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465B1 - 전기울타리 - Google Patents

전기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465B1
KR100783465B1 KR1020070016418A KR20070016418A KR100783465B1 KR 100783465 B1 KR100783465 B1 KR 100783465B1 KR 1020070016418 A KR1020070016418 A KR 1020070016418A KR 20070016418 A KR20070016418 A KR 20070016418A KR 100783465 B1 KR100783465 B1 KR 10078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electric fence
voltage line
high volta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배
전중구
김재형
Original Assignee
박현배
김재형
전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배, 김재형, 전중구 filed Critical 박현배
Priority to KR102007001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설치 및 수리/보수가 간편하며,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여 맹수의 울음소리를 출력하여 야생동물에게 두 번의 충격을 주는 전기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에 형성되는 전압선과, 상기 전압선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지주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감겨서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양 끝단이 서로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끝단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압선을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는 통과부를 포함한다.
지주, 결합체, 전압선, 본체, 출력단자, 전원부, 고압발생부, 감지부, 음성발생부

Description

전기울타리{Electric fence}
도 1은 종래기술의 전기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강관지주에 체결된 결합체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체의 삽입부의 감긴 부분의 공간이 넓어지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체의 통과부에 전압선을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주 20: 결합체
21: 삽입부 22: 연결부
23: 통과부 24: 체결틈
30: 전압선 40: 본체
41: 출력단자 50: 전원부
51: 전원스위치 60: 고압발생부
70: 감지부 80: 음성발생부
본 발명은 전기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설치 및 수리/보수가 간편하며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여 맹수의 울음소리를 출력하는 전기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연보호와 환경보호, 동물 포획금지로 인하여 국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산짐승이나 조류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자연적으로나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일이지만 일부 산짐승이나 조류 등이 논이나 밭, 과수원 등 농지에 무단으로 침입하여 농작물의 파종된 씨앗을 먹거나, 추수가 다가오는 농작물을 먹어치우는 등 상당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해가 지날수록 그 피해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농부들은 자구책으로 허수아비를 세우거나 반짝이 줄, 펑소리가 나는 폭약 등으로 산짐승이나 조류의 접근을 막으려고 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여 현실적으로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농지 또는 축사 주변에 전기 울타리를 설치하여 산짐승, 조류 및 절도범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종래기술이 제시되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충전하는 태양전지(1)와, 태양전지(1)의 출력전압을 고전압으로 증폭시켜 출력단자(3)로 출력하는 고압직류발생부가 형성된 본체(2)와, 결합체(7)를 갖고 일정영역에 3∼4m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강관지주(5)와, 본체(2)의 출력단자(3)에 연결되어 결합체(7)에 감겨서 울타리를 형성하는 울타리선(6)과, 본체(2)에 연결되어 지면에 삽입되는 어스봉(4)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인 개량된 태양전지식 전기울타리 장치가, 2006년 2월 7일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8094호로 등록공고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울타리선(6)이 결합체(7)에 감겨서 형성되므로 야생동물의 접촉시에 쉽게 끊어질 뿐만 아니라 끊어진 울타리선(6)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고, 교체시에 결합체(7)에 감겨있는 울타리선(6)을 모두 해체하여 다시 감아야 하는 등 설치 및 수리/보수에 상당한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 충격 외에 별도의 퇴치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아서 앞으로 침입의 가능성이 있는 잠정적인 야생동물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설치 및 수리/보수가 간편하며,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여 맹수의 울음소리를 출력하여 야생동물에게 두 번의 충격을 주는 전기울타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맹수의 울음소리 중 초저주파는 상당히 멀리 떨어진 거리까지 전파되므로 침입의 가능성이 있는 잠정적인 야생동물에게도 경고음을 전달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울타리는,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에 형성되는 전압선과, 상기 전압선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지주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감겨서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양 끝단이 서로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끝단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압선을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는 통과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인 전기울타리의 본체는, 전원스위치에 따라 전압발생부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압발생부의 전압을 고전압으로 증폭시켜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고압발생부;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별도로 분기되어 전압강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발생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주(10)와, 지주(10)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체(20)와, 결합체(20)에 형성되는 전압선(30)과, 전압선(30)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본체(40)를 포함한다.
농지나 축사의 외곽으로 다수개의 지주(10)를 설치하고, 각 지주(10)에는 결합체(20)를 삽입하여 고정 설치한다. 이때, 지주(10)는 강도를 고려하여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어느 정도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면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결합체(20)가 절연재질로 만들어졌다면 지주(10)는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결합체(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감겨서 형성되는 삽입부(21)와, 삽입부(21)의 양 끝단이 서로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22)와, 연결부(22)의 양 끝단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전압선(30)을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는 통과부(23)를 포함하며,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삽입부(21)는 지주(10)에 삽입되어 지주(10)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감긴 형상을 나타내게 되는데, 삽입부(21)의 감긴 회수에 따라 결합체(20)와 지주(10)와의 결합력이 결정되므로 세 번 정도 감겨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21)의 양 끝단은 서로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결부(22)를 형성하게 되고, 연결부(22)의 양 끝단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전압선(30)을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는 통과부(23)를 형성하게 되는데, 전기울타리 설치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주보는 통과부(23)를 서로 눌러줌으로써 삽입부(21)의 감긴 부분의 공간을 커지게 하여 삽입부(21)를 지주(10)에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과부(23)가 절곡되어 있어 손잡이 역할을 하므로 설치자는 아주 작은 힘으로도 마주보는 통과부(23)를 눌러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22)의 일측 끝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며 연결부(2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상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며 연결부(22)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폐곡선 형상의 통과부(2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22)와 통과부(23) 사이에 형성된 체결틈(24)을 이용하여 전압선(30)을 통과부(23)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전압선(30)은 다수개의 합성수지선과 다수개의 스테인레스 스틸의 전기선이 꼬여서 이루어지므로 어느 정도의 강도가 확보되고, 일부 합성수지선의 색깔을 달리하여 쉽게 식별할 수 있다.
결합체(20)의 통과부(23)에 설치되는 전압선(30)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본체(40)는, 전압발생부(52)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50)와, 고전압으로 증폭시켜 출력하는 고압발생부(60)와, 전압강하를 감지하는 감지부(70)와,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발생부(80)를 포함하며, 경고음은 맹수의 으르렁거리는 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50)는 110V 또는 220V의 상용교류전원, DC 12V의 배터리이거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공급하는 태양전지 등이고, 본체(40)의 일측에 설치된 전원스위치(51)의 동작에 의해 전원부(50)에서 전압발생부(52)로 전압이 공급되며, 전압발생부(52)는 공급된 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 또는 펄스전압으로 변환하여 고압발생부(60)에 제공한다.
고압발생부(60)는 직류전압 또는 펄스전압을 3000∼9900V의 고전압으로 증폭시켜 출력단자(41)로 출력하고, 출력단자(41)는 전압선(30)으로 고전압을 공급하게 되며, 본체(40)의 어스단자(42)는 매설된 접지봉(43)에 연결되고, 고전압이 펄스전압인 경우 야생동물의 접촉시에 순간적인 쇼크를 줄뿐 야생동물이 감전사하지는 않는다. 또한, 고압발생부(60)는 전압선(30)의 임피던스에 따라 고전압을 조정하는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전압선(30)에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하였을 경우 전압을 강하시켜 사망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출력단자(41)로부터 별도로 분기되어 연결된 감지부(70)에는 대략 50V정도의 유도전압이 형성되고, 감지부(70)는 본체(40)의 어스단자(42)에 연결되며, 야생동물이 전압선(30)에 접촉하게 되면 전압선(30)에 형성된 고전압뿐만 아니라 유도전압도 전압강하 되므로 이와 같은 전압강하를 감지하여 감지부(70)는 음성발생부(8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음성발생부(80)는 감지신호에 따라 스피커(81)를 통해 음원IC에 저장되어 있 는 맹수의 으르렁거리는 소리와 같은 경고음을 출력하게 된다. 호랑이의 으르렁거리는 소리에는 가청주파수인 20∼20,000㎐의 소리와 함께 사람의 귀로는 들을 수 없는 초저주파인 18㎐이하의 소리도 존재하며, 소리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더 멀리 전파된다. 즉 호랑이의 울음소리는 온몸을 울릴 정도의 커다란 소리와 동물의 근육을 진동시켜 얼어붙게 하는 초저주파로 이루어지므로, 전기충격과 함께 야생동물 퇴치에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본체(40)의 전원스위치(51)를 켜면 전압선(30)에는 고전압이 발생하게 되고, 야생동물이 전압선(30)에 닿게 되면 야생동물은 감전사하지 않을 정도의 순간적인 전기 충격을 받게 되며, 감지부(70)는 전압강하를 감지하여 스피커(81)를 통해 맹수의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출력하게 되므로 침입하려는 야생동물은 두 번 놀라서 도망치게 된다.
이때, 전압선(30)는 다수개의 지주(10)에 각각 고정되는 결합체(20)의 통과부(23)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야생동물이 접촉하더라도 전압선(30)이 쉽게 끊어지지 않게 되고, 야생동물의 접촉으로 느슨해진 전압선(30)을 한 지점에서 당겨 다시 팽팽하게 할 수 있으므로 수리/보수가 아주 간편해진다. 또한, 야생동물이 전압선(30)에 접촉한 상태로 농지나 축사의 내부로 조금 이동하더라도, 결합체(30)의 마주보는 통과부(23)는 서로 벌어지게 되고 삽입부(21)의 감긴 부분의 공간은 좁아지게 되어 결합체(30)가 지주(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전기울타리가 망가지는 경우도 훨씬 감소하게 된다.
설령 전압선(30)이 중간에 끊어진다 하더라도 스테인레스 스틸의 결합체(20)는 전기를 통할 수 있어 마주보는 통과부(23) 각각에 전압선(30)을 묶어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전압선(30)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설치 및 수리/보수가 간편하며,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여 맹수의 울음소리를 출력하여 두 번의 충격을 주어 야생동물 침입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맹수의 울음소리 중 초저주파는 상당히 멀리 떨어진 거리까지 전파되므로 침입의 가능성이 있는 야생동물에게도 경고음을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에 형성되는 전압선과, 상기 전압선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지주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감겨서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양 끝단이 서로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 끝단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압선을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는 통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측 끝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연결부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상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연결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폐곡선 형상의 통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울타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통과부 사이에 상기 전압선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체결틈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울타리
  4.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에 형성되는 전압선과, 상기 전압선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원스위치에 따라 전압발생부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압발생부의 전압을 고전압으로 증폭시켜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고압발생부;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별도로 분기되어 전압강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초저주파인 18㎐이하의 맹수의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출력하는 음성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울타리.
  5. 삭제
KR1020070016418A 2007-02-16 2007-02-16 전기울타리 KR10078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418A KR100783465B1 (ko) 2007-02-16 2007-02-16 전기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418A KR100783465B1 (ko) 2007-02-16 2007-02-16 전기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465B1 true KR100783465B1 (ko) 2007-12-07

Family

ID=3914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418A KR100783465B1 (ko) 2007-02-16 2007-02-16 전기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4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135B1 (ko) * 2009-08-14 2011-08-16 김종필 전기 목책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KR200457179Y1 (ko) * 2009-01-29 2011-12-07 김진만 야생동물 퇴치용 전기 울타리 시스템
KR101182707B1 (ko) * 2010-12-27 2012-09-13 스에마쓰 전자제작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울타리 및 그 제어방법과 전기 울타리의 전원장치 및 전기 울타리의 제어회로
KR101323149B1 (ko) 2012-09-21 2013-10-30 이태세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KR20210109391A (ko) 2020-02-27 2021-09-06 한국솔라파워(주) 전기 울타리
KR20210109067A (ko) 2020-02-26 2021-09-06 권태용 전기목책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9125A (en) * 1987-01-08 1987-11-24 Lindsey Manufacturing Company Strain insulator with arcing horns
KR19980064292U (ko) * 1997-04-28 1998-11-25 정배근 동축 케이블 고정구
KR200262304Y1 (ko) * 2001-10-25 2002-03-18 한국전력공사 애자장치 교체용 툴
KR200408094Y1 (ko) * 2005-11-14 2006-02-07 (주)하이쏠라에너지 개량된 태양전지식 전기울타리장치
JP2006180762A (ja) * 2004-12-27 2006-07-13 Tadashi Ohira 動物用威嚇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9125A (en) * 1987-01-08 1987-11-24 Lindsey Manufacturing Company Strain insulator with arcing horns
KR19980064292U (ko) * 1997-04-28 1998-11-25 정배근 동축 케이블 고정구
KR200262304Y1 (ko) * 2001-10-25 2002-03-18 한국전력공사 애자장치 교체용 툴
JP2006180762A (ja) * 2004-12-27 2006-07-13 Tadashi Ohira 動物用威嚇装置
KR200408094Y1 (ko) * 2005-11-14 2006-02-07 (주)하이쏠라에너지 개량된 태양전지식 전기울타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79Y1 (ko) * 2009-01-29 2011-12-07 김진만 야생동물 퇴치용 전기 울타리 시스템
KR101057135B1 (ko) * 2009-08-14 2011-08-16 김종필 전기 목책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KR101182707B1 (ko) * 2010-12-27 2012-09-13 스에마쓰 전자제작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울타리 및 그 제어방법과 전기 울타리의 전원장치 및 전기 울타리의 제어회로
KR101323149B1 (ko) 2012-09-21 2013-10-30 이태세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KR20210109067A (ko) 2020-02-26 2021-09-06 권태용 전기목책기
KR20210109391A (ko) 2020-02-27 2021-09-06 한국솔라파워(주) 전기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465B1 (ko) 전기울타리
KR101284758B1 (ko) 조류퇴치기
KR101989281B1 (ko) 복합방식 유해 조수 퇴치기
KR200470590Y1 (ko) 야생동물 침입 방지용 펜스
KR200408094Y1 (ko) 개량된 태양전지식 전기울타리장치
KR101242835B1 (ko) 감지센서가 설치된 조수 침입 방지용 울타리
CN202311011U (zh) 全天候太阳能风能驱兽器
KR20090002887U (ko) 야생 동물 침입 또는 절도 방지 및 로드킬 방지를 위한철조망 설치 구조.
KR101323149B1 (ko)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KR102429420B1 (ko) 기주 공명관을 이용한 두더지 퇴치기
KR100582455B1 (ko) 음성 및 빛을 발하는 전기울타리 전원 공급장치
KR20160115637A (ko) 멀티형 야생 동물 탐지 및 퇴치 장치
KR20110127832A (ko) 전기울타리용 고정클립
KR20080075623A (ko) 조류 전용 퇴치기
JP2011167105A (ja) 野生シカ捕獲飼育方法とその設備
JP2001245546A (ja) 獣類用柵
JP4855548B1 (ja) 電気柵
JPH06225680A (ja) 猿害防止装置
JP5162378B2 (ja) 電気柵
RU220897U1 (ru) Электроизгородь для защиты селекционных посевов от зайцев
CN206042971U (zh) 一种光伏无线电驱鸟系统
CN202906782U (zh) 脉冲式高电压输出电击防护系统及设备
JP7012961B2 (ja) 電気柵の監視装置
JP3157646U (ja) 電気柵本器盗難防止ユニット
KR200455675Y1 (ko) 조수 퇴치용 전기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