치하고,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21)와 고압통전선(4)에 고압을 인가하는 고압발생부(20)와 농경지에 설치되어 주야를 감지하는 주야감지부(14)를 구비하며,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한 주간작동모드에서는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됨에 따라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며,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한 야간작동모드에서는 타이머(18)에 설정된 반복주기로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고,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됨에 따라 고압발생부(20)를 이용해 고압통전선(4)에 고압을 인가함과 함께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8)는 주야구분 없이 야간작동모드와 동일하게 작동하는 상시작동 설정을 위한 모드스위치(16)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3. 농경지 둘레의 지주들을 따라 고압통전선과 침입감지용 인계선을 함께 설치하여 구성한 방호 울타리장치에서의 농경지 내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한 주간대에는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되면 제어부(8)의 제어 하에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는 과정과,
    주야감지부(14)를 이용한 야간대에는 타이머(18)에 의해 설정된 반복주기로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고,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되면 제어부(8)의 제어하에 고압발생부(20)를 이용해 고압통전선(4)에 고압을 인가함과 함께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의 방호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주야구분 없는 상시작동 상태에서 침입감지용 인계선(6)을 통해 외부 침입이 감지되면 제어부(8)의 제어하에 음향출력부(21)를 통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함과 함께 고압통전선(4)에 고압을 인가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의 방호방법.
KR1020120105368A 2012-09-21 2012-09-21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KR10132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368A KR101323149B1 (ko) 2012-09-21 2012-09-21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368A KR101323149B1 (ko) 2012-09-21 2012-09-21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149B1 true KR101323149B1 (ko) 2013-10-30

Family

ID=4963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368A KR101323149B1 (ko) 2012-09-21 2012-09-21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1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1270A (zh) * 2014-02-28 2014-05-07 四川为民科技有限公司 高压电子脉冲探测器的高低压撤防自动切换电路及切换方法
KR101472939B1 (ko) * 2014-05-19 2014-12-17 주식회사 알트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210111519A (ko) * 2020-03-03 2021-09-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야생동물 및 운전자 안전용 도로교통통합제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718A (ko) * 2004-09-03 2006-03-08 이형수 음성 및 빛을 발하는 전기울타리 전원 공급장치
JP2007175007A (ja) 2005-12-28 2007-07-12 Suematsu Denshi Seisakusho:Kk 電気柵
KR100783465B1 (ko) 2007-02-16 2007-12-07 박현배 전기울타리
KR20120068065A (ko) * 2010-10-26 2012-06-27 (주)모토닉 전기 울타리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718A (ko) * 2004-09-03 2006-03-08 이형수 음성 및 빛을 발하는 전기울타리 전원 공급장치
JP2007175007A (ja) 2005-12-28 2007-07-12 Suematsu Denshi Seisakusho:Kk 電気柵
KR100783465B1 (ko) 2007-02-16 2007-12-07 박현배 전기울타리
KR20120068065A (ko) * 2010-10-26 2012-06-27 (주)모토닉 전기 울타리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1270A (zh) * 2014-02-28 2014-05-07 四川为民科技有限公司 高压电子脉冲探测器的高低压撤防自动切换电路及切换方法
CN103781270B (zh) * 2014-02-28 2016-06-29 四川为民科技有限公司 高压电子脉冲探测器的高低压撤防自动切换电路及切换方法
KR101472939B1 (ko) * 2014-05-19 2014-12-17 주식회사 알트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210111519A (ko) * 2020-03-03 2021-09-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야생동물 및 운전자 안전용 도로교통통합제어시스템
KR102311000B1 (ko) * 2020-03-03 2021-10-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야생동물 및 운전자 안전용 도로교통통합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149B1 (ko)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KR101717045B1 (ko) 야생동물 퇴치기
CN112292031A (zh) 野生动物驱逐装置
KR101989281B1 (ko) 복합방식 유해 조수 퇴치기
KR100783465B1 (ko) 전기울타리
KR101343414B1 (ko) 복합 야생동물 퇴치 장치
CN207167517U (zh) 一种户外烟叶储藏诱杀虫虫情监测装置
JP3458154B2 (ja) 侵入防止装置
KR100582455B1 (ko) 음성 및 빛을 발하는 전기울타리 전원 공급장치
JP3205752U (ja) 害獣・害鳥類忌避装置
GB2255217A (en) Bird scaring apparatus
KR101242835B1 (ko) 감지센서가 설치된 조수 침입 방지용 울타리
KR20070105428A (ko)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20150080070A (ko) 태양광 에너지 발생장치가 부착된 절전형 야생동물 자동 퇴치용 시스템
JP3189808U (ja) 鳥獣撃退装置
WO2002049427A1 (en) A method for expelling harmful wild birds and beasts by multiple laser beams irradiation
KR20000030459A (ko) 적외선 센스를 이용한 전자 조류 퇴치기
KR20160065240A (ko) 야생동물 퇴치용 울타리
AU2021103402A4 (en) IoT Based Smart Rodent Repelling System for Automobiles
JP4812297B2 (ja) 動物用威嚇装置
KR101574697B1 (ko) 에어크락션을 이용한 전자동 유해조수퇴치장치
CN106212438A (zh) 防野生动物侵入房间的装置及相应的防侵入法
GB2503201A (en) Electric fence having low power detection mode
KR200210893Y1 (ko) 조류 퇴치기
KR101057135B1 (ko) 전기 목책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