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757B1 - 개선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개선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757B1
KR101312757B1 KR1020097019433A KR20097019433A KR101312757B1 KR 101312757 B1 KR101312757 B1 KR 101312757B1 KR 1020097019433 A KR1020097019433 A KR 1020097019433A KR 20097019433 A KR20097019433 A KR 20097019433A KR 101312757 B1 KR101312757 B1 KR 101312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liquid crystal
pixe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763A (ko
Inventor
필리프 마르티노-라가드
스테판느 졸리
장 드니 라피떼
Original Assignee
네몹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몹틱 filed Critical 네몹틱
Publication of KR2009011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1Bistable or multi-stab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using multistable liquid crystal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69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 G09G2300/0478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related to liquid crystal pixels
    • G09G2300/0482Use of memory effects in nematic liquid crystals
    • G09G2300/0486Cholesteric liquid crystals, including chiral-nematic liquid crystals, with transitions between focal conic, planar, and homeotropic st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교차되는 라인 및 열로 배치된 픽셀 매트릭스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각 픽셀을 에워싸는 두 전극(50, 52) 사이에 전기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되는 액정 분자의 상태 스위치가 주어진 방향에서 흐름을 생성하고, 픽셀 어드레싱이 하나의 단계나, 주어진 단일 텍스처(texture)에서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분의 집합적 어드레싱을 포함하는 제 1 단계와, 그 이어서 라인 단위 어드레싱의 제 2 단계로 구성되는 두 개의 단계 중 어느 하나로 된 라인 단위의 어드레싱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은 픽셀(P)의 적어도 일부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픽셀(58)에 보조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스위칭이 제어되어야 하는 픽셀(P)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보조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 프런트(fronts)가 상기 제어될 픽셀(P)의 스위칭을 촉진하도록 주위 온도에서 0과 수십 ㎲ 사이의 시간 오프셋으로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프런트에 시간적으로 앞서거나 동시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 전기 신호가 어드레싱이 두 단계로 이뤄질 경우에 제 2 단계 동안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WITH IMPROVED SWITCHING MEANS}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특히 대략 180°의 꼬임으로 차별화되는 두 개의 안정한 텍스처(texture)를 갖는 네마틱 쌍안정(nematic bistable)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쌍안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수단을 사용하여 픽셀의 에지에서의 상태 스위칭을 개선하는 것이다.
종래의 LCD 디스플레이
가장 널리 보급된 액정 디스플레이는 네마틱 타입의 액정을 사용한다. 이들 디스플레이는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액정 층으로 구성된다. 각 플레이트는 흔히 유리로 제조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기판 상에는 도전성 전극과, 정렬 층으로도 불리는 소위 앵커 층(anchor layer)이 증착된다. 앵커 층은 인접한 액정 분자 상에 리턴 토크를 가하며, 이러한 토크는 이들 분자를 용이축(easy axis)이라 불리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향시키는 경향이 있다. 앵커 층은 흔히, 용이축 방향을 만들 기 위해 브러싱된(brushed) 폴리머의 증착에 의해 구현된다. 용이축의 방향은 대부분 브러싱 방향에 매우 근접하다.
그에 따라 구성된 셀의 두께는, 플레이트 사이에서 그 직경이 원하는 두께(전형적으로는 1 내지 6㎛)인 볼을 분포시킴으로써 일정하게 된다.
현재 제안되어 제조되고 있는 대부분의 액정 기반 디바이스는 단안정성(monostable)이다. 전계가 없을 때, 액정은 단일 텍스처에 따라 배향된다. 이것은, 두 플레이트 상에 앵커리지(anchorages)가 있다면, 셀 내의 액정의 탄성 에너지의 최소 절대값에 대응한다. 전계 하에서, 이러한 텍스처는 계속해서 변형되고 그 광학 속성은 인가된 전압의 함수로서 변한다. 플레이트 근처에서, "강한 앵커 층"이라고 알려진 앵커 층은 분자 방향을 유지한다. 그 방향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이 전계를 제거하면, 네마틱은 앵커리지에 의해 두 플레이트 상으로 복귀한다. 이것은 안정한 텍스처로 다시 돌아온다. 디바이스는 단안정성이다. 당업자는 가장 널리 보급된 네마틱 디스플레이, 즉 TN(Twisted Nematics: 꼬인 네마틱스), STN(Super-Twisted Nematics),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t: 전압 제어 복굴절), VAN(Vertically-Aligned Nematics: 수직-정렬 네마틱스) 등의 동작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어드레싱에 관해, 이들 디스플레이는 직접(매우 낮은 해상도), 멀티플렉스된 모드(중간 해상도) 또는 능동 모드(높은 해상도)로 어드레싱될 수 있다.
BiNem 기술의 상태
"쌍안정"으로 알려진 새로운 세대의 네마틱 디스플레이가 지난 수년 동안에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네마틱 디스플레이는 두 상태 사이를 스위칭함으로써 작동하며, 전계가 없을 때 안정적이다. 외부 전계는, 액정의 텍스처를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에만 인가된다. 전기 제어 신호가 없을 때, 디스플레이는 달성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동작 원리 덕분에, 이러한 타입의 디스플레이는 영상 변화의 수에 비례하여 에너지를 소비한다. 따라서 이들 변화의 빈도가 감소할 때, 디스플레이 동작에 필요한 전력은 0을 향하게 된다.
동작 원리
BINEM으로 알려진 쌍안정 디스플레이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I], [2]). 이것은 두 개의 텍스처를 사용하며, 그 중 하나는 균일하거나 약간 꼬여 있고(U)(도 1의 좌측에 예시함), 여기서 분자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다른 하나(T)(도 1의 우측에 예시함)는 처음 텍스처와는 대략 ±180°의 꼬임 만큼 ±15°내까지 차별화된다. 액정 층(30)은 두 플레이트(20과 10) 사이에 위치하며, 이러한 플레이트들을 마스터 플레이트와 슬레이브 플레이트라 부를 것이다. 마스터 플레이트(20)는 기판(21), 전극(22), 및 앵커 층(24)을 포함하며, 이 앵커 층(24)은 플레이트(20)의 표면에 대해 "사전-경사"를 가지고 액정의 강한 방위 및 천정 앵커링을 만들며, 그 값(Ψ2)은 통상적인 것이며 5°에 가깝다. 슬레이브 플레이트(10)는 기판(11), 전극(12) 및 앵커 층(14)을 포함하며, 이 앵커 층(14)은 액정의 약한 천정 앵커링과, 중간의 또는 강한 방위 앵커링을 만들며, 매우 작은 "사전-경사"(Ψ1<<1°)를 만든다([3], [8]). 두 개의 사전-경사(Ψ1 및 Ψ2)는 동일한 방 향이며, 이것은, U 텍스처에서, 액정 분자가 셀의 전체 두께에 걸쳐서 동일한 경사 부호로 경사된 상태를 유지함을 의미한다. 기판(11, 21) 상에 증착된 보통은 투명한 전극(12 및 22)은 수직 전계를 플레이트(10 및 20)에 인가하는데 사용된다.
셀의 외부 상의 기판(11 및 21) 각각에 편광기를 부착하면, 앵커리지의 방향에 대한 두 편광기의 각도에 따라 U에 대해서는 어둡고 T에 대해서는 밝거나, 그 반대인 것과 같이, 광학 상태는 각 텍스처와 관련되게 된다.
네마틱은, 앞서 언급한 두 텍스처의 에너지를 동등하게 하기 위해, 셀의 두께(d)의 네 배에 가깝게 되도록 선택된 자발적인 피치(po)로 키랄라이즈된다(chiralised). 셀의 두께(d)와 자발적인 피치(po) 사이의 비, 즉 d/po는 그러므로 대략 0.25±0.1이다. 전계가 없다면, 상태 T 및 U는 최소 에너지 상태에 있고, 셀은 쌍안정성이다.
강한 전계 하에서, H로 표기되고 도 1에 중간에 예시된 거의 수직 배향 텍스처(homeotropic texture)를 얻는다. 슬레이브 플레이트(10)의 표면 근처에서, 분자는 이 슬레이브 플레이트에 수직하며, 앵커리지는 "파괴되었다"고 한다. 파괴 전압을 Vbrk라 표기하며, 이것은 슬레이브 플레이트(10) 상의 앵커리지의 파괴에 대응하는 전압이다. 전계를 제거하면, 셀은 쌍안정 텍스처 U 및 T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로 전개된다(도 1 참조). 사용된 제어 신호가 마스터 플레이트(20) 근처에서 액정의 강한 흐름을 유도할 때, 마스터 플레이트(20)와 슬레이브 플레이트(10) 사이의 유체역학적 결합(hydrodynamic coupling)(26)은 텍스처 T를 포함한다. 다른 한 편, 텍스처 U는, 약한 앵커리지의 약간의 경사의 도움을 받아, 두 플레이트(10 및 20) 사이의 탄성 결합(28)에 의해 얻게 된다([1], [2]).
다음에서, BiNem 스크린 요소의 "스위칭"에 의해, 액정의 분자를 수직 배향 상태 H(앵커리지의 파괴)를 거치케 하고, 그런 다음 전계의 제거 시, 이것을 두 쌍안정 텍스처U 또는 T 중 하나나 이들 텍스처의 공존으로 전개되게 한다는 사실을 참조할 것이다. 전계의 스위치-오프는 인가된 전압의 하강 에지(전압의 절대값 감소)에 대응하며, 이러한 하강 에지는, 이것이 그 특징에 따라 텍스처의 최종 상태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것일 때, 능동 하강 에지라 부를 것이다(픽셀 전압은 멀티레벨일 수 있고([6]), 하강 에지 중 단 하나가 능동 에지이다).
슬레이브 플레이트(10)와 마스터 플레이트(20) 사이의 유체역학적 결합([4])은 액정의 점도에 연관된다. 해당 영역에 인가된 전계를 스위치-오프할 때, 마스터 플레이트(20) 상에 앵커링된 분자에 의한 평형상태로의 복귀는 마스터 플레이트(20) 인근에 하강 흐름(32)을 만들며, 그 방향(16)은 도 2에 기재하였다. 점도는 하강 흐름(32)이 1㎲ 미만 동안 셀의 두께에 걸쳐 확산하게 한다. 만약 하강 흐름(32)이 슬레이브 플레이트(10) 인근에서 충분히 강하다면, 이것은 텍스처 T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슬레이브 플레이트(10)의 인근에서 분자를 경사지게 한다. 분자는 두 플레이트(10 및 20) 상에서 정반대 방향을 향한다. 슬레이브 플레이트(10) 인근의 분자에 의한 평형 상태로의 복귀는 이러한 흐름을 위한 제 2 엔진이며, 흐름을 강화시키고, 픽셀이 텍스처 T로 수평 이행되는 것을 돕는다. 그에 따라 필드 H 하에서 텍스처 T로의 텍스처의 이행은 하강 흐름(32)에 의해, 및 그러므로 방향(16) 에서의 액정의 움직임에 의해 달성되며, 이 방향(16)에서, 마스터 플레이트(20) 상의 분자의 앵커리지는 방향(18)에 따라 경사진다(도 2 참조). 마스터 플레이트 근처의 하강 흐름의 이 방향(18)은 실질적으로 도 2에서 참조번호(40)로 기재한 그 정렬 층의 브러싱 방향에 평행하다. 이것은, 예컨대 시작 텍스처에서의 꼬임으로 인해 브러싱 방향에 완전히 평행할 수는 없다. 전형적으로, 이것은 대략 ±10°내에서 이 브러싱 방향에 평행하다.
두 플레이트(10, 20) 사이의 탄성 결합은, 비록 인가한 전계가 분자를 플레이트들에 수직하게 배향시키는 경향이 있을지라도, 슬레이브 플레이트(10) 인근의 분자를 매우 적게 경사지게 하여 전계 하에서 텍스처 H에 매우 적은 경사를 제공한다. 사실, 마스터 플레이트(20) 상에서 크게 경사진 앵커리지는 인접한 분자 상에 경사를 유지시킨다. 마스터 플레이트(20) 인근의 경사는 액정의 배향 탄성(orientation elasticity)에 의해 슬레이브 플레이트(10)까지 전해진다. 슬레이브 플레이트(10) 상에서, 슬레이브 플레이트(10)의 용이축의 앵커리지 및 임의의 경사는 분자의 경사를 증폭시킨다([5]). 전계의 제거 시, 유체역학적 결합이 슬레이브 플레이트(10) 인근의 분자에서 잔류 경사를 제거하기에 불충분할 때, 두 플레이트(10 및 20) 인근의 분자는 동일한 방향을 향함으로써 평형 상태로 돌아가며, 텍스처 U를 얻는다. 이들 두 가지 회전은 동시에 일어나며, 서로 정반대인 정반대 방향으로의 흐름을 유도한다. 총 흐름은 실제로 0이다. 그러므로 텍스처 H로부터 텍스처 U로의 이행 동안에 액정의 전체 움직임은 매우 적다.
픽셀의 U 또는 T로의 스위칭은 마스터 플레이트(20)가 만든 하강 흐름(32)의 세기의 함수이다. 이러한 흐름은 슬레이브 플레이트(10)로 확산하고, 슬레이브 플레이트(10) 인근에서 얻은 흐름의 세기가 얻게 되는 최종 텍스처 U 또는 T를 결정한다. 텍스처 T를 유도할 큰 하강 흐름(32)을 얻기 위해, 예컨대 슬롯 타입의 신호와 같이 가파른 에지의 하락(descent)을 가진 전계 펄스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텍스처 U를 얻기 위해, 예컨대 안정적으로 하강하는 기울기나 레벨 사이의 연속 단계 중 하나([1], [2], [6])와 같이, 매우 약한 하강 흐름을 생성하는 완만한 측면 하락을 가진 전계 펄스가 필요하다.
픽셀의 단자에서 전압을 변동시켜 하강 흐름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픽셀의 그레이 레벨을 또한 얻을 수 있다. 이 변동 전압의 주어진 값에 대해, 주어진 픽셀 내의 결과는 그 표면의 일부분은 텍스처 T이고, 다른 부분은 텍스처 U라는 것이다. 변동 전압의 다른 값 및 그러므로 이 하강 흐름의 다른 값에는, 두 텍스처 U 및 T가 점유한 구역 사이의 상이한 비가 대응한다. 그에 따라 그레이 레벨을 얻는다([9]).
스위칭이 플레이트(10 및 20) 중 하나의 인근의 흐름 세기와 직접 관련된다는 사실은 BiNem 디스플레이의 특수한 특징이며, 종래의 TN 및 STN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원칙에 의해 스위칭하지 않는다.
어드레싱
표준 액정을 위해 개발된 3개의 어드레싱 모드(직접, 멀티플렉스된 및 능동)는 BiNem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다. BiNem 디스플레이를 어드레싱하기 위한 가장 흔한 모드는 멀티플렉스된 수동 어드레싱이지만, 얇은 층의 트랜지스터의 도움 을 받은 능동 어드레싱도 가능하다([7]). 능동 및 수동 멀티플렉스된 모드에서, BiNem 디스플레이는 n X m개의 화상 소자(픽셀이라 부름)로 형성된 매트릭스 타입의 스크린이며(여기서, n은 라인의 수이고, m은 열의 수임), 어드레싱은 라인 단위로 실행된다.
멀티플렉스된 수동 모드에서, 각 픽셀은 라인 도전성 스트립(52)과 열-도전성 스트립(50)의 교차부로 구성된다. 이들 수직 스트립은 각각 마스터 플레이트(20)와 슬레이브 플레이트(10) 상에 증착된다(도 3 참조). 주어진 기판(11 또는 21)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인접한 도전성 스트립 사이에 위치한 영역을 인터픽셀 공간이라 부른다. 픽셀 모두로 구성된 영역을 매트릭스 영역이라 부른다. 관례상, 종래에, 매트릭스 영역은 디스플레이 영역이며, 시청할 영상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다.
매트릭스 영역 외부에서, 앞서 언급한 도전성 스트립(50, 52)은 트랙(54, 56)의 형태를 취하며, 이것은 예컨대 스크린에 용접된 탄력적인 접속 요소 상에 위치한, 드라이버라 부르는 제어 회로에 대한 접속을 만든다. 좌표 픽셀(n, m)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라인 신호를 라인 n에 인가하고, 열 신호를 열 m에 인가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종래의 디스플레이의 두 유리 기판(11 및 21) 상에 형성된 전극의 원리도를 도 4에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전성 전극은 ITO(주석-도핑 산화 인듐)로 부르는 투명 도전성 소재로 만든다. 그러나 디스플레이가 반사성일 때, 관찰자 반대편 측 상에 위치한 전극은 알루미늄과 같은 불투명 도전성 소재로 만들 수 있다. 전극을 완성하기 위해, 얇은 도전성 층을 두 기판(11 및 21) 상에 증착하 고, 그런 다음 필요한 설계에 따라 에칭한다. 도 4의 (a)는 소위 상부 기판(21) 상에서 전극(50)을 에칭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를 예시하며, 이러한 기판(21)은 본 예에서 열을 보유한다. 도 4의 (b)는 소위 하부 기판(11) 상에서 전극(52)을 에칭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를 예시하며, 이러한 기판(11)은 본 예에서 라인을 보유한다. 도 4의 (a) 및 (b)에서, 그에 따라 열 전극을 형성하는 스트립을 50으로 표기하고, 라인 전극을 형성하는 스트립을 52로 표기하며(이들 스트립은 적절한 영역을 어드레싱하는데 사용됨), 54 및 56은 앞서 언급한 스트립(50 및 52)을 드라이버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트랙이다. 매트릭스 영역의 경계가 프레임에 대응하며, 이러한 프레임은 도 4의 (a) 및 도 4의 (b)에서 혼합된 라인에 의해 57로 표기되어 있다. 도 4의 (a) 및 (b)에 예시한 두 영역(57)은 셀을 조립 및 실링하는 동안 겹친다.
능동 어드레싱 모드에서, 일반적으로 기판 중 어느 하나는 라인 및 열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배치된 개별화되고 격리된 픽셀로 구성된 전극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반면, 다른 기판 상에서, 전극은 연속적일 수 있다. 다른 기판 상의 전극은 기준 전위라 부르는 일정 전위로 관례상 유지된다. 매우 얇은 도전성 트랙에 의해 제 1 기판의 각 픽셀 전극 각각에는 전기 제어 신호가 제공된다. 도전성 트랙은 동일한 기판 상의 라인 및 열을 따라서 위치한다. 이들은 접촉하지 않고 서로 교차한다. 각 라인 트랙 및 각 열 트랙의 교차부 인근에서, 트랜지스터와 같은 능동 요소가 배치된다. 이 경우, 라인 트랙은 보통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이 때 픽셀의 전극 및 열 트랙은 트랜지스터의 다른 두 메인 단자에 접속된다.
멀티플렉스된 모드에서의 BiNem 디스플레이 제어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구조가 매트릭스일 때, 어드레싱은 라인 단위로 실현된다. 주어진 라인 n을 어드레스할 필요가 있을 때, 전기 신호가 이 라인에 인가되고, 이 라인을 "활성화된다"고 기재한다. 이것을 활성 신호(VL)라 부른다. BiNem의 경우, 활성 상태 동안 두 개의 단계 사이를 구별하며, 제 1 단계는 예컨대 라인 신호에 전압(V1)을 인가함으로써, 해당 라인 상의 수직배향 텍스처를 의미하는 앵커리지에서의 파괴를 얻는 것으로 본래 구성되며, 이러한 전압(V1)은 VL의 제 1 레벨을 구성한다. 제 2 단계 동안, 신호(V2)가 라인에 인가되어, V2≤V1, 즉 VL의 제 2 레벨을 구성하는 V2와 Vc로 표기되는 전기적인 소위 "데이터" 신호가 동시에 모든 열에 인가되게 된다. 데이터 신호(Vc)의 하강 에지는 라인 활성 신호의 제 2 레벨의 하강 에지와 동기화된다([1]). 각 열에 인가된 신호(Vc)의 값 및/또는 형상 및/또는 길이에 따라, 텍스처 U 또는 T를 이 열과 활성화된 라인의 교차부에 대응하는 픽셀에서 얻는다([6]). 그러면, 디스플레이의 제 1 라인으로부터 마지막 라인까지 이후에 오는 라인이 차례로 활성화되고, 다른 라인은 비활성화되는 등으로 동작한다. 어느 한 라인의 활성화의 끝과, 그 다음 라인의 활성화의 시작 사이의 시간을 인터라인 시간(tL)이라 부른다. 이 시간은 전형적으로 50㎲와 10ms 사이이다. 이 시간의 값은 완벽한(clean) 스위칭을 얻는데 매우 중요하고, 온도에 따라 실질적으로 변동된다. 어느 경우에도, 시간(tL)>0이다. 이러한 어드레싱 방법을 "단일-단계 어드레싱"이라 부른다. 라인의 활성화 순서(처음에 n-1, 그 다 음 n, 그 다음 n+1 등등)는 주사 방향(46)을 결정한다(도 3).
문헌([9])은 그레이 레벨을 만드는 절차를 기재하며, 그레이 레벨을 얻기 위한 세 개의 변형(문헌([9])의 도 23)을 명시한다. 제 1 변형은 픽셀(P)에 인가된 열 신호(Vc)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제 2 변형은 픽셀(P)에 인가된 열 신호(Vc)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들 두 변형에서, 열 신호의 하강 에지는 라인 신호의 제 2 레벨의 하강 에지와 동기화된다. "위상 변조"라 부르는 제 3 변형은 라인 활성 신호의 제 2 레벨의 하강 에지와의 열 신호(Vc)의 동기화를 변경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수동 모드와 능동 모드 사이에서 주목해야 할 주된 차이점 중 하나로는, 멀티플렉스된 수동 모드에서, 라인(p)이 활성화되지 않을 때, 이 라인(p)의 픽셀 각각이, 이들이 속한 라인이 활성화된 동안에 인가된, 그 열의 다른 픽셀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열 신호를 받는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픽셀(P(n, m))의 라인 n이 신호(VL(n))에 의해 활성화될 때, 및 신호(Vc(m))가 픽셀 신호(Vp=VL(n)-Vc(m))를 생성하기 위해 이 픽셀의 열 m에 전송될 때, 열 m의 모든 픽셀은 동시에 Vc(m)를 받는다. 능동 어드레싱에서, 라인이 활성화된 동안에, 열 신호는 이 라인의 픽셀에만 인가된다. 비활성화된 라인의 트랜지스터는 도통하지 않으며, 그들의 픽셀은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제한적인 제어 방법에 따라, 라인 단위 어드레싱에 앞서, 모든 라인 또는 라인 그룹을 동시에 활성화시킴으로써 주어진 텍스처, 보통 T에서 스크린 또는 적어도 스크린의 일부분의 완벽한 어드레싱을 달성 한다. 라인은 그러면 종래의 멀티플렉싱 방법에 따라 하나씩 어드레싱되어, 바람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2 단계 어드레싱"은 특히 그레이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픽셀의 스위칭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픽셀은 제 2 단계의 시작에서 잘 한정된 상태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제한적인 BiNem 디스플레이의 실시예에 따라, 정렬 층의 브러싱 방향은 디스플레이의 라인 방향에 직교하며, 이러한 타입의 디스플레이를 "직교 브러싱된다"고 기재한다.
종래 기술에 따라 만들어진 BiNem 디스플레이가 보이는 한계
본 발명자는, 픽셀(P)의 스위칭을 실현하기 위해 흐름을 사용한 결과 픽셀(P)의 스위칭이 어드레싱 방법 동안에 인접한 픽셀에서 만들어진 흐름에 또한 민감하게 되며, 이들 흐름이 스위칭될 픽셀에서 확산됨을 관찰하였다. 인접한 픽셀로 인한 이들 흐름의 픽셀(P)의 고유한 흐름과의 상호작용은 픽셀(P)의 스위칭과 간섭한다. P의 인접한 픽셀은 그 흐름을 통해 P의 스위칭과 간섭하기 쉬운 픽셀로 한정하며, 흐름 방향(18)에서 픽셀(P)의 어느 한 측면에도 위치한 픽셀(58)도 마찬가지이다. 브러싱 방향(40)이 라인에 직교할 때, 흐름 방향(18)은 일반적으로 브러싱 방향과 평행하다. 흐름 방향에 인접한 픽셀은 P의 열 m 상에서 P의 어느 한 측면에 위치한 픽셀이다.
브러싱 방향이 결정되어 있지 않을 때, 인접한 픽셀은 흐름 방향에 따라 P의 어느 한 측면 상에 위치한 픽셀이며, 흐름 방향은 일반적으로 브러싱 방향에 평행하다(±10° 내에서).
라인 n 상의 픽셀 모두를 생각할 때, 이들 픽셀의 이웃한 픽셀 모두는, 브러싱 방향이 무엇이든지 간에, 라인 n-1, n-2...의 업스트림 및 라인 n+1, n+2...의 다운스트림에 있는 라인 n에 인접한 라인 상에 위치한다. 이때 (흐름 방향에서) 라인 n에 인접한 라인을 말한다.
이웃한 픽셀에 의한 간섭의 한 예가 "에지 효과"이다.
BiNem 디스플레이를 어드레싱하는 동안에, 텍스처 T로 스위칭될 픽셀의 에지 중 두 에지 상에서, U로 스위치하는 필드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는 도 5에서 T로 스위칭된 픽셀 상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이들 픽셀, 예컨대 픽셀(P)에서, 브러싱에 수직하며 그러므로 흐름(18)의 방향에 수직한 그 에지(60)는 T로 스위칭하는 대신에 U로 스위칭한다. 도 5에서, T로 스위칭한 픽셀을 밝은 음영으로 예시한 반면, U로 스위칭한 픽셀은 어두운 음영으로 예시한다.
장시간의 분석을 통해, 본 발명자는, 이들 오류가, 마스터 플레이트(20) 인근의 분자의 평형 상태로의 복귀에 의해 만들어진 흐름이 픽셀(P)의 업스트림 에지와 다운스트림 에지에서 억제되는 사실에 의해 설명된다고 결론 내렸다. 픽셀(P)에서 흐름의 액체 업스트림의 출발은 선행하는 인접한 픽셀(58a)에 저압을 만든다. 그 도달 다운스트림은 이어지는 인접한 픽셀(58b)에 추가된 압력을 만든다. 이들 두 효과가 일반적으로 픽셀(P)의 모든 에지에서의 흐름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들 효과는, 흐름의 엔진이 어디에서 멈추든 간에, 픽셀(P)의 앞서 언급한 두 에지(60)에서 특히 중요하다. 바로 픽셀(P)의 에지(60)에서, 속도는 픽셀(P)의 중심에서보다 두 배 정도 약할 수 있다. 이들 조건에서, 픽셀(P)의 에지(60)는, 이 픽셀 상의 신호의 전압 강하가 어떻게 되든지 간에 결코 T로 스위칭할 수 없다.
도 6은 이러한 현상을 설명한다. 이것은 x(방향(18)에 평행한 횡좌표에 대응하는)의 함수로서, 크기(Vp=20V)를 갖고 픽셀(P)에 인가된 슬롯 타입의 신호의 스위치-오프 시 하강 흐름의 x(평균 속도)에 따른 속도의 z(플레이트(11 및 21)에 수직한 축-도 2 참조)에서의 평균을 제공한다. 어떠한 다른 신호도 디스플레이에 인가되지 않는다. 음의 값의 속도는 x의 정반대 방향, 그러므로 방향(16)에서의 하강 흐름을 지시한다. 도 6에서, vT는 T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하강 흐름의 최소 속도를 나타낸다. 도 6에서, 방향(18)에 위치한 P의 에지에서, 하강 흐름의 속도(v)의 절대값은 vT 미만임을 알 수 있다. 이들 에지는 그러므로 U로 스위칭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디스플레이의 실시예에서 관찰한 앞서 언급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교차되는 라인 및 열로 배치된 픽셀 매트릭스를 포함하며, 각 픽셀을 프레이밍하는 두 전극 사이에 전기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되는 액정 분자의 상태 스위칭은 브러싱 방향에 근접한 특정 방향에서 흐름을 생성하고, 픽셀의 어드레싱은 한 단계나, 집합적인 어드레싱이 주어진 고유한 텍스처에서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행해지는 제 1 단계와 이에 이어지는 제 2의 라인 단위 어드레싱 단계로 구성되는 두 단계 중 어느 하나로 라인 단위 어드레싱에 의해 실행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환경에서 달성되며,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은, 픽셀 중 적어도 일부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흐름 방향에서 그 스위칭이 전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픽셀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픽셀에 대해 상기 제어될 픽셀의 스위칭을 촉진하도록(favour) 주위 온도에서 0과 수십 ㎲ 사이의 시간 오프셋으로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상승 에지에 앞서거나 일치하도록 시간적으로 위치하는 상승 또는 하강 에지를 갖는 보조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로 구성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전기 신호는 어드레싱이 두 단계로 이뤄질 경우의 제 2 단계 동안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픽셀에 인가된 상기 보조 전기 신호는, 상기 인접한 픽셀에서, 제어되는 픽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일반적으로 결정된 방향에 평행한 보조 흐름을 유도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라,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한 보조 전기 신호의 에지의 시간 시프트는 주위 온도에서 0과 수십 ㎲사이, 전형적으로는 0과 50㎲사이, 바람직하게는 0과 10㎲ 사이,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5㎲와 10㎲사이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선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픽셀(P)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에 따라 본래, (픽셀(58)에 인접한) 흐름 방향(18)에서, P를 스위칭하기 위해 신호에 대한 잘 한정된 순간에 보조 전기 신호를 픽셀(P)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측이나 양 측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픽셀에 인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인접한 픽셀에서 이들 보조 전기 신호에 의해 만들어진 분자 움직임은 픽셀(P)의 스위칭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보조 흐름을 픽셀(P)에서 유도한다.
보조 신호는 라인 전극이나 열 전극 또는 두 전극 타입 모두에 의해 인접한 픽셀에 전송될 수 있다.
인접한 픽셀에 인가되는 보조 전기 신호는 바람직하지만 비제한적으로 단극 성 또는 양극성(bipolar) 슬롯 형상을 갖는다. 이후에 알 수 있을 바와 같이, 이러한 신호는 상승하므로(전압의 절대값의 증가를 특징으로 갖는 상승 에지), 픽셀의 U로의 이행을 촉진하는 강한 흐름을 유도하며, 픽셀은 이러한 상승 에지가 픽셀 신호에 대해 정확한 순간(right instant)에 인가되는 조건에서 스위칭한다. 그 하락(전압의 절대값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하강 에지) 시, 이것은 더 약하지만 픽셀의 T로의 이행을 돕기에 충분한 흐름을 유도하며, 픽셀은 다시 이러한 하강 에지가 픽셀 신호에 대해 정확한 순간에 인가된다는 조건에서 스위칭한다.
수동 매트릭스-타입 디스플레이의 경우에, 라인을 어드레싱하는 순간에, 열 신호는 각 열의 모든 픽셀에 인가된다. 직교 브러싱의 경우, 열 m의 픽셀은 픽셀(p(n, m))에 대해 이전에 한정한 바와 같이 인접한 픽셀(58)이다. 그러면, 보조 신호가 시간적으로 정확하게 위치한, 열 m 상의 신호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활성화된 라인의 인접한 라인에 또한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보조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보조 신호는 또한, 이들 인접한 픽셀에 대응하는 라인(라인 n-1, n-2, n+1, n+2, 등등)에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인접한 픽셀(58)에 인가될 수 있다.
직교 브러싱을 가진 능동 매트릭스-타입 디스플레이의 경우에, 본 발명은, 라인이 개별적으로 개방되므로, 보조 신호가 스위칭 신호와는 무관하게 필요한 인접한 라인에만 인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동 어드레싱에 대해서보다 구현하기 더 쉽다.
본 발명의 장점
본 발명에 따라 보조 전기 신호를 사용하는 것의 제 1 장점은 각 라인의 어드레싱에 대해 주어지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스크린의 어드레싱 속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장점은 각 라인 사이의 어드레싱 시간을 감소시킨다는 것 또는 이러한 시간에 심지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장점은 동일한 픽셀의 그레이 레벨이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때 이 픽셀에서 각 텍스처의 비율의 제어를 개선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비제한적인 예로 제공되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BiNem 타입의 쌍안정 디스플레이의 알려진 동작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그러한 디스플레이에서 텍스처 T로의 이행(passage)에 사용되는 하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멀티플렉스된 수동 어드레싱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의 두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전극의 알려진 원리도를 예시하며, 그 중 도 4의 (a)는 소위 상부 기판 상의 전극을 에칭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의 (b)는 소위 하부 기판 상의 전극을 에칭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텍스처 T로의 픽셀 스위칭 동안에 종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관찰되는 에지 효과(텍스처 U)의 존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x에 따른 속도(평균 속도(v))의 z에서의 평균을 픽셀(P)에 인가된 크기(Vp=20V)의 슬롯 신호의 스위치-오프 시의 하강 흐름의 x의 함수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7의 (b)에서 도시된 데로 인가된 보조 신호에 대해 도 8에 도시된 시뮬레이션이 실현되는 상이한 위치 1, 2, 3, 4를 도 7의 (a)에서 지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액정의 평균 속도(v)(x에 따른 속도의 z에서의 평균)의 변동을 도 7의 (a)에 표시한 4개의 위치 1, 2, 3, 4에서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9의 (b)에 예시한 보조 슬롯 신호(Vaux)에 의해 픽셀(P)의 중간에 유도된 평균 속도(v)를 도 9의 (a)에서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0의 (b)에서 예시한 보조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 인접한 픽셀에 인가된 제곱평균제곱근 전압(Vrms)의 여러 값에 대해, 인접한 픽셀의 중간의 평균 속도(v)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 10의 (a)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그 라인만을 통해 픽셀(P)에 인가되고 도 11의 (b)에 예시한 스위칭 신호(Vp)의 하락 이전 수 ㎲에서 대응하는 라인을 통해 인접한 픽셀에 인가된 수 V의 작은 슬롯 신호 형태로 보조 상승 신호를 도 11의 (a)에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Vp의 0으로의 전압 강하 시에 T로의 이행을 방지하는 보조 흐름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보조 흐름이 없이 T로의 이행을 유도하는 VT의 최소 하강보다 △V를 초과하여 더 큰 전압 하강에 대해 도시되며, 보조 흐름은 도 11에 도시한 보조 상승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인터레이스된 전극 라인을 제어하는 두 공급 회로 즉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20V의 에셜런(echelon)에 의한 상승 동안에 시간의 함수로서 픽셀(P)의 중간의 평균 속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계가 인가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들어 올려진(lifted) 분자가 실제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 동안에, 양의 상승 흐름 다음에는 음의 복귀 흐름이 오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5의 (a)에서 라인 신호를 예시하며, 도 15의 (b) 및 도 15의 (c) 각각에서, 본 발명의 제 3 예에 대응하고 후술될 U 또는 T로의 스위칭을 생성하기 위한 열 신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6의 (a) 및 도 16의 (b)에서 라인 n 및 n+1에 인가된 라인 신호를 예시하며, 도 16의 (c) 및 도 16의 (d)에서 단극성 라인 및 열 신호의 경우에 본 발명의 제 4 예에 대응하는 열 신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7의 (a) 및 도 17의 (b)에서 라인 n 및 n+1에 인가된 라인 신호를 예시하며, 도 17의 (c) 및 도 17의 (d)에서 양극성(bipolar) 라인 및 열 신호의 경우에 본 발명의 상기 제 4 예에 대응하는 열 신호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이한 예를 제시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본 발명자에 의해 진행된 연구를 이제 설명할 것이다.
인접한 픽셀로부터 유래한 흐름에 관한 연구
먼저, 인접한 픽셀로부터 유래한 흐름, 즉 보조 흐름이 스위칭될 픽셀로 확산하는 방식을 처음에는 모두 상태 T에 놓인 픽셀의 예로부터 시작해서 설명할 것이다.
a) 거리 효과
도 8은 셀의 네 지점에서 액정의 x에 따른 속도의 z에서의 평균(v)을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하며, 이때 이들 네 지점은 도 7의 (a)에 표기되어 있다. 이 흐름은 도 7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1V의 일정 신호에 인가된 3V의 스텝으로부터 형성된 보조 신호(Vaux)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스텝은, 대응하는 라인 n+1 내지 n+4를 통해 두께 1.5㎛의 셀에서 라인 n 상에 위치한 픽셀(P)과 인접한 4개의 인접한 픽셀(58)(도 7)에 동시에 인가된다. 도 8에서, 곡선 1은, 예컨대 보조 신호를 수신하는 네 개의 인접한 픽셀의 측면 상의 픽셀(P)의 중심에 대한 2.5 픽셀 거리와 같이 픽셀(P)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거리에서의 평균 속도를 제공한다. 곡선 2는, 보조 신호를 수신하는 인접한 픽셀의 측면 상에 위치한, 픽셀(P)의 에지에서의 평균 속도를 제공한다. 곡선 3은 픽셀(P)의 중간에서의 평균 속도를 제공한다. 곡선 4는, 보조 신호를 수신하는 인접한 픽셀에 정반대 측면 상에 위치한, 픽셀(P)의 에지에서의 액정의 평균 속도를 제공한다. 도 8은 수많은 시뮬레이션의 결과이다.
픽셀(P)에서, 그에 따라 보조 신호(70)의 상승 동작(상승 에지) 하에서 인접한 픽셀의 스텝에 의해 유도된 x에 따른 보조 스텝 흐름이 나타난다. 이 흐름은 그 소스로부터 멀리 움직일수록 감쇄하고, 이 흐름이 생성된 인접한 픽셀로부터 픽셀(P)로 확산한다.
b) 폴-오프(fall-off) 효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조 신호의 갑작스런 스위치-오프(하강 에지) 시, 보조 하강 흐름이 생성된다. 도 9의 (a)는, 앞서 언급한 네 인접한 픽셀에 인가된 보조 슬롯 신호(Vaux)에 의해 픽셀(P)의 중간에 유도된 평균 속도(v)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다. 보조 신호를 형성하는 4V의 슬롯 신호는 도 9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1V의 신호에 의해 미리 상승된 앞서 언급한 인접한 픽셀에 64㎲ 동안 인가된다.
픽셀(P)은 먼저 보조 신호의 상승(70)에 의해 트리거된 (x에 따른) 양의 보조 스텝 흐름(72)을 겪으며, 그 다음에 보조 신호의 갑작스런 폴-오프(82)에 의해 트리거된 보조 음 하강 흐름(82)을 겪는다. 보조 신호의 제거 순간에 유도된 속도는 스텝에서 유도된 속도에서 절대값 면에서 더 낮고 정반대 부호(-x에 따라)를 갖는다.
(c) 인접한 픽셀의 시작 상태의 효과
도 10의 (a)는, 도 10의 (b)에서 예시한 보조 신호의 인가 이전에 인접한 픽셀에 인가된 제곱평균제곱근 전압(Vrms)의 여러 값에 대해, 인접한 픽셀의 중간에서의 평균 속도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다(곡선 1: Vrms=0V; 곡선 2: Vrms=0.7V; 곡선 3: Vrms=1V; 곡선 4: Vrms=1.4V). 보조 신호는, 도 10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전처럼 네 인접한 픽셀(58)에 인가된 64㎲의 길이를 갖는 10V의 슬롯 신호이다. 보조 신호가 예비 스텝을 분자에 인가하기 전에 평균 전압(Vrms)이 인가된다. 이 스텝은 Vrms의 값의 함수이다.
Vrms에 따라, 인접한 픽셀의 중심에서 보조 스텝 흐름(72)의 평균 속도의 크기는 변하지만, 특히 이 속도의 최대값 순간은 실질적으로 시프트됨을 관찰하였다. 보조 스텝 흐름(72)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 현상을 고려해야 하며, 그러므로 픽셀(P)의 스위칭 신호와 보조 신호의 상승(70) 사이의 시간 시프트를 조정해야 한다.
보조 하강 흐름(82)의 평균 속도가 Vrms에 의존하지 않음도 관찰하였다.
(d) 보조 흐름의 효과의 방향
보조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의해 촉발된 보조 스텝 흐름은 양이고(x에 따름), 그러므로 픽셀(P)에서 마스터 플레이트(20) 인근에서 하강 흐름(32)에 정반대 방향에 있고(-x에 따름), 이 하강 흐름 단독으로 픽셀(P)의 T로의 이행을 유도할 것이다. 인접한 픽셀의 보조 스텝 흐름은 하강 흐름에 대항하며, 그러므로 픽셀(P)의 U로의 이행을 촉진한다.
보조 신호의 하강 에지에 의해 촉발된 보조 하강 흐름은 음이고(-x에 따름), 그러므로 픽셀(P)의 하강 흐름(32)과 동일한 방향에 있고, 이 하강 흐름 단독으로 픽셀(P)의 T로의 이행을 유도할 것이다. 인접한 픽셀의 보조 하강 흐름은 그러므로 픽셀(P)의 T로의 이행을 돕는다.
(e) 보조 흐름의 효율의 예
도 12는, Vp로부터 0으로의 하강이 보조 신호 없이 T로의 이행에 필요한 하강(VTmin)보다 △V만큼 큰 동안에, 픽셀(P)의 T로의 이행을 방지하는 보조 스텝 흐름의 크기를 도시한다. 이 곡선 상에서, 보조 신호의 효율은 분명하다. 여기서, VTmin=16V이다. Vp=20V의 경우, △V=4V이다. 도 12의 곡선은 T로의 이행을 멈추기 위한 0.3mm/s의 속도를 지시한다. 도 6에서, 20V의 전압 강하(Vp)가 -8mm/s의 흐름을 만듦을 보았다. 이러한 흐름은 그에 따라 0.3mm/s의 보조 흐름에 의해 상쇄된다.
그에 따라, 신호(Vp)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해 (주위 온도에서 0만큼 또는 심지어 수 ㎲에서 수십 ㎲까지 만큼 및 추울 때는 수십 ㎲에서 수백 ㎲까지 만큼) 앞서 위치한 보조 신호의 상승 에지는 T로의 이행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며 그러므로 텍스처 U를 얻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Vp의 능동 하강 에지는 텍스처 T를 얻기에 충분한 하강 흐름(32)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텍스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Vp)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한 보조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 에지의 순간의 조정은 픽셀(P) 모두에 걸쳐서 최종 텍스처를 제어하게 한다.
시작 시, 모든 픽셀이 상태 U에 있을 때, 동일한 타입의 현상이 존재하지만, 설명을 복잡하게 하지 않기 위해 여기서 상세하게 기재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비록 어떤 식으로 제한하지 않을지라도, 다음의 장점을 들 수 있다:
1) 두 단계의 수동 어드레싱 중 제 2 단계 동안에, 본 발명은 제 2 단계를 가속하며, 그레이 레벨을 제어한다.
2) 한 단계에서 라인 단위로 라인 세트를 어드레싱하는 동안에(한 단계 어드레싱), 본 발명은 활성화된 라인의 픽셀의 U 또는 T에서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3) T로 집합적으로 이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제 1 단계를 포함한 두 단계에서 수동 디스플레이의 제 2 단계 동안에, 본 발명은 T 상태를 유지하는 픽셀에 대한 앵커리지를 파괴하지 않는 픽셀 신호를 사용하여 원래의 모드 대로 신속한 스위칭을 허용한다.
본 설명에 이어서, 본 발명을 수행하는 세 개의 전형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를 전개할 것이다.
이들 예는 BINEM(등록상표) 디스플레이의 특정한 경우에 그 응용 중 세 개를 통한 본 발명의 장점을 예시한다. 그 응용은 이들 경우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이러한 타입의 디스플레이로 제한되지도 않는다. 사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어진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모두에 있는 인접한 픽셀에 의해 만들어진 보조 흐름을 사용하면, 임의의 타입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멀티플렉스 스위칭이 흐름에 의해 억제될 때, 이러한 스위칭을 가속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예 1: 수동 어드레싱에서 두 단계로 된 어드레싱 중 제 2 단계의 촉진 및 그레이 레벨 제어
스크린이나 수동 멀티플렉스 매트릭스 스크린의 소수의 라인 중 어느 하나는 두 단계로 어드레스된다. 라인(52)은 브러싱에 수직하며, 그에 따라 분자의 움직임에 의해 유도된 흐름에 수직하다(수직 브러싱). 디스플레이의 제 2 단계를 참조하면, 스크린은 스위칭될 영역(100)에서 제 1 단계에 의해 텍스처 T에 놓였다. 스위칭은 라인 n 상에서 행해진다. 픽셀(P)(라인 n, 열 m)의 스위칭을 연구한다.
최종적인 스위칭의 시작 시, 여기서 라인 n에 인가된 전압 슬롯을 예로 들면, 분자를 라인 n으로부터 들어올리면, 액정은 100nm를 초과할 만큼 변위하게 된다. 도 2 및 도 7에 예시한 분자의 구성에서, 변위는 양의 x를 향한다. 이러한 변위는 라인 n-1 근처에서 과압력(overpressure)을 만들고, 라인 n+1 근처에서 음의 압력을 만든다. 상태 H에 도달하면, 만들어진 압력 그레디언트(pressure gradient)는 액정을 되돌아가게 하다. 도 14는 순간(t=0)에서 픽셀(P)에 인가된 20V의 증분에 의한 상승 동안에 픽셀(P)의 중간 환경에서의 평균 속도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다. 도 14는 150에서 상승 흐름을 도시하고, 152에서 복귀 흐름을 도시한다. 초기에, 상당한 양의 속도를 보게 된다. 수 초 후 그 흐름은 음이 된다. 그 효과는 몇백 ㎲가 지나면 사라진다. 이 시간에 걸쳐, 상기 복귀 흐름(152)은 슬레이브 플레이트(10) 근처의 분자를 텍스처 T로 이행하는 방향(우리의 종래 기술대로 -x에 따른 음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며, 텍스처 U는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고 스위칭하는 느리고 불완전한 방법은 전압 하에서 복귀 흐름(152)의 끝을 기다리는 단계로 구성되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주위 온 도에서 대략 1ms를 초과하는 시간에 픽셀 스위칭 신호(Vp)(Vp=VL-Vc)의 제 1 레벨(V'1)을 확대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중간 레벨에 의해 두 개의 동등한 하락으로 나눠진 하강이 텍스처 U를 제공할 것이다. 두 비대칭 하락으로 나눠진 하락은 텍스처 T를 제공할 것이다. 상이한 픽셀 상의 제 2 레벨의 값은 열 신호(Vc)를 사용하여 조정되고, 이 열 신호(Vc)의 하강 에지는 신호 라인의 제 2 레벨(V'2)의 하강 에지와 동기화된다([6]). V'2의 값의 함수로서, 능동 하강 에지는 전이(V'1에서 V'2로의)이거나 전이(V'2에서 0으로의) 중 어느 하나이다. 제 1 레벨의 시간이 중요하다. 만약 이것이 너무 짧다면, 텍스처 U는 픽셀의 중간에 기생 상태 T를 보인다. 만약 이것이 너무 길다면, 텍스처 T는 이미 언급한 U에서의 에지 결함을 보인다.
본 발명을 실행하면 상기 결함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두 레벨, 즉 바로 그러한 파괴에 필요한 시간에 걸쳐서(전형적으로는 1ms 미만) 앵커리지를 파괴할 만큼 충분히 큰 크기(V1)의 제 1 레벨과, 그러한 파괴보다 더 낮은 크기의 제 2 레벨(V2)로 나눠진 종래의 그러나 더욱 신속한 신호가 라인 n에 인가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능동 하강 에지가 이행(V1에서 V2로)인 경우를 선택한다.
픽셀(P(n, m))을 T로 스위칭하기 위해, 그 라인 n의 활성화 시간 동안에 어떠한 열 신호도 이 픽셀에 인가되지 않는다(VcT=0)(도 15의 (c)를 참조). 복귀 흐름(152)은, 두 에지 상의 어떠한 결함도 없이, 슬레이브 플레이트(10) 근처의 분자를 상태 T로 스위칭하기 위해 V1에서 V2로의 이행으로 마스터 플레이트(20)의 분자의 하강 흐름을 돕는다. V1에서 V2로의 이행은 픽셀(P)의 스위칭을 위한 능동 하강 에지이다.
픽셀(P(n, m))을 U로 스위칭하기 위해, 라인 n+1, n+2, n-1, n-2 등등 상에 위치한 인접한 픽셀로부터 분자를 들어올리는 보조 슬롯 신호(153)(Vcu)(열 m에 대해서 유사함)는 그 열 m에 인가된다. 이 신호(153)의 상승 보조 에지(154)는 시간적으로 조정되어, 만들어진 보조 흐름은 라인 신호가 V1에서 V2로 강하하는 순간에 최대가 된다. 보조 신호(153)의 상승 보조 에지(154)는 그에 따라 보조 신호(153)와 라인 n에서 이것이 초래한 흐름(도 7 및 도 10 참조) 사이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픽셀(P)의 능동 하강 에지 상에서(V1에서 V2로의 이행) 시간(δt)에 앞선다. 보조 흐름은 동시에 마스터 플레이트(20)의 분자의 복귀 흐름 및 강하 흐름에 대항한다, 즉 비록 인가된 보조 전압이 이미 기록된 라인 n-1, n-2...의 인접한 픽셀을 스위칭할 위험이 없도록 파괴 전압 미만일 지라도, 보조 흐름은 복귀 흐름 및 강하 흐름을 보상하고, 픽셀(P)의 U로의 스위칭을 허용한다. 사실, T에서의 인접한 픽셀은 보조 흐름에 주로 기여하며, 이들은 그에 따라, 어드레싱의 제 1 단계에 의해 T가 되는 인접한 픽셀 n+1, n+2과, 부가적으로는 그 라인의 활성화 이후 그 상태에 따라 픽셀 n-2, n-2이다. 그러나 n+1, n+2 등등의 기여는 예상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충분하다.
이 비제한적인 예에서, 보조 신호(153)는 단지 열 신호에 의해서 인가됨을 주목해야 한다. 변형은, 라인 n+1, n+2에 인가된 부가적인 신호 라인에 의해 보조 흐름을 또한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인가 된 열 신호(153)는 그 단자에서 전압 점프를 변경시킴으로써 픽셀(P)의 스위칭을 제어한다는 종래의 역할을 하지 않으며([1], [2], [6]),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신호(153)는, 문헌([9])의 "위상 변조" 변형에 따라, 그 하강 에지(156)가 신호 라인의 제 2 레벨(V2)의 하강 에지와 동기화되거나, 신호 라인의 제 2 레벨의 이 하강 에지에 대해 동기화되지 않도록 인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역할을 하는 것은 열 신호(153)의 하강 에지(156)가 아니라 그 상승 에지(154)이며, 이 보조 상승 에지(154)는 V1에서 V2로의 강하에 대응하는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해 앞서 위치한다. 또한, 레벨(V2)은 심지어 삭제될 수 있고, 0으로의 하강 에지(V1)는 그러면 능동 하강 에지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구성에서, 그 라인으로부터 활성화 시간 동안에 픽셀(P)에 의해 수신된 열 신호(153)는 따라서 종래의 "픽셀" 신호이기보다는 인접한 픽셀의 흐름에 작용하고 P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 보조 신호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그 발명이 단순히 보조 신호(153)의 크기나 시간적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그레이 레벨 면에서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을 보여 왔다. 사실, 라인 n+1, n+2 등등의 T에서의 픽셀에 의해 만들어진 보조 흐름은 라인 n의 픽셀에 걸쳐서 균일하지 않다. 이것은 이것을 만들었던 픽셀에서 멀리 움직임으로써 감쇄된다(도 8 참조). 0과 앞서 지시한 값(VcU) 사이의 열 전압(VC)에 대해, 보조 흐름은 라인 n+1 근처의 라인 n의 에지에서 복귀 흐름 및 강하 흐름에 대항하기에 충분하고, 슬레이브 플레이트(10) 가까이에서의 속도가 T에서의 임계 이행 속도 미만임 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픽셀의 이 부분은 U로 스위칭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라인 n-1 근처의 라인 n의 픽셀의 부분에서, 보조 흐름은 너무 약하여 다른 두 흐름을 대항할 수 없고, 슬레이브 플레이트(10) 가까이에서의 속도는 상기 임계 속도보다 더 크고, 픽셀의 이 부분은 T로 스위칭한다. 그 결과는 라인의 어느 측면 상에서의 두 부분에 공유되는 픽셀에서 두 텍스처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여기서, 슬레이브 플레이트(10) 가까이에서의 속도는 T로의 임계 속도와 같다. 분리 라인의 위치는 V1에서 V2로의 강하 시에 보조 흐름의 속도에 의해 제어되고, 보조 신호(153)의 크기나 그 상승 에지(154)의 시간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 2: 수동 어드레싱에서 라인 단위의 어드레싱(한 단계에서) 동안에 활성화된 라인의 픽셀의 U 또는 T로의 스위칭 제어
라인 단위의 어드레싱을 취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인접한 픽셀에 인가된 보조 신호가 사용되며, 그 상태(U, T 도는 두 텍스처의 공존)를 고려하도록 조정된다. 이미 기록된 라인 n-1, n-2... 상에 위치한 인접한 픽셀이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아야 하며, 이들 인접한 픽셀에 인가된 보조 신호는 그에 따라 낮은 크기, 즉 적어도 파괴 전압보다 작은 크기이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큰 크기의 보조 신호는 기록될 라인 n을 따라 라인(아직 새로운 영상으로 기록되지 않은 라인 n+1, n+2...)에 인가될 수 있다.
충분한 열 신호(이 신호는 또한 보조 신호일 수 있다(예 1 참조))를 픽셀(P) 에 인가함으로써 라인 n 상에서 U 및 T 각각에서 픽셀을 발생시키기 위해, 이전의 라인에 대응하고 기록될 라인 n 다음에 오는 분자를 들어올린 후 완화하며, 그 상승 및 하강 흐름, 즉 보조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 에지를 사용하는 것은 그에 따라 보조 신호 라인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 3: T를 유지해야 하는 픽셀을 T로 변경시키기 위해 앵커리지를 파괴하지 않는 픽셀 신호를 사용한 두 단계에서의 신속한 어드레싱.
인접한 픽셀의 보조 흐름을 사용할 때, 본 발명자는 전력을 절약하는 흑백의 신속한 디스플레이 처리의 다른 변형을 밝혀냈다.
이것은 두 단계로 된 방법이다. 제 1 단계 동안, 디스플레이될 스크린 부분은 T에 균일하게 놓인다.
제 2 단계 동안에, 디스플레이는 라인 단위로 구성되며, 라인 활성 신호는 간단한 슬롯일 수 있다. 라인 활성 신호(VL)의 크기(V1)는 슬레이브 면(10) 상의 앵커리지의 파괴 값(Vcass)보다 약간 작다. 이들 신호의 크로노그램(chronogram)을 도 16에 도시한다:
픽셀(P(n, m))을 U로 변경시키기 위해, 파괴는 도 16의 (d)에서 예시한 음의 슬롯 열 신호에 의해 발생한다: Vp=VL-Vc>Vcass. 이 변형에서, 열 신호의 하강 에지가 신호 라인의 하강 에지와 동기화되는 것이 필요하지는 않다. 이것은 신호 라인의 하강 에지와 동기화될 수 있거나 그 이 후에 위치할 수 있다.
라인 n+1의 신호의 상승 에지(도 16의 (b))는 라인 n의 신호의 하강 에지(도 16의 (a)) 바로 앞에 위치한다. 이 하강 에지는 두 가지 역할을 한다: 라인 n+1의 기록을 준비하기 위해 이것의 분자를 들어올리는 역할, 및 이것이 놓이는 순간의 조정으로 인해 동일한 방법을 통해 픽셀(P)에서 필요한 보조 흐름을 만드는 역할. 라인 n의 신호의 하강 에지(도 16의 (a)) 시에, 라인 n+1(도 16의 (b))로부터 수신된 보조 흐름은 픽셀(P)의 하강 흐름 및 복귀 흐름을 상쇄한다. 라인 n+1의 신호의 상승 에지는 U로의 스위칭을 촉진하는 상승 보조 에지이다.
픽셀(P)을 T(n, m)로 변경시키기 위해, 열 신호는 도 16의 (c)에 예시된 양의 슬롯이다. 앵커리지의 파괴는 Vp=VL-Vc<Vcass로 달성되지 않으며, 이는 V1은 이미 파괴 전압 미만이기 때문이다. 라인 n의 하강 에지(도 16의 (a)) 시에, 라인 n+1의 분자의 상승(도 16의 (b))에 의해 만들어진 보조 흐름에도 불구하고, 상기 보조 흐름에 의해 당겨진 슬레이브 플레이트(10) 근처의 분자는 그 시작 위치로 다시 하강하며, 이는 앵커리지가 파괴되지 않기 때문이다. 픽셀(P)은 T로 기록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6의 (c)와 도 16의 (d)에서 예시한 열 신호는, 수 ㎲ 내지 수백 ㎲ 만큼 신호 라인 n의 하강 에지에 앞서는 그 상승 에지를 가지며, 라인 n의 하강 에지와 동기화되거나 그 이후에 위치하는 하강 에지를 갖는다.
이러한 공정은 간단한 신호를 사용한다: 파괴 전압 보다 더 약한 크기(V1)의 전압 라인의 신호 레벨. 이것은 신속하며, 이는 보조 흐름에 의해 보상되는 복귀 흐름의 끝을 전압 아래에서 기다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일정표(time line)가 전형적으로는 주위 온도에서 수 ㎲만큼 파괴 시간에 접근하거나, 심지어 이것과 같게 된다. 이런 식으로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는 어떠한 기생 에지 효과도 갖지 않는다.
라인 n+1의 신호의 상승 에지(도 16의 (b) 참조)나 상승 보조 에지는 라인 n+1으로부터 멀리는 라인 n까지 보조 흐름의 확산 시간을 보상하기 위해 라인 n의 신호의 하강 에지(도 16의 (a)를 참조)에 대해 앞서 위치해야 한다. 이러한 오프셋은 라인의 폭과 액정의 점도, 그에 따라 그 온도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전극의 기생하는 전기 분해 또는 분극화 현상을 피하기 위해, 도 17에 예시한 바와 같은 양극성(bipolar)의 신호로 도 16에 예시한 단극성의 슬롯 신호를 교체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양극성의 신호의 면밀한 조사를 통해, 만약 신호 라인의 제 2 슬롯이 음이라면, 열 신호의 극성은 도 16에 대해 역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즉, 상태 T를 발생시키기 위해 음의 제 2 열 슬롯, 상태 U를 발생시키기 위해 양의 제 2 열 슬롯).
도 13에 관해, 인터레이스된 전극 라인을 제어하는 두 회로, 즉 "드라이버"(D1 및 D2)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수행을 이제 기재할 것이다.
본 발명자는, 사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어드레싱 공정과 관련된 인터레이스된 라인 어드레싱을 보장하도록 라인 전극과 링크되어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표준 드라이버(D1 및 D2)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디스플레이의 전극의 "설계" 레벨에서, 동일한 패리티(페어 또는 임페어(pair or impair))의 라인은 드라이버(D1)에 접속되고, 다른 패리티의 라인은 예컨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1에 대해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측에 위치한 다른 드라이버(D2)에 접속된다. 그에 따라, 두 인접한 라인 n 및 n+1은 동일한 드라이버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두 상이한 드라이버에 접속된다.
이 공정을 통해, 두 드라이버 표준(D1 및 D2)은 VL 및 Vaux를 충분한 라인에 동시에 인가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변형은 표준 및 경제적인 드라이버로 최적의 수행을 가능케 한다.
만약 상기 예가 단 하나의 오프셋 레지스터를 갖는 STN 타입의 표준 드라이버로 동작할 것이라면, 도 13과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레이스된 라인을 갖는 제어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실, 드라이버가 단 하나의 오프셋 레지스터를 가질 때, 라인 신호 활성화는 단지 라인 단위로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트리거될 수 있다. 이 모드는 그러므로 도 16 및 도 17과 관련하여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은 라인 신호의 인가와 호환할 수 없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결과적으로 도 13에 관련하여 기재한 바와 같이 인터레이스된 라인을 갖는 전극의 "설계"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설계를 사용하면, 두 인접한 라인 n 및 n+1은 동일한 드라이버에 접속되기 보다는 두 상이한 드라이버에 접속된다. 이러한 배치는 (예컨대 드라이버(D1)에 의해 행해진) 한 라인의 활성화를 (예컨대 드라이버(D2)에 의해 행해진) 그 인접한 라인의 활성화로부터 상관해제시키며, 그에 따라 라인 n의 활성 신호를 그 인접한 라인 n+1의 활성 신호와 시간적으로 중첩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라, 선택된 상태에서, 전형적으로는 꼬인 상태 T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라인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보조 전기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라인에 인가된 신호로서, 그 크기가 앵커리지 파괴 전압 미만이고, 그 하강 에지가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해 제어되는 시간과 일치하거나 그에 앞서 위치하는 신호이다.
본 발명에 보조를 맞춘 다른 변형에 따라, 선택된 상태에서, 전형적으로는 꼬인 상태 T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라인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보조 전기 신호는 여러 인접한 라인에 인가된 신호로서, 그 크기가 앵커리지 파괴 전압 미만이고, 그 하강 에지가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해 제어되는 시간과 일치하거나 그에 앞서 위치하는 신호이다..
당연히, 본 발명은 앞에서 기재했던 실시예들로 제한되기 보다는 그 사상에 부합하는 어떠한 변형으로 확장된다.
앞서 기재한 인터레이스된 라인 어드레싱 방식이 본 발명의 사상에 부합하는 모든 변형과 호환 가능함을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위해 기재한 모든 신호에 대해, 라인 및 열 신호는, 예컨대 문헌[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극성이거나 양극성일 수 있다. 기준 전압은 반드시 0V일 필요는 없고, 일부 스크린 드라이버는 가상 접지로 동작할 것이다.
기재한 모든 예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앞선 예들은, 주어진 열의 픽셀에 인가된 열 신호와는 무관하므로 더 큰 자유도로 그렇지만 상이한 라인을 가지고 능동 어드레싱에 적용될 수 있다.
언급한 문헌:
문헌 [1]: US 6327017
문헌 [2]: I. Dozov 등, "Recent improvements of bistable nematic displays switched by anchoring breaking(BiNem)", 회보 SID 2001, 페이지 224-227
문헌 [3]: P. Martinot Lagarde 등, SPIE vol. 5003(2003), 페이지 25-34
문헌 [4]: M. Giocondo, I. Lelidis, I.Dozov,G.Durand, Eur.Phys.J.AP5, 227(1999)
문헌 [5]: I.Dozov, Ph.Martinot-Lagarde, Phys.Rev.E., 58, 7442(1998).
문헌 [6]: FR 2 835 644
문헌 [7]: US 2006-0022919
문헌 [8]: US 7067180
문헌 [9]: WO 2004/104980

Claims (27)

  1.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액정 분자들은 두 안정 상태들을 가지며,
    상기 두 안정 상태들 중 하나는 균일하거나 약간 꼬여 있는 것이고 (U), 상기 액정 분자들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두 안정 상태들 중 다른 하나는 꼬여 있고 (T), 균일 상태로부터 ±180°의 15° 내에서 차별화되는 것이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교차되는 라인들 및 열들로 배치된 픽셀 매트릭스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픽셀(P)의 액정 분자들의 주어진 텍스처로의 상태 스위칭은 각 픽셀을 프레이밍하는(framing) 두 전극(50, 52) 사이에 전기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되며,
    상기 액정 분자들은 브러싱(brushing) 방향에 근접한 특정 방향(18)에서 액정 분자들의 흐름을 생성하며,
    주어진 고유한 텍스처(texture)에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의 어드레싱에서 제 1 단계를 포함하는 두 개의 단계나 하나의 단계 중 어느 하나로 라인 단위의 어드레싱을 통해 동작하는 픽셀들의 어드레싱은 이어지는 제 2의 라인 단위 어드레싱 단계에 의하여 픽셀들(P)의 적어도 일부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집합적으로 실행되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은 그 스위칭이 상기 전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야 하는 픽셀(P)의 상기 흐름 방향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픽셀(58)에 대해, 상기 제어되어야 하는 픽셀(P)의 스위칭을 촉진하도록 주위 온도에서 0과 50 ㎲ 사이의 시간 오프셋으로 상기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앞서거나 일치하게 시간적으로 위치하는 상승 또는 하강 에지를 가지며 파괴 전압 미만의 크기를 갖는 보조 전기 신호들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은 어드레싱이 두 단계로 이뤄질 경우 제 2 단계 동안에 인가되며,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픽셀(58)에 인가된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이, 상기 흐름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어되어야 하는 픽셀(P)의 스위칭을 제어하게 하는 보조 흐름(auxiliary flow)을 상기 인접한 픽셀에서 유도하도록 설계되고,
    균일하거나 약간 꼬인 상태(U)로의 픽셀(P)의 스위칭을 촉진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의 상승 에지가 상기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비해 시간적으로 앞서 위치하고,
    꼬인 상태(T)로의 픽셀(P)의 스위칭을 촉진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의 하강 에지가 상기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시간적으로 일치하거나 앞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이 동시에 여러 인접한 픽셀들(58)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픽셀(58)에 인가된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이, 상기 인접한 픽셀의 두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신호들로서, 열 전극에 대한 기준과 관련한 라인 전극이나 라인 전극에 대한 기준과 관련한 열 전극이나, 또는 라인 전극과 열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들로 형성되는 신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픽셀(58)에 인가된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은 단극성(monopolar) 신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픽셀(58)에 인가된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은 양극성(bipolar) 신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판들(10, 20)의 브러싱 방향(40)이 라인 전극들(52)에 수직한 것과,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이, 열 전극들(50)에 인가되고 상기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해 시간적으로 위치하는 신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이 상기 제어되어야 하는 픽셀(P)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라인 전극(52)에 인가된 신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한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의 에지의 시간 시프트가 주위 온도에서 0과 10㎲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단계의 어드레싱 중 제 2 단계 동안에, 두 플레이트(plates), 즉 앵커리지(anchorage)를 파괴하기 위한 충분히 큰 크기를 갖는 제 1 플레이트와, 그 다음에 오는, 상기 앵커리지를 파괴하기 위한 전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어될 라인에 인가되며,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이 꼬인 상태(T)를 발생시키기 위한 0 신호의 형태, 및 균일하거나 약간 꼬인 상태(U)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의 두 플레이트 사이에서 중간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해 앞서 위치하는 상승 에지를 갖는 슬롯 신호의 형태로 열 전극들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기 신호가 제어될 라인의 아직 기록되지 않은 인접한 라인들(n+1 또는 n+1 및 n+2)에 또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단계의 라인 단위 어드레싱 동안에 활성화되는 라인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보조 전기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라인 및/또는 열 전극들에 인가되며, 이전에 기록된 라인들의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단계의 라인 단위 어드레싱 동안에 활성화되는 라인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보조 전기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라인 및/또는 열 전극들에 인가되고, 기록될 나머지 업스트림 라인들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큰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단계의 어드레싱에서, 제 1 단계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이 선택된 상태, 전형적으로는 꼬인 상태(T)에 놓이며, 상기 제 2 단계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파괴 전압 미만의 크기를 갖는 슬롯들로부터 형성된 라인 활성 신호들로 인해 라인 단위로 동작하며, 상기 보조 전기 신호가, 활성화된 라인의 라인 신호의 하강 에지에 대해 제어된 시간 앞서 위치하는 상승 에지를 갖는, 다음 라인의 활성 신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만약 원하는 결과가 수평의(homogeneous) 또는 약간 꼬인 상태(U)라면, 파괴를 초래하기 위해 상기 활성 신호에 정반대인 극성에 따르고, 만약 원하는 결과가 꼬인 상태(T)라면, 파괴를 피하기 위해 상기 활성 신호와 같은 극성에 따라, 열 신호가 열 전극들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열 전극들에 인가된 신호가 기입되는(inscribed) 라인의 하강 에지에 일치하거나 그 이후에 위치하는 하강 에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레이 레벨들이 상기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한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의 크기 및/ 또는 시간 오프셋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능동 어드레싱을 갖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레이스된 라인 전극들(n, n+2,...n+p-1; n+1, n+3,...n+p-2)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두 제어 회로나 드라이버(D1, D2)를 사용하여, 임의의 두 인접한 라인(n 및 n+1)이 두 상이한 드라이버에 접속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두 드라이버(D1, D2)가, 적어도 특정한 동작 시퀀스 동안에, 첫째 활성 신호들을 특정한 라인들에 동시에 및 각각 인가하고, 둘째 보조 전기 신호들을 특정한 다른 라인들에 동시에 및 각각 인가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두 드라이버(D1, D2)가, 적어도 특정한 동작 시퀀스 동안에, 시간적으로 중첩하는 활성 신호들을 상기 각 라인들에 인가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라인의 선택된 상태, 전형적으로는 꼬인 상태(T)로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보조 전기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라인에 인가된 신호로서, 그 크기가 파괴 전압 미만이고, 그 하강 에지가 상기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해 제어되는 시간에 일치하거나 앞서 위치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라인의 선택된 상태, 전형적으로는 꼬인 상태(T)로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보조 전기 신호가 여러 인접한 라인에 인가된 신호로서, 그 크기가 파괴 전압 미만이고, 그 하강 에지가 상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해 제어되는 시간에 일치하거나 앞서 위치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23. 액정 분자들은 두 안정 상태들을 가지며, 상기 두 안정 상태들 중 하나는 균일하거나 약간 꼬여 있는 것이고 (U), 상기 액정 분자들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두 안정 상태들 중 다른 하나는 꼬여 있고 (T), 균일 상태로부터 ±180°의 15° 내에서 차별화되는 것이며, 교차되는 라인들 및 열들로 배치된 픽셀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각 픽셀을 프레이밍하는 두 전극(50, 52) 사이에 전기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되는 액정 분자들의 상태 스위칭이 특정한 방향(18)에서 액정 분자들의 흐름을 생성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픽셀들(P) 중 적어도 일부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서, 그 스위칭이 상기 전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야 하는 픽셀(P)의 상기 흐름 방향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픽셀(58)에 대해, 상기 제어되어야 하는 픽셀(P)의 스위칭을 촉진하도록, 주위 온도에서 0과 50 ㎲ 사이의 시간 오프셋으로 상기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대해 시간적으로 앞서거나 일치하도록 위치하는 상승 또는 하강 에지를 가지며 파괴 전압 미만의 크기를 갖는 보조 전기 신호들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이 어드레싱이 두 단계로 이루어질 경우 제 2 단계 동안에 인가되며,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픽셀(58)에 인가된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이, 상기 흐름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어되어야 하는 픽셀(P)의 스위칭을 제어하게 하는 보조 흐름(auxiliary flow)을 상기 인접한 픽셀에서 유도하도록 설계되고,
    균일하거나 약간 꼬인 상태(U)로의 픽셀(P)의 스위칭을 촉진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의 상승 에지가 상기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비해 시간적으로 앞서 위치하고,
    꼬인 상태(T)로의 픽셀(P)의 스위칭을 촉진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조 전기 신호들의 하강 에지가 상기 전기 제어 신호의 능동 하강 에지에 시간적으로 일치하거나 앞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마틱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097019433A 2007-02-21 2008-02-20 개선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KR101312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3398A FR2924520A1 (fr) 2007-02-21 2007-02-21 Dispositif afficheur a cristal liquide compren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commutation.
FR0753398 2007-02-21
FR0753626 2007-03-02
FR0753626A FR2924521B1 (fr) 2007-02-21 2007-03-02 Procede de commande d'un afficheur a cristal liquide comprenant une matrice de pixels et afficheur a cristal liquide
PCT/EP2008/052080 WO2008101967A1 (fr) 2007-02-21 2008-02-20 Dispositif afficheur a cristal liquide compren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commu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763A KR20090112763A (ko) 2009-10-28
KR101312757B1 true KR101312757B1 (ko) 2013-09-27

Family

ID=385157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566A KR20090115965A (ko) 2007-02-21 2008-02-20 개선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KR1020097019433A KR101312757B1 (ko) 2007-02-21 2008-02-20 개선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566A KR20090115965A (ko) 2007-02-21 2008-02-20 개선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405591B2 (ko)
EP (2) EP2126887B1 (ko)
JP (2) JP5442454B2 (ko)
KR (2) KR20090115965A (ko)
CN (2) CN101647055B (ko)
FR (2) FR2924520A1 (ko)
TW (1) TW200901152A (ko)
WO (2) WO2008101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2818B (zh) * 2009-11-02 2013-07-21 Wintek Corp 液晶顯示器的驅動方法
US9846308B2 (en) 2014-01-24 2017-12-19 Osterhout Group, Inc. Haptic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0852A (en) * 1992-05-07 1999-05-0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wo metastable state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JP2006529030A (ja) * 2003-05-16 2006-12-28 ネモプティック 双安定ネマティック液晶表示を有する先進的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561A (en) * 1983-04-19 1987-04-07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driving optical modulation device usin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US4870398A (en) * 1987-10-08 1989-09-26 Tektronix, Inc. Drive waveform for ferroelectric displays
FR2740894B1 (fr) 1995-11-08 1998-01-23 Centre Nat Rech Scient Dispositif d'affichage perfectionne a base de cristaux liquides et a effet bistable
GB9807196D0 (en) * 1998-04-03 1998-06-03 Sharp Kk Liquid crystal device
US20030156090A1 (en) * 2002-02-20 2003-08-21 Munn Jason Drury Bi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remote display update control
FR2838858B1 (fr) * 2002-04-19 2004-08-27 Nemoptic Dispositif d'affichage bistable a cristaux liquides comprenant des moyens d'adressage perfectionnes
WO2003102683A1 (en) * 2002-05-29 2003-12-11 Zbd Displays Ltd Liquid crystal device with bi- or multistable alignment gratings
FR2840694B1 (fr) 2002-06-06 2004-08-27 Nemoptic Procede de realisation de dispositifs a cristaux liquides nematiques
FR2847704B1 (fr) 2002-11-26 2005-01-28 Nemoptic Procede et dispositif perfectionnes d'affichage a cristal liquide nematique bistable
FR2874446B1 (fr) * 2004-08-17 2007-01-12 Nemoptic Sa Afficheur a cristal liquide perfectionne notamment par suppression d'effets nefastes sur les bords de zones adressees
FR2874447B1 (fr) * 2004-08-17 2007-01-12 Nemoptic Sa Dispositif afficheur a cristal liquide compren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commutation a la peripherie de l'afficheur
TW200622371A (en) * 2004-12-31 2006-07-01 Wintek Corp A bistable LCD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GB2428152A (en) * 2005-07-08 2007-01-17 Sharp Kk Processing image data for direction dependent viewing on a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0852A (en) * 1992-05-07 1999-05-0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wo metastable state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JP2006529030A (ja) * 2003-05-16 2006-12-28 ネモプティック 双安定ネマティック液晶表示を有する先進的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42455B2 (ja) 2014-03-12
FR2924521A1 (fr) 2009-06-05
KR20090115965A (ko) 2009-11-10
EP2126887B1 (fr) 2014-04-16
CN101641729B (zh) 2013-01-02
CN101647055A (zh) 2010-02-10
CN101641729A (zh) 2010-02-03
US20110063536A1 (en) 2011-03-17
KR20090112763A (ko) 2009-10-28
CN101647055B (zh) 2013-01-09
US20100007652A1 (en) 2010-01-14
JP2010519581A (ja) 2010-06-03
EP2126888B1 (fr) 2014-01-01
JP2010519582A (ja) 2010-06-03
WO2008101969A1 (fr) 2008-08-28
TW200901152A (en) 2009-01-01
US8704976B2 (en) 2014-04-22
EP2126888A1 (fr) 2009-12-02
US8405591B2 (en) 2013-03-26
JP5442454B2 (ja) 2014-03-12
FR2924520A1 (fr) 2009-06-05
EP2126887A1 (fr) 2009-12-02
WO2008101967A1 (fr) 2008-08-28
FR2924521B1 (fr)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571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0151177B1 (ko) 반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
EP0875881A2 (en) Active matrix light modulators, use of an active matrix light modulator, and display
JP3592205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148048B2 (ja) 双安定ネマチ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の制御方法
JP3804581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740860B2 (ja) 双安定ネマティック液晶表示を有する先進的方法および装置
KR101312757B1 (ko) 개선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US810235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0356765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20100149168A1 (en) Method of addressing a liquid crystal matrix screen and device applying this method
US7352346B2 (en) Bi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improved addressing means
JPH07140444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S6294829A (ja) 強誘電性液晶装置
JPS63249130A (ja) 液晶装置の駆動法
JPH07294933A (ja) 液晶電気光学素子
JPH10307285A (ja) 液晶表示素子とその駆動方法
Matuszczyk et al. Simultaneous addressing of two rows in SSFLC displays
JPS6249608B2 (ko)
JPH06208104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駆動方法
KR19990065523A (ko) 쌍안정 트위스티드 네마틱 셀의 구동방법
JPH04114091U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
JPS62260124A (ja) 光学変調素子の駆動法
JP2008242033A (ja) メモリ性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