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652B1 -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652B1
KR101316652B1 KR1020130040337A KR20130040337A KR101316652B1 KR 101316652 B1 KR101316652 B1 KR 101316652B1 KR 1020130040337 A KR1020130040337 A KR 1020130040337A KR 20130040337 A KR20130040337 A KR 20130040337A KR 101316652 B1 KR101316652 B1 KR 101316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lass
opening
attachment por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현
김정복
Original Assignee
김정복
조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복, 조광현 filed Critical 김정복
Priority to KR102013004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반대측으로 형성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단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을 제공하여 호차와 호차 사이에 단열바가 설치됨으로써 창문의 내외부 단열이 확실해지고, 단열바가 설치되기 때문에 섀시의 레일과 프레임이 접촉시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복층 유리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A frame for thermopane and the assembly using of it}
본 발명은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 유리 프레임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복층유리는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 수 밀리미터의 공기층을 두도록 형성한 것을 프레임에 설치한 것이다.
두 장의 유리판 사이의 이격 거리가 클수록 단열효과는 향상된다.
일반적인 복층유리는 낱장의 유리를 놓고 가장자리부에 가늘고 길게 형성된 막대부재인 간봉을 올린 뒤 간봉 위로 다시 낱장의 유리를 올려서 제작한다.
따라서 종래의 복층유리는 간봉의 두께가 곧 복층유리의 사이공간 간격을 결정하게 되었던 것이며, 이렇게 제작한 복층유리를 프레임에 옮겨 설치하기 위하여는 두 장의 유리 중 어느 한 장에 흡착패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복층유리를 들어올려야 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대로 제작된 복층유리는 유리와 유리가 간봉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 것이기 때문에 간봉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유리와 유리 사이의 간격은 증가하나 한쪽 유리에 흡착패드를 부착시켜 옮길 때 간봉이 다른 하나 쪽 유리를 지지할 수 없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종래의 복층유리는 간봉을 이용하여 한 쌍의 유리를 서로 이격시켜 결합하도록 하지만 그 이격 거리에는 한계가 존재하였던 것이며, 이에 따라서 단열효과에도 한계가 존재하였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복층유리창은 섀시의 레일과 복층유리창의 프레임 간에 틈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 이 틈으로 열기가 빠져나가 단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복층유리창은 창문을 강하게 닫을 때는 섀시에 형성된 레일에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저하됨으로써 단열의 효과까지 저하되었으며, 두 개의 창문이 서로 창호를 닫을시 프레임과 프레임이 서로 포개어질 때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지 못함으로써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2011-0118190호, 미국등록특허 6,401,428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와 유리 사이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유리를 프레임에 간단히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단열효과를 극대화하는 복층유리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반대측으로 형성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단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열바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레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더의 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홀더의 중앙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로드가 형성되되, 상기 로드의 외면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착부는 제1유리가 설치되는 제1부착부와 제2유리가 설치되는 제2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착부와 상기 제2부착부 사이의 하부 위치에서, 일측이 상기 제1부착부로부터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제2부착부로부터 연장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반대측으로 형성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단열바와; 돌출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결합하는 커버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결합편과; 내부에 습기제거제가 포함되면서 상기 부착부에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반대측으로 형성되어유리가 결합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단열바와; 상기 부착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습기제거제와; 상기 부착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제1끼움부 및 제2끼움부;를 포함하되, 제1커버가 상기 제1끼움부에 결합하고, 제2커버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2끼움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차가 설치되고,상기 호차가 설치되지 아니한 개구부에는 상기 단열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열바는 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반대측으로 형성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단열바와; 상기 개구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부착부에 결합되는 유리의 외측을 고정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에 설치된 결합편의 오목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에 설치된 커버의 돌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 설치된 결합편의 오목부에는 상기 제1프레임에 설치된 커버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유리가 설치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반대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단열바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호차를 포함하되, 상기 호차 사이에 상기 단열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개구부에 단열바가 설치됨으로써 창문의 내외부 단열이 확실해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단열바가 설치되기 때문에 섀시의 레일과 프레임이 접촉시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복층 유리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셋째, 단열바는 원하는 길이만큼 잘라서 사용 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창문에 설치가 용이하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프레임에 설치된 커버에는 돌출부 및 돌출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창문이 닫혔을 때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기밀이 유지됨으로써 단열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개구부에 탄성재질의 튜브가 설치됨으로써 레일의 형상대로 튜브가 밀착되기 때문에 기밀이 보다 확실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에 설치되는 단열바의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섀시에 복층유리 프레임이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섀시에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1창문과 제2창문이 설치되어 섀시를 닫고 있는 모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섀시에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창문이 설치된 모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1창문과 제2창문이 섀시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1창문과 제2창문이 닫힌 모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1창문과 제2창문이 조금 열려 있는 모습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창문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3프레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3프레임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으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2프레임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로서 호차가 설치된 복층유리 조립체에 단열바가 설치된 모습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조립체에 튜브가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조립체의 튜브가 레일에 접촉한 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언급한 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복층유리 프레임은 유리를 설치하기 위한 부착부(210,220)를 갖는다.
복층유리 프레임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바디는 부착부(210,220)의 반대측에 개구부(320,321)를 갖는다.
단열바(700)는 메인 바디의 개구부(320)에 삽입된다.
단열바(700)는 개구부(320)에 밀착되는 홀더(710)를 갖는다.
레일바(750)는 홀더(710)에 결합된다.
홀더(710)의 몸체는 개구부(320)의 내벽에 밀착된다.
로드(713)는 홀더(710)의 중앙부 메인 바디에 형성된 관통홀(310)에 삽입된다.
스프링(715)은 로드(713)의 외면에 설치된다.
부착부(210,220)는 제1유리(610)가 설치되는 제1부착부(210)와 제2유리(620)가 설치되는 제2부착부(220)로 이루어진다.
제1부착부(210)와 제2부착부(220)는 서로 이격된 채로 형성된다.
라운드부(300)는 제1부착부(210,220)와 제2부착부(210,220) 사이의 하부 위치한다.
라운드부(300)는 일측이 제1부착부(210,220)로 연장되고, 타측이 제2부착부(210,220)로 연장되어 유리의 하중을 지지한다.
커버는 제1커버(510)와 제2커버(502)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13에서처럼 제2커버(502)는 메인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길게 벗어난 단부에서 돌출부(540)를 갖고 메인 바디의 개구부(321)를 밀폐한다.
결합편(110)은 돌출부(540)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오목부(125)가 형성되면서 부착부(210)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결합편(110)은 제1부착부(210)에 결합되고, 제2결합편(120)은 제2부착부(2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케이스(641)는 메인 바디에 설치된 한 쌍의 부착부(210,220) 사이에서 형성된 공간부(215)에 설치된다.
제1끼움부(410) 및 제2끼움부(420)는 개구부(320,321)의 양측으로 형성된다.
도1과 같이 제1커버(510)는 제1끼움부(410)에 체결되고, 제2커버(502)는 제2끼움부(420)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은 유리를 설치하기 위한 부착부(210,220)를 갖고 일측에 개구부(320,321)가 형성된 메인 바디를 갖는다.
커버 중 제2커버(502)는 메인 바디의 개구부(321)에 삽입된다.
결합편(110,120)은 부착부(210,220)에서 유리의 외측을 고정한다.
커버 중 제2커버(502)에는 돌출부(540)가 결합편(11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110)에는 돌출부(540)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오목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100)의 단면도이다.
메인 바디는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320)와, 개구부(320)의 반대측으로 형성되어 유리가 결합되는 부착부(210,220)를 포함하는 일종의 프레임이다.
단열바(700)는 메인 바디의 개구부(320)에 형성된 관통홀(310)에 삽입되어 개구부(320)를 밀폐한다.
다시 말해서 메인 바디는 프레임(100)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부분이다.
프레임(100)은 외부로 개구되는 개구부(320)와, 개구부(3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부착부(210,220)와 개구부(320)에 삽입 설치되는 단열바(700)로 대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레임(100)의 좌측단부에는 제1유리(610)가 설치되는 제1부착부(210)가 형성되고, 제2유리(620)가 설치되는 제2부착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부착부(210)와 제2부착부(22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걸림부(211)는 도1을 기준하여 제1부착부(210)의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걸림부(212)는 제1걸림부(211)의 우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751)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편(110)에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걸림부(211)와 결합되도록 제1고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결합편(110)의 우측 단부에는 제2걸림부(212)와 결합되도록 제2고리(1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고리(111)가 프레임(100)의 제1걸림부(211)에 결합되고, 제2고리(112)가 프레임(100)의 제2걸림부(212)에 결합되면 제1결합편(110)은 제1유리(610)의 외측을 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제3걸림부(223)는 도1을 기준하여 제2부착부(220)의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홈(751)이 형성되어 있다.
제4걸림부(224)는 제3걸림부(223)의 우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편(120)에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3걸림부(223)와 결합되도록 제3고리(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결합편(120)의 우측 단부에는 제4걸림부(224)와 결합되도록 제4고리(124)가 형성되어 있다.
제3고리(123)가 프레임(100)의 제3걸림부(223)에 결합되고, 제4고리(124)가 프레임(100)의 제4걸림부(224)에 결합되면 제2결합편(120)은 제2유리(620)의 외측을 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오목부(125)는 제2결합편(120)의 좌측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편(110)과 제2결합편(120)은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제1유리(610)와 제2유리(620)를 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1부착부(210)와 제2부착부(220) 사이에는 홀(630)이 형성되고 홀(630)의 우측 공간에는 습기제거제(640)가 포함된다.
제1유리(610)와 제2유리(620) 사이공간에 존재하는 습기가 홀(630)을 지나 습기제거제(640)로 흡수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운드부(300)는 습기제거제(640)가 설치된 공간의 우측에 형성되는데 오른쪽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의 공간을 이루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라운드부(300)는 유리(610,620)가 설치되는 부착부(210,220)로부터 관통홀(310)로 연장되면서 관통홀(310) 쪽으로 갈 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라운드부(300)는 제1유리(610)와 제2유리(620)가 프레임(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유리(610)와 제2유리(620)로부터 프레임(100)이 받는 하중을 집중시키는 역할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의 라운드부는 전체적으로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관통홀(310)은 라운드부(300)의 우측단에 형성되며, 관통홀(310)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단열바(700)의 로드(713)가 삽입된다.
제1끼움부(410) 및 제2끼움부(420)는 프레임(100)의 우측단부에서 개구부(320)를 사이에 두고 각각 형성되고, 제1끼움부(410)에는 제1커버(510)가 끼워져 설치되고 제2끼움부(420)에는 제2커버(520)가 끼워져 설치된다.
제1커버(510)와 제2커버(52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끼움홈(411)은 제1끼움부(410)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끼움홈(422) 역시 제2끼움부(420)의 내측벽에 형성된다.
제1커버(510)에는 제1끼움홈(411)과 대응하는 제1걸림턱(51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1커버(510)의 하측단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512)가 형성되고, 제2커버(520)의 상측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5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돌기(512) 및 제2돌기(522)는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2커버(520)에는 제2끼움홈(751)(422)과 대응하는 제2걸림턱(52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연장부(530)는 제2커버(520)의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부(530)의 단부에는 프레임(1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40)는 또 다른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또 다른 오목부(125)에 결합된다.
제1돌기(512)와 제2돌기(522)는 섀시(800)에 형성된 레일(810)에 각각 접촉되어 섀시(800)와 프레임(100)간에 기밀을 유지시키며,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프레임(100)에는 개구부(320) 주위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공간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의 단열바(700)의 분리사시도이다.
단열바(700)는 개구부(320)에 설치되도록 홀더(710)와 레일바(750)로 대분된다.
홀더(710)는 단면의 형상이 갓 모양을 하고 있는 삽입부(711)를 갖고, 삽입부(711)에는 얇고 가늘게 형성된 절개부(71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711)는 프레임(100)의 개구부(32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310)에 끼워져 관통홀(310)을 관통할 수 있다.
홀더(710)의 몸체는 개구부(320)의 내벽에 밀착되고, 홀더(71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310)에 삽입되는 로드(713)가 형성된다.
스프링(715)은 로드(713)의 외면에 설치된다.
삽입부(711)는 한 방향으로만 직경이 증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 번 관통홀(310)을 관통한 삽입부(711)는 반대방향으로는 관통홀(310)을 빠져 나올 수 없다.
로드(713)는 삽입부(711)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711)의 최대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제1편평부(741)는 로드(713)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1수직연장부(721)는 제1편평부(741)의 좌우측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수평연장부(731)는 제1수직연장부(721)의 양하단부에서 홀더(710)의 무게중심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715)은 로드(713)에 삽입되어 있으며, 스프링(715)은 단열바(700)를 프레임(100)의 개구부(320)에 설치하기 전에는 삽입부(711)와 제1편평부(741) 사이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레일바(750)는 하부면에서 하방향으로 개구되는 홈(751)을 갖는데, 홈(751)은 섀시(800)에 형성된 레일(8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다.
레일바(750)는 최상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뻗은 제2수평연장부(752)가 형성되어 있고, 제2수평연장부(752)의 하부로 수직하게 뻗은 제2수직연장부(762)를 갖는다.
제2편평부(772)는 제2수직연장부(762)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편평하게 뻗어서 레일바(75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2편평부(772)에는 홀더(710)에 형성된 제1수평연장부(731)가 올려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제1수직연장부(721)의 내측벽은 레일바(750)에 형성된 제2수평연장부(752)의 측멱이 접촉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다.
홀더(710)는 레일바(750)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부재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더브테일방식도 가능함을 일러둔다.
레일바(750)는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잘라서 쓸 수 있는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섀시(800)에 복층유리 프레임(100)이 설치된 단면도이며, 도3의 섀시(800)는 가로섀시 또는 세로섀시일 수 있다.
프레임(100)에는 두 장의 유리가 서로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100)의 개구부(320)에는 단열바(700)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711)는 프레임(100)의 개구부(320)의 좌측벽에서 라운드부(3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31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715)은 개구부(320)의 좌측벽과 홀더(710) 사이에 배치되면서 로드(713)에 끼워져 있다.
섀시(800)는 레일(810)을 포함하며, 단열바(700)에 형성된 홈(751)은 레일(810)을 수용하는데, 이 때 스프링(715)이 단열바(700)를 레일(810)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레일(810)에 인접한 단열바(700)는 항상 레일(810)과 접촉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00)이 섀시(800)에 설치되면 프레임(100)과 섀시(800) 사이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스프링(715)이 레일(810)이 접촉하는 단열바(700)에 설치되기 때문에 프레임(100)이 섀시(800)에 접촉할 때 라운드부(300)가 유리의 하중을 단열바(700)로 모아주고, 단열바(700)에 설치된 스프링(715)이 충격을 완화시켜 유리의 파손 또는 프레임(100)의 변형위험을 줄여준다.
따라서, 제1유리(610)와 제2유리(620)의 사이공간의 형태 변화가 최소화 되기 때문에 기밀이 유지되어 열차단 효과가 지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섀시(800)에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1창문(910)과 제2창문(920)이 설치되어 섀시(800)를 닫고 있는 모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이 섀시(800)에 창문이 설치된 모습도이다.
개구부(320)는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창문(910)은 프레임(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개구부(320)에 복수개의 홀더(710)가 설치되고, 홀더(710)에는 레일바(750)가 결합된다.
제1호차(821)는 제1창문(910)의 하측프레임(100) 좌측에 설치되고 제2호차(822)는 제1호차(821)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호차(820)는 롤러 바퀴 등으로 이루어지고 창문을 지지하면서 섀시(800)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개구부(3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제1호차(821)와 제2호차(822)의 사이에는 단열바(700)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호차(821)와 제2호차(822)가 설치되지 아니한 개구부(320) 공간에는 단열바(700)가 설치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프레임(100)과 섀시(800)간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홀더(710)는 제1창문(910)의 상하좌우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있으며, 설치된 홀더(710)에는 레일바(750)가 결합되어 있다.
사용자는 섀시(800)의 사이즈 및 프레임(100)의 사이즈 등에 따라서 레일바(750)의 길이를 알맞게 잘라서 홀더(71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1창문(910)과 제2창문(920)이 섀시(800)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섀시(800)는 상부 레일(811)과 하부 레일(812)를 포함한다.
상부 레일(811)과 하부 레일(812) 각각의 좌측 단부에는 방충망이 설치될 수 있도록 방충망레일(815)가 형성되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1창문(910)과 제2창문(920)이 닫힌 모습도이다.
제1창문(910)의 제1프레임(101)에는 오목부(125)가 형성된 제2결합편(120)이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320)에는 단열바(700)가 설치되어 있다.
단열바(700)의 우측으로는 제2커버(520)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커버(520)는 우측으로 연장된 연장부(530)와, 연장부(53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40)를 갖는다.
제1창문(910)의 연장부(530)는 제2창문(920)의 유리와 매우 근접한 길이를 갖고 있어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의 사이공간에 기밀을 유지시킨다.
제2창문(920)의 제2프레임(102)에는 제2커버(520)가 설치되고, 제2커버(520)의 연장부(530)는 제1창문(910)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창문(910)의 유리와 매우 근접하는 길이를 갖고 있어 제2프레임(102)과 제1프레임(101) 사이공간의 기밀을 확보한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1창문(910)과 제2창문(920)이 조금 열려 있는 모습도이다.
제1창문(910)의 개구부(320) 우측으로 제2커버(520)가 설치되고, 제2커버(520)의 우측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제2창문(920) 제2프레임(102)에 설치된 제2결합편(120)에는 돌출부(540)를 수용하는 오목부(1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커버(520)의 돌출부(540)가 제2결합편(120)의 오목부(125)에 결합되게 됨으로써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의 사이공간에 기밀이 확보된다.
제2창문(920)의 개구부(320) 좌측으로 제2커버(520)가 설치되고, 제2창문(920)에 설치된 제2커버(520)의 좌측단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제1창문(910) 제1프레임(101)에 설치된 제2결합편(120)에도 돌출부(540)를 수용하는 오목부(1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프레임(102)에 설치된 제2커버(520)의 돌출부(540)가 오목부(125)에 결합되게 됨으로써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의 사이공간에 기밀이 확보된다.
다시 말해서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에 있어서 제1창문(910)과 제2창문(920) 사이에는 제2결합편(120)과 제2커버(520)가 서로 결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제1창문(910)과 제2창문(920)이 서로 닫혔을 때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 사이에는 기밀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창문의 단면도이다.
섀시(800)에는 레일(810)이 돌출되어 있으며, 제1창문(911)의 제3프레임(103)이 섀시(800)의 레일(810)에 접촉하고 있고, 제2창문(921)의 제3프레임(103) 역시섀시(800)의 레일(810)에 접촉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제1창문(911)의 제1프레임(101)과 제2창문(921)의 제2프레임(102)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제1창문(911)과 제2창문(921)이 전체창호(미도시)를 닫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1창문(911)에는 제1프레임(101)과 제1창문(911)의 제3프레임(103) 사이에 제1유리(611)와 제2유리(612)가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채로 복층유리를 형성하고 있다.
제2창문(921)에도 제2프레임(102)과 제2창문(921)의 제3프레임(103) 사이에 제1유리(611)와 제2유리(612)가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채로 복층유리를 형성하고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3프레임(103)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3프레임(103)에는 개구부(320)에 단열바(700)가 설치되어 있고, 단열바(700)의 좌측면에는 레일(810)이 접촉할 수 있다.
단열바(700)는 전술하였듯이 제3프레임(103)이 레일(810)에 접촉할 때 완충작용을 하여 제3프레임(103)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한다.
단열바(700)는 제1유리(611) 및 제2유리(612)로 전해지는 충격을 줄여줌으로써 제1유리(611)와 제2유리(612)를 보호하게 된다.
단열바(700)는 레일(810)에 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공기가 제3프레임(103)을 통해 내부로 전달되거나 내부공기가 제3프레임(103)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케이스(641)에는 습기제거제(6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유리(611)와 제2유리(612) 사이공간에 존재하는 습기가 제거된다.
제3프레임(103)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3프레임(103)의 분리 단면도이다.
단열바(700)는 개구부(320)에 삽입 설치되며, 단열바(700)의 구조는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끼움부(410)는 제3프레임(103)의 외측면과 개구부(320) 사이에 형성되는데 끼움부(410)의 내측면에는 제1끼움홈(593)이 형성되어 있다.
제1끼움홈(593)은 끼움부(410) 양측면 내벽에서 제3프레임(103)의 외측벽 방향으로, 그리고 개구부(320) 방향으로 각각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제1커버(501)에는 걸림턱(592)이 형성되며, 걸림턱(592)이 제1끼움홈(593)에 끼워져 제1커버(501)가 제3프레임(103)의 끼움부(4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제1커버(501)는 제3프레임(103)의 좌측면을 마감하는 마감부재로서 개구부(320)를 사이에 두고 제3프레임(103)의 좌측 단부를 마감한다.
제1커버(501)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제3프레임(103)이 섀시(800)에 충돌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3프레임(103) 내부에는 개구부(320)의 우측으로 개구되는 관통홀(310)이 형성되고, 관통홀(310)에 단열바(700)가 앞서 언급한 바 대로 설치된다.
라운드부(300)는 관통홀(310)의 우측단부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라운드져 형성된다.
부착부는 제3프레임(103)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제1단턱(216) 측면부에 제1부착부(210)가 형성되고, 제2단턱(217)의 측면부에 제2부착부(220)가 형성된다.
제1부착부(210)에는 제1유리(611)가 설치되고, 제2부착부(220)에는 제2유리(612)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유리(611)는 제1단턱(216)의 외측면부에 밀착되고, 제2유리(612)는 제2단턱(217)의 외측면부에 밀착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결합편(110,120)은 부착부(210,220)에 결합되는 유리의 외측을 제2프레임(102)에 고정한다.
제1결합편(110)에는 좌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결국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고리(112)가 형성된다.
제1결합편(110)은 제2고리(112)로부터 우측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다시 우측 하방향으로 라운드져 제1부착부(210)에 설치되는 제1유리(611)와 접촉하여 제1유리(611)를 제3프레임(103)에 밀착시킨다.
제1결합편(110)에는 제2고리(112)의 우측에서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다 다시 좌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1고리(111)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편(110)은 제1고리(111)가 제3프레임(103)의 제1단턱(216) 좌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걸림부(211)에 걸리게 되고, 제2고리(112)는 제1걸림부(211)의 좌측에 형성된 제2걸림부(212)에 걸리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결합편(110)은 제3프레임(103)에 형성된 제1걸림부(211) 및 제2걸림부(212)에 결합됨으로써 제1부착부(210)에 설치된 제1유리(611)를 제3프레임(103)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제2결합편(120)에는 좌측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결국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4고리(124)가 형성된다.
제2결합편(120)은 제4고리(124)로부터 우측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다시 우측 상방향으로 라운드져 제2부착부(220)에 설치되는 제2유리(612)와 접촉하여 제2유리(612)를 제3프레임(103)에 밀착시킨다.
제2결합편(120)에는 제4고리(124)의 우측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다 다시 좌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3고리(123)가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편(120)은 제3고리(123)가 제3프레임(103)의 제2단턱(217) 좌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걸림부(223)에 걸리게 되고, 제4고리(124)는 제3걸림부(223)의 좌측에 형성된 제4걸림부(224)에 걸리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2결합편(120)은 제3프레임(103)에 형성된 제3걸림부(223) 및 제4걸림부(224)에 결합됨으로써 제2부착부(220)에 설치된 제2유리(612)를 제3프레임(103)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공간부(215)는 라운드부(300)의 우측에서 제1단턱(216)과 제2단턱(217)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한다.
공간부(215)에는 케이스(641)가 삽입되는데, 케이스(641)에는 경사면(642)이 형성되어 있어 경사면(642)이 제1단턱(216)과 제2단턱(217)을 스무스하게 지나가 공간부(215)에 고정되는 것이다.
케이스(641)에는 내부에 저장소(643) 공간이 형성되어 저장소(643)에 습기제거제(640)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홀(644)은 케이스(641)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소(643)와 케이스(641) 외부를 연통하도록 케이스(641)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개구부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641)는 내부에 습기제거제(640)가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유리(611)와 제2유리(612) 사이공간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의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의 단면도이며, 도13은 본 발명으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을 이용한 제2프레임(102)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12와 같이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가 서로 겹쳐질 때에, 제1프레임(101)에 설치된 제2결합편(120)의 오목부(125)에는 제2프레임(102)에 설치된 제2커버(502)의 돌출부(540)가 결합되고, 제2프레임(102)에 설치된 제2결합편(120)의 오목부(125)에는 제1프레임(101)에 설치된 제2커버(502)의 돌출부(540)가 결합된다.
제1프레임(101)에 설치된 제2커버(502)의 돌출부(540)는 제2프레임(102)에 설치된 제2결합편(120)의 오목부(125)에 결합하고, 제2프레임(102)에 설치된 제2커버(502)의 돌출부(540)는 제1프레임(101)에 설치되니 제2결합편(120)의 오목부(125)에 결합하게 된다.
제1창문(911)과 제2창문(921)이 각각 섀시(800)의 측면 레일(810)에 접촉하면 돌출부(540)가 오목부(125)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1창문(911)의 제1프레임(101)과 제2창문(921)의 제2프레임(102) 사이에는 기밀이 유지되어 단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2프레임(102)에는 개구부(320)의 좌측 내벽에 제2끼움홈(4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끼움홈(413)은 V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커버(502)는 개구부(320)에 삽입되는 패킹부(505)가 형성되고, 패킹부(505)의 양 측면에는 돌기(506)가 V자를 이루며 패킹부(505)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있다.
패킹부(505)는 개구부(321)를 밀폐시켜 제2프레임의 개구부(321)의 사이공간을 없애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단열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2커버(502)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제3프레임(103)이 섀시(800)에 충돌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1연장부(503)는 패킹부(505)에서 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있으며 제1연장부(503)의 좌측단에는 제2프레임(10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제1연장부(503)는 제2프레임(102)의 제1면(414)의 길이보다 조금 더 길게 형성되어 돌출부(540)가 제3면(416)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연장부(504)는 패킹부(505)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2프레임(102)의 제2면(415)의 길이만큼형성되므로 제2연장부(504)의 하단부는 제2프레임(102)의 제4면(417)과 동일면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창문(911)에는 제1프레임(101)과 제3프레임(103) 사이에서 제1유리(611)와 제2유리(612)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2창문(921)에는 제2프레임(102)과 제3프레임(103) 사이에서 제1유리(611)와 제2유리(612)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3프레임(103)의 개구부(320)에는 단열바(700)가 설치되고, 단열바(700)는 섀시(800)에 형성된 레일(810)에 완충작용을 하면서 밀착되어 제3프레임(103)과 건물의 내외부의 기밀을 유지한다.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은 서로 포개어져, 제1프레임(101)에 설치된 제2결합편(120)에 제2프레임(102)에 설치된 제2커버(502)의 돌출부(540)가 결합하고, 제2프레임(102)에 설치된 제2결합편(120)에 제1프레임(101)에 설치된 제2커버(502)의 돌출부(540)가 결합하여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 사이에 기밀을 유지한다.
결국 제1창문(911)과 제2창문(921)에는 각각 제1유리(611)과 제2유리(612)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복층유리를 이루고, 제1창문(911)과 제2창문(921)이 모두 섀시(800)를 닫을 때(창호를 닫을 때를 말함) 건물의 외부와 내부의 공기흐름이 차단되기 때문에 단열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제1프레임(101)의 개구부(323)는 제3커버(507)로 마감된다.
제3커버(507)는 도1에서의 제1돌기(512)와 제2돌기(522)가 서로 이어져 연장부(530)까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제3커버(507)에는 도1에서와 마찬가지로 결합편(12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원리로 오목부(125)와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은 메인 바디에 유리가 설치된 복층유리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제1프레임(101)의 개구부(323)는 제3커버(507)로 마감된다.
제3커버(507)는 도1에서의 제1돌기(512)와 제2돌기(522)가 서로 이어져 연장부(530)까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제3커버(507)에는 도1에서와 마찬가지로 결합편(12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원리로 오목부(125)와 결합하게 된다.
도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조립체에서 호차(820)가 설치된 프레임(100)에 단열바가 설치된 모습도이다.
프레임(100)은 섀시(800)에 설치되어 있으며, 호차(820)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개구부(323)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호차(820)는 레일 위에서 굴러갈 수 있도록 개구부(323)에 설치된다.
단열바는 개구부(323)에서 호차(820)가 설치되지 아니한 곳에서 설치될 수 있다.
호차(820)가 설치되지 아니한 프레임(100)의 개구부(323)에 단열바가 설치됨으로써 프레임(100)의 기밀을 더욱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조립체에서 프레임(100)에 튜브(930)가 설치된 단면도이며, 도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조립체에서 프레임(100)의 튜브(930)가 레일에 접촉한 단면도이다.
개구부(323)는 프레임(100)의 하부에서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개구된 채로 형성되어 있다.
튜브(930)는 개구부(323)의 하부에서 개구부(323)를 밀착하도록 설치되는데, 튜브(930)의 전체적인 형상은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된다.
튜브(930)는 연질소재로 이루어져 개구부(323)를 외부와 밀폐시키게 되며, 원래의 모습대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튜브(930)는 탄성재질로 내부가 꽉 채워져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9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도18과 같이 프레임(100)의 개구부(323)가 섀시(800)의 레일(810)위로 올려지면, 레일(810)은 튜브(930)에 접촉한다.
튜브(930)는 연질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레일(810)의 형상을 따라 접촉하게 되므로 프레임(100)의 개구부(323)가 보다 확실하게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튜브(930)는 레일(810)에 접촉할 때 레일(810)로부터 압력을 받아 개구부(323) 좌우측벽 방향으로 팽창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 프레임 101 : 제1프레임
102 : 제2프레임 103 : 제3프레임
110 : 제1결합편 111 : 제1고리
112 : 제2고리 120 : 제2결합편
123 : 제3고리 124 : 제4고리
125 : 오목부 210 : 제1부착부
211 : 제1걸림부 212 : 제2걸림부
215 : 공간부 216 : 제1단턱
217 : 제2단턱 220 : 제2부착부
223 : 제3걸림부 224 : 제4걸림부
300 : 라운드부 310 : 관통홀
320,321, 323 : 개구부 410 : 제1끼움부
411,593 : 제1끼움홈 422,413 : 제2끼움홈
414 : 제1면 415 : 제2면
416 : 제3면 417 : 제4면
420 : 제2끼움부 502, 520 : 제2커버
503 : 제1연장부 504 : 제2연장부
505 : 패킹부 506 : 돌기
507 : 제3커버 510 : 제1커버
511 : 제1걸림턱 512 : 제1돌기
521 : 제2걸림턱 522 : 제2돌기
530 : 연장부 540 : 돌출부
592 : 걸림턱 610 : 제1유리
620 : 제2유리 630,644 : 홀
640 : 습기제거제 641 : 케이스
642 : 경사면 643 : 저장소
700 : 단열바 710 : 홀더
711 : 삽입부 713 : 로드
715 : 스프링 717 : 절개부
721 : 제1수직연장부 731 : 제1수평연장부
741 : 제1편평부 750 : 레일바
751 : 홈 752 : 제2수평연장부
762 : 제2수직연장부 800 : 섀시
810 : 레일 811 : 상부레일
812 : 하부레일 815 : 방충망레일
820 : 호차 821 : 제1호차
822 : 제2호차 910 : 제1창문
920 : 제2창문 930 : 튜브

Claims (9)

  1. 유리를 설치하기 위한 부착부를 갖는 복층유리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반대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단열바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바는,
    상기 개구부에 밀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레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홀더의 중앙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로드가 형성되되,
    상기 로드의 외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제1유리가 설치되는 제1부착부와 제2유리가 설치되는 제2부착부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착부와 상기 제2부착부 사이의 하부 위치에서, 일측이 상기 제1부착부로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제2부착부로 연장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여 유리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를 갖고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부착부에 설치되는 결합편과;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된 한 쌍의 부착부 사이에서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제1끼움부 및 제2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에 체결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2끼움부에 체결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바는 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를 갖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부착부에서 유리의 외측을 고정하는 결합편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는 돌출부가 결합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프레임.
  9. 유리가 설치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반대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단열바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바는,
    상기 개구부에 밀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레일바;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호차를 포함하되,
    상기 호차 사이에 상기 단열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조립체.
KR1020130040337A 2013-04-12 2013-04-12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 KR101316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337A KR101316652B1 (ko) 2013-04-12 2013-04-12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337A KR101316652B1 (ko) 2013-04-12 2013-04-12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652B1 true KR101316652B1 (ko) 2013-10-10

Family

ID=4963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337A KR101316652B1 (ko) 2013-04-12 2013-04-12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6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920A (ja) * 1995-01-26 1996-08-06 Asahi Glass Co Ltd アタッチメント付き複層ガラス
JP2882694B2 (ja) 1991-03-04 1999-04-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ドア窓用複層ガラス
JP2000170459A (ja) * 1998-12-10 2000-06-20 Toide Kasei Kk 障子のガイドブロック
KR101234386B1 (ko) 2008-06-17 2013-02-18 (주)엘지하우시스 일체로 개/폐가능하게 연동되는 미서기 창호의 이중창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2694B2 (ja) 1991-03-04 1999-04-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ドア窓用複層ガラス
JPH08199920A (ja) * 1995-01-26 1996-08-06 Asahi Glass Co Ltd アタッチメント付き複層ガラス
JP2000170459A (ja) * 1998-12-10 2000-06-20 Toide Kasei Kk 障子のガイドブロック
KR101234386B1 (ko) 2008-06-17 2013-02-18 (주)엘지하우시스 일체로 개/폐가능하게 연동되는 미서기 창호의 이중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229B1 (ko) 커튼월 유닛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0990986B1 (ko) 다기능 안전 창호
KR101392472B1 (ko) 커튼월의 이중 결합구조
JP5001169B2 (ja) 安全具を備えた窓ガラス
KR101144650B1 (ko) 단열성이 향상된 강화유리 안전도어
KR101842241B1 (ko) 단열 창문틀
US9540862B2 (en) Inner glass skin structure for double glass skin
ES2338357T3 (es) Hoja para ventana corredera con medios de filtrado acustico.
KR101642746B1 (ko) 창짝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미서기창호
KR101618281B1 (ko) 복합창호
KR102177932B1 (ko) 내진성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KR101844499B1 (ko) 단열저장공간을 갖는 단열내진 창호시스템
KR102251879B1 (ko) 기밀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구조
KR200406648Y1 (ko) 내풍압용 이중 단열창
KR101316652B1 (ko) 복층유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복층유리 조립체
JP2015196978A (ja) 複合建具
KR20130003223A (ko) 3중 복층유리 창호
KR101688872B1 (ko) 단열형 창틀 조립체
US20190292843A1 (en) Perimetrical frame for glass doors
KR101462889B1 (ko) 시스템 창호의 단열구조
KR20090112775A (ko) 미닫이문용 방풍부재 및 그 장착구조
KR101091703B1 (ko) 단열 및 방음 기능을 지닌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호
KR101597750B1 (ko) 창호틀 프레임의 조립 방법
JP2011196102A (ja) 改装サッシユニット及び改装ユニット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