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561B1 -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과 실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과 실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561B1
KR101315561B1 KR1020100109845A KR20100109845A KR101315561B1 KR 101315561 B1 KR101315561 B1 KR 101315561B1 KR 1020100109845 A KR1020100109845 A KR 1020100109845A KR 20100109845 A KR20100109845 A KR 20100109845A KR 101315561 B1 KR101315561 B1 KR 10131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worm
silk
lysate
mask pack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290A (ko
Inventor
이희삼
강필돈
김미자
심영화
채병석
김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Priority to KR1020100109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5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 및 실샘 용해물을 주재로 하여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며,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부질환예방 및 피부개선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피부외용제로서의 실크마스크팩을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과 실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SILKMASK PACK COMPRISING EXTRACT AND SILKGLAND LYSATE OF SILKWORM CONTAINIG TO SELENIU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부개선효과를 제공하는 실크마스크팩(Mask pack)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실샘의 용해물을 주재로 하여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며,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부질환예방 및 피부개선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피부외용제로서의 실크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오존층의 파괴, 배기가스, 유해 화학물질의 방사 등으로 자외선, 수질오염 등에 의한 활성산소가 대량으로 발생되고 있고, 이러한 활성산소는 인체에 파고들어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며, 특히 색소변화, 피부노화 등에 주요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야기되어지는 피부질환을 예방 내지 치료하거나, 피부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 피부미용제, 화장품 등의 여러 피부외용제가 널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피부외용제는 피부에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어서 주로 안면의 피부 손상 방지 등에 효과가 있는 특화된 제품을 공급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안면 피부에 개선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얼굴 형태로 시트를 구성한 마스크팩 역시 다수 개발되어 공급되고 있지만, 전술한 마스크팩은 주로 알로에나 오이, 황토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조직의 안정화, 피부신진대사 촉진, 보습 등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나 안면 피부의 주요 미용적 질환인 피부훼손과 노화(자외선 및 활성산소가 피부세포에 산화작용 등을 일으켜 색소를 검게 변화시키는 것 등)를 본질적으로 예방, 개선하는 데에는 역부족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며,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부질환예방 및 피부개선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피부외용제로서의 실크마스크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실샘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
(2) 제 1항에 있어서, 셀레늄 함유 누에 추출물 및 실샘용해물은
셀레늄을 누에에 급여하는 단계; 익은누에를 냉동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냉동처리된 누에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이로부터 추출물을 얻고, 상기 냉동처리된 누에로부터 실샘을 분리하여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3) 제 2항에 있어서, 누에 추출물은 누에 동결건조 분말을 알코올로 추출하여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4) 제 2항에 있어서, 누에 추출물은 동결건조 누에분말을 70∼90% 에탄올로 3회 추출하여 회전진공농축기로 농축하여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5) 제 2항에 있어서, 누에실샘의 용해물은 누에의 실샘을 알칼리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실샘 용해물에 산을 가하여 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6) 제 5항에 있어서, 실샘 용해물은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7) 제 5항에 있어서, 누에실샘은 80∼90℃에서 알칼리가수분해하여 완전히 용해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8) 제 5항에 있어서, 알칼리가수분해는 NaOH용액을 이용하여 냉동실샘을 용해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9) 제 5항에 있어서, 중화반응에 이용되는 산은 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10) 누에로부터 세리신을 제거하고, 단섬유의 슬리버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슬리버를 이용하여 부직포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를 절단하고 여기에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실샘의 용해물을 첨가한 마스크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크마스크팩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실크마스크팩은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며,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부질환예방 및 피부개선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피부외용제로서의 실크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도 1a, 1b는 각각 셀레늄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급이한 누에의 체중변화와 생존율을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어진 실크마스크팩 제품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 및 실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실크마스크팩은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 및 실샘 용해물을 함유한다.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 및 실샘 용해물은 (a) 셀레늄을 누에에 급여하는 단계; (b) 익은누에를 냉동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동처리된 누에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이로부터 추출물을 얻고, 상기 냉동처리된 누에로부터 실샘을 분리하여 용해하는 단계로부터 제조되어질 수 있다.
상기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 및 실샘 용해물의 제조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의 사육
먼저,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허물을 갓벗은 5령 기잠 누에에 셀레늄을 10 내지 50ppm의 농도로 뽕잎 내지 인공사료에 첨가하여 2일 내지 7일 정도 생육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만일 사료내 셀레늄의 함량이 10 ppm 미만으로 첨가되면 셀레늄이 누에실샘으로 이행되지 않아 첨가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며, 50 ppm을 초과하여 급여할 경우 상당수 누에에서 체중감소 및 사멸의 문제가 야기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익은누에의 냉동처리공정
다 자라서 뽕 먹기를 그치고 몸이 투명해진 누에(「익은누에라고 함)는 죽으면서 산화반응을 급격하게 진행하여 체내의 실샘에도 반응이 가해져 물성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산화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비타민 C와 같은 항산화물질로 익은누에 또는 실샘을 분리하여 하루정도 처리하고, 냉동처리한다. 누에를 냉동처리하는 이유는 살아있는 누에로부터 분리한 누에실샘은 물에 용해가 잘 이루어지지만 지속적인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대규모 생산공정에는 사용하기 곤란하다. 하지만, 냉동되어진 누에로부터 분리된 실샘은 물에 용해되기 어려워 별도의 용해공정을 요구한다.
익은 누에의 추출 공정
본 발명에서 -70℃ 초저온 냉동고에 냉동되어진 누에를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다. 이렇게 얻어진 분말을 100g에 80% 에탄올을 1L를 가하여 초음파 세척기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이러한 추출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이후에 회전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농축한다. 농축된 농축물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다. 이러한 누에 추출물은 누에 실샘 용해물에 포함된 셀레늄 함량이 부족한 것을 보충해 줄 수 있다. 또한 누에 혈림프에 포함된 세포성장촉진 물질도 마스크팩에 함유함으로 보다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누에 실샘의 용해공정
본 발명에서는 냉동되어진 누에로부터 분리된 실샘을 물에 용해하기 위해 알칼리가수분해 방법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분리된 실샘은 NaOH 용액에 넣어 가수분해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샘 100g에 실샘무게 대비 1N NaOH 약 20∼40% 정도가 되도록 조정하고, 핫플레이트(hot plate)에서 온도 80∼90℃에서 30분 내지 1시간 정도 교반(stirring)하면서 완전하게 용해시킨다. 용해가 완료되어 얻어진 실샘 용해물에 부피대비 약 30% 수준으로 2N 인산을 첨가하여 pH를 7.0∼7.5 영역으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실샘 용해물은 크림형태이며, 이를 직접 이용하여도 좋으나, 동결건조하여 파우더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누에 추출물 및 실샘 용해물은 실크마스크팩의 원료로서 제공되어진다.
상기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 및 실샘의 용해물은 중량비로 10:90~90:10, 바람직하게는 40:60~60:4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50의 비율로 혼합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크마스크팩은 (1) 누에고치로부터 세리신을 제거하고, 단섬유의 슬리버로 가공하는 단계, (2) 상기 슬리버를 이용하여 부직포로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부직포를 절단하고 여기에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 및 누에실샘의 용해물을 첨가한 마스크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로부터 제조되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크(silk)란 누에가 만든 고치로부터 얻어지는 섬유를 말하며 이것을 원료로 한 견사로 제조한 제품을 총칭한다. 생사(raw silk)를 물에 담그면 세리신층의 일부는 팽윤되고 온도를 높이면 세리신 색소 무기 성분 등이 용해된다. 그 용해량은 물의 성질 온도 시간 및 압력에 따라서 다르다. 생사는 피브로인을 세리신이 감싸고 있는 형태 인데 세리신은 수산기 카르복실기 및 아미노기 등의 친수성기를 가지는 극성 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고 비결정성이기 때문에 끓는 물이나 알칼리 중에서 쉽게 용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누에고치를 100℃로 20∼30분 끓여 대부분의 세리신을 용해시켜 제거한다. 생사의 이런 성질을 이용해 세리신을 정련하면 세리신과 기타 불순물이 제거되어 광택이 없고 약간 누르스름한 색을 가지고 뻗뻗하던 실크가 다른 섬유에서 볼 수 없는 우아하고 고상한 광택과 부드러운 촉감을 지닌 섬유로 변하고 색깔도 깨끗한 흰색이 되며 염색성도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리신이 제거된 생사를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단섬유의 슬리버로 가공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얻어진 단섬유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부직포를 제조하고, 일정한 형태로 절단된 부직포에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실샘의 용해물을 첨가한 마스크 용액을 도포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에 추출물 및 누에실샘의 용해물은 마스크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첨가한다. 만일 0.01중량%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원하는 항산화활성이나 피부세포 증식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실크마스크팩의 물성을 떨어트릴 우려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용액의 조성은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실샘의 용해물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마스크팩의 제조시 사용되는 어떠한 조성의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마스크팩 용액으로는 유비퀴논, 하이드롤라이즈콜라겐,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알란토인, 디포타슘글리시라이제이트, 메틸파라벤, 소듐사이트레이트, 사이트릭엑시드, 부틸렌글리콜, 소듐히아룰로네이트, 폴리솔베이트 80, 알코올, 아이비 추출물, 첨차잎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카프리카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및 물로 조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정을 거쳐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실크마스크팩은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며,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부질환예방 및 피부개선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셀레늄 함유 누에 추출물 및 실샘 용해물의 제조
허물을 갓벗은 5령 기잠에 셀레늄을 10-50ppm의 농도로 뽕잎 내지 인공사료에 첨가하여 7일간 생육시켰다. 생육결과 50 ppm을 초과한 경우 누에의 체중이 감소하고 사멸하는 개체수가 상당량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1a, 1b).
본 발명에서 -70℃ 초저온 냉동고에 냉동되어진 누에를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분말을 100g에 80% 에탄올을 1L를 가하여 초음파 세척기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러한 추출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후에 회전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농축하였다. 농축된 농축물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실샘 용해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준비하였다.
익은누에를 1일 침지처리한 후 -20℃에서 냉동처리하였다. 누에로부터 분리된 실샘은 증류수로 2회정도 깨끗하게 세척하고, NaOH 용액에 넣어 가수분해하였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샘 100g에 실샘무게 대비 1N NaOH 약 20∼40% 정도가 되도록 조정하고, 핫플레이트(hot plate)에서 온도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완전하게 용해시켰다. 용해가 완료되어 얻어진 실샘 용해물에 부피대비 약 30% 수준으로 2N 인산을 첨가하여 pH 7.4정도 영역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실샘 용해물을 대상으로 셀레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0.12ppm 수준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실샘 용해물은 크림형태이며, 이를 직접 이용하여도 좋으나, 동결건조하여 파우더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따라서 누에 실샘 용해물에 존재하는 셀레늄 함량이 누에에 투여한 농도 대비 상당히 작은 량으로 검정되어, 이 농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누에를 추출하여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시료에 첨가하였다. 이 때 누에에 존재하는 셀레늄 함량은 대략 1∼10ppm수준으로 실샘 용해물보다 상당히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누에에 셀레늄을 급이하여도 실샘으로 셀레늄으로 이송하기 보다는 혈림프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누에의 생체방어기작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2> 실크마스크팩의 제조
누에고치를 100℃로 30분 끓여 대부분의 세리신을 용해시켜 제거하였다. 세리신이 제거된 생사를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단섬유의 슬리버로 가공하고,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부직포를 일정한 형태와 크기로 절단한 후 그 위에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 및 누에실샘의 용해물을 첨가한 마스크 용액을 도포하고 성형한 후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도 2).
성분 함량(중량%)
유비퀴논 0.500
하이드롤라이즈콜라겐 3.00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00
알란토인 0.200
다이포타슘글리시라이제이트 0.300
메틸파라벤 0.150
소듐사이트레이트 0.030
사이트릭엑시드 0.010
부틸렌글리콜 5.000
소듐히아룰로네이트 15.000
폴리솔베이트 80 0.500
알코올 3.000
아이비 추출물 2.000
첨차잎 추출물 1.000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3.000
카프리카 추출물 1.000
파파야 추출물 1.000
셀레늄 함유 누에 추출물 및 실샘용해물(중량비로 1:1 혼합) 2.000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실시예 1에 의해 얻은 셀레늄 함유 누에 추출물 및 실샘용해물과 15% 비타민 C 용액을 대상으로 공시된 방법에 따라 DPPH 테스트를 실시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소거활성(%)
실시횟수 평균 1 2 3
15% 비타민 C 97 97 97 97
실시예 1 82 82 81 84
상기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른 셀레늄 함유 누에 추출물 및 실샘용해물의 항산화활성은 비타민 C 용액과 비교할 때 다소 낮은 활성을 보이지만 상당한 정도의 항산화활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세포증식 효과
실시예 1에 의해 얻은 셀레늄 함유 누에 추출물 및 실샘용해물과 FBS(Fetal Bovine Serum)를 대상으로 공시된 방법에 따라 Balb/C 3T3 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증식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샘플 측정활성(IU/㎖)
실시예 1 9,060
FBS 13,452
상기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른 셀레늄 함유 누에 추출물 및 실샘용해물의 세포증식효과는 기존 FBS 대비 67% 증식효과를 발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실크마스크팩이 피부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크마스크팩은 셀레늄을 함유함으로써 세포 내 탈수 현상과 햇빛 노출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또, 피부에 면역력을 증강시켜 염증을 예방하고 항산화작용으로 피부조직의 파괴를 억제시켜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 및 누에 실샘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누에 추출물은 익은 누에의 동결건조 분말을 알코올로 추출하여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4. 제 3항에 있어서, 누에 추출물은 상기 동결건조 분말을 70∼90% 에탄올로 3회 추출하여 회전진공농축기로 농축하여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5. 제 1항에 있어서, 누에 실샘의 용해물은 익은 누에의 실샘을 알칼리가수분해하여 얻은 실샘 용해물에 산을 가하여 중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누에 실샘은 80∼90℃에서 알칼리가수분해하여 완전히 용해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8. 제 5항에 있어서, 알칼리가수분해는 NaOH용액을 이용하여 냉동실샘을 용해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9. 제 5항에 있어서, 산은 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크마스크팩.
  10. 누에고치로부터 세리신을 제거하고, 단섬유의 슬리버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슬리버를 이용하여 부직포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를 절단하고 여기에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추출물 및 실샘의 용해물을 첨가한 마스크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크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100109845A 2010-11-05 2010-11-05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과 실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45A KR101315561B1 (ko) 2010-11-05 2010-11-05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과 실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45A KR101315561B1 (ko) 2010-11-05 2010-11-05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과 실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90A KR20120048290A (ko) 2012-05-15
KR101315561B1 true KR101315561B1 (ko) 2013-10-11

Family

ID=4626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845A KR101315561B1 (ko) 2010-11-05 2010-11-05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과 실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68A1 (en) * 2011-09-20 2013-03-28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ethod of obtaining silkworm gland-derived hydrolysate
KR101694833B1 (ko) * 2014-11-13 2017-01-12 대한민국 누에 유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996A (ko)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마스크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996A (ko)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마스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90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8275B (zh) 皮膚創傷敷料及其製備方法
CN106606798A (zh) 一种医用透明质酸生物修复贴及其制备方法
TWI729355B (zh) 促進皮膚創傷癒合之醫藥組成物及其用途
KR20120012904A (ko)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N111450038A (zh) 一种抑制口腔幽门螺杆菌牙膏
CN102961297A (zh) 一种含天然金耳多糖的新型补水抗衰护肤品
KR20220019275A (ko) 식물성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에 대한 식물성 출발 물질의 확인 및 선별, 및 식품, 보충제, 의료 기기 또는 약물에 사용되는 성분을 수득하기 위한 이러한 식물성 출발 물질의 변환
KR100849020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SHKANI et al. Enhancement of fibroblast proliferation, vascularization and collagen synthesis in the healing process of third-degree burn wounds by topical arnebia euchroma, a herbal medicine
CN108261361A (zh) 一种含有细胞生长因子的祛痘修复膏及其制备方法
CN109771322A (zh) 人干细胞因子皮肤修复组合物及其在护肤品中的应用
CN107648168B (zh) 一种河豚鱼胶原蛋白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08977488B (zh) 皮肤密集修复用弹性蛋白及其制备方法
KR101315561B1 (ko)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 추출물과 실샘 용해물을 함유하는 실크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29120A (zh) 莼菜提取液的制备方法及莼菜修复精华液
CN114288221A (zh) 一种有生发作用的含多肽和植物提取液的精华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193102B1 (ko) 실크 피브로인 및 뽕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치료 및 피부 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33476A (ko)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15588B1 (ko) 셀레늄을 함유한 누에의 추출물과 실샘 용해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실크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실크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414150B1 (ko) 초고압 시스템에 의해 가수분해된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2827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08717B1 (ko) 누에 유래 혈림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52538B1 (ko) 누에 실샘의 용해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87785A (ko) 연교를 이용한 피부 질환 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35577A (ko) 진균으로부터 히알루론산 추출 방법, 식물 기원의 히알루론산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3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