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765B1 -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765B1
KR101316765B1 KR1020130023375A KR20130023375A KR101316765B1 KR 101316765 B1 KR101316765 B1 KR 101316765B1 KR 1020130023375 A KR1020130023375 A KR 1020130023375A KR 20130023375 A KR20130023375 A KR 20130023375A KR 101316765 B1 KR101316765 B1 KR 101316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weight
resin composition
parts
polyamid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호
박종
박창규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Priority to KR102013002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을 하여도 자외선 차단성의 손상이 없이 영구적으로 탁월한 자외선 차단성을 발휘하며 사절이 극도로 억제된 방사작업성을 가짐과 동시에 투명성에 기인하여 선명한 염색성이 발현되는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차단성뿐만 아니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 섬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Ultra violet shielding polyamide compositions and fiber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을 하여도 자외선 차단성의 손상이 없이 영구적으로 탁월한 자외선 차단성을 발휘하며 사절이 극도로 억제된 방사작업성을 가짐과 동시에 투명성에 기인하여 선명한 염색성이 발현되는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차단성뿐만 아니라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 섬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 중의 오존층의 파괴로 인해 자외선의 피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의 자외선 차단 섬유의 제조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레저스포츠의 활성화로 자외선에 많이 노출되는 야외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성을 가진 레저스포츠 의류용 섬유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의류를 제조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서는 직물 등에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 하는 후가공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제조비용이 비싸고 용매사용에 의한 환경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크고 특히 사용 중이나 세탁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방법으로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입자계 자외선 차단제를 수 중량% 이상 중합 중에 혼합 분산시켜 얻어진 폴리아마이드 등 합성수지를 용융방사하여 섬유를 제조하고 이로부터 의류를 얻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여러번 세탁을 하여도 자외선 차단성의 손상이 없이 영구적으로 우수한 자외선 차단성이 발현되는 큰 장점이 있지만 미분산된 무기입자의 응집물 때문에 방사공정중 사절의 빈도가 극도로 높아지는 문제가 심각하고 또한 과량으로 무기입자가 첨가되므로 섬유의 촉감이 나쁘고 불투명성에 의해 선명한 염색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히 자외선 차단이 필수적인 레저스포츠 의류 경우 원색적이고 선명한 염색성 의류를 선호하기 때문에 이에 부응하는 섬유 및 의류의 등장이 고대되고 있다.
즉 영구 자외선 차단성 발현에 유리한 상기 무기입자계 자외선 차단제를 처방하되 무기입자의 고도의 분산상태를 유발하여 사절이 극도로 억제된 방사작업성을 가지면서도 종래보다 획기적인 투명성 향상에 기인하여 보다 선명한 염색성이 발현되는 신규의 폴리아마이드 등 합성섬유 제조에 대한 새로운 기술의 출현이 매우 절실하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1236호, 10-1182048호, 10-1221145호 등에서는 폴리에틸렌계 아이오노머 또는 여기에 4차암모늄계 화합물 등 일부 첨가제를 추가해 무기입자계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분산제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종래방법 대비 분산에 있어 다소 개선효과가 있었으나 기재인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아이오노머 등과의 상용성이 아주 좋다고 볼 수 없어 좀더 그 개선이 필요하고 특히 초기 자외선 차단성은 다소 양호하나 자외선 차단지속성 및 세탁견뢰도에 있어 그 개선이 필요하고 또한 추가 첨가제는 저분자인 관계로 방사시 표면으로 전이되어 후공정시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그 개선이 절실히 요청되어왔다.
또한 레저스포츠 의류용 섬유 경우 상기 영구 자외선 차단성을 요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땀을 잘 흡수하고 흡수한 땀을 쉽게 건조시키는 성질 소위 흡한속건성도 크게 요구하고 있어 우수한 영구 자외선 차단성, 선명한 염색성, 탁월한 흡한속건성 등이 동시에 발휘되는 폴리아마이드 섬유제조에 대한 새로운 기술의 출현 역시 매우 시급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1236호(2012.11.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2048호(2012.09.0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1145호(2013.01.0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를 사용하여 수지조성물의 혼련성이 종래 발명에 비하여 매우 우수하고, 방사작업성이 더욱 우수하며, 나노무기입자의 분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염색성 및 자외선 차단성이 탁월한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을 하여도 자외선 차단성의 손상이 없이 영구적으로 탁월한 자외선 차단성을 발휘하며 사절이 극도로 억제된 방사작업성을 가짐과 동시에 투명성에 기인하여 선명한 염색성이 발현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수한 영구 자외선 차단성 및 선명한 염색성을 가지면서도 또한 탁월한 흡한속건성이 동시에 발휘되는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 0.01 ~ 5 중량부, 평균입경 5 ~ 500nm인 나노무기입자 0.01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경우, 놀랍게도 영구적으로 우수한 자외선 차단성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사절율이 현저하게 낮아지고(방사작업성 현저한 향상) 투명성에 기인한 선명한 염색성 및 우수한 흡한속건성을 동시에 발휘하는 섬유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조성물이 용융방사되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조성물이 이형단면을 가진 구금을 통해 방사되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한속건성 자외선 차단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목적은 영구 자외선 차단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유리하게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가 아닌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 사용을 채택하였다. 이유에 대하여는 명확히 알 수 없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에 의해 분산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면서 동시에 특히, 평균입경 5 ~ 500nm, 좋게는 10 ~ 300nm인 나노무기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자외선 차단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 하나의 중요한 목적은 종래 기술 대비 선명한 염색성 발현을 위해 수지조성물의 투명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통상 종래 기술처럼 수 중량%의 마이크로 크기의 무기입자가 폴리아마이드 수지에 첨가되면 흐림도(haze) 기준 90% 이상의 불투명한 수지조성물이 되어 용융방사에 의해 섬유를 제조하면 선명한 염색성 발현이 불가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소위 나노무기입자를 도입하고, 유기산금속염기를 가진 폴리아마이드 공중합체인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를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5 중량부 함께 채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자외선 차단 특성을 손상하지 않고 투명성, 흡한속건성 등의 물성이 모두 만족되는 획기적으로 개선된 섬유를 제조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는 세탁을 하여도 자외선 차단성의 손상이 없이 영구적으로 탁월한 자외선 차단성을 발휘하고 사절이 극도로 억제된 방사작업성을 가짐과 동시에 투명성에 기인하여 선명한 염색성이 발현되며 이형단면사로 방사가공될 경우에는 흡한속건성도 동시에 발휘되는 실로 획기적인 것으로 의류, 특히 레저스포츠 의류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일 양태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 0.01 ~ 5 중량부, 평균입경 5 ~ 500nm인 나노무기입자 0.01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 0.1 ~ 1.0 중량부, 평균입경 50 ~ 250nm인 나노무기입자 0.2 ~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기재로 사용되는 수지로서, 결정성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무정형 코폴리아마이드, 방향족 폴리아마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폴리아마이드 3, 폴리아마이드 4, 폴리아마이드 6, 폴리아마이드 7, 폴리아마이드 8, 폴리아마이드 9, 폴리아마이드 11, 폴리아마이드 12, 폴리아마이드 4,6, 폴리아마이드 4,5, 폴리아마이드 6,6, 폴리아마이드 6,10 등과 같은 결정성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의 공중합체 등과 같은 무정형 코폴리아마이드(예, Grivory-ems사 Grivory G21); 폴리메타자일렌아디프아마이드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예, Mitsubishi Gas Chemical사 Nylon-MXD6);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중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지방족 폴리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섬유로서 필요한 적정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촉감, 탄성회복력 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는 기재인 폴리아마이드 수지와의 혼화성을 높여 강도 및 방사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섬유의 염색성을 더욱 향상시키며, 자외선 차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나노무기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첨가제의 표면 전이를 방지하여 후공정성이 우수한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는 유기산금속염기 함유 폴리아마이드 공중합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산금속염기가 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 더욱 좋게는 10 ~ 19 중량% 함유된 폴리아마이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산금속염기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나노무기입자에 대한 분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 물성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상기 유기산금속염기의 유기산은 술폰산, 인산, 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바람직하며, 이중 술폰산이 나노무기입자에 대한 분산성, 제조의 용이성 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산금속염기의 금속은 리튬, 나트륨, 칼륨, 세슘 등 알카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바륨 등 알카리토금속; 철, 구리, 아연 등 전이금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바람직하며, 이중 나트륨, 칼륨 등이 나노무기입자에 대한 분산성, 제조의 용이성 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디카르복실산류, 디아민류 및 유기산금속염기를 함유하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와의 축합반응에 의해 얻어진 것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류는 숙신산,글루타르산,아디핀산,피메린산,수베린산,아제라인산,세바신산,데칸디카르복실산,도데칸디카르복실산,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노르보르난디카르복실산,트리시클로데칸디카르복실산,펜타시클로도데칸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비페닐디카르복실산,테트랄린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아민류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파라페닐렌디아민, 메타페닐렌디아민, 파라크실렌디아민, 메타크실렌디아민, 메타자일렌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금속염기를 함유하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는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및 그 메틸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5-칼륨술포이소프탈산(및 그 메틸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4-나트륨술포-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및 그 메틸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4-히드록시-3-나트륨술포벤조산(및 그 메틸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3-히드록시-4-나트륨술포벤조산(및 그 메틸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3-나트륨술포살리실산(및 그 메틸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2 중량부, 더욱 좋게는 0.1 ~ 1 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의 첨가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원하는 나노무기입자에 대한 고도의 분산성 확보가 곤란하게 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분산에 기여하지 않는 잉여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가 많아짐에 따라 강성이 약해지고 세제와의 친화력으로 세탁견뢰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나노무기입자는 자외선 차단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나노크기의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이산화지르코늄, 삼산화크롬, 산화구리, 삼산화철, 산화니켈, 산화텅스텐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빛의 파장과 에너지와의 관계식에 따르면 자외선 영역은 3.1eV 이상의 에너지레벨에 해당하며 이것은 반도체 재료에서 원자가전자대와 전도대의 에너지 갭에 해당하는 에너지인데, 이러한 에너지 갭을 가지는 무기물이 바람직하다는 측면에서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등이 더욱 좋다.
상기 나노무기입자의 형태는 구형, 침상형, 판상형 등 어느 것도 무방하나 동일 무게당 표면적이 넓어 빛의 산란을 보다 유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구형 및 판상형이 바람직하고, 평균입경은 5 ~ 500nm의 것이 좋고, 10 ~ 300nm의 것이 보다 좋으며, 더욱 좋게는 50 ~ 2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경이 5nm 미만일 경우 너무 입자크기가 작아 산란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자외선차단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500nm를 초과할 경우 자외선 차단성이 그다지 좋지 않고 입자분산성이 나쁘며 투명성이 손상되어 원하는 선명한 염색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나노무기입자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5 중량부를 첨가하고, 0.1 ~ 3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더욱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2.5 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나노무기입자의 첨가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원하는 자외선 차단성 확보가 곤란하게 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투명성 손상에 의한 선명한 염색성 확보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안료, 형광증백제, 항균제, 탈취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더 첨가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은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 0.01 ~ 5 중량부, 평균입경 5 ~ 500nm인 나노무기입자 0.01 ~ 5 중량부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단축 스크류 압출기, 2축 스크류 압출기, 믹싱롤, 밤바리믹서, 니더 등 혼련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혼련 분산시켜 컴파운드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은 먼저 폴리에틸렌계 아이오노머 20 ~ 50 중량%, 평균입경 5 ~ 500nm인 나노무기입자 50 ~ 80 중량% 조성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혼련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혼련 분산시켜 펠렛 형태의 나노무기입자 마스터뱃치(A)를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에틸렌계 아이오노머 및 나노무기입자 마스터뱃치(A)를 드라이브랜딩에 의해 혼합하거나 또는 혼합물을 혼련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혼련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면 더욱 분산성 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을 통상의 용융방사에 의한 섬유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제공한다.
가령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매트릭스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특성을 고려해 적당하게 건조하여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압출시킨 후 일정한 형상의 구금을 통해 방사하고 냉각시키고 열고정, 연신 및 후가공 공정을 거쳐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섬유가 제조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공정중 구금의 형상을 달리하여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 삼각, Y형, W형, 王형, 해도형, 분할형 등 다양한 이형단면을 가진 구금을 통해 방사되어 얻어지는 흡한속건성 자외선 차단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제공한다.
상기 이형단면을 가진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섬유는 자외선 차단성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가령 섬유(필라멘트)들이 접촉했을 때 모세관의 역할을 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에 의해 흡수성이 발현되고 흡수된 수분은 섬유표면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채로 비틀림 등 변형력에 의해 쉽게 배출되어 빠른 건조를 유발하는 소위 흡한속건성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주력으로 노리는 시장인 레저스포츠 의류용 섬유 경우 영구 자외선 차단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흡한속건성도 크게 요구하고 있어 이형단면을 가진 자외선 차단 흡한속건성 섬유는 더욱더 그 가치가 크다 하겠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및 섬유에 대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세탁 견뢰도, 흡수성 및 건조성을 아래 시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자외선 차단성
섬유(필라멘트) 자체로 자외선 차단성 평가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시료 수지를 사용하여 두께 20㎛(3 denier 섬유 직경수준)의 필름으로 제작하고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상기 시료 필름에 대한 자외선 영역에서의 투과되지 않는 양 백분율로서 자외선 차단성(%)을 평가하였다.
2. 자외선 차단지속성
KS K ISO 105-C06(섬유 세탁 견뢰도 시험법)을 준용해 실시하였다. 표준세제 4g을 물 1L에 용해한 세탁액을 제조하여 미리 준비한 시험병에 투입한 뒤 상기 자외선 차단성 평가 시 사용된 두께 20㎛(3 denier 섬유 직경수준)의 필름 시료를 담그고 시험병을 진탕기에 설치한 후 60℃, 30분간 흔들어 준 다음 세탁액을 버리고 물로 2회 헹군다. 이런 작업을 100회 반복한 후 필름 시료를 건조한 뒤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성(%)을 평가하여 세탁 전후 그 변화율(%)을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낸 기준으로 자외선 차단지속성을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3019286127-pat00001

3.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상기 자외선 차단성 평가 시 사용된 두께 20㎛(3 denier 섬유 직경수준)의 필름 시료에 대해 전계방출형주사전자현미경(FE-SEM, JEOL사 JMS-7100F)으로 미분산된 최대 크기의 나노무기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낸 기준으로 나노무기입자 분산성을 평가하였다.
[표 2]
Figure 112013019286127-pat00002

4. 방사작업성
방사시 사절이 발생하는 빈도(회/일)를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낸 기준으로 방사작업성을 평가하였다.
[표 3]
Figure 112013019286127-pat00003

5. 흐림도(haze)
나노무기입자의 분산성 및 선명한 염색성의 척도가 될 수 있는 투명성을 흐림도로 평가하였다. 상기 자외선 차단성 평가시 사용된 두께 20㎛(3 denier 섬유 직경수준)의 필름 시료에 대해 ASTM D1004에 준하여 헤이즈메터(hazemeter)를 이용하여 흐림도(%)를 측정하였다.
6. 염색 균염성
시료 섬유(필라멘트)를 사용하여 32게이지 인터록 양면 환편기에서 환편지를 제편하여 원단을 얻은 뒤 가로 20cm, 세로 20cm로 제단하여 원단 시료로 준비하였다. 이의 반을 넣고 염색을 시작한 후, 10분 뒤 나머지 반을 넣어서 일정시간 동안 염색한 다음 두 시료의 색차(△E)를 측정하여 표 4에 나타낸 기준으로 염색 균염성을 평가하였다.
[표 4]
Figure 112013019286127-pat00004

7. 세탁 견뢰도
KS K ISO 105-C06(섬유 세탁 견뢰도 시험법)에 의거하여 상기 염색 균염성 평가를 위해 제작한 원단을 사용하여 표 5에 나타낸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표 5]
Figure 112013019286127-pat00005

8. 흡수성
KS K0815.5.27에 게재된 바이렉법(Wicking Test)에 의거하여 상기 염색 균염성 평가를 위해 제작한 원단을 가로 2.5cm, 세로 20cm로 제단하여 원단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원단 시료의 한쪽부분을 물속에 2.5cm 침지시킨 후 10분 동안 방치하고 원단 시료에 흡수된 수분의 높이(mm)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고, 표 6에 나타낸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표 6]
Figure 112013019286127-pat00006

9. 건조성
상기 염색 균염성 평가를 위해 제작한 원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즉 상기 원단 시료에 물 0.05cc를 떨어뜨린 후 완전 건조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분)을 측정하여 건조속도로 하였으며 표 7에 나타낸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표 7]
Figure 112013019286127-pat00007

[실시예 1]
폴리아마이드 수지로서 상대점도가 2.5인 폴리아마이드 6(PA-A)를 준비하였고 나노무기입자로서 평균입경 50nm의 판상형 산화세륨(CeO2-A)을 준비하였다. 질소로 치환된 2L 스테인레스 반응기에 1,6-헥사메틸렌디아민 232g, 아디핀산 204g,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161g을 투입하고 상온에서 30분간 완전히 혼합하고 1℃/분 속도로 승온하여 200℃까지 가열한 뒤, 약 2시간 동안 등온 반응시켜 중합체를 얻은 뒤 토출하여 냉각, 진공건조함으로써 술폰산나트륨염기 10.2 중량% 함유 폴리아마이드 공중합체인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PAI-A)를 얻었다. 상기 PAI-A 30중량%와 CeO2-A 70 중량%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L/D 42, 90Φ 이축스크류압출기에서 실린더온도 200℃의 조건하에서 혼련 분산시켜 펠렛 형태로 무기입자 마스터뱃치(A)를 얻었다. 무기입자 마스터벳치(A)에 PA-A 및 PAI-A 펠렛을 적당히 추가해 호퍼에 투입하여 PA-A 100 중량부, PAI-A 0.1 중량부, CeO2-A 0.2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 조정한 혼합물을 L/D 42, 90Φ 이축스크류 압출기에서 실린더온도 260℃의 조건하에서 혼련 분산시켜 펠렛 형태로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건조하여 수분율 0.05 중량% 이하로 하여 압출기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사용액을 원형 단면구조의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온도 260℃, 방사속도 4,000m/분 조건하에서 방사하고 20℃의 냉각공기를 풍속 0.5m/분으로 불어주면서 냉각시키고 열고정 및 연신 공정을 거쳐 3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을 가열프레스를 이용하여 두께 20㎛(3 denier 섬유 직경수준)의 필름을 제조하여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및 흐림도를 측정하였고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을 사용 방사하여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얻는 동안 방사시 사절이 발생하는 빈도로서 방사작업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사용하여 32게이지 인터록 양면 환편기에서 환편지를 제편하여 원단을 얻은 뒤 가로 20cm, 세로 20cm로 제단하여 얻은 원단 시료에 대해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A 100 중량부, PAI-A 0.3 중량부, CeO2-A 0.5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A 100 중량부, PAI-A 0.5 중량부, CeO2-A 1.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A 100 중량부, PAI-A 1.0 중량부, CeO2-A 2.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나노무기입자로서 평균입경 250nm의 루타일(rutile)형 이산화티탄(TiO2-A)를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A 100 중량부, PAI-A 1.0 중량부, TiO2-A 2.5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폴리아마이드 수지로서 상대점도가 40인 폴리아마이드 6,6 (PA-B) 펠렛을 준비하였다. 또한 질소로 치환된 2L 스테인레스 반응기에 1,6-헥사메틸렌디아민 232g, 아디핀산 117g,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322g을 상온에서 투입하고 30분간 완전히 혼합하고 1℃/분 속도로 승온하여 200℃까지 가열한 뒤, 약 2시간동안 등온 반응시킨 뒤 토출하여 냉각, 건조함으로써 술폰산나트륨염기 18.2 중량% 함유 폴리아마이드 공중합체인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PAI-B)를 얻었다. 나노무기입자로서 평균입경 80nm의 산화아연(ZnO-A)를 준비하였다. PA-B 100 중량부, PAI-B 0.5 중량부, ZnO-A 1.5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B 100 중량부, PAI-B 0.7 중량부, TiO2-A 1.0 중량부, ZnO-A 1.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B 100 중량부, PAI-B 0.5 중량부, CeO2-A 0.5 중량부, ZnO-A 1.0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A 100 중량부, CeO2-A 2.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용융점도가 0.9g/10분이고, 나트륨이온으로 중화된(중화도 60%) 메타크릴산(15중량%)과 에틸렌(85중량%)과의 공중합체인 폴리에틸렌계 아이오노머인 DuPont사 Surlyn 8920(PEI-A)를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A 100 중량부, PEI-A 1.0 중량부, CeO2-A 2.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A 100 중량부, PEI-A 1.0 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디메틸도데실암모늄설페이트(HDAS) 0.2 중량부, TiO2-A 2.5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함량범위를 달리 하여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 9]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나노무기입자의 크기를 달리 하여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13019286127-pat00008

[표 9]
Figure 112013019286127-pat00009
실시예 1 ~ 4에서 보면 동일 나노무기입자가 함유되었지만 나노무기입자 및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 함량이 증가할수록 자외선 차단성이 우수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모두 동시에 우수한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분산성, 방사작업성, 투명성, 염색균염성 및 세탁견뢰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나노무기입자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4, 5를 보면 우수한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투명성, 염색 균염성 및 세탁견뢰도를 가짐과 동시에 완벽한 자외선 차단성을 발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4와 본 발명에 의한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해 보면 비교예 1의 것은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및 투명성이 크게 열악하고 세탁견뢰도도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폴리에틸렌계 아이오노머를 분산성 수지로 사용한 비교예 2 또는 폴리에틸렌계 아이오노머와 4급암모늄계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한 비교예 3을 보면 비교예 1 대비 다소 개선됨을 알 수 있으나 그 정도가 미흡하고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 8과 비교해 볼 때 상당한 품질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및 세탁견뢰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의 첨가량이 매우 적은 비교예 4 경우를 보면 나노무기입자의 분산성이 열악하여 자외선차단성, 방사작업성 및 투명성이 나빠짐을 알 수 있고, 반대로 그 첨가량이 과도한 비교예 5 경우를 보면 나노무기입자의 우수한 분산성으로 자외선차단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나, 세탁견뢰도가 매우 떨어지는데 이는 분산에 기여하지 않는 잉여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가 많아짐에 따른 부작용으로 판단된다.
나노무기입자의 첨가량이 매우 적은 비교예 6 경우를 보면 원하는 자외선 차단성 확보가 곤란함을 알 수 있고, 반대로 그 첨가량이 과도한 비교예 7 경우를 보면 나노입자분산성이 나쁘고 투명성 손상에 의한 선명한 염색성 확보가 어려움을 알 수 있다.
또한, 나노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이 너무 작은 것을 사용한 비교예 8 경우를 보면 원하는 자외선 차단성 확보가 곤란함을 알 수 있고, 반대로 평균입경이 너무 큰 것을 사용한 비교예 9 경우를 보면 자외선 차단성이 그다지 좋지 않고 입자분산성이 나쁘며 투명성 손상에 의한 선명한 염색성 확보가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A 100 중량부, PAI-A 0.8 중량부, CeO2-A 1.5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건조하여 수분율 0.05 중량%이하로 하여 압출기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사용액을 Y형 단면구조의 방사구금을 통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또한 섬유의 흡수성 및 건조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B 100 중량부, PAI-B 0.6 중량부, CeO2-A 0.5 중량부, TiO2-A 0.7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건조하여 수분율 0.05 중량%이하로 하여 압출기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사용액을 王형 단면구조의 방사구금을 통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또한 섬유의 흡수성 및 건조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0]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B 100 중량부, TiO2-A 1.5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건조하여 수분율 0.05 중량%이하로 하여 압출기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사용액을 원형 단면구조의 방사구금을 통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또한 섬유의 흡수성 및 건조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1]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원료에서 PA-A 100 중량부, PEI-A 1.0 중량부, CeO2-A 2.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펠렛을 얻었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9와 같이, Y형 단면구조의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3 denier의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를 제편한 원단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를 평가하였고 또한 섬유의 흡수성 및 건조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10]
Figure 112013019286127-pat00010
본 발명에 의한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을 사용하고 원형단면 구금이 아닌 Y형, 王형과 같은 이형단면을 가진 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얻어진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의 섬유를 보면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흡수성 및 건조성 즉 흡한속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 의한 폴리아마이드 수지 및 무기입자와의 단순 조성물을 원형 단면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얻은 비교예 10의 섬유와 비교해 볼 때 극명하게 그 차이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폴리에틸렌계 아이오노머를 분산성 수지로 사용한 폴리아마이드 수지 및 무기나노입자와의 조성물을 Y형 단면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얻은 비교예 11의 경우 흡한속건성은 우수하나 자외선 차단성, 자외선 차단지속성, 나노무기입자 분산성, 방사작업성, 흐림도, 염색 균염성 및 세탁 견뢰도는 본 발명의 것과 대비해 많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Claims (16)

  1.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 0.01 ~ 5 중량부, 평균입경 5 ~ 500nm인 나노무기입자 0.01 ~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는 디카르복실산류, 디아민류 및 유기산금속염기를 함유하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와의 축합반응에 의해 얻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결정성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무정형 코폴리아마이드, 방향족 폴리아마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폴리아마이드 3, 폴리아마이드 4, 폴리아마이드 6, 폴리아마이드 7, 폴리아마이드 8, 폴리아마이드 9, 폴리아마이드 11, 폴리아마이드 12, 폴리아마이드 4,6, 폴리아마이드 4,5, 폴리아마이드 6,6, 폴리아마이드 6,1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는 유기산금속염기 함유 폴리아마이드 공중합체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는 유기산금속염기가 1 ~ 30 중량% 함유된 폴리아마이드 공중합체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금속염기의 유기산은 술폰산, 인산, 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금속염기의 유기산은 술폰산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금속염기의 금속은 알카리 금속, 알카리토금속, 전이금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무기입자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이산화지르코늄, 삼산화크롬, 산화구리, 삼산화철, 산화니켈, 산화텅스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무기입자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 8항, 제 10항 및 제 11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수지조성물을 용융방사한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섬유.
  13. 제 1항 내지 제 8항, 제 10항 및 제 11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수지조성물을 이형단면을 가진 구금을 통해 용융방사한 흡한속건성 자외선 차단 폴리아마이드 섬유.
  14.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 0.01 ~ 5 중량부, 평균입경 5 ~ 500nm인 나노무기입자 0.01 ~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련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혼련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는 디카르복실산류, 디아민류 및 유기산금속염기를 함유하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와의 축합반응에 의해 얻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15. a) 디카르복실산류, 디아민류 및 유기산금속염기를 함유하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와의 축합반응에 의해 얻어진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 20 ~ 50 중량%, 평균입경 5 ~ 500nm인 나노무기입자 50 ~ 80 중량%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혼련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혼련하여 펠렛 형태의 나노무기입자 마스터뱃치(A)를 제조하는 단계;
    b)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 및 나노무기입자 마스터뱃치(A)를 드라이블랜딩에 의해 혼합하거나 혼합물을 혼련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혼련하여 펠렛 형태의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수지조성물은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아이오노머 0.01 ~ 5 중량부, 평균입경 5 ~ 500nm인 나노무기입자 0.01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023375A 2013-03-05 2013-03-05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 KR10131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375A KR101316765B1 (ko) 2013-03-05 2013-03-05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375A KR101316765B1 (ko) 2013-03-05 2013-03-05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765B1 true KR101316765B1 (ko) 2013-10-08

Family

ID=4963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375A KR101316765B1 (ko) 2013-03-05 2013-03-05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7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740A (ko) * 2014-10-01 2016-04-12 주식회사 효성 영구 제전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401B1 (ko) 2014-12-02 2017-08-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CN114806096A (zh) * 2022-03-31 2022-07-29 莆田达凯新材料有限公司 一种聚酯纤维用抗紫外线母粒、制备方法及抗紫外线聚酯纤维、面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3413A1 (en) 1996-12-10 2002-01-31 Bellinger Michelle A. Blending and neutralization method for preparing polyamide-ionomer materials for golf ball covers or mantles
KR101182048B1 (ko) 2011-01-11 2012-09-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우수한 염색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KR101201236B1 (ko) 2010-09-10 2012-11-20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KR101221145B1 (ko) 2011-01-03 2013-01-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3413A1 (en) 1996-12-10 2002-01-31 Bellinger Michelle A. Blending and neutralization method for preparing polyamide-ionomer materials for golf ball covers or mantles
KR101201236B1 (ko) 2010-09-10 2012-11-20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KR101221145B1 (ko) 2011-01-03 2013-01-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KR101182048B1 (ko) 2011-01-11 2012-09-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우수한 염색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740A (ko) * 2014-10-01 2016-04-12 주식회사 효성 영구 제전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687071B1 (ko) 2014-10-01 2016-12-16 주식회사 효성 영구 제전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401B1 (ko) 2014-12-02 2017-08-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CN114806096A (zh) * 2022-03-31 2022-07-29 莆田达凯新材料有限公司 一种聚酯纤维用抗紫外线母粒、制备方法及抗紫外线聚酯纤维、面料
CN114806096B (zh) * 2022-03-31 2024-05-14 莆田达凯新材料有限公司 一种聚酯纤维用抗紫外线母粒、制备方法及抗紫外线聚酯纤维、面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8642B2 (en) Preparation method for multifunctional polyester fibre
KR20180133402A (ko) 인공모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EP2878715A1 (en) Method for preparing antibacterial thermal storage fiber, fiber prepared thereby, and fabrics using same
WO2016098717A1 (ja) 吸湿性芯鞘複合糸
KR101316765B1 (ko)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
KR20180121477A (ko) 가염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구조체
WO2014105669A1 (e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based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JP2008013880A (ja) 抗菌性ポリエステル繊維
JP7332693B2 (ja) 導電性複合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構造物
KR101201236B1 (ko)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EP1375574B9 (en) Polyphenylene sulfide memb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U2015305567B2 (en) Synthetic fibers with enhanced stain resistanc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7209547B2 (ja) 紫外線遮蔽ポリエステル繊維
JP2015066234A (ja) 人工毛髪用ポリエステル系繊維、それを含む毛髪用繊維束及び頭飾製品
JP4704197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
KR101641921B1 (ko) 자외선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섬유
KR20130117790A (ko) 내오염성 섬유, 직물 및 카펫
JP2015094050A (ja) 人工毛髪用ポリエステル系繊維及びそれを含む頭飾製品
KR101221145B1 (ko)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KR101616709B1 (ko) 자외선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섬유
KR101182048B1 (ko) 우수한 염색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JP5543748B2 (ja) ナイロン11糸条を用いてなる織編物及びその染色方法
JP2005325481A (ja) 不透明性、紫外線遮蔽性、熱遮蔽性、吸放湿性及び発色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芯鞘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カバリング弾性糸、嵩高加工糸
JP2013253817A (ja) 放射線遮蔽繊維および布帛
JP2011084827A (ja) 芯鞘型複合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