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939B1 -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939B1
KR101472939B1 KR20140059778A KR20140059778A KR101472939B1 KR 101472939 B1 KR101472939 B1 KR 101472939B1 KR 20140059778 A KR20140059778 A KR 20140059778A KR 20140059778 A KR20140059778 A KR 20140059778A KR 101472939 B1 KR101472939 B1 KR 10147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reetlight
sensor
control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철
남윤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트
Priority to KR2014005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경지 인근의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농경지 인근에 설치된 가로등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농경지 옆에 설치된 가로등 주변의 물체(사람, 차량, 동물) 움직임과 조도를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6)와, 상기 감지부(6)의 감지신호에 따라 가로등의 점,소등을 관리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에 의한 가로등의 제어시 농작물의 재배시기, 농작물의 종류에 맞도록 가로등의 동작을 설정하는 스케줄관리부(8)와, 제어부(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소등되는 발광부(10)와, 감지부(6)에 의해 농경지로의 야생동물 침입이 확인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림부(12)와, 다수의 가로등을 연동제어하기 위해 가로등 간에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4)로 구성하여, 야간에 점등되는 가로등의 연동범위와 점소등 시간제어를 통해 야간조명이 농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야간에 야생동물의 침입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STREET LIGHT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ING PICK-UP SENSOR AND SENSOR LIGHT}
본 발명은 가로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시간에 가로등이 상시점등되어 발생하는 문제와 함께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농작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농촌의 도시화에 따라 도로 주면의 가로등과 공업단지의 방범등, 주유소 등의 선전광고등, 기타 조명등 및 보안등이 증가되면서 농작물의 생육에 야간 조명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야간조명에 대한 식물의 반응은 광질, 광의 강도, 조명 시간, 조명의 방향, 명암의 주기, 식물이 종류와 품종, 조직, 기관, 생육단계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장일성 식물은 출수, 개화가 촉진되어 영양생장기간이 단축되며, 단일성 식물은 그와 반대로 출수, 개화가 지연되거나 출수, 개화 자체가 안되고 영양생장만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가로등의 경우 인적이 드문 야간에도 항상 켜져있는 경우가 많아 도로가에 재배되고 있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가로등에 가림막을 설치하여 도로쪽에만 밝게 하거나 조도를 제어하여 농작물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으나, 야간의 보안등 역할을 하는 가로등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것과 밝기를 낮추도록 제어하는 것은 가로등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종래의 가로등은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는 예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405236호, '조도 제어식 조명등' 등록실용신안 제20-391166호, '가로등용 차광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적이 드문 야간에 가로등의 점소등 시간제어와 연동범위제어를 통해 농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생동물의 침입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농경지 인근에 설치된 가로등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농경지 옆에 설치된 가로등 주변의 물체 움직임과 조도를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6)와, 상기 감지부(6)의 감지신호에 따라 가로등의 점,소등을 관리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에 의한 가로등의 제어시 농작물의 재배시기, 농작물의 종류에 맞도록 가로등의 동작을 설정하는 스케줄관리부(8)와, 제어부(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소등되는 발광부(10)와, 감지부(6)에 의해 농경지로의 야생동물 침입이 확인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림부(12)와, 다수의 가로등을 연동제어하기 위해 가로등 간에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야간에 점등되는 가로등의 연동범위와 디밍 및 점소등 시간제어를 통해 야간조명이 농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야간에 야생동물의 침입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알림부 상세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야간의 보안등 역할을 하도록 도로변에 설치된 가로등을 제어하여 농번기에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2)를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 제어장치(2)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가로등 제어장치(2)는 가로등의 점,소등을 관리하는 제어부(4)와, 가로등이 설치된 곳(예를 들면 마을 진,출입구와 각 가정집, 승강장, 마을회관에 설치된 곳)의 물체(사람, 차량, 동물) 움직임과 조도를 감지하는 감지부(6)와, 상황에 맞는 가로등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케줄관리부(8)와, 설정된 제어상태에 따라 점소등되는 발광부(10)와, 감지부(6)에 의한 물체를 확인한 후 경고음을 내보내는 알림부(12)와, 연동제어를 통해 다수의 가로등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부(14)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4)는 감지부(6)의 감지에 따라 스케줄관리부(8)를 통해 미리 설정된 작동상황에 맞도록 가로등을 제어하는 것이며, 점등시간설정부(20), 디밍시간설정부(22), 디밍레벨설정부(24), 감도레벨설정부(26), 연동범위설정부(28)로 구성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4)의 구성을 설명하면, 점등시간설정부(20)는 표 1에서와 같이 감지부(6)에 의한 움직임의 감지시 가로등의 점등시간을 초, 분단위, 연속점등, 격일점등 등으로 설정한다.
점등시간 0 10초
점등시간 1 30초
점등시간 2 1분
점등시간 3 3분
점등시간 4 5분
점등시간 5 10분
점등시간 6 20분
점등시간 7 30분
점등시간 8 60분
점등시간 9 점등 지속
점등시간 10 격일 점등
감지부(6)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때에만 상기 표에 설정된 시간동안은 점등상태를 유지하여 가로등의 상시 점등으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디밍시간설정부(22)는 표 2에서와 같이 감지부(6)에 의한 움직임의 감지가 없는 경우 디밍제어되는 시간을 초, 분단위로 설정한다.
디밍시간 0 10초
디밍시간 1 30초
디밍시간 2 1분
디밍시간 3 3분
디밍시간 4 5분
디밍시간 5 10분
디밍시간 6 20분
디밍시간 7 30분
디밍시간 8 60분
디밍시간 9 디밍지속
감지부(6)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표에 설정된 시간동안은 디밍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가로등이 상시 점등되는 것에 비해 농작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디밍레벨설정부(24)는 가로등의 점등상태에서 발광부(10)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소등상태~최대밝기 점등상태를 표 3에서와 같이 10단계로 설정한다.
디밍레벨 0 소등상태
디밍레벨 1 1단계
디밍레벨 2 2단계
디밍레벨 3 3단계
디밍레벨 4 4단계
디밍레벨 5 5단계
디밍레벨 6 6단계
디밍레벨 7 7단계
디밍레벨 8 8단계
디밍레벨 9 최대밝기
점등상태에서 상기의 디밍레벨을 설정하면 발광부(10)의 디밍을 조절한 후 디밍시간동안 밝기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가로등의 밝기를 조절하여 가로등빛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감도레벨설정부(26)는 감지부(6)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단계를 표 4에서와 같이 최저상태~최고감도를 6단계로 설정한다.
감도레벨 0 최저상태
감도레벨 1 1단계
감도레벨 2 2단계
감도레벨 3 3단계
감도레벨 4 4단계
감도레벨 5 최고감도
감도레벨이 최저상태에서는 감지부(6)에 의한 물체의 움직임감지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감지(예를 들면 2초이상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어야 이를 움직임으로 감지하며, 최고감도에서는 미세한 움직임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는 감도레벨을 설정함으로써 물체의 움직임이 아닌 바람이 부는 것과 같이 자연적인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도록 하여 가로등이 점등되지 않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연동범위설정부(28)는 하나의 가로등에 의해 생성된 감지신호를 통해 다수의 가로등이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하는 것으로, 표 5에 설정된 범위내의 가로등이 일괄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연동범위를 마을 전체 내지 인접한 마을까지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동범위 0 개별제어
연동범위 1 50m 이내
연동범위 2 100m 이내
연동범위 3 130m 이내
연동범위 4 150m 이내
연동범위 5 최대연동
연동범위가 0인 상태에서는 가로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연동범위가 최대인 경우에는 설치된 가로등 전체를 연동제어하거나 설치 및 주변환경에 따라 최대연동 범위를 제한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동제어 범위는 통신부(14)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의 전송세기를 조절하고 상호 중계하도록 하여 연동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감지부(6)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마중센서(30)와, 주간과 야간을 구별하는 주야감지센서(32), 주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34), 안개를 감지하는 안개감지센서와(36), 센서등(38)으로 구성한다.
마중센서(30)는 가로등이 설치된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마중센서(30)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4)로 전송하게 된다.
일 예로서, 마을 진입로, 버스 승강장 등에 마중센서(30)를 설치하고 사람이나 차량이 대로에서 마을로 진입하는 움직임 감지되면, 설정된 연동범의 내의 가로등을 일괄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하여 가시권내의 가로등이 밝이지도록 한다.
이때, 점등되는 가로등은 움직이는 사람이나 차량의 속도에 따라 점등범위를 조절하여 설정하며, 예를 들어 사람의 경우에는 속도가 느리므로 움직임 감지시 앞뒤 4개의 가로등이 점등되도록 하고 차량의 경우에는 속도가 빠르므로 앞뒤 10개의 가로등의 점등되도록 설정한다.
더욱이, 마을방향으로 진입하는 사람이나 차량에는 식별용 개인 카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감지부가 이를 감지하여 마을 내에서의 집 위치를 파악한 후 집으로 도착하는 진행경로에 위치하는 가로등이 연동점등되도록 제어한다.
사람이나 차량이 지나간 가로등은 즉시 소등하거나 디밍제어를 통해 밝기를 낮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주야감지센서(32)는 조도를 측정하여 현재 시간이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가로등은 주로 야간에 작동함에 따라 주야간을 확인한 후 주간에는 소등하고 야간에만 설정된 작동상황에 따라 점소등되도록 하는 것이다.
온도감지센서(34)와 안개감지센서(36)는 가로등에 설치되어 현재의 환경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것으로, 온도와 안개의 감지 이외에도 습도, 바람, 조도, 일출시간, 일몰시간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센서들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취득된 환경정보에 따라 감지신호를 제어부(4)로 전송하여 지능적으로 가로등이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겨울철 눈이나 비가온 뒤 온도가 내려가 길이 미끄러운 경우에는 가로등의 밝기를 최대로 유지하여 빙판길을 밝힘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계절별로 일출시간과 일몰시간을 확인하여 자동적으로 가로등의 점소등 제어시간을 설정하며, 안개가 짙은 경우에는 가로등의 디밍레벨을 최대로 밝게 설정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34)와 안개감지센서(36)는 지역별 특성에 맞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등(38)은 각 가정이나 마을회관의 현관문이나 대문 등에 설치되어 야간에 집안에서 마을로 외출하는 사람의 보행등 역할을 하도록 가로등이 동작한다.
마을에 위치한 각 집의 현관과 대문에 사람의 외출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등(38)을 설치하고, 센서등(38)을 통해 사람의 외출이 감지되면 센서등(38)의 점등에 따라 연계된 가로등을 점등하여 마을길을 밝히게 된다.
이때, 점등되는 가로등은 마을 전체에 설치된 전체 가로등의 점등되어 길을 밝힐 수 있으며, 연동된 제어범위 내의 가로등이 점등되도록 설정한다.
본 발명의 감지부(6)는 가로등과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가로등과 떨어진 위치에 별도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서 후술하는 실시예서와 같이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여 농작물의 피해를 방지하는 경우, 침입 예상경로에 감지부(6)를 설치하고 야생동물의 침입감지시 가로등이 설정된 동작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가로등을 점소등하는 경우, 통행로에 감지부(6)를 설치하여 사람이나 차량 등의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여 가로등이 설정된 동작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6)를 가로등과는 떨어져 한전의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곳이거나 한전의 전원공급이 어려운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태양광을 이용한 축전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관리부(8)는 감지부(6)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4)에 의한 가로등의 제어시에 상황에 맞도록 가로등이 작동하도록 상황별로 동작메뉴얼을 미리 설정한다.
본 발명은 가로등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하는 것임에 따라 농작물이 재배되는 시기에 가로등의 점소등을 제어하여야 한다. 그 중에서도 농작물이 쉬어야하는 야간에 가로등을 제어하여 농작물의 개화 및 성장에 미치는 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계절별, 재배하는 농작물별, 시간별 및 지역별로 미리 설정된 가로등의 동작 상황을 설정하여 가로등 본연의 보안등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농작물에 끼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초저녁과 심야시간을 차등하여 제어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하기의 표 6은 스케줄관리부(8)에 의해 미리설정되는 가로등의 동작상태 실시 예를 나타낸다.
구분 벼농사 과일농사 채소농사
시작 및 종료 시작 종료 시작 종료 시작 종료
농번기 기간 6월 10일 10월 10일 5월 1일 10월 10일 1월 1일 12월 31일
적용기간 120일 정도 160일 정도 1년
점등에서~22:00 10분 제어 10분 제어 10분 제어
22:00~소등까지 5분 제어 5분제어 5분 제어
상기 표를 보면,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재배되는 시기에만 가로등을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며, 주야감지센서(32)를 통해 주간과 야간을 구별한 후 야간에만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정표는 가로등 제어를 위한 일 실시 예이며, 가로등의 설치환경 및 재배하는 농작물의 종류와 계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동작상황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0)는 감지부(6)에 의한 감지신호생성시 스케줄관리부(8)의 상황별 설정에 맞는 제어부(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소등되도록 제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발광부(10)를 LED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림부(12)는 농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농경지에 야생동물이 침입하여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야생동물의 침입시 소리와 같은 경고음을 울려 도망가게 하는 것이다.
야생동물이 자주 출몰하는 농경지의 주위에는 야생동물의 침입을 막기 위한 울타리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울타리만으로는 침입을 방지하기 어려운 것이다.
도 4는 알림부(12)의 상세 구성도로, 본 발명에서는 야생동물의 침입이 예상되는 경로에 감지부(6)를 설치하고 감지부(6)를 통해 야생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제어부(4)를 통해 전기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전기신호는 알림부(12)의 D-A 컨버터부(40)를 통해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컨버터부(40)를 통해 변환된 음성신호는 증폭기(42)로 전송되며, 증폭기(42)는 알림음을 농작물이 재배되는 농경지 전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소리를 증폭시키며, 증폭된 소리는 스피커(44)를 통해 출력된다. 출력되는 소리는 가청주파수인 20~20,000㎐로 출력되며, 출력되는 소리가 멀리 전파될 수 있도록 초저주파인 20㎐ 이하로 출력될 수 있다.
스피커(44)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는 야생동물이 경계할 수 있는 호랑이의 울음소리나 별도의 경고음을 일정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알림부(12)를 통한 경고음은 침입한 야생동물을 농경지 밖으로 퇴치하기 위해 농경지의 마을방향에서부터 야생동물을 쫓아낼 야산방향으로 순차적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이 좋다.
농경지에 침입한 야생동물은 일괄적인 경고음 소리에 놀라 농경지 전체를 돌아다니며 달아날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재배 작물을 훼손할 우려가 있어, 도망갈 위치를 알려주듯이 마을방향에 설치된 알림부(12)에서부터 야산 방향으로 설치된 알림부(12)로 순차적으로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야생동물을 야산으로 몰아내어 퇴치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는 다수개가 설치된 가로등 간의 유무선통신을 통한 신호송수신을 위한 것이며, 제어부(4)를 통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전체 가로등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통신부(14)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범위는 제어부(4)의 연동범위설정부(28)를 통해 설정된 범위 내의 가로등간에 신호를 전달하게 되며, 이웃하는 가로등과의 제어신호 송수신을 통해 감지신호에 의한 상황별 동작이 개별 또는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가로등 제어장치(2)의 동작 설정을 개별 또는 일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설정리모컨(1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설정리모컨(16)은 제어부(4)를 통해 설정되는 점등시간, 디밍시간, 디밍레벨, 감도레벨, 연동범위와 스케줄관리부(8)를 통해 설정되는 상황별 설정값을 가로등별로 개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설치된 가로등 전체의 동작설정을 일괄적으로 변경하거나 특정상황 발생시 가로등 제어장치(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일괄 점등되거나 소등할 수 있는 메인관리부(1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관리부(18)는 가로등의 설치위치를 미리 확인하여 위치값을 입력한 후 제어가 필요한 특정 위치의 가로등만을 별도로 제어하거나 설치된 가로등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로등 제어장치(2)의 동작설정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로등 제어방법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농경지 주위의 도로에 설치되어 야간 보안등역할을 하는 가로등을 제어하여 야간에 발광하는 빛에 의한 농작물의 개화와 출하시기 지연 및 출하량 감소 등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농경지 주위에 설치된 가로등은 움직임 감지가 없을 경우에는 소등상태 유지나 디밍 제어를 통해 밝기를 조절한 상태로 있게 된다.
감지부(6)에 의한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4)로 전송하여 제어부(4)를 통해 가로등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감지부(6)에 의해 감지된 시기가 스케줄관리부(8)에 의해 설정된 시기에 해당하면 미리 설정된 동작상황으로 가로등 제어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스케줄관리부(8)에 의해 미리 설설된 동작상황은 예를 들면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재배되는 시기, 가로등이 작동하는 야간 등의 시기가 될 수 있다.
제어부(4)를 통해 생성된 제어신호는 발광부(10)로 전송하여 가로등의 점등을 제어하며, 이와 함께 가로등 제어신호는 통신부(14)를 통해 이웃하는 가로등으로 전송하여 다수의 가로등을 연동제어하게 된다.
연동제어되는 가로등의 범위는 제어부(4)를 통해 설정하며, 일 예로서 상기의 표 5에서와 같이 거리별로 설정하거나 설치된 가로등 전체를 연동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4)의 가로등 제어신호에 의해 가로등을 개별 및 연동제어하여 설정된 점등시간 동안 점등되게 한 후에 감지부(6)를 통한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가로등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움직임이 감지될때까지 소등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될때에만 가로등을 점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야간에 항상 점등되어 농작물에 끼치는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며, 그에 따른 전력소비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농경지 주위에 설치된 가로등을 제어하여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농경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농경지 주위에 설치된 가로등은 야생동물의 움직임 감지가 없을 경우에는 소등상태 유지로 있게 된다. 야생동물의 침입이 예상되는 농경지는 일반적으로 인적이 드문 외지에 위치하므로 디밍상태로 가로등을 제어할 필요는 없게 된다.
가로등을 소등상태로 유지하다가 감지부(6)에 의해 야생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생성된 감지신호를 제어부(4)로 전송한다. 감지부(6)는 가로등과 일체로 설치되는 것보다 야생동물의 침입이 예상되는 길에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가로등과 연결된 다수의 감지부(6)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감지부(6)에 의해 감지된 시기가 스케줄관리부(8)에 의해 설정된 시기에 해당하면 미리 설정된 동작상황으로 가로등 제어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스케줄관리부(8)에 의해 미리 설설된 동작상황은 예를 들면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재배되는 시기, 가로등이 작동하는 야간 등의 시기가 될 수 있다.
제어부(4)를 통해 생성된 제어신호는 발광부(10)로 전송하여 가로등의 점등을 제어하며, 이와 함께 알림부(12)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호랑이 울음소리와 같은 경고음을 출력하게 된다. 알림부(12)는 농경지 전체에 호랑이 울음소리가 울릴 수 있도록 소리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것이 좋다.
발광부(10)와 알림부(12)로 전송되는 가로등 제어신호는 통신부(14)를 통해 이웃하는 가로등으로 전송하여 다수의 가로등을 연동제어하게 된다. 즉, 어느 하나의 감지부(6)에 의해 야생동물의 침입이 감지되면 농경지 주위에 설치된 다수의 가로등을 일괄적으로 점등시키고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여 침입을 시도하는 야생동물을 퇴치하게 된다. 연동제어되는 가로등의 범위는 제어부(4)를 통해 설정된 거리 내의 모든 가로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가로등을 개별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신호를 통해 가로등의 점등과 경고음을 통해 야생동물을 퇴치한 후 연속적인 야생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게 되며, 침입이 감지되지 않으면 야간 점등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가로등을 소등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야간에 농경지에 침입하여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면서도 가로등의 점등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야간에 점등되는 가로등의 연동범위와 점소등 시간제어를 통해 야간조명이 농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야간에 야생동물의 침입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가로등 제어장치 (4)-- 제어부
(6)-- 감지부 (8)-- 스케줄관리부
(10)-- 발광부 (12)-- 알림부
(14)-- 통신부 (16)-- 설정리모컨
(18)-- 메인관리부 (20)-- 점등시간설정부
(22)-- 디밍시간설정부 (24)-- 디밍레벨설정부
(26)-- 감도레벨설정부 (28)-- 연동범위설정부
(30)-- 마중센서 (32)-- 주야감지센서
(34)-- 온도감지센서 (36)-- 안개감지센서
(38)-- 센서등 (40)-- D-A 컨버터부
(42)-- 증폭기 (44)-- 스피커

Claims (14)

  1. 농경지 인근에 설치된 가로등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농경지 옆에 설치된 가로등 주변 및 마을 진출입구, 가정집, 마을회관에서 물체 움직임과 조도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6)와, 상기 감지부(6)의 감지신호에 따라 가로등의 점,소등을 관리하는 제어부(4)를 구성하되, 상기 제어부(4)는 감지부(6)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 감지시 가로등의 점등시간을 초, 분단위로 설정하는 점등시간설정부(20)와, 감지부(6)에 의한 움직임의 감지가 없는 경우 가로등이 소등되는 시간을 초, 분단위로 설정하는 디밍시간설정부(22)와, 가로등의 점등상태에서 밝기를 조절하여 디밍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설정하여 농작물에 끼치는 피해를 줄이는 디밍레벨설정부(24)와, 감지부(6)에 의해 감지되는 물체의 움직임 정도를 설정하는 감도레벨설정부(26)와, 하나의 가로등에 의해 생성된 감지신호를 통해 다수의 가로등이 일괄 작동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하는 연동범위설정부(28)로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4)에 의한 가로등의 제어시 농작물의 재배시기, 농작물의 종류에 맞도록 가로등의 동작을 설정하는 스케줄관리부(8)와, 제어부(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소등 및 디밍제어되는 발광부(10)와, 감지부(6)에 의해 농경지로의 야생동물 침입이 확인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림부(12)와, 다수의 가로등을 연동제어하기 위해 가로등 간에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6)는 가로등 주변에서 물체의 움직임이나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는 마중센서(30)와, 조도를 측정하여 현재시간이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감지하는 주야감지센서(32)와, 각 가정이나 마을회관의 현관문이나 대문에 설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등(38)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6)는 날씨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안개감지센서(36)와, 기온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34)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12)는 제어부(4)를 통해 전송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부(40)와, 변환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42)와, 상기 증폭기(42)를 통해 증폭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4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지부(6)에 공급되는 전원은 한전에서 공급되는 전원과 태양광에 의한 축전된 전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가로등 제어장치(2)의 점등시간, 디밍시간, 디밍레벨, 감도레벨, 연동범위와 스케줄관리부(8)에 설정되는 상황별 설정값을 개별 및 일괄제어하기 위한 설정리모컨(1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등의 설치위치를 미리 확인하여 위치값을 입력한 후 가로등 전체 동작설정을 일괄적으로 변경하고 상황발생시 가로등에 제어신호를 일괄전송하여 점소등하도록 제어하는 메인관리부(1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20140059778A 2014-05-19 2014-05-19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47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9778A KR101472939B1 (ko) 2014-05-19 2014-05-19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9778A KR101472939B1 (ko) 2014-05-19 2014-05-19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939B1 true KR101472939B1 (ko) 2014-12-17

Family

ID=5267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9778A KR101472939B1 (ko) 2014-05-19 2014-05-19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9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434B1 (ko) * 2017-10-17 2018-03-29 유성희 맞춤식 조도 설정기능을 갖는 절전형 가로등 시스템
CN112954872A (zh) * 2021-02-01 2021-06-11 襄阳市力合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的智慧路灯照明控制系统
KR102319969B1 (ko) 2021-05-07 2021-11-01 (주)아나톨레전력 조명높이 차등 제어형 듀얼 가로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184B1 (ko) * 2004-04-09 2006-11-24 (주)수성전자 보안등 자동점멸기
KR101323149B1 (ko) * 2012-09-21 2013-10-30 이태세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184B1 (ko) * 2004-04-09 2006-11-24 (주)수성전자 보안등 자동점멸기
KR101323149B1 (ko) * 2012-09-21 2013-10-30 이태세 야생동물 방호용 울타리장치 및 그의 방호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434B1 (ko) * 2017-10-17 2018-03-29 유성희 맞춤식 조도 설정기능을 갖는 절전형 가로등 시스템
CN112954872A (zh) * 2021-02-01 2021-06-11 襄阳市力合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的智慧路灯照明控制系统
KR102319969B1 (ko) 2021-05-07 2021-11-01 (주)아나톨레전력 조명높이 차등 제어형 듀얼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6000B2 (ja) 動物に適応した照明方法及びシステム
US5892446A (en) Wild animal deterrent device
KR101472939B1 (ko) 마중센서와 센서등을 이용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로등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92264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in plant factory
KR20120036778A (ko) 형광등 조명 조절장치 및 그 감지 장치
US20190320590A1 (en) Adaptive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Sensor With Daylight Integral (DLI) Control System Incorporating Lumen Maintenance
KR101829032B1 (ko) 무선통신을 이용 자동연동제어 가능한 지능형 조명등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16070A (ko) 버섯재배사
JPWO2020241149A1 (ja) 野生動物撃退装置
KR101041491B1 (ko) 조명 및 방범 기능을 구비한 화분
KR101047977B1 (ko) 스마트형 공원 시설물
KR200217227Y1 (ko) 센서를 사용하여 조류를 쫓는 장치
CN105766887A (zh) 一种多方式家用驱鸟器
JP3205752U (ja) 害獣・害鳥類忌避装置
CN107943163A (zh) 一种用于温室大棚的补光灯智能控制系统
KR200405236Y1 (ko) 조도 제어식 조명등
US20210329850A1 (en) Adaptive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sensor with daylight integral (dli) control system incorporating lumen maintenance
KR20200031396A (ko) 빛공해 방지를 위한 배광각도 조절형 가로등 조명장치
CN205547119U (zh) 一种多方式家用驱鸟器
KR100582455B1 (ko) 음성 및 빛을 발하는 전기울타리 전원 공급장치
JP2008200001A (ja) 夜行性虫捕虫システム
KR102239808B1 (ko)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
CN204614149U (zh) 一种基于园林节能路灯上的烟雾报警器
KR102185503B1 (ko) 차량통과 대수에 비례하여 조도를 제어하는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 제어방법
KR20210002663U (ko) 가로등용 색온도 조절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