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447B1 -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 Google Patents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447B1
KR101320447B1 KR1020130024127A KR20130024127A KR101320447B1 KR 101320447 B1 KR101320447 B1 KR 101320447B1 KR 1020130024127 A KR1020130024127 A KR 1020130024127A KR 20130024127 A KR20130024127 A KR 20130024127A KR 101320447 B1 KR101320447 B1 KR 101320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ood waste
waste
vertical
vertic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
Original Assignee
(주)유로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로파 filed Critical (주)유로파
Priority to KR102013002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분과 함께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건조한 후 일반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흡입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흡입 송풍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를 모두 흡입 이송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설비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쓰레기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송 관로에 별도의 유량 조절 밸브를 장착하여 이송 관로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로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완벽하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리 수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Automatic Waste Collecting System}
본 발명은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과 함께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건조한 후 일반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흡입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흡입 송풍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를 모두 흡입 이송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설비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쓰레기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송 관로에 별도의 유량 조절 밸브를 장착하여 이송 관로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로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완벽하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리 수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과 음식 문화의 발달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각종 쓰레기의 양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이러한 쓰레기들은 수거차량에 의해 수집되어 처리장으로 이송됐기 때문에, 수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운반차량으로 인한 교통 정체나 운반차량의 이동시 발생하는 침출수에 의한 악취발생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근래에는 종래 쓰레기 수거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쓰레기 자동 집하 시설이 개발되고 있다.
쓰레기 자동 집하 시설이란 송풍기의 흡입력으로 공기와 함께 흡입된 쓰레기를 이송 관로를 통해 집하장으로 이송하는 설비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나오는 생활 쓰레기를 종래의 인력과 차량에 의한 수거 방식과는 달리 옥내 또는 옥외에 설치된 쓰레기 투입기에 쓰레기를 버리면 중앙제어 시스템의 통제에 의하여 이송 관로에 흐르는 고속(약 70~90km/h)의 공기와 함께 중앙의 집하 시설로 운반되어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소각장에 직접 투입시키거나 컨테이너에 자동 적재 후 최종 처리장까지 운송하는 설비를 말한다.
이러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설은 종래의 수거방식으로 인한 악취 및 위생문제를 해결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 수거 차량의 공해 및 안전문제를 해소하며 친환경 이미지로 도시 생활을 개선하는 효과와, 불필요한 자원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무인화 시스템으로 입주민들의 운영 관리비를 감소시키며, 수거인력 및 차량운행의 불필요로 지자체의 재정을 건실화시키는 경제적인 효과와, 일정기간 쓰레기 적체로 인한 악취, 침출수, 동물에 의한 피해 등을 방지하는 위생적 효과 등이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시공되는 아파트는 물론 병원, 대형음식점, 고층 건물, 공항 등에도 쓰레기 자동 집하 시설이 많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은, 최종적으로 쓰레기를 모아서 처리하는 집하장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지상의 여러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쓰레기 투입기와, 복수의 쓰레기 투입기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를 일괄적으로 쓰레기 집하장까지 안내하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이송 관로를 구비한다.
한편, 법적으로 의무화된 쓰레기 분리수거는 쓰레기양을 줄이고, 분리된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매우 유용한 제도이다. 이에 따라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쓰레기 투입구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와 일반 쓰레기 투입구로 분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파트와 같은 대형 건물에서는 각 층이나 또는 각 건물마다 쓰레기 투입구가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를 미리 분리한 상태로 가정으로부터 들고 나와 각 쓰레기 투입구에 해당 쓰레기를 버려야 하므로, 그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분리 수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각 가정의 싱크대 등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 수거를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수분이 혼합되어 투입되기 때문에, 이를 흡입 이송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함께 흡입할 수 있는 별도의 진공 펌프가 필요하게 되고, 이송 관로 또한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규모가 증가하고 복잡해지며 유지 관리 비용 또한 매우 커지게 되어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의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은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884812호가 있는데, 이는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만을 수거하는 시스템에 불과하고, 일반 쓰레기의 경우에는 별도의 일반 쓰레기 수거 시스템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전술한 문제들이 극복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과 함께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건조한 후 일반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흡입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흡입 송풍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를 모두 흡입 이송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설비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쓰레기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 관로에 별도의 유량 조절 밸브를 장착하여 이송 관로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로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완벽하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리 수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 유량 조절 밸브의 작동 상태를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도록 제어부를 통해 자동 제어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과정에 따라 최적 상태의 이송 속도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로 손상을 방지 및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 수거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가 하향 이송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가 상기 수직 관로로부터 투입되어 집하 시설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직 관로의 하단에 연결 결합되는 이송 관로; 상기 이송 관로 및 수직 관로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를 이송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 관로의 일단에 연결되는 흡입 송풍기; 및 상단에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건조시키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 건조된 상태로 상기 흡입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수직 관로로 이송되도록 별도의 연결 배관을 통해 상기 수직 관로와 연결되는 분쇄 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가 각각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송 관로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 송풍기의 작동시 공기를 흡입시키고, 공기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에 의한 공기 흡입량 조절을 통해 상기 연결 배관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 건조 장치는 각 가정의 주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 건조 장치와 상기 수직 관로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의 일단에는 상기 흡입 송풍기의 작동시 상기 연결 배관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흘러갈 수 있도록 연결 배관 공기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관로의 상단에는 상기 수직 관로 내부의 통풍을 위한 통풍팬이 장착되고, 상기 분쇄 건조 장치는 별도의 탈취 배관을 통해 상기 수직 관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배관에는 상기 분쇄 건조 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임시 저장된 후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배관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연결 배관 배출 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수직 관로 및 이송 관로보다 내경이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흡입 송풍기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작동하도록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관로는 일측에 상기 분쇄 건조 장치 및 일반 쓰레기 투입구가 각각 연통 결합되는 하나의 제 1 수직 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 관로는 상기 제 1 수직 배관과 연결 결합되는 하나의 제 1 이송 배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가 상기 제 1 수직 배관 및 제 1 이송 배관을 따라 동일한 이송 경로로 이송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흡입 송풍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일정 시간 동안만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작동하고 이후 공기 흡입량을 감소시키는 상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관로는 일측에 상기 분쇄 건조 장치가 연통 결합되는 제 1 수직 배관과 일측에 일반 쓰레기 투입구가 연통 결합되는 제 2 수직 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 관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 배관과 동시에 연결 결합되는 하나의 제 1 이송 배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 1 이송 배관을 따라 이송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흡입 송풍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일정 시간 동안만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작동하고 이후 공기 흡입량을 감소시키는 상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관로는 일측에 상기 분쇄 건조 장치가 연통 결합되는 제 1 수직 배관과 일측에 일반 쓰레기 투입구가 연통 결합되는 제 2 수직 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 관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 배관에 각각 연결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이송 배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 배관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 배관을 따라 독립적인 이송 경로로 이송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상기 제 1 수직 배관 및 제 1 이송 배관은 상기 제 2 수직 배관 및 제 2 이송 배관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흡입 송풍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가 계속적으로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분과 함께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건조한 후 일반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흡입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흡입 송풍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를 모두 흡입 이송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설비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쓰레기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 관로에 별도의 유량 조절 밸브를 장착하여 이송 관로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로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완벽하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리 수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 유량 조절 밸브의 작동 상태를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도록 제어부를 통해 자동 제어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과정에 따라 최적 상태의 이송 속도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로 손상을 방지 및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 수거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서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서 흡입 송풍기와 연결되는 이송 관로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서 일반 쓰레기 이송 모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서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서 제어부 관련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블록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서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서 흡입 송풍기와 연결되는 이송 관로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서 일반 쓰레기 이송 모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서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에서 제어부 관련 구성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은 수분과 함께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건조한 후 일반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흡입 송풍기(30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흡입 송풍기(300)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를 모두 흡입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수직 관로(100), 이송 관로(200), 흡입 송풍기(300) 및 분쇄 건조 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 관로(100)는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가 하향 이송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배관으로 구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을 위한 제 1 수직 배관(110)과 일반 쓰레기(W2)의 이송을 위한 제 2 수직 배관(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수직 배관(110)에는 후술하는 분쇄 건조 장치(600)가 연결 배관(620)을 통해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W1)가 투입 이송되고, 제 2 수직 배관(120)에는 일반 쓰레기(W2)를 투입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일반 쓰레기 투입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2 수직 배관(120)의 하단부에는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가 임시 저장된 후 이송 관로(200)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각각 메인 배출 밸브(111,121)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수직 관로(100)는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를 모두 이송할 수 있도록 하나의 제 1 수직 배관(110)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는데(도 7 참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송 관로(200)는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가 수직 관로(100)로부터 투입되어 집하 시설(410,420)로 이송되도록 수직 관로(100)의 하단에 연결 결합되는 이송 배관으로 구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2 수직 배관(120)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이송 배관(210) 및 제 2 이송 배관(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W1)는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을 통해 이송되고, 일반 쓰레기(W2)는 제 2 수직 배관(120) 및 제 2 이송 배관(220)을 통해 이송된다. 제 1 이송 배관(210) 및 제 2 이송 배관(22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흡입 송풍기(300)와 연결되고, 각 이송 배관에는 각각 제 1 차단 밸브(212) 및 제 2 차단 밸브(222)가 장착되며, 각 차단 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 작동함에 따라 흡입 송풍기(300)의 흡입력이 제 1 이송 배관(210) 또는 제 2 이송 배관(220)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된다. 또한, 각 이송 배관(210,220)의 전단에는 흡입 송풍기(300)의 작동시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흘러가도록 공기 흡입구(211,221)가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이송 관로(200)에는 중단에 집하 시설(410,420)이 연결 결합되며, 이에 따라 흡입 송풍기(300)의 흡입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가 각각 이송 관로(200)를 따라 집하 시설(410,420)로 이송된다. 제 1 이송 배관(210)에 연결되는 집하 시설(410)은 음식물 쓰레기(W1)를 분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기(411)와, 음식물 쓰레기 분리기(411)에 의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W1)를 저장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조(41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이송 배관(220)에 연결되는 집하 시설(420)은 일반 쓰레기(W2)를 분리하는 일반 쓰레기 분리기(421)와, 일반 쓰레기 분리기(421)에 의해 분리된 일반 쓰레기(W2)를 저장하는 일반 쓰레기 저장조(42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저장조(412,422)에 저장된 쓰레기는 각각 수거 차량 등에 의해 수거되거나 소각되는 등의 처리 과정을 거친다.
한편, 이와 같은 이송 관로(200)는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를 모두 이송할 수 있도록 하나의 제 1 이송 배관(210)으로만 구성될 수 있는데(도 7 및 도 8 참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흡입 송풍기(300)는 이송 관로(200) 및 수직 관로(100)의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를 이송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이송 관로(200)의 일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 송풍기(300)가 작동하면, 수직 관로(100)로부터 이송 관로(200)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며, 이러한 공기 흐름을 따라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가 이송된다. 흡입 송풍기(300)의 후단에는 집진 설비(510), 냉각 설비(520) 및 탈취 설비(5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설비들을 통해 쓰레기 자동 집하 과정에서 공해 물질의 외부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분쇄 건조 장치(6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에는 음식물 쓰레기(W1)가 투입될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6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분쇄기(미도시) 및 건조기(미도시)가 장착된 형태로 구성된다. 분쇄기는 음식물 쓰레기(W1)를 분쇄할 수 있는 회전 커터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건조기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W1)에 온풍을 분사하는 온풍기 형태 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W1)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쇄기 및 건조기는 일반적인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분쇄 건조 장치(6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정의 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씽크대(10)에 설치될 수 있고, 개수대 측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610)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W1)를 별도의 봉투로 포장하거나 포장한 봉투를 들고 밖으로 버리러 나갈 필요없이 그대로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610)에 투입시킬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편리함으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W1)에 대한 분리 수거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 건조 장치(600)는 별도의 연결 배관(620)을 통해 수직 관로(100)와 연결된다. 즉, 분쇄 건조 장치(600)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61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W1)를 분쇄 건조하고, 분쇄 건조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W1)가 연결 배관(620)을 통해 수직 관로(100)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연결 배관(620)에는 흡입 송풍기(300)의 작동시 발생하는 흡입력이 전달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W1)가 분쇄 건조 장치(600)로부터 연결 배관(620)을 따라 수직 관로(100)로 이송된다. 수직 관로(100)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W1)는 이송 관로(200)를 따라 집하 시설(410)로 이송된다.
한편, 연결 배관(620)의 일단에는 흡입 송풍기(300)의 작동시 연결 배관(62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흘러가도록 연결 배관 공기 흡입구(621)가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 송풍기(300)가 작동하여 흡입력이 발생하면, 연결 배관 공기 흡입구(62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수직 관로(100)를 향해 흘러가게 되고, 이러한 공기 흐름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W1)가 분쇄 건조된 상태로 흘러가게 된다.
또한, 연결 배관(620)에는 분쇄 건조 장치(600)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W1)가 연결 배관(620) 내부에서 임시 저장된 후 이송될 수 있도록 연결 배관(620)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연결 배관 배출 밸브(6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배관 배출 밸브(630)는 음식물 쓰레기(W1)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연결 배관(620)을 통해 전달되는 흡입 송풍기(300)의 흡입력이 분쇄 건조 장치(6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기능 또한 아울러 수행하며, 이러한 흡입력 차단 기능을 통해 분쇄 건조 장치(600)의 작동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 건조 장치(600)는 별도의 탈취 배관(640)을 통해 수직 관로(100)와 연결되고, 수직 관로(100)의 상단에는 통풍구(112)가 형성되며 수직 관로(100) 내부의 통풍을 위한 통풍팬(113)이 장착될 수 있다. 통풍팬(113)의 전단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114)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 건조 장치(600)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는 각 가정으로 배출되지 않고 탈취 배관(640)을 통해 수직 관로(100)의 통풍구(112)로 외부 배출되므로, 각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W1)의 분리 수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발생이 차단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W1)가 수분과 함께 투입되더라도 분쇄 건조 장치(60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W1)를 분쇄 건조하고, 분쇄 건조된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W1)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W1)를 분쇄 건조된 상태로 이송하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별도의 진공 펌프 없이도 하나의 흡입 송풍기(30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W1)를 흡입 이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고, 더욱 단순한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유지 관리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은 흡입 송풍기(300)의 흡입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를 모두 이송시킬 수 있는데, 음식물 쓰레기(W1)를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와, 일반 쓰레기(W2)를 이송하는 일반 쓰레기 이송 모드로 시분할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각 이송 모드는 별도의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흡입 송풍기(300)의 작동, 메인 배출 밸브(111,121)의 작동, 제 1 및 제 2 차단 밸브(212,222)의 작동 등이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 제어됨으로써, 각 이송 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일반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는 제 1 이송 배관(210)에 장착된 제 1 차단 밸브(212)가 폐쇄되고 제 2 이송 배관(220)에 장착된 제 2 차단 밸브(222)는 개방된다. 따라서, 흡입 송풍기(300)가 작동하면, 제 2 이송 배관(220) 및 제 2 수직 배관(120)으로 흡입 송풍기(300)에 의한 흡입력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직 배관(120)으로부터 제 2 이송 배관(220)을 거쳐 흡입 송풍기(300) 측으로 공기 흐름이 나타난다. 따라서, 제 2 수직 배관(120)의 일반 쓰레기 투입구(122)를 통해 투입된 일반 쓰레기(W2)는 이러한 공기 흐름과 함께 제 2 수직 배관(120) 및 제 2 이송 배관(220)을 따라 일반 쓰레기 집하 시설(410)로 이송된다. 이때, 제 2 수직 배관(120)에 장착된 메인 배출 밸브(121)는 일반 쓰레기(W2)를 제 2 수직 배관(120)에 임시 저장하도록 폐쇄 상태로 유지되다가 일반 쓰레기 이송 모드가 시작되면, 일반 쓰레기(W2)가 이송될 수 있도록 개방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반면,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는 제 1 이송 배관(210)에 장착된 제 1 차단 밸브(212)가 개방되고 제 2 이송 배관(220)에 장착된 제 2 차단 밸브(222)는 폐쇄된다. 따라서, 흡입 송풍기(300)가 작동하면, 제 1 이송 배관(210) 및 제 1 수직 배관(110)으로 흡입 송풍기(300)에 의한 흡입력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직 배관(110)으로부터 제 1 이송 배관(210)을 거쳐 흡입 송풍기(300) 측으로 공기 흐름이 나타난다. 이때, 분쇄 건조 장치(600)가 연결 배관(620)을 통해 제 1 수직 배관(110)과 연결되므로, 분쇄 건조 장치(600) 및 연결 배관(620)에도 흡입 송풍기(300) 측으로 공기 흐름이 나타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61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W1)는 분쇄 건조 장치(600)에 의해 분쇄 건조된 후, 전술한 공기 흐름을 따라 연결 배관(620)을 통해 제 1 수직 배관(110)으로 흡입 이송된다. 제 1 수직 배관(110)으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W1)는 제 1 이송 배관(210)으로 투입되어 음식물 쓰레기 집하 시설(420)로 이송된다. 이때, 제 1 수직 배관(110)에 장착된 메인 배출 밸브(111)는 음식물 쓰레기(W1)를 제 1 수직 배관(110)에 임시 저장하도록 폐쇄 상태로 유지되다가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가 시작되면, 음식물 쓰레기(W1)가 이송될 수 있도록 개방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배관 배출 밸브(630)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가 시작되면, 음식물 쓰레기(W1)가 연결 배관(620)을 통해 제 1 수직 배관(110)으로 이송되도록 연결 배관(620)을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일정 시간 경과후 분쇄 건조 장치(600)로부터 음식물 쓰레기(W1)가 모두 배출 이송된 상태에서 연결 배관(620)을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어부(700)를 통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흡입 송풍기(300)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 및 일반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 항상 일정량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동일한 상태로 작동하는데,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W1)에 대한 흡입력 강화를 위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의 내경이 제 2 수직 배관(120) 및 제 2 이송 배관(220)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에서는 공기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더 빨라지므로,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된다.
특히, 연결 배관(620)의 경우에는 건물에 대한 설치 구조상 수직 관로(100) 및 이송 관로(200)보다 내경이 더욱 작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 배관(620) 내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W1)에 대한 흡입력 및 이송 속도가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분쇄 건조 장치(600)에서 분쇄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W1)는 연결 배관(620)을 통해 더욱 완벽하게 수직 관로(100)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W1)에 대한 수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에 대한 흡입력 및 이송 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과정에서 연결 배관(620) 내부 벽면에 손상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유량 조절 밸브(240)를 통해 공기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이송 관로(200)의 일측에는 흡입 송풍기(300)의 작동시 공기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밸브(240)가 장착되며, 유량 조절 밸브(240)는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 제어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유량 조절 밸브(240)에 의한 공기 흡입량 조절을 통해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연결 배관(620)은 그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배관(620)에서는 음식물 쓰레기(W1) 이송 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유량 조절 밸브(240)를 개방하면 외부 공기가 제 1 이송 배관(210)으로 유입되므로, 제 1 이송 배관(210)에서 공기의 흐름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와 연동하여 제 1 수직 배관(110) 및 연결 배관(620)에서도 공기의 흐름 속도가 감소하게 되므로,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량 조절 밸브(240)의 개도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공기 흡입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가 감소하게 되고, 유량 조절 밸브(240)의 개도량을 감소시키게 되면, 공기 흡입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량 조절 밸브(240)에 의한 공기 흡입량 조절을 통해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게 되면, 연결 배관(620) 뿐만 아니라 수직 관로(100) 및 이송 관로(200)에서도 공기 흐름 속도가 변화하여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가 동시에 변화하게 된다. 즉, 유량 조절 밸브(240)를 개방하여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연결 배관(620)에서 뿐만 아니라 수직 관로(100) 및 이송 관로(200)에서 공기 흐름 속도가 동시에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W1)가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을 따라 일반 쓰레기(W2)와 다른 독립적인 이송 경로로 이송되는 경우,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의 내경이 제 2 수직 배관(120) 및 제 2 이송 배관(220)보다 작기 때문에,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에서도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유량 조절 밸브(240)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로 흡입 송풍기(300)가 작동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작동하여 연결 배관(620),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유량 조절 밸브(240)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로 흡입 송풍기(300)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최초 일정 시간 동안에만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작동하고, 이후 다시 공기 흡입량을 감소시켜 원상태로 복귀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W1)가 분쇄 건조 장치(600)로부터 연결 배관(620)을 통해 수직 관로(100)로 이송되는 동안에만 공기 흡입량이 증가되어 이송 속도가 감소되고, 이후 수직 관로(100) 및 이송 관로(2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공기 흡입에 의한 속도 감소 없이 기준 속도로 이송된다. 여기서, 기준 속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W1)가 이송되는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이 일반 쓰레기(W2)가 이송되는 제 2 수직 배관(120) 및 제 2 이송 배관(220)보다 내경이 작기 때문에, 일반 쓰레기(W2)의 이송 속도보다 더 빠르게 형성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작동하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 연결 배관 배출 밸브(6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의 최초 일정 시간 동안만 개방된 상태로 작동하고, 일정 시간 경과후 분쇄 건조 장치(600)로부터 음식물 쓰레기(W1)가 모두 배출된 후에는 폐쇄된 상태로 작동하여 흡입 송풍기(300)의 흡입력이 분쇄 건조 장치(6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유량 조절 밸브(240)는 제 2 이송 배관(220)에 형성되는데, 제 1 이송 배관(210)과 제 2 이송 배관(220)이 하나로 연결되는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이송 배관(220)은 제 1 이송 배관(210)과 연결되는 부위에서 제 1 이송 배관(210)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확관되는 확관부(210a)가 형성되어 제 1 이송 배관(210)과 연결되는데, 유량 조절 밸브(240)는 제 2 이송 배관(220) 내부의 공기 흐름 저항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확관부(210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관로(100)가 하나의 제 1 수직 배관(110)으로 구성되고, 이송 관로(200) 또한 하나의 제 1 이송 배관(210)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 1 수직 배관(110)에는 일측에 분쇄 건조 장치(600)가 연결 배관(620)을 통해 연결 결합되고, 타측에는 일반 쓰레기 투입구(122)가 형성된다.
제 1 이송 배관(210)은 흡입 송풍기(300)와 연결되는데, 제 1 이송 배관(210)의 후단은 음식물 쓰레기 집하 시설(420)이 연결된 음식물 쓰레기 분기관(202)과, 일반 쓰레기 집하 시설(410)이 연결된 일반 쓰레기 분기관(201)으로 분기 형성되고, 이후 각 분기관이 하나로 연결되어 하나의 흡입 송풍기(300)에 연결된다. 이때, 각 분기관의 전단에는 관로 전환기(250)가 장착되며, 관로 전환기(250)의 선택 작동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기관(202) 또는 일반 쓰레기 분기관(201)으로 공기 흐름이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는 일반 쓰레기 분기관(201)으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도록 관로 전환기(250)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일반 쓰레기 투입구(122)를 통해 투입된 일반 쓰레기(W2)는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을 거쳐 일반 쓰레기 분기관(202)으로 흡입되어 일반 쓰레기 집하 시설(410)로 이송된다.
반대로,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분기관(201)으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도록 관로 전환기(250)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610)를 통해 투입되어 분쇄 건조 장치(600)를 통해 분쇄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W1)는 연결 배관(620)을 통해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을 따라 이송되며, 음식물 쓰레기 분기관(202)으로 흡입되어 음식물 쓰레기 집하 시설(420)으로 이송된다. 이때, 연결 배관 배출 밸브(630)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가 완료되기 이전에 폐쇄 상태로 작동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이후 일반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 음식물 쓰레기(W1)가 혼합 이송되지 않도록 동작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가 서로 시간 간격을 두고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1 이송 배관(210)을 따라 동일한 이송 경로로 이송된다.
이때, 제 1 이송 배관(210)의 전단에는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의 이송을 위해 흡입 송풍기(300)의 작동시 제 1 이송 배관(210)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흘러가는 공기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밸브(2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 유량 조절 밸브(240)를 통해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면,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 원리에 따라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량 조절 밸브(240)에 의한 공기 흡입량 조절을 통해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게 되면, 연결 배관(620) 뿐만 아니라 수직 관로(100) 및 이송 관로(200)에서도 공기 흐름 속도가 변화하여 음식물 쓰레기(W1)의 이송 속도가 동시에 변화하게 된다. 즉, 유량 조절 밸브(240)를 개방하여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연결 배관(620)에서 뿐만 아니라 수직 관로(100) 및 이송 관로(200)에서 공기 흐름 속도가 동시에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 관로(100) 및 이송 관로(200)에서 공기 흐름 속도가 감소하게 되면, 연결 배관(620)에서와 달리 수직 관로(100) 및 이송 관로(200)에서는 음식물 쓰레기(W1)에 대한 흡입 이송력 저하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W1)에 대한 이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량 조절 밸브(240)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 작동시 최초 일정 시간 동안만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작동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다시 공기 흡입량을 감소시켜 원상태로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식물 쓰레기(W1)가 분쇄 건조 장치(600)로부터 연결 배관(620)을 통해 수직 관로(100)로 이송되는 동안에는 연결 배관(620)에서의 이송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유량 조절 밸브(240)을 개방시켜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고, 이후 음식물 쓰레기(W1)가 모두 수직 관로(100)로 이송되면, 연결 배관(620)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이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량 조절 밸브(240)를 폐쇄시켜 공기 흡입량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수직 관로(100)와 이송 관로(20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에 대한 이송 속도를 정상 속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 방식을 통해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에 대한 이송 속도를 감소시켜 연결 배관(620)의 손상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 관로(100) 및 이송 관로(200)에서 음식물 쓰레기(W1)에 대한 이송 속도 감소를 방지하여 음식물 쓰레기(W1)를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집하 시설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관로(100)가 제 1 수직 배관(110) 및 제 2 수직 배관(120)으로 구성되고, 이송 관로(200)는 하나의 제 1 이송 배관(210)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 1 수직 배관(110)에는 일측에 분쇄 건조 장치(600)가 연결 배관(620)을 통해 연결 결합되고, 제 2 수직 배관(120)에는 일반 쓰레기 투입구(122)가 형성된다. 제 1 이송 배관(210)은 후단에 분기관(201,202)이 형성되고, 관로 전환기(250)가 장착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W1) 및 일반 쓰레기(W2)가 수직 관로(100)에서는 각각 제 1 수직 배관(110)과 제 2 수직 배관(120)을 통해 독립적으로 이송되고, 이송 관로(200)에서는 제 1 이송 배관(210)을 따라 동일한 이송 경로로 이송된다.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와 일반 쓰레기 이송 모드에서 각 쓰레기의 이송 방식이나 작동 상태는 도 7에서 설명한 원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제 1 이송 배관(210)의 전단에 유량 조절 밸브(240)가 장착된다. 유량 조절 밸브(240)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 모드 작동시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연결 배관(620)에서 음식물 쓰레기(W1) 이송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최초 일정 시간 동안만 개방 작동하여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고, 음식물 쓰레기(W1)가 수직 관로(100)로 모두 이송한 이후에는 즉,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폐쇄 작동하여 공기 흡입량을 감소시키도록 동작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W1)가 연결 배관(620)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이송 속도가 감소되어 연결 배관(620)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직 관로(100) 및 이송 관로(200)를 통과하는 동안에는 이송 속도가 정상 속도로 유지되어 음식물 쓰레기(W1)가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집하 시설로 이송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싱크대 100: 수직 관로
110: 제 1 수직 배관 120: 제 2 수직 배관
111/121: 메인 배출 밸브 122: 일반 쓰레기 투입구
200: 이송 관로 210: 제 1 이송 배관
220: 제 2 이송 배관
240: 유량 조절 밸브 250: 관로 전환기
300: 흡입 송풍기 410: 일반 쓰레기 집하 시설
420: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 510: 집진 설비
520: 냉각 설비 530: 탈취 설비
600: 분쇄 건조 장치 610: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620: 연결 배관 630: 연결 배관 배출 밸브
631: 연결 배관 공기 흡입구 640: 탈취 배관
700: 제어부

Claims (10)

  1.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가 하향 이송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가 상기 수직 관로로부터 투입되어 집하 시설로 이송되도록 상기 수직 관로의 하단에 연결 결합되는 이송 관로;
    상기 이송 관로 및 수직 관로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를 이송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 관로의 일단에 연결되는 흡입 송풍기; 및
    상단에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건조시키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 건조된 상태로 상기 흡입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수직 관로로 이송되도록 별도의 연결 배관을 통해 상기 수직 관로와 연결되는 분쇄 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가 각각 이송되며,
    상기 이송 관로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 송풍기의 작동시 공기를 흡입시키고, 공기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에 의한 공기 흡입량 조절을 통해 상기 연결 배관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배관에는 상기 분쇄 건조 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임시 저장된 후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배관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연결 배관 배출 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 관로는 일측에 상기 분쇄 건조 장치 및 일반 쓰레기 투입구가 각각 연통 결합되는 하나의 제 1 수직 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 관로는 상기 제 1 수직 배관과 연결 결합되는 하나의 제 1 이송 배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가 상기 제 1 수직 배관 및 제 1 이송 배관을 따라 동일한 이송 경로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건조 장치는 각 가정의 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건조 장치와 상기 수직 관로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의 일단에는 상기 흡입 송풍기의 작동시 상기 연결 배관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흘러갈 수 있도록 연결 배관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관로의 상단에는 상기 수직 관로 내부의 통풍을 위한 통풍팬이 장착되고, 상기 분쇄 건조 장치는 별도의 탈취 배관을 통해 상기 수직 관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6. 삭제
  7.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수직 관로 및 이송 관로보다 내경이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흡입 송풍기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작동하도록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흡입 송풍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일정 시간 동안만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작동하고 이후 공기 흡입량을 감소시키는 상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24127A 2013-03-06 2013-03-06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KR101320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127A KR101320447B1 (ko) 2013-03-06 2013-03-06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127A KR101320447B1 (ko) 2013-03-06 2013-03-06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447B1 true KR101320447B1 (ko) 2013-10-23

Family

ID=4963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127A KR101320447B1 (ko) 2013-03-06 2013-03-06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4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58B1 (ko) * 2018-08-21 2020-02-04 세일리코 주식회사 스크랩 자동 수집 장치
CN111268319A (zh) * 2020-03-11 2020-06-12 广州优强环保设备有限公司 智能楼宇垃圾回收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2807A (ja) * 1991-12-17 1993-06-29 Nkk Corp ゴミの空気輸送設備
JPH09315515A (ja) * 1996-05-31 1997-12-09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市場ごみ処理システム
KR20100109701A (ko) * 2009-04-01 2010-10-11 효림산업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장거리 쓰레기 수집 방법
KR101157025B1 (ko) * 2011-07-13 2012-06-21 이광태 음식물 분쇄 처리기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2807A (ja) * 1991-12-17 1993-06-29 Nkk Corp ゴミの空気輸送設備
JPH09315515A (ja) * 1996-05-31 1997-12-09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市場ごみ処理システム
KR20100109701A (ko) * 2009-04-01 2010-10-11 효림산업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장거리 쓰레기 수집 방법
KR101157025B1 (ko) * 2011-07-13 2012-06-21 이광태 음식물 분쇄 처리기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58B1 (ko) * 2018-08-21 2020-02-04 세일리코 주식회사 스크랩 자동 수집 장치
CN111268319A (zh) * 2020-03-11 2020-06-12 广州优强环保设备有限公司 智能楼宇垃圾回收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62742U (zh) 一种垃圾收集系统
KR101287937B1 (ko) 다기능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분리기를 구비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CN106001047A (zh) 固废物及生活垃圾管道输送智能收集系统
KR101333786B1 (ko)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CA2791755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waste conveying system
CN104971932A (zh) 一种餐厨余垃圾回收再利用环保节能设备装置系统
CN202212404U (zh) 一种城市生活垃圾生产复合干粉燃料用于燃煤电厂发电的设备
CN211077591U (zh) 一种垃圾自动收集系统
CN109264271A (zh) 一种垃圾收集系统及垃圾收集方法
KR20170098669A (ko) 음식물쓰레기 집단처리시설
KR101320447B1 (ko)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CN210474945U (zh) 一种应用于多层建筑物的餐厨垃圾处理系统
CN209277483U (zh) 一种双管槽式管道垃圾分类收集系统
KR101702591B1 (ko) 각 세대별 투입설비가 포함되며 진공압과 송풍압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쓰레기 처리시스템
CN206616685U (zh) 一种带固液分离站的预制泵站
CN208994430U (zh) 一种垃圾收集系统的气路结构
KR20090085771A (ko) 복합형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CN201458198U (zh) 一种用于封闭式垃圾自动收集系统中的垃圾输送装置
CN106311716B (zh) 垃圾处理器
CN109264270B (zh) 一种气力式管道垃圾收集系统及其收集方法
CN202807596U (zh) 一种高效家用餐厨垃圾收集设备
CN108213047A (zh) 一种智能垃圾收集处理储存系统
CN206871792U (zh) 建筑负压系统
KR101044727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CN208586858U (zh) 粉碎式垃圾管槽收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