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833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833B1
KR101313833B1 KR1020110053976A KR20110053976A KR101313833B1 KR 101313833 B1 KR101313833 B1 KR 101313833B1 KR 1020110053976 A KR1020110053976 A KR 1020110053976A KR 20110053976 A KR20110053976 A KR 20110053976A KR 101313833 B1 KR101313833 B1 KR 101313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unit
circulation pump
ultraviolet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809A (ko
Inventor
김영진
이재근
신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83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유닛과; 정수유닛에서 정수된 물이 담겨지는 수조와; 수조의 물이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 밸브와; 수조의 상부와 하부 중 일측에 설치되고 수조의 상부와 하부 중 타측과 이격된 자외선 살균유닛과; 수조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수조의 상부에 타단이 연결된 수조 외부유로와; 수조 외부유로에 설치된 순환 펌프를 포함하여, 수조 내의 실제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수조 내의 물이 자외선 살균유닛 주변으로 효율적으로 유동되게 할 수 있으며, 수조 외부유로나 순환 펌프의 서비스가 손쉬운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조 내를 살균시키는 자외선 살균유닛이 설치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를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걸러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되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수 있다.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분류되면 상수가 공급되는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과,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수조 등에 저장하는 저장형이 있다.
정수기는 상수를 정수하는 정수유닛과, 정수유닛에서 정수된 물이 담겨지는 수조를 포함할 수 있고, 수조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되어 자외선램프로 수조 내의 물을 살균시킬 수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10-0567251(2006.03.28)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는 수조 내부에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되어, 강제순환수단의 부피만큼 수조의 실제 용적이 감소되고, 강제순환수단의 서비스시 수조를 분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조의 실제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서비스가 손쉬운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유닛과; 상기 정수유닛에서 정수된 물이 담겨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이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 밸브와; 상기 수조의 상부와 하부 중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상부와 하부 중 타측과 이격된 자외선 살균유닛과; 상기 수조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수조의 상부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수조의 외부에 위치되는 수조 외부유로와; 상기 수조 외부유로에 설치된 순환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살균유닛은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순환 펌프는 상기 수조 하부의 물을 상기 수조의 상부로 펌핑시키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 외부유로는 상기 수조의 하부와 상기 순환 펌프를 연결되는 하부 유로와, 상기 수조의 상부와 상기 순환 펌프를 연결하는 상부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상기 자외선 살균유닛과 순환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외선 살균유닛의 온시 상기 순환 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상기 수조 내 물의 출수 명령을 입력하는 출수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 입력부에 의한 출수 명령이 제 1 설정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제 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자외선 살균유닛을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순환 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 입력부에 의한 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자외선 살균유닛을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순환 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조 내의 실제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수조 내의 물이 자외선 살균유닛 주변으로 효율적으로 유동되게 할 수 있으며, 수조 외부유로나 순환 펌프의 서비스가 손쉬운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정수하는 정수유닛(2)과,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담겨지는 수조(4)와, 수조(4)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유닛(6)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유닛(2)은 수도꼭지 등의 원수 공급원(10)과 원수 급수라인(12)으로 연결되어 원수 공급원(10)에서 급수된 물을 정수한다.
정수유닛(2)은 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복수개의 필터(14)(15)(16)(17)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필터(14)(15)(16)(17) 사이 또는 원수 급수라인(12)에는 물의 급수를 조절하는 급수 밸브(18)가 설치될 수 있다.
수조(4)는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자외선 살균유닛(6)에 의해 살균되는 살균조로 기능할 수 있다.
수조(4)는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자외선 살균유닛(6)에 의해 살균됨과 아울러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살균 겸용 온수조로 기능할 수 있다.
수조(4)는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자외선 살균유닛(6)에 의해 살균됨과 아울러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되는 살균 겸용 냉수조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장치는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와,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증발기는 수조(4)의 내부 또는 수조(4)의 외벽에 설치되어 수조(4) 내의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수조(4)는 살균조 또는 살균 겸용 냉수조로 구성될 경우 정수유닛(2)과 저수조(19)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저수조(19)가 없는 경우 정수유닛(2)을 통과한 물이 수조(4)로 직접 입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수조(4)가 살균조 또는 살균 겸용 냉수조로 구성되고, 저수조(19)와 온수조(2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저수조(19)는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수조(4)와 온수조(20)로 이동되기 전에 담겨지는 것으로서, 정수유닛(2)과 정수유닛 출수 유로(21)로 연결될 수 있고, 수조(4)와 수조 입수 유로(22)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온수조(20)와 온수조 입수 유로(23)로 연결될 수 있다.
온수조(20)는 저수조(19)에서 유동된 물을 가열하는 것으로서,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수조(4)는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저수조(19)에 담겨져 있다가 이동되어 담겨질 수 있고, 온수조(20)는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저수조(19)에 담겨져 있다가 이동되어 담겨질 수 있다.
수조(4)에는 수조(4) 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출수 유로(24)가 연결될 수 있고, 출수 유로(24)에는 수조(4)의 물이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밸브(25)가 설치될 수 있다.
온수조(20)에는 온수조(20)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온수 유로(26)가 연결될 수 있고, 온수 유로(26)에는 온수조(20)의 물이 외부로 출수되는 온수밸브(27)가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 살균유닛(6)은 수조(4)의 내부로 자외선을 방사하여 수조(4) 내부의 물을 살균시키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UV 램프(Ultraviolet rays lamp) 또는 적어도 하나의 UV 엘이디(Ultraviolet rays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수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4) 내부의 물을 순환 유동시켜 자외선 살균유닛(6)에 의한 살균 효과를 높이는 물 순환기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순환기구(30)는 자외선 살균유닛(6)과 거리가 먼 영역의 물을 자외선 살균유닛(6)의 주변으로 강제 유동시켜 자외선 살균유닛(6)에 의해 살균되게 하는 것으로서, 수조(4) 외부에 설치된다.
이하, 수조(4)와 자외선 살균유닛(6)과 물 순환기구(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수조(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바디(32)와, 바디(32)에 설치되어 물이 바디(32) 내부로 유입되는 입수관(34)과, 바디(36)에 설치되어 바디(32)의 물이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관(36)을 포함할 수 있다.
수조(4)는 입수관(34)이 도 1에 도시된 수조 입수 유로(22)와 연결될 수 있고, 출수관(36)이 출수 유로(24)와 연결될 수 있다.
바디(32)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막힌 상부 바디(38)와, 상부 바디(32)와 결합되고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막힌 하부 바디(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2)는 상부 바디(38)와 하부 바디(40) 중 어느 하나에 입수관(28)이 설치될 수 있고, 상부 바디(38)와 하부 바디(40) 중 다른 하나에 출수관(30)이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 살균유닛(6)은 수조(4)의 상부와 하부 중 일측에 설치되고 수조(4)의 상부와 하부 중 타측과 이격된다.
자외선 살균유닛(6)은 그 높이(H1)가 수조(4)의 높이(H2) 보다 낮고, 수조(4)의 상부 바디(38)에 하부 바디(40)와 이격되게 설치되거나 수조(4)의 하부 바디(40)에 상부 바디(38)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자외선 살균유닛(6)은 수조(4)의 상부인 상부 바디(38)의 상판에 설치되는 UV 램프(6)인 것으로 설명한다.
수조(4)는 출수관(36)을 향해 유동되는 물이 UV 램프(6) 주변을 지나면서 살균되도록 출수관(36)이 상부 바디(38)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순환기구(30)는 수조(4)의 하부에 일단(42)이 연결되고 수조(4)의 상부에 타단(44)이 연결되며 수조(4)의 외부에 위치되는 수조 외부유로(46)와, 수조 외부유로(46)에 설치된 순환 펌프(48)를 포함한다.
수조 외부유로(46)는 수조(4)의 물이 통과하는 호스 또는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일단(42)과 타단(44)은 상대적인 높이차(H3)를 갖고 수조(4)에 연결된다.
수조 외부유로(46)는 수조(4)의 하부와 순환 펌프(48)를 연결되는 하부 유로(50)와, 수조(4)의 상부와 순환 펌프(48)를 연결하는 상부 유로(52)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펌프(48)는 수조(4) 하부의 물을 수조(4)의 상부로 펌핑시키게 설치될 수 있다.
정수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4) 내 물의 출수 명령을 입력하는 출수 입력부(60)와, 출수 입력부(60)의 입력에 따라 정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온수조(20) 내 물의 출수 명령을 입력하는 온수 입력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62)는 온수 입력부(64)의 입력에 따라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2)는 출수 입력부(60)에 의해 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출수 밸브(25)를 개방시킬 수 있고, 온수 입력부(64)에 의해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온수 밸브(27)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어부(62)는 자외선 살균유닛(6)과 순환 펌프(48)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2)는 자외선 살균유닛(6)의 온시 순환 펌프(48)를 구동시킬 수 있고, 자외선 살균유닛(6)의 오프시 순환 펌프(48)를 정지시킬 수 있다.
자외선 살균유닛(6)의 온시 자외선 살균유닛(6)은 주변으로 자외선을 방사하고, 수조(4) 상부의 물은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다. 상기와 같은 자외선 살균유닛(6)이 온일 때, 순환 펌프(48)가 구동되면 수조(4) 하부의 물은 수조 외부유로(46)로 펌핑된 후 수조(4)의 상부로 유입되고, 수조 외부유로(46)를 통해 수조(4)의 상부로 유입된 물은 자외선 살균유닛(6)을 향해 유동되어 살균된다.
즉, 수조(4) 내의 물은 수조(4)의 하부와, 수조 외부유로(46)와, 수조의 상부와, 수조(4)의 하부 순서로 순환되고, 수조(4) 내의 물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살균된다.
제어부(62)는 출수 입력부(60)에 의한 출수 명령이 제 1 설정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제 2 설정시간 동안 자외선 살균유닛(6)을 온시킴과 아울러 순환 펌프(4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정수기는 장시간 미사용되어 수조(4)의 물이 수조(4) 내에 장기간 체류하게 되면, 물에 미생물이 번식될 수 있는데, 제 1 설정시간 동안 수조(4)의 물이 출수되지 않으면, 자외선 살균유닛(6)을 온시켜 수조(4)를 살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순환 펌프(48)를 자외선 살균유닛(6)의 온과 연동하여 구동하면, 수조(4) 내의 물 전체를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62)는 출수 입력부(60)에 의한 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자외선 살균유닛(6)을 온시킴과 아울러 순환 펌프(4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정수기는 출수 입력부(60)에 의한 출수 명령 입력시, 출수관(36) 주변의 물부터 출수관(36)을 통해 출수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물의 출수시 자외선 살균유닛(6)을 온시키면, 수조(4) 내의 물은 출수관(36)을 향해 유동되면서 자외선 살균유닛(6)에 의해 살균되고, 이때 순환 펌프(48)를 자외선 살균유닛(6)의 온과 연동하여 구동하면, 수조(4) 내의 물은 최대한 살균되면서 출수관(36)으로 출수되게 된다.
2: 정수 유닛 4: 수조
6: 자외선 살균유닛 42: 수조 외부유로의 일단
44: 수조 외부유로의 타단 46: 수조 외부유로
48: 순환 펌프 60: 출수 입력부
62: 제어부

Claims (7)

  1. 물을 정수하는 정수유닛과;
    상기 정수유닛에서 정수된 물을 담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공간의 상부를 이루는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바디를 포함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정수기 외부로 출수시키는 출수관과;
    상기 상부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바디와 이격된 자외선 살균유닛과;
    상기 하부 바디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바디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수조의 외부에 위치되는 수조 외부유로와;
    상기 수조 외부유로에 설치된 순환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관은,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이 상기 살균유닛 주변을 지나 상기 출수관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상부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 외부유로의 타단은,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이 횡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살균유닛은,
    상기 수조 외부유로에 의해 횡방향으로 분사된 물과 직접 만나도록 상기 수조 외부 유로의 타단의 횡방향에 배치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펌프는 상기 수조 하부의 물을 상기 수조의 상부로 펌핑시키게 설치된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외부유로는 상기 수조의 하부와 상기 순환 펌프를 연결되는 하부 유로와, 상기 수조의 상부와 상기 순환 펌프를 연결하는 상부 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유닛과 순환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외선 살균유닛의 작동시 상기 순환 펌프를 구동시키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수조 내 물의 출수 명령을 입력하는 출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 입력부에 의한 출수 명령이 제 1 설정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제 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자외선 살균유닛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순환 펌프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수조 내 물의 출수 명령을 입력하는 출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 입력부에 의한 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자외선 살균유닛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순환 펌프를 구동시키는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관을 통한 물의 출수를 단속하는 출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10053976A 2011-06-03 2011-06-03 정수기 KR10131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976A KR101313833B1 (ko) 2011-06-03 2011-06-03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976A KR101313833B1 (ko) 2011-06-03 2011-06-03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809A KR20120134809A (ko) 2012-12-12
KR101313833B1 true KR101313833B1 (ko) 2013-10-01

Family

ID=4790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976A KR101313833B1 (ko) 2011-06-03 2011-06-03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3896B2 (en) 2013-09-05 2017-01-03 Seoul Viosys Co., Ltd. Fluid sterilizer and associated connecting device
KR20170024837A (ko) * 2015-08-26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살균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467A (ja) * 1992-04-17 1993-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殺菌装置
KR950027497U (ko) * 1994-03-04 1995-10-18 방영국 자외선과 오존을 발생하는 램프가 설치되고 물을 순환시키는 모타가 설치된 국민위생 수도물 저장탱크
JPH08243552A (ja) * 1995-03-03 1996-09-24 Aweco Kunststofftechnik Geraetebau Gmbh & Co Kg 浄水装置
KR20050115348A (ko) * 2004-06-02 2005-12-07 삼건세기(주) 저수탱크의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침전식 자외선 살균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467A (ja) * 1992-04-17 1993-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殺菌装置
KR950027497U (ko) * 1994-03-04 1995-10-18 방영국 자외선과 오존을 발생하는 램프가 설치되고 물을 순환시키는 모타가 설치된 국민위생 수도물 저장탱크
JPH08243552A (ja) * 1995-03-03 1996-09-24 Aweco Kunststofftechnik Geraetebau Gmbh & Co Kg 浄水装置
KR20050115348A (ko) * 2004-06-02 2005-12-07 삼건세기(주) 저수탱크의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침전식 자외선 살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809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464B1 (ko)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0175908B1 (ko) 냉온정수기의 램프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070102357A1 (en) Heat sanitization for reverse osmosis systems
JP6725143B2 (ja) 水処理装置
KR101313833B1 (ko) 정수기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1293233B1 (ko) 정수기
US11148084B2 (en) Sterilization kit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2223818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05329B1 (ko) 정수기
KR20120134808A (ko) 정수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305331B1 (ko) 정수기
KR101305327B1 (ko)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101640031B1 (ko) 냉온수기의 살균기구
CN109069958B (zh) 杀菌水排出装置和包括该装置的水处理装置
KR100657766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KR101908118B1 (ko) 온수 매트 보일러용 필터 장치
KR20120132272A (ko) 살균시스템을 구비한 냉온수기
KR101305330B1 (ko) 정수기
JP3236202U (ja) 飲用水殺菌装置
KR101305328B1 (ko) 정수기
KR20160134394A (ko) 유체 살균기
KR100993892B1 (ko)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KR20180078613A (ko) 정수기
KR200361789Y1 (ko) 정수기의 미생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