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852B1 - 줄어든 간섭 패턴을 갖는 다축 직물 - Google Patents

줄어든 간섭 패턴을 갖는 다축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852B1
KR101320852B1 KR1020077027704A KR20077027704A KR101320852B1 KR 101320852 B1 KR101320852 B1 KR 101320852B1 KR 1020077027704 A KR1020077027704 A KR 1020077027704A KR 20077027704 A KR20077027704 A KR 20077027704A KR 101320852 B1 KR101320852 B1 KR 10132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direction
fabric
layer
yarns
direction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636A (ko
Inventor
존 엠. 호스
글렌 코넷
본 리딘
스콧 퀴글리
마이클 에이. 로요
제임스 지. 도노반
스티븐 유크
Original Assignee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0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10Wire-cloths
    • D21F1/105Multi-layer wire-cloth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36Multi-layer screen-cloth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21F7/083Multi-layer f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Papermaking press f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2Woven fabric for papermaking drier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3Paper forming member, e.g. fourdrinier, sheet form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472Woven fabric including an additional woven fabri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472Woven fabric including an additional woven fabric layer
    • Y10T442/3528Three or more fabric layers
    • Y10T442/3537One of which is a nonwoven fabri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10T442/3724Needled

Landscapes

  • Paper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소한 간섭 패턴을 가지며 이에 따라서 개선된 탈수 균일성을 갖는 제지기용 다층 다축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다층 다축 직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77027704
다층 다축 직물, 솔기, 순환 직물, 루프들, 기계방향사(MD yarns), 교차기계방향사(CD yarns)

Description

줄어든 간섭 패턴을 갖는 다축 직물{MULTIAXIAL FABRIC HAVING REDUCED INTERFERENCE PATTERN}
본 발명은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층 다축 직물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제지공정 도중에, 섬유 슬러리, 즉 셀룰로오스 섬유의 수분산액(aqueous dispersion)을 제지기의 성형부 내에서 이동 성형 직물(moving forming fabric) 위로 증착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 섬유 웹이 형성된다. 이때 다량의 물이 성형 직물을 통하여 상기 슬러리로부터 배수되어, 성형 직물의 표면상에 셀룰로스 섬유 웹을 남긴다.
새로이 형성된 셀룰로스 섬유 웹은 성형부로부터 일련의 프레스 닙들(press nips)을 포함하는 프레스부로 진행한다. 셀룰로스 섬유 웹은 하나의 프레스 직물에 의해서 지지되는 프레스 닙들을 통과하거나, 또는, 종종 그러하듯이, 2개의 프레스 직물들 사이를 통과한다. 프레스 닙들에 있어서, 셀룰로스 섬유 웹은 이 섬유 웹으로부터 물을 짜내는 가압력을 받으며, 웹 내의 셀룰로스 섬유들을 서로 부착시켜서 셀룰로스 섬유상 웹을 종이 시이트로 전환시킨다. 짜낸 물은 프레스 직물 또는 직물들에 의해서 수용되고, 이상적으로는 종이 시이트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종이 시이트는 최종적으로 건조기 구간으로 진행하는데, 건조기 구간은 증기 에 의해서 내부적으로 가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련의 회전가능한 건조기 드럼 또는 실린더들을 포함한다. 새롭게 형성된 종이 시이트는 드럼의 표면에 대하여 종이를 밀착 고정시키는 건조기 직물에 의해서 상기 일련의 드럼의 둘레를 각각 순차적으로 꾸불꾸불한 경로를 따라서 진행한다. 가열된 드럼들은 증발을 통해서 종이 시이트의 수분함량을 원하는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성형 직물, 프레스 직물 및 건조기 직물들은 제지기에서 모두 순환 루프들의 형태를 취하며 컨베이어와 같이 기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지는 상당한 속도로 진행되는 연속적인 공정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즉, 새로이 제조된 종이가 건조기 구간을 빠져나온 후 롤들 위로 연속해서 감기는 중에도, 섬유 슬러리는 성형부 내의 성형 직물 위로 연속해서 증착된다.
본 발명은 주로 프레스 구간에서 사용된 직물에 관련되는데, 이 직물은 일반적으로 프레스 직물로서 알려져 있으나, 예를 들어 긴 닙 프레스 벨트와 같은 중합체 피복 제지 공정 벨트들에 대한 베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성형 구간 및 건조기 구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프레스 직물은 종이 제조과정 동안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한 역할중 하나는, 위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프레스 닙들을 통해서 제조되는 종이제품들을 지지하고 운반하는 것이다.
프레스 직물들은 종이 시이트의 표면 마감에 기여한다. 즉, 프레스 직물들은 매끄러운 표면과 균등하게 탄력 있는 구조물들을 가져서 프레스 닙들을 통과하는 도중에 매끄럽고 마크가 없는 표면이 종이에 부과되도록 설계된다.
가장 중요하게도, 프레스 직물은 프레스 닙에서 젖은 종이로부터 추출되는 많은 양의 물을 수용한다. 이러한 기능을 이행하기 위해서, 프레스 직물 내에는 물에 대하여 공극 체적으로서 언급되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고, 직물은 전체의 유용한 수명 동안에 물에 대한 적당한 투수성을 가져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프레스 직물은 젖은 종이로부터 수용한 물이 다시 젖은 종이로 복귀하여 종이가 프레스 닙을 빠져나갈때 다시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현대의 프레스 직물들은 제조될 종이 등급에 맞추어 설치되는 제지장치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스타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직물들은 미세한 부직포 섬유상 재료의 속 솜 내로 바느질되는 직조 기초 직물을 포함한다. 기초 직물들은 단섬사, 꼬인 단섬사, 다섬사 또는 꼬인 다섬사로부터 직조된 것이며, 단층이나 다층 또는 얇은 판의 형태를 취한다. 실들은 제지기 의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들과 같은 몇몇 합성 중합체 수지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압출된다.
직조 직물들은 많은 다른 형태들을 취한다. 예를 들면, 이들은 순환 직물의 형태로 직조하거나, 혹은 평평하게 직조하여 부수적으로 솔기를 갖는 순환형태로 전환된다. 이와는 달리, 이들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공정에 의해 변형된 순환 직조물로서 제조되며, 이때 기초 직물의 폭방향 테두리들은 그것의 기계방향사들(MD yarns)을 이용하여 만든 솔기형성 루프들(seaming loops)을 구비한다.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 기계방향사들은 직물의 폭방향 테두리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전후방으 로 직조되고, 각각의 테두리에서 방향 전환하여 솔기형성 루프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기초 직물은 제지기 상에 설치되는 동안에 순환형태를 취하고, 이러한 이유로 기계상에서 봉합가능한 직물(on-machine-seamable fabric)로서 언급된다. 그러한 직물을 순환 형태로 배치하기 위해서, 2개의 폭방향 테두리들이 함께 꿰매어진다. 솔기 만들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많은 현재의 직물들은 직물의 두 단부들의 가로방향 테두리들 상에서 솔기형성 루프들을 갖는다. 솔기형성 루프들은 직물의 기계방향사에 의해서 형성된다. 솔기는 통상적으로 프레스 직물의 두 단부들을 가져오고 직물의 두 단부들에서 솔기형성 루프들을 서로 얽히게 하고 서로 얽힌 솔기형성 루프들에 의해서 한정된 통로를 통하여 소위 핀 또는 핀틀을 통과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직조한 기초 직물들은, 하나의 기초 직물을 다른 직물에 의해서 형성된 순환 루프 내에 위치시키고, 기초 직물들과 주요 섬유 속 솜이 결합하도록 기초 직물들을 통해서 주요 섬유 속 솜을 바느질함으로써 적층 된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직조한 기초 직물들이 기계상에서 봉합가능한 형식(on-machine-seamable type)을 취하게 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직조한 기초 직물들은 순환 루프들의 형태를 이루고, 종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특정한 길이를 가지며 횡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특정한 폭을 갖는 형태로 봉합 가능하다. 제지기 구성은 다양하게 변하기 때문에, 제지기 의류 제조업자들에게는 고객들의 제지기들에서 특정 위치들에 부합하는 치수로 직물들 및 벨트들을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말할 필요도 없이, 각각의 프레스 직물이 주문대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이러한 요구조건들로 인하여 제조공정을 합리화하는 것은 어렵다.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갖는 직물들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하여야 하는 필요성에 따라서, 여기에서는 참고문헌으로서 기재된 Rexfelt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360,656 호('656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나선 권선 기술을 사용하여 프레스 직물들을 제조하는 것이 최근에 제안된 바 있다.
'656 특허에는 안정한 섬유 재료가 바느질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을 갖는 기초 직물을 포함하는 프레스 직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초 직물은 기초 직물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직조 직물의 나선형으로 감긴 스트립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기초 직물은 종방향 또는 기계방향으로 순환형태를 취한다. 나선형으로 감긴 스트립의 종방향 바느질 실은 프레스 직물의 종방향으로 일정각도를 이룬다. 직조 직물의 스트립은 직기 상에서 평평하게 직조하는데, 제지기 의류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보다 좁다.
기초 직물은 상대적으로 좁은 직조 직물 스트립의 다수의 나선형으로 감기고 결합된 방향전환부들(turns)을 포함한다. 직물 스트립은 종방향실(날실) 및 횡방향실(씨실)로부터 직조한다. 나선형으로 감긴 직물 스트립의 인접한 방향전환부들은 서로에 대하여 접하고 나선형으로 연속해서 이어 붙이고, 그렇게 만들어진 나선형으로 연속적인 솔기는 재봉(sewing), 바느질(stitching), 용해(melting) 또는 용접(welding)(즉, 초음파) 또는 아교접합(gluing)에 의해서 폐쇄된다. 이와는 달리, 나선형 방향전환부들의 인접한 종방향 단부들은, 중첩부의 영역에서 증가된 두께를 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단부들이 감소된 두께를 갖는한 중첩하여 배열된다. 이와는 달리, 종방향 실들 사이의 간격은 스트립의 단부들에서 증가되고, 결합하는 나선형 방향전환부들이 중첩하여 배열되는 경우, 중첩부의 영역에서 종방향 실들 사이에 변하지 않는 공간이 존재한다.
다축 프레스 직물은 적어도 4개의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실들로 이루어진 둘 또는 그 이상의 기초 직물들로 형성된다. 반면에, 종래 기술에 따른 표준 프레스 직물들은 3개의 축을 갖는데, 하나는 기계방향(MD)이고, 다른 하나는 교차기계방향(CD)이고, 마지막 하나는 직물의 두께를 관통하는 Z 방향이며, 다축 프레스 직물은 이러한 3개의 축들뿐만 아니라, 나선형으로 감긴 층이나 층들에서 실 시스템들의 방향에 의해서 한정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축을 구비한다. 또한, 다축 프레스 직물의 Z 방향으로 다중 유동 경로들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다축 프레스 직물은 적어도 5개의 축을 갖는다. 다축 구조로 인하여, 하나의 층 이상을 갖는 다축 프레스 직물은, 서로에 대하여 평행한 실 시스템들을 갖는 기초 직물 층을 구비한 것과 비교해서, 네스팅(nesting)에 대하여 및/또는 제지 공정동안에 프레스 닙에서의 압축에 반응하여 붕괴에 대하여 우수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하나가 다른 하나 위로 놓이는 2개의 별도 기초 직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직물들이 "적층되고(laminated)" 각각의 층은 다른 기능성에 대하여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별도의 기초 직물들 또는 층들은 용도에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속 솜의 바느질과 같이 통상적으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식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스 직물의 지형(topography)은 종이 시이트의 질에 공헌한다. 평면의 지형은 종이 시이트와 접촉하고 프레스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균등한 압착 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프레스 직물 상에서 훨씬 매끄러운 접촉면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표면 평탄은 직물을 형성하는 직조 패턴에 의해서 제한된다. 섞어 짠 실들의 교차점들은 직물의 표면에 너클들(knuckles)을 형성한다. 이 너클들은 직물의 나머지 영역들보다 Z방향으로 훨씬 두껍다. 결과적으로, 직물의 표면은 국부적인 영역들의 두께가 변하고 시이트간 두께차(caliper variation)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평면 지형을 가지는데, 이것은 압착 작동과정 동안에 시이트 마킹(marking)을 야기할 수 있다. 시이트간 두께차는 속 솜 층에 비-균등 속 솜 마모, 압축 및 마킹을 야기하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얇은 판이 겹쳐서 된 프레스 직물들, 특히 다축 직물들은 그러한 시이트간 두께차를 갖는다. 특히, 동일한 직조 패턴의 2개 층들을 갖는 다축 직물의 경우에 있어서, 국부적인 시이트간 두께차가 증대될 것이다.
그러므로, 작동중에 압력 분포를 개선하고 시이트 마킹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다축 프레스 직물에 대하여 줄어든 시이트간 두께차를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압착 균등성과 줄어든 시이트 마킹을 갖는 제지기용 다층 직물을 제공한다.
일실시 예에서 본 발명은 둘 또는 그 이상의 기초 구조물들 또는 층들로부터 형성된 다층 직물을 제공하는데, 이 다층 직물은 제지기 상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재료의 다축 스트립들로부터 형성된 층이나 층들 또는 이들과 조합한 직물의 층들을 포함한다. 제 1 실시 예에 있어서, 소정의 방식으로 섞어 짠 다수의 기계방향사(MD yarns)와 다수의 교차기계방향사(CD yarns)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기계방향사들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및/또는 교차기계방향사들 사이의 거리가 또한 변하며, 따라서 직물을 구성하는 층들 사이에서 간섭 패턴 또는 모아레 효과(Moire Effect)가 줄어들게 된다.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직조 층과 하부 직조 층을 포함하는 다층 직물을 제공하는데, 이때 상기 상부 직조 층과 상기 하부 직조 층은 예를 들어 Yook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939,176 호('176호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식, 즉 공극 체적을 생성하고 직물 개방성을 유지하며 직조 층들 사이에서 간섭 패턴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서 그들 사이에 부직 층이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 3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층 직물을 제공하는데, 이 다층 직물은 상기 '656 특허 혹은 '176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 직조 층과 하부 직조 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층의 내부와 상기 하부층의 내부는, 상부 직조 층과 하부 직조 층 사이에서 포개넣는것(nesting)을 최소화하고 이에 의해서 직조 층들 사이에서 국부적인 시이트간 두께차 및/또는 간섭 패턴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너클들의 높이를 감소시키도록 평탄화하거나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도록 처리된다.
제 4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지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층 직물을 제공한다. 둘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은 기계방향사 및 교차기계방향사로 직조된다. 다수의 기계방향사들 및 제 1의 다수의 교차기계방향사들은 직물 층 내에서 제 1 쉐드(shed) 패턴을 형성하고, 및/또는 다수의 기계방향사들 및 제 2의 다수의 교차기계방향사들은 제 2 쉐드(shed) 패턴을 형성하며, 그래서 다층 직물을 만들어 내기 위해 둘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이 하나가 다른 하나 위로 위치하는 경우에 그들 사이의 간섭 패턴이 완화된다.
제 5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축 기저부를 구비한 다층 직물의 일부가 되는 라미네이트 재료를 채용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순서를 매기는 것은 단지 설명의 명확성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선호도나 중요도의 특별한 순서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단지 일정한 층들이 설명되겠지만, 그러한 층들은 추가적인 층들을 갖는 직물의 일부가 될 것이다. 예를 들면, 프레스 직물에 있어서, 속 솜 섬유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은 예를 들어 바느질과 같은 방식에 의해서 라미네이트의 종이 접촉면이나 기계 접촉면에 추가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유사한 요소들 및 부품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보다 완벽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통해서 참고가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순환 루프의 형태를 갖는 다층 다축 직물의 평면도;
도 2는 다층 다축 직물의 탄소 부여(carbon impressions)로부터 형성된 간섭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0°의 오프셋(offset)을 갖는 종래의 다층 직물의 간섭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3°의 오프셋을 갖는 종래의 다층 다축 직물의 간섭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다층 다축 직물의 지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6°의 오프셋을 갖는 종래의 다층 다축 직물의 지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층 다축 직물의 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각각의 층이 도 7에 나타낸 가변 기계방향사 간격을 갖는 2개의 층들을 구비한 다층 다축 직물의 간섭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다층 다축 직물의 지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변 교차기계방향사 간격을 갖는 다층 다축 직물의 층을 나타낸 도면;
도 10a는 각각의 층이 도 10에 도시한 직조 패턴을 갖는 두 개의 층들을 구비한 다층 직물의 간섭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10b는 도 10a에 도시한 다층 다축 직물의 지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가변 교차기계방향사 간격을 갖는 다층 다축 직물의 다른 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층 다축 직물의 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다층 다축 직물의 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다축 재료의 규칙적인 평직 스트립을 나타낸 도면;
도 14a는 원하는 쉐드(shed) 패턴을 갖는 다축 재료로 이루어진 스트립들의 층을 나타낸 도면;
도 14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라서 서로 상쇄하는 2개의 패턴으로 형성된 다층 다축 직물의 간섭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14c는 통상적인 원하는 각도로 서로 상쇄하는 2개의 표준 직조 패턴의 2개 층으로 형성된 다층 종래 직물에 대한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15A는 대표적인 다축 기초 직물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5B 내지 도 15D는 제 5 실시 예에 따라서 라미네이트 재료를 채용하는 다층 다축 직물을 나타낸 도면.
다층 직물들은 둘 또는 그 이상의 기초 기판들 또는 층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히 다층, 다축 직물에 적합하다. 이 직물들은 상기 '656 특허에 설명한 바와 같은 재료의 스트립들로서 제조된다. 본 발명은 재료의 직조 스트립들의 층들에 관한 특별한 응용을 가지지만, 스트립들의 다른 구성, 예를 들면 적층할 때 모아레 효과(Moire Effect)를 나타내는 다른 것들 중에서 메쉬(mesh) 및 기계방 향사와 교차기계방향사 배열들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와 같은 응용에 대하여도 적합할 것이다. 또한, 직물의 층들은 다축 층들과 같은 층들을 통상적인 순환 직물의 층과 조합한 것이 되거나 또는 그것의 몇몇 조합이 되고 바느질 혹은 그러한 목적에 적합한 소정의 다른 방식으로 함께 결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656 특허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 층들이 되는 적어도 2개의 층을 갖는 다축 직물을 예로서 사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다축 직물의 예는, 상기 '176 특허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접는 선과 제 2 접는 선을 따라서 접히는 순환 다축 직물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각각 다수의 섞어 짠 기계방향사 및 교차기계방향사를 갖는 제 1(상부) 직조 층과 제 2(하부) 직조 층을 포함하는 다축 프레스 직물을 제공한다. 다축 직물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실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물을 형성하는 재료의 스트립들의 나선형 배향으로 인하여, 기계방향사는 직물의 기계방향에 대하여 약간의 각도를 이룬다. 상대적인 각도 혹은 오프셋(offset)은 제 1 층의 기계방향사들 사이에서 그 위에 놓이는 제 2 층의 기계방향사에 의해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1 층의 기계방향사에 대하여 수직한 제 1 층의 교차기계방향사는 제 2 층의 교차기계방향사와 동일한 각도를 형성한다. 간단히 말해서, 다층 직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나선형으로 형성된 직물이 서로 겹쳐지게 놓이는 경우에, 제 1 층의 기계방향사나 교차기계방향사는 제 2 층의 기계방향사나 교차기계방향사와 정렬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순환 루프의 형태로 제 1(상부) 층(110)과 제 2(하부) 층(120)을 갖는 통상적인 다층 다축 직물(1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후의 직물 구성에 따라서, 예를 들어 바느질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부착된 속 솜 섬유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들과 같이 추가적인 층들이 추가될 수 있다. 제 1 층(110)은 기계방향사(130)와 교차기계방향사(140)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 2 층(120)은 기계방향사(150)와 교차기계방향사(160)를 갖는다. 또한, 상대 각도 또는 오프셋(170)은 기계방향사(130)와 기계방향사(150) 사이에 형성된다. 일단 다축 직물(100)이 조립되면,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5,916,421 호('421 특허) 및 제 6,117,274 호('274 특허)에 추가하여 '176 특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기에 의해서 순환 형태로 제공된다.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들은 다축 직물(100)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들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언급한 모든 특허들은 참조목적으로 통합된 것이다.
대부분의 얇은 판으로 된 다층 직물들의 경우에 있어서 다축 직물이건 아니건 간에 층들 사이에서 실의 정렬이 자주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몇몇 특징적인 간섭이나 모아레 효과(Moire Effect)가 발생하게 된다. 얇은 판으로 된 프레스 직물들의 경우에 있어서, 그러한 직물들은 기계방향사와 교차기계방향사의 공간과 크기의 함수인 모아레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는 실들이 단섬사이고 특히 직경이 증가하며 카운트가 감소할 때 향상된다. 하나의 층의 직각 실 시스템이 다른 층들의 그것들과 평행하거나 수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는 다축 직물에서 존재한다.
다층 다축 직물 구조물은 종래의 순환 직물 라미네이트 구조물보다 양호하게 기초 직물 다짐에 대한 저항능력을 갖기 때문에 많은 제지 성능상의 장점들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예를 들어 2개 층의 다축 라미네이트의 경우에 있어서 한 층의 직각 실 시스템들이 다른 얇은 판으로 된 층의 라미네이트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수직하지 않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각각의 층(즉, 층(110,120))의 각각의 기계방향사와 교차기계방향사 시스템들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는 실제적으로 1°내지 7°오프셋 범위에 있게 된다. 이러한 각도의 영향은 모아레 효과(Moire Effect)를 강화시키고, 계면 지형의 평면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모아레 효과가 도 2에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서 간섭 패턴(200)이 종래의 다층 다축 프레스 직물에 형성된다. 간섭 패턴들은 다층 다축 직물을 형성하는 실 배열의 특성이며, 작동중에 프레스 직물의 압력 분포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간섭 패턴(200)은 양 방향으로 단섬사들을 갖는 다층 다축 직물의 탄소 부여로부터 형성된다. 접촉 점들(210)은 압착 작동 중에 시이트에 발휘된 압력 집중의 영역을 나타낸다. 특히, 어두운 접촉 점(220)은 높은 두께(caliper) 영역을 나타내는 최대 압력의 영역이다. 높은 두께 영역은 제 1 및 제 2 층에서 중첩하는 실들로부터 형성된 너클들로부터 생겨난다. 비교하면, 밝은 접촉 점(230)은 낮은 두께 영역을 나타내는 낮은 압력의 영역이다. 또한, 개방 영역(240)은 실들이 교차하지 않는 영역이다.
밝은 접촉 점(230)과 어두운 접촉 점(220)의 패턴은 비-평면 지형 및 비-균등 압력 분포를 나타낸다. 특히, 기계방향사 밴드(250)와 교차기계방향사 밴 드(260)은 높은 두께의 영역을 형성하고, 두께 편차를 예시한다. 이러한 가시적인 표현은 모아레 효과(Moire Effect)로서 알려져 있다.
두께 편차는 직물의 각 층에서 교차하는 실들의 간격과 크기의 함수이다. 그러므로, 실들의 직경이 증가하고 특정 영역에서 실들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서 국부화된 두께 편차가 보다 두드러지고 반대의 시이트 마킹이 발생하게 된다.
다층 다축 직물에 대한 간섭 패턴은 제 2 직조 층의 평면 위로 제 1 직조 층을 겹쳐 놓음으로써 발생한다.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다축 직물들에서 일정 형식의 층들의 조합에 대하여 간섭 패턴들과 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제 2 직조 층의 평면 위로 제 1 직조 층을 겹쳐 놓음으로써 형성된 직물의 간섭 패턴(300)이다. 직물은 0°의 오프셋을 갖는 단섬사들의 평직을 갖는 2개의 층들로부터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층에 의해서 제공되는 다축 효과가 없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층의 실들은 제 2 층의 실들 위로 완전히 겹쳐진다.
도 4는 도 3에서와 동일하지만 서로에 대하여 3°의 오프셋을 갖는 직조 직물 층(110,120)으로부터 형성된 다층 다축 직물의 간섭 패턴(400)이다. 기계방향사 밴드들(410)과 교차기계방향사 밴드들(420)을 분명하게 볼 수 있는데, 이는 두께, 매스(mass) 및/또는 압력 편차를 나타낸다. 그러한 직물은 사용하는 경우에는 명백하게 바람직하지 못한 종이 시이트로부터의 물의 불균등 배수를 야기한다.
도 5는 지점 혹은 영역들(510,520,530,540,550)을 갖는 도 4에 도시된 다층 다축 직물의 지형(500)을 나타낸다. 검은점 혹은 영역(510)은 4개의 실들이 교차하 는 영역을 나타내고, 어두운 회색(520)은 3개의 실들이 교차하는 영역의 지점을 나타내고, 중간 회색(550)은 2개의 실들이 교차하는 지점이나 영역을 나타내고, 흰색(550)은 개방된 영역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은 기계방향사 밴드(560)와 교차기계방향사 밴드(570)를 갖는 비-평면이 된다.
도 6은 층들 사이에 6°의 오프셋을 갖는 도 4에 도시된 다층 다축 직물의 지형(600)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은 비-평면이다. 이러한 상세한 표현에 있어서, 직물의 두께, 매스 및 압력 편차가 명백하게 나타난다. 특히, 영역(610)은 4개의 실들이 중첩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지점들의 패턴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방향사 밴드와 교차기계방향사 밴드를 야기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층(700)이 도시되어 있다. 층(700)은 소정의 방식으로 교직된 다수의 기계방향사(710)와 교차기계방향사(720)을 포함한다. 인접한 기계방향사(710)의 한 쌍 사이에서의 거리나 간격(730)은 인접한 기계방향사(710)의 다른 쌍 사이에서의 거리나 간격(740)과는 다르다. 또한,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720)의 한 쌍 사이에서의 거리나 간격(750)은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720)의 다른 쌍 사이에서의 거리나 간격(760)과는 다르다. 즉, 층(700)은 인접한 기계방향사(710)의 쌍들 사이의 가변 거리나 간격 및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720)의 다른 쌍 사이에서의 가변 거리나 간격을 갖는다. 각각의 층 내로 "비-균등성(non-uniformity)"을 의도적으로 도입하면 순수한 비-균등성 효과를 작게 한다.
비록 가변적인 거리가 인접한 기계방향사의 인접한 쌍들 사이에서 그리고 인 접한 교차기계방향사의 인접한 쌍들 사이에서 나타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인접한 기계방향사의 쌍들 및/또는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의 쌍들 사이에서의 가변적인 거리나 간격은 소정의 방식으로 배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720)의 한 쌍 사이의 거리(750)에 이어서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720)의 다른 쌍 사이의 거리(760)가 수반되고 이어서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720)의 다른 쌍 사이의 거리(770)가 수반되거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720)의 쌍들 사이에서 일정 수의 거리(750)에 이어서 교차기계방향사들의 인접한 쌍들 사이에서 일정 수의 거리(760)가 수반되고 일정 수의 거리(770)가 수반된다. 또한,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의 쌍들 사이에서 잔여 거리들과는 다른 직물의 길이를 통해서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들의 쌍들 사이에서 단지 하나의 거리만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들의 쌍들 사이에서의 모든 거리들은 다르다.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들의 쌍들 사이에서 상기한 가변 거리들은 인접한 기계방향사들의 쌍들 사이에서의 거리에 적용될 것이다. 인접한 기계방향사들의 쌍들 사이와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들 사이에서의 가변 거리들의 그러한 배열은, 압착 균등성을 개선하고 시이트 마킹을 감소시킬 것이다. 기계방향사 및/또는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에서의 거리들의 조합은 본 발명에서 계획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변 기계방향사 및 교차기계방향사 간격의 엇갈린 배열로 제 1 층과 제 2 층을 갖는 다층 다축 직물의 간섭 패턴과 지형을 나타낸다. 각각의 층은 서로 3°의 오프셋을 이룬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다층 다축 직물(도 2, 4 및 5를 비교함)의 특징인 잘 한정 된 모아레 효과(Moire Effect) 기계방향사 및 교차기계방향사 밴드들은 줄어들거나 감소한다. 따라서, 직물의 지형은 보다 균등해지고, 감소한 시이트 마킹과 더불어 개선된 압착 균등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계방향사 및/또는 교차기계방향사의 원하는 간격의 실행은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서 쉽사리 달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들의 쌍들 사이의 소정의 거리는 비-균등 혹은 가변 그룹화 및/또는 임의로 혹은 의도적으로 삽입된 녹는 실의 사용을 강제하기 위해서 직조 혹은 선택적인 직조 패턴에서 길이 요소의 프로그램된 원격 제어에 의해서 달성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 층(1000)은 다수의 교직 기계방향사(1010) 및 교차기계방향사(1020)를 가지며 가변 교차기계방향사 간격을 갖는 패턴이다. 즉, 제 1 간격(1030)은 제 2 간격(1040)과는 다르다. 교차기계방향사 간격은 이 설명에 있어서 변했지만, 기계방향사 간격(1050)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과 조합은 무한하다.
도 10a 및 10b는 도 10에 도시한 직조 패턴 및 실 간격으로 형성된 제 1 층과 제 2 층을 구비한 다축 직물의 간섭 패턴과 지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0의 직조 패턴에 묘사된 높은 교차기계방향사 카운트와 가변 간격의 교차기계방향사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에 비해서 최소로 잘 한정된 기계방향사 및 교차기계방향사 밴드들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다축 다층 직물의 지형은 보다 균등해 질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개선된 압착 균등성과 감소한 시이트 마킹을 제공하게 된다.
도 11은 가변 교차기계방향사 간격을 갖는 직조 패턴을 구비한 층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균등하지 않은 교차기계방향사 간격을 갖는 다수의 기계방향사(1110) 및 교차기계방향사(1120)를 구비한 층(1100)을 나타낸다. 즉,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의 쌍들 사이의 거리는 다르다. 예를 들면, 제 1 거리(1130), 제 2 거리(1140) 및 제 3 거리(1150)가 다르다.
기계방향사들(1110)은 서로 균등하게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간격의 변화는 본 발명의 일부로서 상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인접한 기계방향사의 쌍들 사이의 소정의 이격된 거리는 예를 들어 비-균등 리드 덴트(reed dent) 간격, 다중 직경 기계방향사 가닥들 또는 다른 것들 중에서 실의 비-균등 리드 덴트 삽입에 의해서 달성된다. 한쌍의 인접한 기계방향사의 쌍들 사이의 가변 소정 거리를 조성하는 다른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들에게는 쉽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논의한 모든 실시 예들에 추가하여, 바느질에 의해서 부착된 섬유 속 솜과 같은 추가적인 층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공극 부피를 조성하고 직물 개방성을 보전하는 부직 층(1230)을 다축 층들(1210,1220) 사이에서 사용하는 것이 채용되었다. 다축 층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간섭 패턴은 다축 직물의 제 1(상부) 직조 층과 제 2(하부) 직조 층 사이에 부직 층을 배치함으로써 감소하거나 제거된다. 부직 층은 짜거나 압출 성형한 메쉬(mesh), 기계방향사나 교차기계방향사 배열들과 같은 재료를 포함하며, 부직 섬유상 재료의 전체 폭 또는 나선형으로 감긴 스트립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기계상에서 봉합가능한(on-machine-seamable) 다층 다축 직물이다. 이 직물(1200)은 평평한 이중 길이의 이어붙인 다축 직물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상부층(1210)과 하부층(1220)은 Yook에게 허여된 '176 특허에 제공된 바와 같이 순환 직물의 형태로 제조되며, 이때 부직 층(1230)은 접히기 전에 상부 직조 층(1210)과 하부 직조 층(1220) 사이에 배치된다. 부직 층(1230)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통상적으로 섬유나 섬사들을 기계적으로, 열적으로 혹은 화학적으로 얽어 감아서 함께 결합시킨 시이트나 웹 구조물이다. 이것은 제지기 의류 제조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 의해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같은 적당한 재료로 제조될 것이다. 부직 층(1230)은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수단에 의해서 상부층(1210)과 하부층(1220) 사이에 배치될 것이다. 부직 층(1230)이 상부층(1210)과 하부층(1220) 사이에 배치된 후에, 직물(1200)은 '176 특허에 기재된 바와 같은 솔기에 의해서 순환 형태로 제공된다. 그 결과 형성된 직물은 3층 라미네이트, 즉 직조 다축 층, 부직 층 및 직조 다축 층이다. 다시, 프레스 직물의 경우에 있어서 섬유상 속 솜과 같이 추가적인 층들이 추가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 예에 있어서, 다층 다축 직물의 지형은 다층 다축 직물을 형성하는 각각의 층의 일측인 직물의 내부를 평평하게 함으로서 보다 평면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특히, '176 특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축 직물의 평탄화가 제 1 및 제 2 접는 선을 따라서 기계상에서 봉합가능하게 제조되는 경우에, 내측과 외측을 갖는 다수의 교직 기계방향사와 교차기계방향사를 구비한 상부층; 및 내측 과 외측을 갖는 다수의 교직 기계방향사와 교차기계방향사를 구비한 하부층을 포함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상부층의 내측과 하부층의 내측을 교차하는 너클들이나 실은 캘린더가공(calendering)과 같은 소정의 기술에 의해서 평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소정의 기술은 압착 균등성을 개선하고 시이트 마킹을 줄이기 위해서 각각의 층 상에서 너클들을 평평하게 하는 소정의 공정이 될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소정 기술이 너클들을 평평하게 하도록 적절한 압력, 속도 및 온도에서 각각의 층의 일측을 캘린더가공할 것이다. 다음에, 다층 다축 직물은 조립되고, 이에 의해서 두 층들의 매끄러운 면들은 평탄화 후에 서로 접촉하게 된다(매끄러운 면이 매끄러운 면 위로 위치함). 2개의 매끄러운 내면을 갖는 캘린더가공 면은 직물의 층들이 주어진 영역에서 덜 알맞게 포개지기 때문에 감소된 두께 변화를 갖는다. 한 직물 층의 실들이나 너클들이 다른 층의 실들이나 너클들 사이에 있는 개구부 내로 이동하거나 포개질 때는 언제나 네스팅(nesting)이 일어난다. 간섭 패턴은 일정한 범위로 가시적일 것이나, 잠재적으로 위험한 두께 변화가 상당히 줄어들고, 이에 의해서 압력 분포가 개선된다. 유사한 접근 방식이 '656 특허에 기재된 직물을 구성하는 개별적인 층들에 적용될 것이다.
도 13은 예를 들어 '176 특허에서 논의한 방식으로 이중 층 직물을 형성하여 기계상에서 봉합 가능하게 만들도록 순환 단일 층 다축 직물을 접어서 형성된다. 접은 후에, 다축 직물(1300)은 제 1 층(1310)과 제 2 층(1320)을 교대로 구비한다. 제 1 층(1310)은 내측(1330)과 외측(1340)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 2 층(1320)은 내측(1350)과 외측(1360)을 갖는다. 각각의 층의 내측이나 외측, 예를 들어 내 측(1330,1350)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는 직조 층의 너클들을 평평하게 하도록 캘린더가공되고, 그래서 두께 변화가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 예에 있어서, 다축 직물의 층들은 다른 직조 반복이나 쉐드 패턴을 혼합함으로써 각각 형성될 것이다. 직조 패턴 반복전에 교차한 실들의 수가 쉐드로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평직은 2개의 쉐드 직조로 일컬어진다. 직물에서 쉐드 패턴들을 혼합함으로써, 예를 들어 2개 쉐드 패턴을 2개 쉐드 패턴과 혼합함으로써, 3개 쉐드 직조에서 슈트가 2개 쉐드 직조의 단부들 사이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되거나 서로 엇갈리게 꼬인다. 2개 쉐드 단부들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꼬인 실은 두께 변화를 줄이고 압착 균등성을 개선한다. 서로 엇갈리게 꼬인 실은 기계방향 및/또는 교차기계방향을 취할 것이다.
도 14는 다축 재료의 규칙적인 평직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층(1405)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다축 직물(1400)의 층(1410)을 나타낸다. 도 14b는 다층 다축 직물(1400)을 형성하도록 접혀진 층(1410)을 보여준다. 다축 직물(1400)은 제 1 층(1410)과 제 2 층(1420)을 포함한다. 제 1 층(1410)은 다수의 교직 기계방향사(1412)와 교차기계방향사(1414)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층(1420)은 다수의 기계방향사(1412)와 교차기계방향사(1414)를 포함하는데, 이는 기계방향사에 대하여 교직 교차기계방향사와 동일한 실의 연속을 나타낸다. 나선으로 인하여 기계방향사와 교차기계방향사가 제 1 층(1410)과 제 2 층(1420)에서 배열되는 것은 서로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고, 모아레 효과(Moire Effect) 뿐만 아니라 작동 중에 직물의 압력 분포를 개선시킨다. 제 1 층(1410)과 제 2 층(1420)은 예를 들어 2 개 쉐드 패턴이 3개 쉐드 패턴과 혼합하는 직조 반복의 혼합으로부터 형성된다. 특히, 제 1 층(1410)에 있어서,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기계방향사(1426)는 2개 쉐드 단부들(1434,1436)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꼬인다. 마찬가지로, 제 2 층(1420)에 있어서, 교차기계방향사(1428)는 2개 쉐드 단부들(1434,1436)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꼬인다. 그 결과, 두께 변화는 줄어들고 압력 균등성은 개선된다. 명백히,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이거나 잘 한정된 기계방향사나 교차기계방향사 밴드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서, 도 14c는 제 1 직조 층(1460)과 제 2 직조 층(1470)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다층 다축 직물(1450)을 형성하도록 접혀진 층(1405)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직 다축 직물(1450)은 접혀지고 그 결과 주목할만한 기계방향사 밴드(1480)이 형성된다. 기계방향사 밴드들(1480)은 압착 작동 중에 종이 시이트에 표식을 만들 다른 두께, 매스 또는 압력 균등성의 영역이다. 도 14b 및 14c에 도시되었지만, 다축 직물은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 '656 특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층 직물의 상황에서 다층 직물을 만들어 내도록 접혀진다.
쉐드 패턴들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꼬이는 것은 기계방향 및/또는 교차기계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서로 엇갈리게 꼬이는 실은 2개의 별도 직물 층들이 개입되는 경우에 제 1 층 및/또는 제 2 층에 있게 된다. 또한, 서로 엇갈리게 꼬이는 실을 만드는 소정의 쉐드 조합은 본 발명에서 상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엇갈리게 꼬이는 실은 2개의 쉐드 패턴을 5개 쉐드 패턴, 3개 쉐드 패턴 및 4개 쉐드 패턴과 혼합함으로써 존재한다. 또한, 다층 직물의 2개 층들 중 단지 하나가 이 러한 다중-쉐드 직조를 포함할지라도, 간섭 패턴에서 평가할만한 개선이 실현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개수의 직물 층, 즉 2개로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섬유상 속 솜 층이나 층들은 바느질에 의해서 부착될 것이다.
도 15A에 도시된 제 5 실시 예에서, 순환 단일 층 다축 기초 직물(15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직물(1500)은 상기한 소정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솔기형성 영역에서, 교차기계방향사는 '176 특허에 기재된 방식에 따라서 솔기형성 목적을 위해 제거된다. 도 15B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에 의해서 생각할 수 있는 다층 변형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다층 직물(1510)은 도 15B에 도시된다. 기초 직물(1500)의 외부에 라미네이트 재료(1512)를 추가하고 그 직물을 라미네이트에 바느질함으로써 상기 다층 직물이 형성된다. 라미네이트는 제 2 실시예나 속 솜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러한 목적에 대하여 적합한 재료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제 5 실시 예의 모든 변형에 적용된다.
직물은 루프 영역(1514)에서 절개한 라미네이트 재료로서 바느질 직기로부터 제거된다. 직물(15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접혀지고, '176 특허에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어 붙이게 된다. 그 결과로 생긴 직물(1510)은 기초 직물(1500)로부터 형성된 2개의 층들 및 상부와 바닥에 있는 라미네이트 재료의 층(1512)을 갖는다.
도 15C를 참조하면, 다른 다층 직물(1520)이 기초 직물(1500)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재료(1522)는 바느질에 의 해서 기초 직물(1500)의 내부에 부착된다. 직물은 바느질 직기로부터 제거되고, 루프 영역(1524)에서 절개된 라미네이트다. 직물(1520)은 자체적으로 접혀지고, '176 특허에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어 붙이게 된다. 그 결과로 생긴 직물(1520)은 기초 직물(1500)의 2개의 층들 내부에서 라미네이트 재료의 2개 층(1512)을 갖는다.
도 15D를 참조하면, 다층 직물(153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 예에 서는 기초 직물(1500)을 이용한다. 라미네이트 재료(1532)는 기초 직물(1500)의 상부 외측에 위치하고, 루프 영역들(1534) 사이에서 직물의 길이의 1/2에 걸쳐서 바느질된다. 바느질되지않은 잔여 라미네이트 재료는 절단에 의해서 제거된다. 직물(1530)은 바느질 직기로부터 제거되어 안쪽으로 접혀지고, '176 특허에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이어 붙이게 된다. 그 결과로 생긴 직물은 기초 직물(1500)의 2개의 층들 내부에 라미네이트 재료의 층(1532)을 갖는다.
이것의 변형은 기초 직물(1500)의 내부에 라미네이트 재료를 위치시키고 루프 영역들 사이에서 직물을 바느질한 다음, 바느질되지 않은 과도한 라미네이트 재료를 제거하고, 그것을 접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어 붙인다. 이 직물은 직물(153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사항에 대한 변형은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명백하지만,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도록 본 발명을 변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는 그러한 상황을 포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Claims (44)

  1. 다축 직물로서,
    제 1의 접는 선과 제 2의 접는 선을 따라서 제 1 층과 제 2 층으로 평평해진 나선형으로 감겨져서 형성된 순환 루프의 형태인 다축 기초 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 직물은 제 1 직물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직물 스트립은 기계방향사들(MD yarns)와 교차기계방향사들(CD yarns)로부터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들 사이의 거리가 다른 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들 사이의 거리가 다르도록 직조되는 다축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기계상에서 봉합가능한(on-machine-seama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교차기계방향사들의 거리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제지기용 프레스 직물이고, 여기에 바느질된 섬유 속 솜의 한 층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직 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물 스트립은 한쌍의 인접한 기계방향사들의 거리가 다른 쌍의 인접한 기계방향사들의 사이의 거리와 다르도록 기계방향사들(MD yarns)로부터 직조되고, 상기 기계방향사는 비-균등 리드 덴트 간격(non-uniform reed dent spacing)의 다중 직경 기계방향사 가닥들 및 비-균등 리드 덴트 삽입 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다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섞어 짜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직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기계방향사는 길이 요소 직조의 프로그램된 원격 제어, 비-균등 그룹화 또는 임의로 혹은 의도적으로 삽입한 녹는 실들을 형성하도록 선택적인 패턴들 중 하나에 의해서 다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섞어 짜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직물.
  7.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축 직물의 형성방법으로서,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의 거리가 다른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의 거리와 다르도록 기계방향사(MD yarns)와 교차기계방향사(CD yarns)로부터 직조한 제 1 직물 스트립으로부터 기초 직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 직물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한 순환 루프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 직물을 제 1 접는 선과 제 2 접는 선을 따라서 제 1 층과 제 2 층으로 평평하게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 1 접는 선과 상기 제 2 접는 선을 따라서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을 이어 붙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축 직물의 형성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물 스트립은 한쌍의 인접한 기계방향사들의 거리가 다른 쌍의 인접한 기계방향사들의 사이의 거리와 다르도록 기계방향사들(MD yarns)로부터 직조되고, 상기 기계방향사의 인접한 실들은 비-균등 리드 덴트 간격, 다중 직경 기계방향사 가닥들 또는 비-균등 리드 덴트 삽입 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다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섞어 짜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직물의 형성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다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섞어 짜인 상기 교차기계방향사의 인접한 것들 사이의 상기 거리는, 길이 요소 직조의 프로그램된 원격 제어, 비-균등 그룹화를 형성하기 위한 선택적인 패턴들 또는 임의로 삽입된 녹는 실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직물의 형성방법.
  10.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층 다축 직물로서,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의 거리가 다른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의 거리와 다르도록 상기 교차기계방향사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소정의 거리를 가지며 다수의 섞어 짠 기계방향사와 교차기계방향사를 구비한 제 1 직조 층; 그리고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의 거리가 다른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의 거리와 다르도록 상기 교차기계방향사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소정의 거리를 가지며 다수의 섞어 짠 기계방향사와 교차기계방향사를 구비한 제 2 직조 층;을 포함하는 다층 다축 직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 층과 상기 제 2 직조 층은 순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축 직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 층과 상기 제 2 직조 층 중 하나 또는 모두의 교차기계방향사의 거리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축 직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기계상에서 봉합가능한 직물(on-machine-seama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축 직물.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제지기용 프레스 직물이고, 여기에 바느질된 섬유상 속 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축 직물.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물 스트립은 한쌍의 인접한 기계방향사들의 거리가 다른 쌍의 인접한 기계방향사들의 사이의 거리와 다르도록 기계방향사들(MD yarns)로부터 직조되어서, 상기 제 1 직조 층과 상기 제 2 직조 층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기계방향사의 인접한 것들 사이의 소정 거리는, 비-균등 리드 덴트 간격, 다중 직경 기계방향사 가닥들 또는 비-균등 리드 덴트 삽입 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다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섞어 짜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축 직물.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 층과 상기 제 2 직조 층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교차기계방향사의 인접한 것들 사이의 소정 거리는, 길이 요소 직조의 프로그램된 원격 제어, 비-균등 그룹화를 형성하기 위한 선택적인 패턴 또는 임의로 삽입한 녹는 실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다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섞어 짜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직물.
  17.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층 다축 직물의 형성방법으로서,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의 거리가 다른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의 거리와 다르도록, 상기 교차기계방향사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소정의 거리를 가지며 다수의 섞어 짠 기계방향사와 교차기계방향사를 구비한 제 1 직조 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의 거리가 다른 한쌍의 인접한 교차기계방향사 사이의 거리와 다르도록 상기 교차기계방향사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소정의 거리를 가지며 다수의 교직 기계방향사와 교차기계방향사를 구비한 제 2 직조 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 1 직조 층과 상기 제 2 직조 층을 바느질에 의해서 함께 결합시키는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다축 직물의 형성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물 스트립은 한쌍의 인접한 기계방향사들의 거리가 다른 쌍의 인접한 기계방향사들의 사이의 거리와 다르도록 기계방향사들(MD yarns)로부터 직조되고, 상기 제 1 직조 층과 상기 제 2 직조 층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기계방향사의 인접한 것들 사이의 소정 거리는, 비-균등 리드 덴트 간격, 다중 직경 기계방향사 가닥들 또는 실의 비-균등 리드 덴트 삽입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다른 거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섞어 짜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축 직물의 형성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 층과 상기 제 2 직조 층의 적어도 하나에서 다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섞어 짠 상기 교차기계방향사의 인접한 것들 사이의 소정 거리는, 길이 요소 직조의 프로그램된 원격제어, 비-균등 리드 그룹화를 형성하기 위한 선택적인 패턴 또는 임의로 삽입된 녹는 실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축 직물의 형성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KR1020077027704A 2005-04-28 2006-04-20 줄어든 간섭 패턴을 갖는 다축 직물 KR101320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16,516 US7473336B2 (en) 2005-04-28 2005-04-28 Multiaxial fabrics
US11/116,516 2005-04-28
PCT/US2006/014959 WO2006116006A1 (en) 2005-04-28 2006-04-20 Multiaxial fabric having reduced interference patter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682A Division KR101443067B1 (ko) 2005-04-28 2006-04-20 줄어든 간섭 패턴을 갖는 다축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36A KR20080006636A (ko) 2008-01-16
KR101320852B1 true KR101320852B1 (ko) 2013-10-29

Family

ID=367043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704A KR101320852B1 (ko) 2005-04-28 2006-04-20 줄어든 간섭 패턴을 갖는 다축 직물
KR1020137015682A KR101443067B1 (ko) 2005-04-28 2006-04-20 줄어든 간섭 패턴을 갖는 다축 직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682A KR101443067B1 (ko) 2005-04-28 2006-04-20 줄어든 간섭 패턴을 갖는 다축 직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4) US7473336B2 (ko)
EP (5) EP2434052A1 (ko)
JP (2) JP4870154B2 (ko)
KR (2) KR101320852B1 (ko)
CN (4) CN103437234B (ko)
AU (1) AU2006240048A1 (ko)
BR (4) BR122016023641B1 (ko)
CA (6) CA2950025C (ko)
ES (4) ES2729523T3 (ko)
MX (3) MX2007013457A (ko)
NO (1) NO20076130L (ko)
PL (1) PL1885952T3 (ko)
RU (1) RU2401330C2 (ko)
TW (3) TWI488736B (ko)
WO (1) WO2006116006A1 (ko)
ZA (1) ZA2007092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4025B2 (en) * 2006-12-22 2009-10-20 Voith Patent Gmbh Forming fabric having offset binding warps
US7743795B2 (en) 2006-12-22 2010-06-29 Voith Patent Gmbh Forming fabric having binding weft yarns
US7879195B2 (en) * 2007-09-06 2011-02-01 Voith Patent Gmbh Structured forming fabric and method
US7879193B2 (en) * 2007-09-06 2011-02-01 Voith Patent Gmbh Structured forming fabric and method
US7879194B2 (en) * 2007-09-06 2011-02-01 Voith Patent Gmbh Structured forming fabric and method
US7861747B2 (en) * 2008-02-19 2011-01-04 Voith Patent Gmbh Forming fabric having exchanging and/or binding warp yarns
US7878224B2 (en) * 2008-02-19 2011-02-01 Voith Patent Gmbh Forming fabric having binding warp yarns
US8043477B2 (en) * 2008-02-25 2011-10-25 Voith Patent Gmbh Belt and method of making a belt for a paper making machine
US8002950B2 (en) * 2008-06-11 2011-08-23 Voith Patent Gmbh Structured fabric for papermaking and method
KR101100931B1 (ko) * 2010-02-01 2012-01-02 주식회사 맥텍 부품 이송용 흡착식 픽커
US8961742B2 (en) 2011-07-22 2015-02-24 Astenjohnson, Inc. Multiaxial press felt base fabric including cabled monofilaments
KR101255551B1 (ko) 2011-09-29 2013-04-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리특성이 개선된 다축 지오컴포지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다축 지오컴포지트
TW201412547A (zh) * 2012-09-11 2014-04-01 Kraton Polymers Us Llc 具有增進散熱的織物及其他基材
US9062416B2 (en) 2012-11-13 2015-06-23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pparatus, system, and proces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of a papermaking fabric
US9382663B2 (en) 2012-11-13 2016-07-05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pparatus, system, and proces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of a papermaking fabric
WO2014124111A1 (en) 2013-02-06 2014-08-14 Astenjohnson, Inc. Press felt base fabric exhibiting reduced interference
CN104520096B (zh) 2013-04-19 2017-03-01 艾斯登强生股份有限公司 含弹性载体层缝合压毡及其制造方法
CN103469667B (zh) * 2013-08-08 2016-08-17 浙江科技学院 一种高挺度两层半造纸成形网的制造方法
CN105873758B (zh) 2013-11-14 2017-09-26 佐治亚-太平洋消费产品有限合伙公司 具有高吸收性和大厚度的软吸收性片材及制造软吸收性片材的方法
DE112015002909T5 (de) 2014-06-20 2017-03-09 Otics Corporation Rollenheber
US10227721B2 (en) * 2015-03-06 2019-03-12 Apple Inc. Woven materials and methods of forming woven materials
USD790228S1 (en) * 2015-11-24 2017-06-27 Milliken & Company Fabric
USD790865S1 (en) * 2015-11-24 2017-07-04 Milliken & Company Fabric
USD785340S1 (en) * 2015-11-24 2017-05-02 Milliken & Company Fabric
USD789696S1 (en) * 2015-11-24 2017-06-20 Milliken & Company Fabric
USD841340S1 (en) * 2016-06-13 2019-02-26 Herman Miller, Inc. Suspension textile sheet
USD832017S1 (en) 2016-06-13 2018-10-30 Herman Miller, Inc. Chair component
JP1593349S (ko) * 2016-09-01 2017-12-18
US10385510B2 (en) 2016-11-16 2019-08-20 Astenjohnson, Inc. Seamless press felt with intermediate elastic carrier layer
CN107313149B (zh) * 2017-06-16 2023-07-28 长兴圣帆纺织有限公司 一种减少摩尔效应的粘合衬基布
CN112313072A (zh) 2018-02-02 2021-02-02 艾斯登强生国际股份有限公司 压毡非织衬垫、制造非织衬垫方法及压毡
US10716362B2 (en) * 2018-07-03 2020-07-21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ribbon structure having nodes and links
CN116145303A (zh) * 2021-11-19 2023-05-23 北京方硕复合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织物的编织方法及织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9176A (en) * 1998-09-01 1999-08-17 Albany International Corp. Warp loop seam
WO2004099496A1 (en) * 2003-05-05 2004-11-18 Asten Johnson, Inc. Multiaxial press felt base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8911A (en) 1967-03-17 1969-08-05 Orr Felt & Blanket Co The Method of making papermakers' felt
US3746053A (en) * 1972-02-02 1973-07-17 Minnesota Mining & Mfg Loom reed
SE429982C (sv) * 1982-11-02 1985-08-23 Nordiskafilt Ab Filt med oglesom for presspartiet i en pappersmaskin samt forfarande for dess framstellning
FI79735B (fi) 1986-12-15 1989-10-31 Tamfelt Oy Ab Planformig textilstruktur.
GB8814436D0 (en) * 1988-06-17 1988-07-20 Scapa Group Plc Papermachine clothing
US4896702A (en) * 1988-12-01 1990-01-30 Niagara Lockport Industries Inc. Seam construction for papermaking fabrics
SE468602B (sv) * 1990-12-17 1993-02-15 Albany Int Corp Pressfilt samt saett att framstaella densamma
US5864931A (en) * 1991-05-23 1999-02-02 Thomas Josef Heimbach Gmbh & Co. Felt, in particular a papermaking-machine fel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SE505390C2 (sv) * 1995-11-30 1997-08-18 Albany Int Corp Laminerad beklädnad samt metod och ämne för framställning därav
ATE218643T1 (de) * 1997-02-27 2002-06-15 Astenjohnson Inc Multiaxialer papiermacherpressfilz mit verbindungsnaht
US5785818A (en) * 1997-02-27 1998-07-28 Jwi Ltd. Multiaxial pin seamed papermaker's press felt
DE19814473A1 (de) * 1998-04-01 1999-10-07 Heimbach Gmbh Thomas Josef Maschinenfilz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5916421A (en) 1998-09-02 1999-06-29 Albany International Corp. Preformed seam fabric
US6117274A (en) * 1998-09-03 2000-09-12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layer laminate seam fabric
US6350336B1 (en) * 1999-06-22 2002-02-26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 fabric by spirally attaching a top laminate layer with a heat-activated adhesive
US6331341B1 (en) 1999-07-09 2001-12-18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axial press fabric having shaped yarns
US6723208B1 (en) * 2000-10-05 2004-04-20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 for producing spiral wound paper machine clothing
GB0025514D0 (en) 2000-10-18 2000-11-29 Voith Fabrics Heidenheim Gmbh Papermachine clothing
BRPI0114594B1 (pt) * 2000-10-23 2017-04-11 Albany Int Corp estrutura para a fabricação de papel que pode ser unida por máquina
US6565713B2 (en) * 2001-02-03 2003-05-20 Albany International Corp. Laminated structure for paper machine press fabric and method making
US6491794B2 (en) * 2001-03-29 2002-12-10 Albany International Corp. Base structure for seamed papermaker's fabrics
JP4081293B2 (ja) * 2001-04-27 2008-04-23 日本フエルト株式会社 製紙用フェルト
WO2003080910A1 (en) 2002-02-12 2003-10-02 Astenjohnson, Inc. Edge reinforced fabric strip for a spirally wound press felt base fabric
US6776878B2 (en) * 2002-04-02 2004-08-17 Albany International Corp. Laminated multiaxial press fabric
US7407564B2 (en) * 2002-11-15 2008-08-05 Albany International Corp. Stratified press fabric
US7514030B2 (en) * 2002-12-30 2009-04-07 Albany International Corp. Fabric characteristics by flat calendering
US6989080B2 (en) * 2003-06-19 2006-01-24 Albany International Corp. Nonwoven neutral line dryer fabric
US7032625B2 (en) * 2003-06-24 2006-04-25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layer papermaking fabrics having a single or double layer weave over the seam
JP4355524B2 (ja) * 2003-06-30 2009-11-04 イチカワ株式会社 抄紙用フェルト
US20050003724A1 (en) * 2003-07-02 2005-01-06 Fitzpatrick Keith Substrate for endless belt for use in papermaking applications
US7381308B2 (en) * 2004-05-12 2008-06-03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 for multiaxial papermaking fabrics
DE102004035523A1 (de) 2004-07-22 2006-02-09 Voith Fabrics Patent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9176A (en) * 1998-09-01 1999-08-17 Albany International Corp. Warp loop seam
WO2004099496A1 (en) * 2003-05-05 2004-11-18 Asten Johnson, Inc. Multiaxial press felt base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5952A1 (en) 2008-02-13
BRPI0609944A2 (pt) 2011-10-11
MX347046B (es) 2017-04-10
ES2713258T3 (es) 2019-05-20
CA2950031A1 (en) 2006-11-02
ZA200709248B (en) 2009-06-24
TW201410452A (zh) 2014-03-16
CN101184893B (zh) 2013-08-21
ES2714788T3 (es) 2019-05-30
CA2950025C (en) 2018-06-19
EP3103918A2 (en) 2016-12-14
CN105484089B (zh) 2018-05-25
EP3103919B1 (en) 2019-04-10
CN103437234B (zh) 2016-08-10
CA2950025A1 (en) 2006-11-02
BRPI0609944B1 (pt) 2017-09-12
TWI488735B (zh) 2015-06-21
TWI439366B (zh) 2014-06-01
US7981252B2 (en) 2011-07-19
WO2006116006A1 (en) 2006-11-02
EP1885952B1 (en) 2017-01-18
CA2606320A1 (en) 2006-11-02
BR122016023633B1 (pt) 2019-07-02
EP3103918B1 (en) 2018-12-26
US8753485B2 (en) 2014-06-17
CA2928854A1 (en) 2006-11-02
BR122016023636B1 (pt) 2018-11-06
CA2928858A1 (en) 2006-11-02
KR101443067B1 (ko) 2014-09-26
KR20080006636A (ko) 2008-01-16
CN105484088B (zh) 2018-06-01
MX342032B (es) 2016-08-31
ES2622879T3 (es) 2017-07-07
EP3103918A3 (en) 2017-03-08
US8372246B2 (en) 2013-02-12
EP3103919A1 (en) 2016-12-14
TWI488736B (zh) 2015-06-21
TW201412523A (zh) 2014-04-01
EP3103917B1 (en) 2018-12-12
KR20130085440A (ko) 2013-07-29
JP2011208349A (ja) 2011-10-20
RU2007139455A (ru) 2009-06-10
CA2606320C (en) 2015-02-24
CA2871861A1 (en) 2006-11-02
US20110272113A1 (en) 2011-11-10
NO20076130L (no) 2008-01-28
RU2401330C2 (ru) 2010-10-10
US20130340965A1 (en) 2013-12-26
PL1885952T3 (pl) 2017-08-31
AU2006240048A1 (en) 2006-11-02
CN101184893A (zh) 2008-05-21
EP2434052A1 (en) 2012-03-28
JP4870154B2 (ja) 2012-02-08
JP2008539341A (ja) 2008-11-13
CA2950031C (en) 2019-01-29
CN103437234A (zh) 2013-12-11
ES2729523T3 (es) 2019-11-04
TW200706357A (en) 2007-02-16
MX2007013457A (es) 2008-01-21
US20090142977A1 (en) 2009-06-04
US20060243338A1 (en) 2006-11-02
US7473336B2 (en) 2009-01-06
CA2871861C (en) 2017-02-07
CA2928858C (en) 2018-06-05
EP3103917A1 (en) 2016-12-14
BR122016023641B1 (pt) 2018-11-06
CN105484089A (zh) 2016-04-13
CA2928854C (en) 2018-05-29
CN105484088A (zh)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852B1 (ko) 줄어든 간섭 패턴을 갖는 다축 직물
CA2701224C (en) Flat woven full width on-machine-seamable fabric
KR100324995B1 (ko) 제지기상에서이음가능한다축프레스패브릭
AU2011205220A1 (en) Multiaxial Fabric Having Reduced Interference Patt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