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460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460B1
KR101315460B1 KR1020080104484A KR20080104484A KR101315460B1 KR 101315460 B1 KR101315460 B1 KR 101315460B1 KR 1020080104484 A KR1020080104484 A KR 1020080104484A KR 20080104484 A KR20080104484 A KR 20080104484A KR 101315460 B1 KR101315460 B1 KR 101315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speed
motor input
motor
phas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346A (ko
Inventor
조현기
김성대
한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460B1/ko
Priority to US12/575,106 priority patent/US8229327B2/en
Publication of KR2010004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346A/ko
Priority to US13/200,344 priority patent/US86061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71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or i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 G03G2215/0007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or i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 being its 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회전체의 속도 변동을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의 가시화상이 표면에 형성되는 상담지체와;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상기 상담지체의 교류속도성분이 감소되도록 상기 교류속도성분과 동일한 주기의 모터출력속도를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VELOCITY CONTROL METHOD OF ROTATING BODY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체의 속도 변동을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화상형성방식에 따라 대전-노광-현상-전사-정착-클리닝 이라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거쳐서 인쇄매체 상에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노즐을 통해 인쇄매체에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방식 및 써멀프린트 헤드를 이용하는 열전사방식이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담지체, 전사롤러 등과 같은 회전체가 필요하며, 균일한 화상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가 속도변동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구동모터의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체까지 상기 구동축의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 벨트, 체인 등의 동력중계유닛이 개재된다. 그런데, 이 러한 동력중계유닛 자체의 공차등의 요인으로 인해 설령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일정한 회전각속도(rpm)로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에는 변동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체의 속도 변동을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체의 속도의 교류속도성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라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의 가시화상이 표면에 형성되는 상담지체와;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상기 상담지체의 교류속도성분이 감소되도록 상기 교류속도성분과 동일한 주기의 모터출력속도를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출력속도와 상기 상담지체의 상기 교류속도성분은 대략 180도 위상차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모터출력속도를 출력할 수 있 도록,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소정의 샘플링 타임으로 샘플링한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입력신호로서 상기 구동모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샘플링 타임은 0.05sec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기 교류속도성분을 갖는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속도를 근사화한 사인파(sinusoidal wave)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기 교류속도성분의 진폭을 최소화하는 위상각을 갖는 사인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각은 270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상각은 상기 샘플링 타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상각은, 상기 샘플링 타임이 커질수록 증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의 교류속도성분과 동일한 주기의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샘플링 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된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회전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체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 구동단계는, 상기 샘플링된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상기 교류속도성분에 대해 대략 180도 위상차가 존재하는 모터 출력속도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모터출력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샘플링 타임은 0.05sec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기 교류속도성분을 갖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근사화한 사인파(sinusoidal wave)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기 교류속도성분의 진폭을 최소화하는 위상각을 갖는 사인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상각은 270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상각은 상기 샘플링 타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를 메모리에서 읽어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의 교류속도성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상기 교류속도성분에 대응하는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담지체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담지체와 같은 회전체의 속도변동을 줄여, 상기 회전체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속도 중 교류속도성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상담지체의 정속성(定速性)을 향상시킴으로써 각 색상의 현상제들이 인쇄매체 또는 전사벨트 상의 원하는 위치에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칼라 레지스트레이션이 향상됨으로써 보다 선명한 칼라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인 상담지체(110); 상기 상담지체(11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20); 및 상기 구동모터(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120)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공된 모터입력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미도시); 상기 구동축(미도시)에 동축으로 연결된 피니언(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담지체(110)의 개수가 복수개 인 경우 상기 구동모터(120)는,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110) 각각을 구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110)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모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20)는 BLDC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담지체(110)의 회전축(미도시)에는 상기 피니언(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수령하는 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미도시)의 구동력이 상기 상담지체(110)까지의 전달될 수 있도록 상술한 기어(미도시) 외에도 커플러, 체인, 벨트 등의 공지된 동력전달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담지체(110)는 그 표면에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상담지체(110)는 노광유닛(미도시)에 의해 소망하는 화상에 대응하여 그 표면이 노광되며, 노광된 표면에는 전위차에 의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롤러(미도시)가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와 같은 현상제로 현상함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110)의 표면에는 상기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담지체(110)는 칼라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각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 K(블랙) 색상의 현상제가 도포되는 복수의 감광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상담지체(110)를 이용하여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을 탠덤 방식 또는 싱글 패스(path) 방식이라고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상담지체(110)는 1개의 감광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칼라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1개의 상담지체(110)에 대향하는 중간전사벨트유닛(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유닛(미도시)은 벨트(미도시)가 1회전할 때마다 상기 상담지체(110) 표면에 형성된 각 색상의 현상제 가시화상이 상기 벨트(미도시)로 전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벨트(미도시)가 총 4회전하는 경우 상기 Y, M, C, K의 4가지 색상이 모두 상기 벨트(미도시)에 중첩적으로 전사됨으로써 칼라 가시화상이 상기 벨트(미도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소위 멀티 패스방식이라고 하며 이러한 구조는 널리 개시되어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축(미도시)이 일정한 회전각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20)를 제어하는 일반제어모드와;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상기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이 감소되도록 상기 교류속도성 분과 동일한 주기의 모터출력속도를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20)를 제어하는 정속제어모드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정속제어모드만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일반제어모드와 상기 정속제어모드간의 모드전환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상담지체(110)에 의해 인쇄매체에 형성된 칼라화상의 칼라레지스트레이션이 나쁜 경우에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칼라레지스트레이션과 상기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그에 앞서, 일반제어모드에 의할 경우 상기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의 정속성이 유지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일반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20)를 제어한 경우, 상기 상담지체(110)의 시간에 따른 회전속도 그래프이고, 도 3은 상기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의 주파수분석 그래프이다. 여기서, 상기 상담지체(110)는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가 도포되는 마젠타 상담지체에 해당한다.
상기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가 161mm/sec가 되도록 상기 구동모터(120)의 입력신호로서 0.01sec의 샘플링 타임으로 1268.4 PPS(Pulse Per Second)를 입력한다.
그런데, 상기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1mm/sec의 평균속도성분과 대략 1mm/sec의 진폭(Av) 및 주기(T) 0.78sec의 교류속도성분(D)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상담지체(110)는 일반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축(미도시)을 일정한 회전각속도로 정속회전하도록 제어하더라도 상기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에는 상기 교류속도성분(D)과 같은 속도변동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1.28Hz(=1/T)가 가장 지배적인(dominant) 주파수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류속도성분(D)을 사인파로 근사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 2의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V)는 다음의 식(1)로 근사화 될 수 있다.
식(1) :
Figure 112008073793674-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8073793674-pat00002
: 161mm/sec
Figure 112008073793674-pat00003
: 1mm/sec
Figure 112008073793674-pat00004
: 2πf=2.56π (f=1/T=1/0.78=1.28Hz)
Figure 112008073793674-pat00005
: 교류속도성분(D)의 위상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제어모드에 의할 경우 상기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에는 상기 교류속도성분(D)이 존재한다. 이는 상기 구동모터(120)의 피니언(미도시)에서부터 상기 상담지체(110)까지의 동력전달계통에 존재하는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유닛의 공차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보인다.
도 4는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D)이 칼라레지스트레이션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수치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4에서 파란색 실선의 "OPC 속도" 그래프는 상기 교류속도성분(D)을 사인파로 근사화 한 상기 식(1)을 도시한 것이고, 검정색선의"CR AC"그래프는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D)에 의한 칼라레지스트레이션의 오차 그래프로서 상기 교류속도성분(D)을 적분한 것이다.
여기서, 칼라레지스트레이션 오차란 현상제의 도트가 찍혀야할 목표위치와 실제 찍힌 위치간의 오차를 의미하며, 칼라레지스트레이션 오차가 작을수록 칼라레지스트레이션이 좋고 보다 선명한 칼라화상을 제공해줄 수 있다.
상기 교류속도성분(D)의 반주기(T/2)에 해당하는 시점에서 칼라레지스트레이션의 위치오차가 가장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4의 "OPC 속도" 및 "CR AC" 그래프를 보다 긴 시간축으로 연장한 것으로 상기 두 그래프의 주기가 "T"로서 서로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빨간색상의 "속도 보상" 그래프(E)로 상기 상담지체(110)의 상기 교류속도성분(D)을 보상하게 되면, 이상적으로는 상기 상담지체(110)의 상기 교류속도성분(D)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칼라레지스트레이션의 오차도 영(zero)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의 상기 정속제어모드는, 상술한 상기 도 3의 "속도 보상" 그래프(E)와 같이 상기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를 보상하기 위해서 다음의 식(2)와 같은 모터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구동모터(120)에 제공한다.
식(2): 모터입력신호,
Figure 112008073793674-pat00006
여기서, 일반제어모드에서는 모터입력신호로서 B값(1268.4PPS)만을 일정하게 구동모터(120)에 제공한 반면, 정속제어모드에서는 모터입력신호로서 상기 B값 외에 사인파형의 변동성분이 포함된다.
여기서, B: 식(1)의
Figure 112008073793674-pat00007
에 대응하는 모터입력신호의 평균 PPS
Figure 112008073793674-pat00008
: 식(1)의
Figure 112008073793674-pat00009
에 대응하는 모터입력신호의 변동성분의 진폭
Figure 112008073793674-pat00010
: 상기 모터입력신호의 각속도로서 식(1)의 각속도
Figure 112008073793674-pat00011
와 동일. (즉,
Figure 112008073793674-pat00012
)
Figure 112008073793674-pat00013
: 상기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실험변수)
즉, B는 1268.4 (PPS)로서,
Figure 112008073793674-pat00014
(=161mm/sec)의 선속을 위한 평균 PPS에 해당한다.
또한,
Figure 112008073793674-pat00015
값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적으로 상기 상담지체(110) 의 교류속도성분(D)을 완전히 보상하기 위해서는 상기 식(2)의 모터입력신호(Hz)의 변동성분의 진폭도 그에 대응하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다음의 비례식으로 계산한다.
식(3): 161mm/sec : 1268.4 PPS = 1mm/sec(
Figure 112008073793674-pat00016
) :
Figure 112008073793674-pat00017
이에 따라,
Figure 112008073793674-pat00018
값은 7.9PPS로 계산된다.
여기서,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19
)을 실험변수로 하여,
Figure 112008073793674-pat00020
을 0°(도, degree) 에서 360°(도, degree)로 가변시키면서 상기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을 변화를 테스트 한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은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21
)을 각각 0°, 30°, 90°, 150°, 180°, 21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30°, 360°로 한 경우, 총 15가지의 서로 다른 상기 식(2)에 따른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구동모터(120)에 제공한 경우, 각각의 경우에서의 시간에 따른 상기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110)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22
)이 270°(도, degree)인 경우에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23
)가 0.21로서 상기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이 최소가 됨을 알 수 있 다.
즉, 마젠타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식(4)를 만족하는 모터입력신호(모터입력속도)를 상기 구동모터(120)에 인가하면 된다.
식(4): 모터입력신호 = 1268.4 + 7.9sin(2.56π+270°) (PPS)
상기 식(3)과 같이, 모터입력신호에는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D)을 상쇄시키기 위한 변동성분(
Figure 112008073793674-pat00024
)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입력신호에 포함된 상기 변동성분의 주기(각속도)는 상기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의 주기(각속도)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모터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20)에서 출력되는 모터출력속도(각속도, rpm)도 상기 교류속도성분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변동된다.
도 7은 도 6의 테스트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25
)의 변화에 따라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D)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26
)의 값이 어떻게 변경되는지를 보여준다.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27
)는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D)의 진폭(Av)이 큰 것을 의미하므로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28
)가 클수록 칼라레지스트레이션이 나빠진다.
한편, 모터입력신호에 변동성분을 주지 않고 일정하게 제공한 일반제어모드에서의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D)의 표준편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0.75(mm/sec)임을 알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29
)이 90°(도, degree)일 때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30
)가 1.47mm/sec로서 가장 크며, 이는 오히려 상기 일반제어모드의 표준편차인 0.75보다 대략 2배 정도 큰 값이다. 추정컨대, 상기 식(1)의 근사화한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V)에서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31
가 대략 90°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32
)이 90°인 경우에는 상쇄하고자 하는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D)과 모터입력신호의 변동성분이 서로 동일한 위상을 가지게 되어 오히려 교류속도성분(D)이 상쇄된 것이 아니라 보강된 것으로 추정된다.
반대로,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33
)이 270°인 경우에는 상쇄하고자 하는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D)과 모터입력신호의 변동성분이 180°(도, deg)의 위상차를 가짐으로써 서로 상쇄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34
)과 상기 상담지체(110)의 상기 교류속도성분(D)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35
) 간에 180°(도, deg)의 위상차가 존재할 때 그 표준편 차가 가장 작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36
)과 상기 상담지체(110)의 상기 교류속도성분(D)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37
) 간에 180°(도, deg)의 위상차가 존재 않더라도, 대략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38
)이210°내지 320°까지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일반제어모드의 경우 보다 표준편차가 작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위상차로 환산하면 대략 130°(= 210°-90°)에서 230°(=320°-90°)까지의 범위가 된다.
즉,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39
)과 상기 상담지체(110)의 상기 교류속도성분(D)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40
) 간에 위상차가 대략 130°에서 230°까지의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구동모터(120)에 제공하면, 상기 상담지체(110)의 상기 교류속도성분(D)의 표준편차가 상기 일반제어모드의 경우 보다 작아진다.
도 8a 및 도 8b는 상기 식(3)의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41
)을 270°(도, degree)로 고정시켜 놓고 식(3)의 변동성분의 진폭(Am)을 0, 3, 6, 7.9 및 12(PPS)의 총 5가지로 변경한 경우에 출력되는 시간에 따른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를 그래프이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서의 주파수 분석그래프도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8의 테스트결과에 따른 식(3)의 변동성분의 진폭(Am)에 대한 상기 상담지체(110) 회전속도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42
)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식(4)로 추정한 상기 모터입력신호의 변동성분의 진폭(Am) 대로 7.9PPS인 경우에 상기 상담지체(110) 회전속도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43
)가 0.19(mm/sec)로서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분석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변동성분의 진폭(Am) 이 7.9(PPS) 인 경우에는 지배적인 저주파수(dominant low frequency)가 1.28Hz에서 2.56Hz로 상승한 반면, 나머지의 경우에는 지배적인 저주파수(dominant low frequency)가 1.28Hz로 그대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배적인 저주파수의 변화는 후술할 칼라레지스트레이션 오차 측면에서 좋은 영향을 준다.
한편, 이상에서는 마젠타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구동모터(120)의 모터입력신호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는데, 이하에서는, 그러한 방법이 다른 상담지체(110)에도 적용될 수 있는 지를 검증하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일반제어모드에 따라 모터입력신호로서 1268.4(PPS)를 샘플링 타임 0.01sec로 상기 구동모터(120)에 제공한 경우, 측정된 시간에 따른 시안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의 테스트 시의 주파수 분석 그래프이다.
상기 구동모터(120)에서 상기 시안 상담지체(110)까지의 동력전달계통이 상 기 구동모터(120)로부터 상기 마젠타 상담지체(110)까지의 동력전달계통과 동일한 경우, 회전속도의 패턴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안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의 표준편차가 0.79(mm/sec)로 도 2에 도시된 마젠타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표준편차 0.75(mm/sec)에 비해 약간 더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안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V)도 식(1)과 같이 근사화 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지배적인 저주파수도, 상술한 마젠타 상담지체(110)의 그것과 같은, 1.28(Hz)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 10에 도시된 시안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을 상쇄시키기 위해 식(4)와 같은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구동모터(120)에 제공하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스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는 시간에 따른 상기 시안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그래프로서, 도 10에 비해 육안으로도 교류속도성분이 상당히 작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정량적으로는, 일반제어모드의 경우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안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44
)는 0.79(mm/sec)이다. 이에 반해, 식(4)와 같이 변동성분을 포함하는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구동모터(120)에 제공한 정속제어모드를 수행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안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45
)는 0.16(mm/sec)으로, 대략 80%정도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46
)값이 감소되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배적인 저주파수(dominant low frequency)가 종전의 1.28(Hz)에서 5.7(Hz)로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배적 저주파수의 증가는 칼라레지스트레이션에 좋은 효과를 가져오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47
)도 상술한 도 210°내지 330°까지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일반제어모드의 경우 보다 표준편차가 작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위상차로 환산하면 대략 130°(= 210°-90°)에서 240°(=340°-90°)까지의 범위가 된다. 이는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마젠타 상담지체에서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48
)에 따른 표준편차 변화 그래프와 유사하다.
한편, 상기 식(3) 및 식(4)의 모터입력신호는 시간에 따른 연속적인, 아날로그의 입력신호이므로 이를 샘플링하여 디스크리트(discrete)한, 디지털 입력신호로서 상기 구동모터(120)에 제공하여야 한다. 이상의 도 2 내지 도 14의 테스트 결과들은 모두 0.01sec의 샘플링 타임(Ts)으로 연속적 모터입력신호를 샘플링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샘플링 타임(Ts)와 상기 식(3) 및 식(4)의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49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상기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50
)에 대한 마젠타 상담지체(110) 및 시안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51
) 의 그래프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부터 샘플링 타임(Ts)을 0.002sec, 0.01sec 및 0.05sec로 한 경우 상기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52
)가 최소화되는 상기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53
)이 각각 250°(도), 270°(도) 및 350°(도)로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샘플링 타임(Ts)이 커질수록 상기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54
)를 최소화하는 상기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55
)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샘플링 타임(Ts)이 커질수록 상기 상담지체(110)의 교류변동속도의 진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기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56
)이 증가한다.
샘플링 타임(Ts)이 작을수록 디스크리트 입력신호는 아날로그 정현파에 가까워지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리트 입력신호과 상기 구동모터(120)의 출력간의 시간지연도 줄어들게 된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샘플링 타임(Ts)이 0.002sec 및 0.01sec 인 경우,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과 모터입력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 타임이 0.002sec에서는 상기 상담지 체(110)의 교류속도성분과 상기 식(4)의 연속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샘플링타임(0.002sec)으로 샘플링한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 사이에도 180도 위상차가 유지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 타임(Ts)이 0.01sec인 경우의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는 샘플링 타임(Ts)이 0.002sec인 것에 비해 20°(도)만큼의 위상지연(시간지연)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상기 상담지체(110)의 상기 교류속도성분을 상쇄할 수 있도록 생성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구동모터(120)에 입력되는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에는 샘플링 타임에 따른 위상지연(시간지연, Δθm)이 발생하는 바, 이러한 위상지연(Δθm)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샘플링 타임(Ts)이 0.002sec보다 크다면 상기 교류속도성분의 표준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실험적으로 측정된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57
)을 상기 위상지연(Δθm)만큼 쉬프트 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모터입력신호가 상기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에 대해 상기 위상지연(Δθm)만큼 위상앞섬(phase lead)이 되도록 한다.
샘플링 타임(Ts)이 작을수록 상기 위상지연(Δθm)이 줄어들지만 대신 시스템의 부하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무조건 작게할 수는 없고, 그렇다고 샘플링 타임(Ts)를 크게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지연(Δθm)이 커져서 실제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가 예상한 연속입력신호와는 다른 위상으로 입력되어 상기 상담지 체(110)의 상기 교류속도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과연 어느 정도까지의 샘플링 타임(Ts)이 허용될 수 있는 지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샘플링타임(Ts)을 각각 0.01sec, 0.03sec, 0.05sec, 0.06sec, 0.08sec, 0.1sec로 한 경우, 시간에 따른 모터출력속도 및 상기 모터출력속도에 따른 상담지체의 회전속도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담지체 회전속도"그래프에서 분홍색 그래프는 이상적인 상담지체의 회전속도이고, 검정색 그래프는 실제 측정된 상담지체의 회전속도이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타임(Ts)이 0.05sec 이하에서는 상기 분홍색 그래프와 상기 검정색 그래프의 교류속도성분이 일치하여 실제 측정된 상담지체의 회전속도가 이상적인 상담지체의 회전속도를 잘 추종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샘플링 타임(Ts)이 0.05sec를 초과하면서 부터는 실제 측정된 상담지체의 회전속도가 이상적인 상담지체의 회전속도를 추종하지 못함에 따라 그둘 사이에 속도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샘플링 타임(Ts)은 0.05sec 이하의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20A는 마젠타 상담지체(110)를 상기 일반제어모드에 따라 1268.4(PPS)의 일정한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구동모터(120)에 제공한 경우의 마젠타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그래프이고, 도 20B는 도 20A의 회전속도 그래프를 국부적으로 확대한 그래프이며, 도 20C는 도 20A의 회전속도를 주파수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21A는 마젠타 상담지체(110)를 상기 정속제어모드에 따라 식(4)와 같은 변동성분이 포함된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구동모터(120)에 제공한 경우의 마젠타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그래프이고, 도 21B는 도 21A의 회전속도 그래프를 국부적으로 확대한 그래프이며, 도 21C는 도 21A의 회전속도를 주파수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20A 내지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속제어모드에 의할 경우 일반제어모드 보다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58
)가 0.76(mm/sec)에서 0.19(mm/sec)로 75%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분석결과 지배적인 저주파수(dominant low frequency)가 정속제어모드에 의할 경우 2.56Hz로 일반제어모드의 1.28Hz보다 2배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20B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고주파수인 모터주파수(28.2Hz)에 저주파인 OPC주파수(1.28Hz 또는 2.56Hz)가 실려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서, OPC 주파수는 상담지체(110)가 1회전하는 주기의 역수인 값으로, 상담지체(110)의 회전주파수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기 저주파성분인 상기 OPC 주파수가 칼라레지스트레이션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 이유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간색 실선의 "CR AC" 그래프는 칼라레지스트레이션 오차그래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식(1)의 근사화한 상기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D)을 시간에 따라 적분한 값이다.
즉, 칼라레지스트레이션 오차(AC)는 다음의 식(5)로 계산될 수 있다.
식(5):
Figure 112008073793674-pat00059
따라서, 칼라레지스트레이션 오차(AC)의 최대값 Max(AC)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73793674-pat00060
즉, 칼라레지스트레이션 오차(AC)의 최대값은 교류속도성분의 주파수에 반비례하고, 교류속도성분의 진폭에는 비례한다.
그런데, 상기 정속제어모드에 의할 경우 일반제어모드에 비해, 상담지체(110)의 상기 교류속도성분의 진폭이 75%감소함에 따라 칼라레지스트레이션 오차도 감소될 뿐만 아니라, 지배적인 저주파수도 2배 증가함에 따라 상기 칼라레지스트레이션 오차(AC)도 그에 반비례하여 2배감소함을 알 수 있다.
수치적으로는, 상기 정속제어모드에 의할 경우, Av=0.19mm/sec, f=2.56Hz이므로 MAX(AC)는 47㎛가 된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에는 상기 연속 모터입력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은, 도 1 및 도 23에 도 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의 회전속도의 교류속도성분과 동일한 주기의 연속모터 입력신호를 샘플링한다(S10).
여기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읽어와서, 상기 읽어온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샘플링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기 회전체의 상기 교류속도성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상기 교류속도성분에 대응하는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모리(130)에 기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측정된 상기 교류속도성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술한 방법대로 상기 교류속도성분을 줄일 수 있는 상기 식(2)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61
)을 결정함으로써 식(2)로부터 구할 수 있다. 상기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62
)은 270도일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샘플링된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회전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20)에 제공한다(S20).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20)는 상기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체를 구동한다(S30).
상기 회전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가시화상이 그 표면에 형성되는 상담 지체(110) 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상담지체(110) 외에도 정속성이 요구되는 다른 회전체 일 수도 있다. 가령, 상기 전사롤러(미도시)나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미도시)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록선도,
도 2는, 제어를 수행하기 전에 측정된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마젠타(M) 상담지체의 속도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마젠타 상담지체의 속도의 주파수 분석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담지체의 회전속도의 교류성분과 칼라 레지스트레이션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도 4의 그래프를 시간 축에 대해 연장한 그래프,
도 6은, 도 1의 구동모터에 입력되는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변화에 따른 마젠타 상담지체의 회전속도의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테스트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63
)의 변화에 따른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D)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64
)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8a 및 도 8b는 식(2)의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65
)을 270°(도, degree)로 고정시켜 놓고 식(2)의 변동성분의 진폭(Am)을 0, 3, 6, 7.9 및 12(PPS)의 총 5가지로 변경한 경우에 출력되는 시간에 따른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를 그래프,
도 9는 도 8의 테스트결과에 따른 식(2)의 변동성분의 진폭(Am)에 대한 상기 상담지체(110) 회전속도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66
) 그래프,
도 10은 상기 일반제어모드에 따라 모터입력신호로서 1268.4(PPS)를 샘플링 타임 0.01sec로 상기 구동모터(120)에 제공한 경우, 측정된 시간에 따른 시안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그래프,
도 11은 도 10의 시안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의 주파수 분석 그래프,
도 12는 식(4)와 같은 모터입력신호를 구동모터에 제공한 경우, 상기 시안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그래프,
도 13은 도 12의 시안상담지체의 회전속도의 주파수 분석그래프,
도 14는 식(2)의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67
)의 변화에 따른 시안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68
)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상기 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
Figure 112008073793674-pat00069
)에 대한 마젠타 상담지체(110) 및 시안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의 표준편차(
Figure 112008073793674-pat00070
) 의 그래프,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샘플링 타임(Ts)이 0.002sec 및 0.01sec 인 경우, 상담지체(110)의 교류속도성분과 모터입력신호를 도시한 그래프,
도 18은 상담지체의 교류속도성분, 연속모터입력신호 및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간의 위상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a 및 도 19b는 샘플링타임(Ts)을 각각 0.01sec, 0.03sec, 0.05sec, 0.06sec, 0.08sec, 0.1sec로 한 경우, 시간에 따른 모터출력속도 및 상기 모터출력속도에 따른 상담지체의 회전속도 그래프,
도 20A는 마젠타 상담지체를 일반제어모드에 따라 속도제어한 경우 마젠타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그래프이고,
도 20B는 도 20A의 회전속도 그래프를 국부적으로 확대한 그래프,
도 20C는 도 20A의 회전속도의 주파수 분석 그래프,
도 21A는 마젠타 상담지체를 정속제어모드에 따라 속도 제어한 경우의 마젠타 상담지체(110)의 회전속도 그래프,
도 21B는 도 21A의 회전속도 그래프를 국부적으로 확대한 그래프,
도 21C는 도 21A의 회전속도를 주파수 분석한 그래프,
도 22는 상담지체의 교류속도성분과 칼라레지스트레이션 오차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상형성장치 110: 상담지체
120: 구동모터 130: 제어부
140: 메모리 150: 입력부

Claims (22)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의 가시화상이 표면에 형성되는 상담지체와;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상기 상담지체의 교류속도성분이 감소되도록 상기 교류속도성분과 동일한 주기의 모터출력속도를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모터출력속도를 출력할 수 있도록,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소정의 샘플링 타임으로 샘플링한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입력신호로서 상기 구동모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출력속도와 상기 상담지체의 상기 교류속도성분은 대략 180도 위상차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타임은 0.05se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기 교류속도성분을 갖는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속도를 근사화한 사인파(sinusoidal wave)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기 교류속도성분의 진폭을 최소화하는 위상각을 갖는 사인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각은 27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각은 상기 샘플링 타임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각은, 상기 샘플링 타임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의 교류속도성분과 동일한 주기의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샘플링 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된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회전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체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구동단계는,
    상기 샘플링된 디스크리트 모터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상기 교류속도성분에 대해 대략 180도 위상차가 존재하는 모터출력속도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모터출력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타임은 0.05se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기 교류속도성분을 갖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근사화한 사인파(sinusoidal wave)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상담체 속도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는 상기 교류속도성분의 진폭을 최소화하는 위상각을 갖는 사인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각은 27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각은 상기 샘플링 타임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를 메모리에서 읽어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19.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교류속도성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상기 교류속도성분에 대응하는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20.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담지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과 상기 상담지체의 상기 교류속도성분의 위상각 간의 위상차가 130도 내지 230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입력신호 제공단계는,
    상기 연속모터입력신호의 위상각과 상기 회전체의 상기 교류속도성분의 위상각 간의 위상차가 130도 내지 230도의 범위 내에 있도록 모터입력신호를 상기 구동모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KR1020080104484A 2008-10-23 2008-10-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KR101315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484A KR101315460B1 (ko) 2008-10-23 2008-10-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US12/575,106 US8229327B2 (en) 2008-10-23 2009-10-07 Image forming apparatus and velocity control method of rotating body thereof
US13/200,344 US8606149B2 (en) 2008-10-23 2011-09-23 Image forming apparatus and velocity control method of rotating bod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484A KR101315460B1 (ko) 2008-10-23 2008-10-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346A KR20100045346A (ko) 2010-05-03
KR101315460B1 true KR101315460B1 (ko) 2013-10-04

Family

ID=4211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484A KR101315460B1 (ko) 2008-10-23 2008-10-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229327B2 (ko)
KR (1) KR1013154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60B1 (ko) 2008-10-23 2013-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JP2015194603A (ja) * 2014-03-31 2015-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7920A (ja) * 2004-08-09 2006-02-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70242980A1 (en) * 2006-04-14 2007-10-18 Sharp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144A (en) * 1994-10-11 1997-10-14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rotational information detector for a photoreceptor
JP2000162941A (ja) * 1998-11-27 2000-06-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304825B1 (en) * 1999-01-19 2001-10-16 Xerox Corporation Rotary encoder error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for photoreceptor surface motion sensing and control
US6725005B2 (en) * 2001-10-15 2004-04-20 Konica Corporation Drive control method of photoreceptor dr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315460B1 (ko) 2008-10-23 2013-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7920A (ja) * 2004-08-09 2006-02-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70242980A1 (en) * 2006-04-14 2007-10-18 Sharp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29327B2 (en) 2012-07-24
US20120087696A1 (en) 2012-04-12
US8606149B2 (en) 2013-12-10
US20100104321A1 (en) 2010-04-29
KR20100045346A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7968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driv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49807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22112A (ja) ベルト駆動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6619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fer belt velocity of a color printer
JP2002318520A (ja) 電子写真装置及びバンディング・アーティファクト低減方法
KR101315460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회전체 속도제어방법
JP2006119541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080378A (ja) 駆動装置、画像形成装置
US91582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prevents surface speed difference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photosensitive drum and intermediate transfer belt
JP5369445B2 (ja) モータ制御装置と画像形成装置とプログラム
JP6798271B2 (ja) 回転体制御装置、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回転体制御方法、回転体制御プログラム
US20050129427A1 (en) Rotary member driv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is mechanism
JP50394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19648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81491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2014017810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2000898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415266B2 (ja) 制御装置、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80429A (ja) 捩り振動系制御装置
JP3225686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0050662A (ja) 回転体駆動制御装置
JP2022080685A (ja) モータ制御装置、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91942A (ja) 転写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162845A (ja) 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2226201A (ja) 回転体速度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