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624B1 -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 Google Patents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624B1
KR101309624B1 KR1020110084654A KR20110084654A KR101309624B1 KR 101309624 B1 KR101309624 B1 KR 101309624B1 KR 1020110084654 A KR1020110084654 A KR 1020110084654A KR 20110084654 A KR20110084654 A KR 20110084654A KR 101309624 B1 KR101309624 B1 KR 101309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ard
slider
bracket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455A (ko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이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희 filed Critical 이철희
Priority to KR1020110084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6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측에 보드 배치용 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측의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1보드와;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양측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보드에 대해 상대 승강 작동되는 제2보드와; 상기 슬라이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2보드의 양측단부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대 승강되도록 유도하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과;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을 상기 제2보드와 함께 풀어지거나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보드의 승강 작동 중지시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을 정지시켜 상기 제2보드가 필요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포지션 셋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Chalkboard with writing Expansion type chalkboard}
본 발명은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시 사용자가 칠판의 판서면을 상하 방향으로 손쉽게 늘리고 판서면의 승강 위치도 손쉽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편리성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칠판의 판서면 승강 및 확장 구조도 상대적으로 심플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작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작 코스트도 절약할 수 있는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은 학교나 학원 등의 강의실에 비치되어, 강의 내용의 판서를 위해 사용되는 물품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칠판으로는 벽체에 고정되는 칠판(보통, 흑색 칠판이라 함)과 판서면이 백색 코팅 처리된 화이트 보드 칠판과 같이 다양한 칠판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칠판의 판서면을 필요에 따라 늘리거나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사용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취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칠판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칠판의 판서면을 늘리는 구조의 칠판들이 출시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종래의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의 경우, 칠판의 승강장치로서 스프링 또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의 수동방식과, 와이어 또는 체인이나 기어를 이용하여 모터와 연결한 경우 및 유압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의 자동방식이 사용되는데, 상기한 종래의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은 스프링 또는 가스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칠판을 올리거나 내리는 등의 작동이 비교적 어려워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체인이나 기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체인이 기어에서 이탈되어 제품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유압방식의 경우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과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시 사용자가 칠판의 판서면을 상하 방향으로 늘려서 사용하면서도 판서면의 상하 높이도 손쉽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고, 칠판의 판서면의 승강과 확장 구조도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심플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제작 공정시 등에 있어서 보다 신속 용이하고, 이처럼 구조가 종래에 비하여 간소화되는 만큼 제품 신뢰성을 높이고, 제작 공정 등을 단축하여 많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상대적으로 심플한 만틈 제작 코스트 역시 종래에 비하여 절감할 수 있는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취득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에 보드 배치용 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측의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1보드와;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양측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보드에 대해 상대 승강 작동되는 제2보드와; 상기 슬라이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2보드의 양측단부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대 승강되도록 유도하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과;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을 상기 제2보드와 함께 풀어지거나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보드의 승강 작동 중지시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을 정지시켜 상기 제2보드가 필요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포지션 셋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이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의 측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내측 공간부와, 상기 내측 공간부의 바깥 위치에 구비된 외측 공간부를 내부에 구비한 좌우 한 쌍의 직립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직립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와 마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인서트 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그루브에 수용된 베어링볼에 의해 상기 직립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상하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 하우징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내장된 상기 슬라이더에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서 연장되어 타단부측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외측 공간부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의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웨이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내장된 상기 슬라이더에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서 연장되어 타단부측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외측 공간부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포지션 셋터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전방 벽부와 후방 벽부가 형성된 채널 형상의 롤러 브라켓과, 상기 롤러 브라켓의 상기 전방 벽부와 후방 벽부에 회전 중심부가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으로는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이 경유하여 지나가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롤러 브라켓의 상기 전방 벽부와 후방 벽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상기 회전 중심부에 축결합된 볼트와, 상기 볼트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의 양면과 상기 롤러 브라켓의 내부 사이에는 마찰 패드가 개재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의 양면 위치에 두 개의 마찰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마찰 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찰 패드와 상기 롤러 브라켓의 내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인서트 그루브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어링볼이 수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인서트 그루브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오목홈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상기 베어링볼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베어링식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승강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인서트 그루브에는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구조의 보조 롤링홀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 롤링홀은 상기 인서트 그루브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인서트 그루브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어링볼이 수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인서트 그루브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오목홈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볼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베어링식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승강되며,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볼은 상기 인서트 그루브에 상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메탈 베어링볼과 세라믹 베어링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에는 제2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2보드의 측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2브라켓의 연결 부위에는 방진 러버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보드의 양측단부에는 제1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좌우 직립 프레임의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결합 걸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 걸이편의 외측면에는 걸림돌편이 구비되고, 상기 직립 프레임은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제1브라켓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 결합편에는 상기 결합 걸이편의 상기 걸림돌편이 형합되는 걸림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결합 걸이편을 상기 직립 프레임의 상기 제1브라켓 결합편에 끼워서 상기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홈부의 맞결합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을 상기 직립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와 상기 외측 공간부는 중간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에는 오목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내측 공간부의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공간부의 상기 오목 결합홈과 마주하는 내벽면에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의 상기 개구부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단은 상기 내측 공간부의 상기 오목 결합홈에 끼워지고, 상기 도어의 타측단에 형성된 걸림돌부는 상기 내측 공간부의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 전방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막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에 의하면, 사용중에 필요에 따라 제2보드를 사용자가 간단하게 올려주거나 내려주는 작동을 함으로써, 칠판의 판서면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판서면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판서면을 위치를 변경하거나 늘려주는 제2보드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포지션 셋터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소화되어 있으므로, 제작 공정시 신속 용이하고 제작 코스트로 상대적으로 절감되는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보드를 승강시킬 때에 승강 가이드 스트랩이 가이드 롤러를 경유하도록 구성하고, 가이드 롤러는 롤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가이드 롤러는 볼트와 너트의 적절한 조임력에 의해 롤러 브라켓과의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을 가하여, 상기와 같은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 롤러와 이를 경유하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을 제자리에 고정하여 궁극적으로 제2보드를 상하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는 심플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소화되어 작업성 향상을 기할 수 있으며, 제조 코스트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보드의 승강시에 프레임을 따라 상대 승강되는 웨이트에 의해 제2보드의 좌우 균형을 잡을 수 있으므로, 제2보드의 승강 작동시의 원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칠판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보드(rear board)를 제1브라켓에 의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원터치 결합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과 제1보드 사이의 조립과 해체시 등에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브라켓의 결합 걸이편을 프레임을 구성하는 직립 프레임 내측면의 제1브라켓 결합편에 끼워서 걸림돌부와 걸림홈부의 맞결합에 의해 제1브라켓을 직립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서, 제1브라켓에 측단부가 결합된 제1보드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조립이나 해체 작업시 보다 신속 용이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의 주요부인 프레임과 슬라이더 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의 다른 주요부인 포지션 셋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탑캡의 내측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도 3a의 외측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3c는 도 3a의 정면도
도 3d는 도 3a의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바텀캡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측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평면도
도 4d는 도 4a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의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포지션 셋터 부분의 확대된 사시도
도 12a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b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포지션 셋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의 주요부인 프레임과 슬라이더의 변형된 실시예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칠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측에 보드 배치용 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 내측의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1보드(20)와, 프레임(10)의 좌우 양측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30)와, 이러한 슬라이더(30)에 양측단부가 연결되어 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슬라이더(30)의 승강에 따라 제1보드(20)에 대해 상대 승강 작동되면서 판서면의 위치를 설정하고 판서면을 확장시키는 제2보드(40)와, 상기 슬라이더(3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연결되어 제2보드(40)의 양측단부가 프레임(10)을 따라 상대 승강되도록 유도하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50)과,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을 제2보드(40)와 함께 풀어지거나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보드(40)의 승강 작동 중지시에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을 정지시켜 제2보드(40)가 필요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포지션 셋터(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프레임(10)은 좌우로 나란한 한 쌍의 직립 프레임(10A)의 상단부에 탑프레임(10B)이 연결되어, 프레임(10)이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직립 프레임(10A)은 본 발명의 칠판의 판서면을 구성하는 제1보드(20)와 제2보드(40)의 측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내측 공간부(10A1)와, 이러한 내측 공간부(10A1)의 바깥 위치에 구비된 외측 공간부(10A2)를 갖는 대략 단면 직사각형 바아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와 외측 공간부(10A2)가 중간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다.
또한, 격벽에는 오목 결합홈(10g1)이 구비된다. 격벽과 일체화되면서 내측 공간부(10A1) 방향으로 튀어나온 돌출부에 의해 오목 결합홈이 외측 공간부(10A2)와 연통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목 결합홈은 직립 프레임(10A)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슬릿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이드부(12)가 연장되어 있고,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외표면에는 길다란 오목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 가이드부(12)는 좌우 두 개의 측벽부에 후방 벽부가 일체화되고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단면 사각의 채널 형상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 가이드부(12)를 구성하는 두 개의 좌우 측벽부 외표면과 후방 벽부의 외표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오목홈이 형성된 구조이며, 이러한 상하 길다란 오목홈에는 베어링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베어링볼(34)(후술함)의 일부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전방 개구부는 프레임 커버(126)에 의해 막을 수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좌우 측벽부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오목한 돌기홈이 구비되고, 프레임 커버(126)는 중간의 막음 벽부의 양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측벽부가 구비되며, 측벽부의 외표면에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126)를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전방 개구부를 통해서 밀어 넣으면, 프레임 커버(126)의 좌우 측벽부에 구비된 돌기가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좌우 측벽부에 내측면에 마주보도록 형성된 돌기홈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므로, 프레임 커버(126)에 의해 슬라이딩 가이드부(12) 전방의 개구부를 막아주면서도 프레임 커버(126)는 슬라이딩 가이드부(12), 구체적으로는, 직립 프레임(10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 공간부(10A1)의 오목 결합홈과 마주하는 내벽면에는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는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즉, 도어(13)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도어(13)의 일측단은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에 형성된 오목 결합홈에 끼워지고, 도어(13)의 타측단에 형성된 걸림돌부(13a)는 내측 공간부(10A1)의 걸림홈부에 결합되어, 도어(13)가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 전방의 개구부를 막은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는 제1보드(20)와 제2보드(40)의 측단부와 마주하는 면에 제2보드(40)를 장착하기 위한 제2브라켓(42)이 투입되는 슬릿이 구비되어 있다. 이 슬릿은 직립 프레임(10A)의 제1보드(20) 및 제2보드(40)와 마주하는 전방 내측벽(15a)과 후방 내측벽(15b)의 이격된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슬릿은 직립 프레임(10A)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서, 이러한 슬릿을 따라 제2브라켓(42)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으며, 제2브라켓(42)에 연결된 제2보드(40)도 직립 프레임(1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립 프레임(10A)은 제1보드(20)의 측단부와 마주하는 면, 다시 말해, 후방 내측벽(15b)에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제1브라켓 결합편(15c)이 형성되어, 이러한 제1브라켓 결합편(15c)에 후술할 제1브라켓(22)의 결합 걸이편(24)이 끼워져 조립된다. 도 1 참조.
두 개의 나란한 직립 프레임(10A) 상단부에 탑프레임(10B)이 탑캡(90)을 매개로 결합됨으로써, 대략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탑프레임(10B)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이러한 중공부는 저면으로 연통된 대략 단면 사각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탑캡(90)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내부의 중간 위치에는 수평 방향의 받침부(92)가 구비되고 상단부와 외측단은 막혀 있으며, 내측면(즉, 탑프레임(10B)의 단부를 향하는 면)은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탑캡(90) 내부의 받침부(92)에는 좌우로 나란한 한 쌍의 보스(94)가 구비되고, 보스(94)에는 상하단으로 연통된 통공(94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탑캡(90)의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인서트 풋트(96)가 구비되어 있으며, 탑캡(9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9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탑캡(90)의 내측단 개구부를 통해 탑프레임(10B)의 양단부에 한 쌍의 탑캡(90)을 끼우고, 탑캡(90) 전면의 체결구 결합홀(98)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탑프레임(10B)에 조여주면, 탑프레임(10B)의 양단부에 탑캡(90)이 결합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탑캡(90) 하단부의 인서트 풋트(96)를 좌우 두 개의 직립 프레임(10A) 상단부에 끼워서 체결구(미도시)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좌우 두 개의 직립 프레임(10A)에 탑프레임(10B)이 결합된 대략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0)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10) 내측에 본 발명의 판서면을 형성하는 제1보드(20)와 제2보드(40)를 지지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립 프레임(10A)의 하단부에는 바텀캡(100)이 결합되고, 바텀캡(100)에는 풋트 스크류(11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텀캡(100)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의 중앙부에는 너트 인서트홈(102)이 구비된 대략 직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바텀캡(100)의 너트 인서트홈(102)에는 금속재의 너트(104)가 인서트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바텀캡(100)의 상단부에는 복수개의 인서트 풋트(10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풋트 스크류(110)는 바텀캡(100) 하단 중앙부에 구비된 너트(104)에 볼트식으로 결합되는 스크류축(112)과, 이 스크류축(112)의 하단부에 구비된 서포팅 풋트(114)로 구성된다.
따라서, 바텀캡(100)의 상단부에 구비된 인서트 풋트(106)를 대략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좌우 직립 프레임(10A)의 하단부에 끼워서 체결구를 매개로 고정하면, 서포팅 풋트(114)에 의해 프레임(10)의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직립 프레임(10A)은 제1보드(20)의 측단부와 마주하는 면에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제1브라켓 결합편(15c)이 형성되어, 직립 프레임(10A)의 제1브라켓 결합편(15c)에 제1브라켓(22)의 결합 걸이편(24)이 끼워져 조립된다. 즉, 제1브라켓(22)은 내측단에 제1보드(20)의 측단부가 끼워지는 보드 삽입부(26)가 형성되고, 보드 삽입부(26)의 외측단에는 상기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좌우 직립 프레임(10A)의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결합 걸이편(24)이 구비되고, 이러한 결합 걸이편(24)의 외측면에는 걸림돌편(24a)이 구비된다. 그리고, 직립 프레임(10A)의 후방 내측벽(15b)에는 걸림홈부(15d)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22)의 결합 걸이편(24)을 직립 프레임(10A)의 제1브라켓 결합편(15c)에 끼워서 상기 걸림돌부(13a)와 걸림홈부(15d)의 맞결합에 의해 제1브라켓(22)을 직립 프레임(1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브라켓(22)에 측단부가 결합된 제1보드(20)가 결과적으로 프레임(10)의 직립 프레임(10A) 내측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보드(20)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1보드(20)는 화이트 보드 등으로 구성되어, 제1보드(20)에 의해 판서면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22)의 보드 삽입부(26)에 직립 프레임(10A)의 후방 내측벽(15b)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체결구 결합편이 구비되고, 직립 프레임(10A)의 후방 내측벽(15b)에는 상기 제1브라켓(22)의 체결구 결합편과 맞닿는 체결구 조임편(17a)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 결합편과 체결구 조임편(17a)에 볼트 등의 체결구(15b)를 결합함으로써, 제1브라켓(22)을 매개로 제1보드(20)를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보드(40)는 제1보드(20)와 유사한 사이즈의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제2보드(40)의 둘레부에는 보드 프레임(48)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2보드(40)의 양쪽 측단부는 제2브라켓(42)과 후술할 슬라이더(3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한 쌍의 직립 프레임(10A)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42)은 한 쌍의 제2 상측 브라켓(44)과 제2 하측 브라켓(46)으로 구성되어, 이러한 제2 상측 브라켓(44)과 제2 하측 브라켓(46) 및 슬라이더(30)를 매개로 제2보드(40)의 양쪽 측단부가 프레임(10)의 좌우 한 쌍의 직립 프레임(1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측 브라켓(44)은 판형상의 연결 지지편과, 이 연결 지지편의 일측 상단부에 직교하는 전방으로 연장된 보드 장착편(44b)과, 연결 지지편의 타측에 전후면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구 결합홀과, 이러한 체결구 결합홀의 상부 위치에 배열되도록 연결 지지편에 형성된 스트랩 연결홀(44d)을 갖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2 상측 브라켓(44)의 연결 지지편에 형성된 보드 장착편(44b)의 체결구 결합홀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제2보드(40)의 양쪽 측단부에 인접한 상단부 위치에 조여줌으로써, 한 쌍의 제2 상측 브라켓(44)을 제2보드(40)의 양쪽 측단부 상측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는 보드 장착편(44b)에 두 개의 체결구 결합홀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측 브라켓(46)은 판형상의 연결 지지편과, 이 연결 지지편의 일측 상단부에 직교하는 전방으로 연장된 보드 장착편과, 연결 지지편의 타측에 전후면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구 결합홀을 갖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2 하측 브라켓(46)의 연결 지지편에 형성된 보드 장착편의 체결구 결합홀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제2보드(40)의 양쪽 측단부에 인접한 하단부 위치에 조여줌으로써, 한 쌍의 제2 하측 브라켓(46)을 제2보드(40)의 양쪽 측단부 하측에 고정할 수 있다. 결국, 사각판 형태의 제2보드(40)의 좌우 상하단 위치에는 한 쌍의 제2 상측 브라켓(44)과 한 쌍의 제2 하측 브라켓(46)이 고정되어, 제2보드(40)의 상하 좌우 네 군데 코너부에 각각 하나씩 총 네 개의 브라켓이 구비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2보드(40)는 전술한 제2브라켓(42)과 슬라이더(30)를 통해서 프레임(10)의 좌우 직립 프레임(10A)에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직육면체 블록 형태로 구성되는데, 슬라이더(30)의 배면에는 제2 상측 브라켓(44)의 체결구 결합홀과 제2 하측 브라켓(46)의 체결구 결합홀과 만나는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 상측 브라켓(44)의 체결구 결합홀과 제2 하측 브라켓(46)의 체결구 결합홀을 통과하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슬라이더(30) 배면의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주면, 슬라이더(30)가 제2 상측 브라켓(44)과 제2 하측 브라켓(46)에 고정되고, 이러한 제2브라켓(42)을 통해 제2보드(40)의 양쪽 측단부에 한 쌍의 좌우 슬라이더(30)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은 제1보드(20)와 제2보드(40)의 측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내측 공간부(10A1)와, 이 내측 공간부(10A1)의 바깥 위치에 구비된 외측 공간부(10A2)를 갖는 좌우 한 쌍의 직립 프레임(10A)을 포함하고,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오목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30)는 직립 프레임(10A) 내부의 슬라이딩 가이드부(12)에 형성된 오목홈과 마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인서트 그루브(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서트 그루브(32)에 수용된 베어링볼(34)에 의해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에 구비된 슬라이딩 가이드부(12)에 슬라이더(30)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2보드(40)가 상기 제2브라켓(42)과 슬라이더(30)를 통해서 프레임(10)의 좌우 직립 프레임(10A)에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30)의 전면 중앙부에는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슬라이딩 가이드부(12)에 형합되는 대략 사각홈 형상의 슬라이딩 가이드홈(38)이 구비되고, 이러한 슬라이딩 가이드홈(38)의 좌우 내측벽과 후방벽에는 각각 인서트 그루브(32)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인서트 그루브(32)에 복수개의 베어링볼(34)이 수납되어, 상기 슬라이더(30)의 인서트 그루브(32)와 프레임(10)의 내측 공간부(10A1), 다시 말해,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에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오목홈(12a)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베어링볼(34)에 의해 슬라이더(30)가 베어링식으로 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승강되고, 결과적으로, 상하 승강되는 슬라이더(30)에 의해 제2보드(40)의 양쪽 측단부가 직립 프레임(10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제2보드(40)가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상하로 상대 승강되면서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더(30)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판형상의 볼베어링 커버(35)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서, 슬라이더(30)의 인서트 그루브(32)에 수납되어 있는 복수개의 베어링볼(34)이 슬라이더(30)의 상단부와 하단부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슬라이더(3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3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슬라이더(30)의 체결구 결합홀(37)에 볼베어링 커버(35)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체결구가 조여짐으로써, 슬라이더(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볼베어링 커버(35)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볼베어링 커버(35)가 슬라이더(3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막고 있으므로, 베어링볼(34)이 슬라이더(30)에서 쏟아지지 않고 인서트 그루브(32)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인서트 그루브(32)는 베어링볼(34)의 중심부보다 내측으로 더 전진한 상태에서 베어링볼(34)을 수용하므로, 베어링볼(34)에 인서트 그루브(32)에서 안쪽으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공간부(10A1)에 내장된 슬라이더(30)에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은 프레임(10)의 내측 공간부(10A1)에서 연장되어 타단부측이 프레임(10)의 외측 공간부(10A2) 내부로 투입되며, 이러한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타단부는 프레임(10)의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웨이트(70)에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웨이트(70)의 재질은 납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웨이트(70)의 재질이 납인 경우에는 웨이트(70)의 외표면을 수지 재질의 외피에 의해 감싸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70)에서 납가루가 나와서 교실에 있는 학생들에게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직립 프레임(10A)의 내부는 중간의 격벽에 의해 내측 공간부(10A1)와 외측 공간부(10A2)로 구획되는데,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에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일단부가 투입되어 슬라이더(30), 구체적으로, 제2보드(40)에 연결된 제2상측 프레임(10)의 스트랩 연결홀(44d)에 연결되는 한편,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타단부는 직립 프레임(10A)의 외측 공간부(10A2)로 투입되어 블록 형태의 웨이트(70)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포지션 셋터(60) 부분을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이 경유함과 동시에,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일단부는 상기 제2보드(40)에 결합된 제2 상측 브라켓(44)의 스트랩 연결홀(44d)에 연결되고,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타단부는 상기 웨이트(7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포지션 셋터(60)는 프레임(10)의 상단부, 정확하게는 직립 프레임(10A)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프레임(10)의 전후방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전방 벽부(62a)와 후방 벽부(62b)가 형성된 채널 형상의 롤러 브라켓(62)과, 이러한 롤러 브라켓(62)의 전방 벽부(62a)와 후방 벽부(62b)에 회전 중심부가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으로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이 경유하여 지나가는 가이드 롤러(64)와, 상기 롤러 브라켓(62)의 전방 벽부(62a)와 후방 벽부(62b)를 관통하면서 가이드 롤러(64)의 상기 회전 중심부에 축결합된 볼트(66)와, 이러한 볼트(66)에 체결된 너트부재(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브라켓(62)은 바닥부(62c)의 전후단에 상향으로 연장된 전방 벽부(62a)와 후방 벽부(62b)가 구비된 채널 형상으로 구성되고, 롤러 브라켓(62)의 바닥부(62c)에는 한 쌍의 통공(6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직립 프레임(10A)과 탑프레임(10B)은 상기 탑캡(9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탑캡(90)의 내부에 구비된 수평 방향의 받침편에 탑프레임(10B)의 하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삽입되고, 탑캡(90)에 투입된 탑프레임(10B) 내부에는 채널 형상의 롤러 브라켓(62)이 삽입되며, 롤러 브라켓(62)의 바닥부(62c)에 형성된 두 개의 통공(62d)이 탑캡(90)에 구비된 보스부(94)와 만나서 보스부(94) 내부의 통공(94a)과 연통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롤러 브라켓(62)의 통공(62d)과 탑캡(90)의 보스부(94) 내부 통공(94a)에 동시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함으로써, 롤러 브라켓(62)을 탑캡(90)의 내부에 고정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는 중앙부에 상하단으로 연통된 통공(미도시)이 구비되어, 한쪽 체결구의 통공으로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이 통과하여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일단부가 상기 제2보드(40)에 장착된 제2상측 프레임(10)의 스트랩 연결홀(44d)에 연결되고,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타단부는 다른쪽 체결구의 통공을 통해 아래로 내려가서 웨이트(70)에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이 가이드 롤러(64)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지나가면서 한쪽 위치의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은 롤러 브라켓(62)의 한쪽 통공(62d)을 지나고 다른쪽 위치의 승강 가이드 스트랩(50) 부분은 롤러 브라켓(62)의 다른쪽 통공(62d)을 지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 롤러(64)의 외주면을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이 경유하면서 롤러 브라켓(62)의 한쪽 통공(62d)과 탑캡(90)의 한쪽 보스부(94)에 구비된 한쪽 체결구의 통공으로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일단부가 통과하여 제2보드(4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상측 브라켓(44)에 연결되는 동시에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타단부는 롤러 브라켓(62)의 다른쪽 통공(62d)과 탑캡(90)의 다른쪽 보스부(94)에 구비된 다른쪽 체결구의 통공을 지나서 웨이트(70)에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이 한가닥으로 가이드 롤러(64)의 외주면을 지나갈 수도 있지만,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이 두 가닥으로 지나가도록 할 수 있다. 도 12b의 경우에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을 가이드 롤러(64)의 외주면에 한바퀴 돌아서 감아주면,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이 두 가닥으로 경유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가이드 롤러(64)의 회전에 따라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이 당겨지거나 풀어지는 동작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져서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양쪽 단부가 직립 프레임(10A)의 내부에서 보다 확실하게 오르거나 내려가는 동작을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칠판의 작동 신뢰성을 보다 확실하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직립 프레임(10A)에 양쪽 측단부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제2보드(40)를 상측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 가이드 롤러(64)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이 프레임(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작동을 하는데, 가이드 롤러(64)를 지지하는 롤러 브라켓(62)의 전방 벽부(62a)와 후방 벽부(62b)에 가이드 롤러(64)의 양면이 볼트와 너트(104)의 체결력에 의해 적절한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제2보드(40)가 승강된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즉, 가이드 롤러(64)가 볼트와 너트(104)의 조임력에 의해 롤러 브라켓(62)에 적절한 마찰력을 가지고 밀착되어 있는 상태라서 제2보드(40)를 강제로 내리거나 올리는 힘을 작용시키지 않는 이상 가이드 롤러(64)가 회전되지 않고 정지되면서 승강 가이드 스트랩(50)도 제자리에 정지되도록 하므로, 제2보드(40)가 승강 위치에서 셋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서 주요부의 하나인 프레임(10)은 월브라켓(6)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고, 프레임(10)의 하단부는 스크류 풋트(110)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월브라켓(6)은 수평부와 수직부가 구비되고, 수평부와 수직부에는 각각 체결구 결합홀이 형성되어, 수평부와 수직부를 관통하는 체결구를 각각 프레임(10)의 상단부와 벽체에 조여줌으로써 벽체에 프레임(10)을 세워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월브라켓(6)에 의해 프레임(10)의 상단부가 벽체에 고정되고, 스크류 풋트(110)에 의해 지면에 프레임(10)의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6과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드(40)를 위로 밀어서 올려주면, 상기 포지션 셋터(60)를 구성하는 가이드 롤러(64)가 회전하면서 제2보드(40)의 제2브라켓(42)에 연결된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일단부측은 위로 올라가고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타단부측과 웨이트(70)는 프레임(10), 정확하게는, 직립 프레임(10A)의 내부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한편, 상기 포지션 셋터(60)의 주요부인 가이드 롤러(64)는 볼트와 너트(104)의 조임력에 의한 적절한 마찰력에 의해 롤러 브라켓(62)에 밀착되어 회전되지 않고 정지되므로, 제2보드(40)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도 7과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드(40)를 위에서 아래로 밀어서 내려주면, 상기 포지션 셋터(60)를 구성하는 가이드 롤러(64)가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보드(40)의 제2브라켓(42)에 연결된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일단부측은 아래로 내려가고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의 타단부측과 웨이트(70)는 프레임(10), 정확하게는, 직립 프레임(10A)의 내부에서 위로 올라가는 한편, 상기 포지션 셋터(60)의 주요부인 가이드 롤러(64)는 볼트와 너트(104)의 조임력에 의한 적절한 마찰력에 의해 롤러 브라켓(62)에 밀착되어 회전되지 않고 정지되므로, 제2보드(40)가 하강한 위치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중에 필요에 따라 제2보드(40)(전술한 바와 같이, 화이트 보드가 될 수 있음)를 사용자가 간단하게 올려주거나 내려주는 작동을 함으로써, 칠판의 판서면을 확장하거나 낮추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제2보드(40)를 잡고 올리거나 내려주는 동작만 해주면, 상기와 같은 포지션 셋터(60)에 의한 적절한 마찰력에 의해 제2보드(40)가 상승한 위치나 하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보드(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 다시 말해, 포지션 셋터(60)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소화되어 있으므로, 제작 공정시 신속 용이하고 제작 코스트로 상대적으로 절감되는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보드(40)를 승강시킬 때에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이 가이드 롤러(64)를 경유하도록 구성하고, 가이드 롤러(64)는 롤러 브라켓(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가이드 롤러(64)는 볼트와 너트(104)의 적절한 조임력에 의해 롤러 브라켓(62)과의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을 가하여, 제2보드(40)를 사용자가 강제로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가 아니면, 상기와 같은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 롤러(64)와 이를 경유하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50)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간소화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소화되어 작업성 향상을 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조 코스트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스프링(82) 또는 가스스프링(82)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칠판을 올리거나 내리는 등의 작동이 비교적 어려워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체인이나 기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체인이 기어에서 이탈되어 제품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유압방식의 경우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과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보드(40)의 승강시에 프레임(10)을 따라 상대 승강되는 웨이트(70)에 의해 제2보드(40)의 좌우 균형을 잡을 수 있으므로, 제2보드(40)의 승강 작동시의 원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칠판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1보드(20)(rear board)를 제1브라켓(22)에 의해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원터치 결합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10)과 제1보드(20) 사이의 조립과 해체시 등에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제1브라켓(22)의 결합 걸이편(24)을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직립 프레임(10A) 내측면의 제1브라켓 결합편(15c)에 끼워서 걸림돌부(24a)와 걸림홈부(15d)의 맞결합에 의해 제1브라켓(22)을 직립 프레임(1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서, 제1브라켓(22)에 측단부가 결합된 제1보드(20)가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조립이나 해체 작업시 보다 신속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직립 프레임(10A)의 일측 전면 개구부는 도어(13)에 의해 커버되고, 도어(13)의 일측단은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에 형성된 오목 결합홈에 끼워지고, 도어(13)의 타측단에 형성된 걸림돌부(13a)는 내측 공간부(10A1)의 걸림홈부에 결합되어, 도어(13)가 직립 프레임(10A)의 전방 개구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도어(13)를 필요시 열어서 점검을 하거나 직립 프레임(10A) 내부에 웨이트(70)를 수납하는 등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직립 프레임(10A)의 내측 공간부(10A1)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 구체적으로, 직립 프레임(10A)의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탈부착 가능한 프레임 커버(126)에 의해 막아주는데, 경우에 따라 프레임 커버(126)를 투광성의 투명 재질로 구성하고, 프레임 커버(126)의 안쪽에는 엘이디와 같은 발광체를 배치함으로써 칠판 제품의 미관을 높이는 등의 효과를 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칠판 제품의 상품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인데, 도 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더(30)의 인서트 그루브(32)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어링볼(34)이 수납되어, 슬라이더(30)의 인서트 그루브(32)와 프레임(10)의 내측 공간부(10A1)에 구비된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오목홈(12a)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베어링볼(3)에 의해 슬라이더(30)가 베어링식으로 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승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더(30)의 인서트 그루브(32)에는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구조의 보조 롤링홀(36)이 구비되고, 보조 롤링홀(36)은 인서트 그루브(32)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태로 구성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더(30)가 베어링볼(34)의 구름 운동에 의해 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때에 보조 롤링홀(36)에 의해 베어링볼(34) 사이의 구름 마찰력을 보다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작동시 생기는 소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면서도 베어링볼(34)의 마모 정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칠판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인서트 그루브(32)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어링볼(34)이 수납되어, 슬라이더(30)의 인서트 그루브(32)와 프레임(10)의 내측 공간부(10A1)에 구비된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오목홈(12a)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복수개의 베어링볼(34)에 의해 슬라이더(30)가 베어링식으로 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승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볼(34)은 인서트 그루브(32)에 상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메탈 베어링볼(34a)과 세라믹 베어링볼(34b)로 구성한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메탈 베어링볼(34a)끼리 마찰되지 않고 메탈 베어링볼(34a)과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세라믹 베어링볼(34b)이 상호 구름 운동하도록 구성하여, 메탈 베어링볼(34a)끼리 마찰되는 경우에 비하여 베어링볼(34) 사이의 마찰력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줄이고, 베어링볼(34) 자체의 마모도 역시 낮출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실시예 역시 슬라이더(30) 작동시의 소음 발생 최소화 효과와 베어링볼(34) 자체의 마모도를 낮추어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더(30)에 제2브라켓(42)을 매개로 제2보드(40)의 측단부가 연결되는데, 상기 슬라이더(30)와 제2브라켓(42)의 연결 부위에는 방진 러버(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방진 러버(120)는 제2브라켓(42)의 배면 또는 제2브라켓(42)과 슬라이더(30) 사이에 개재되어 볼트 등의 체결구나 접착제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진 러버(120)가 구비된 경우에는 슬라이더(30)의 상하 승강 작동시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진동이 흡수된 만큼 소음을 줄여 칠판 제품의 상품성을 보다 높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데,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롤러(64)의 양면과 롤러 브라켓(62)의 내부 사이에는 마찰 패드(80)가 개재되어 가이드 롤러(64)의 양면 위치에 두 개의 마찰 패드(80)가 구비되고, 상기 마찰 패드(8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찰 패드(80)와 롤러 브라켓(62)의 내부 사이에는 스프링(82)이 개재된 구조인데,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82)의 탄성력에 의해 롤러 브라켓(62)과 가이드 롤러(64) 사이의 적절한 마찰력 확보를 보다 확실하게 함으로써 제2보드(40)의 상하 승강 위치를 보다 견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칠판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2보드(40)의 상하 승강 높이를 셋팅한 상태에서 가이드 롤러(64)가 롤러 브라켓(62)에서 슬립됨으로 인한 제2보드(40)의 상하 셋팅 위치가 변할 수 있는 여지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프레임 13. 도어
20. 제1보드 30. 슬라이더
34. 베어링볼 40. 제2보드
50. 승강 가이드 스트랩 62. 롤러 브라켓
64. 가이드 롤러 66. 볼트
68. 너트부재 70. 웨이트
80. 마찰패드 82. 스프링
90. 탑캡 100. 바텀캡
110. 풋트 스크류 120. 방진 러버
126. 프레임 커버

Claims (10)

  1. 내측에 보드 배치용 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측의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1보드와;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양측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보드에 대해 상대 승강 작동되는 제2보드와;
    상기 슬라이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2보드의 양측단부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대 승강되도록 유도하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과;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을 상기 제2보드와 함께 풀어지거나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보드의 승강 작동 중지시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을 정지시켜 상기 제2보드가 필요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포지션 셋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의 측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내측 공간부와, 상기 내측 공간부의 바깥 위치에 구비된 외측 공간부를 내부에 구비한 좌우 한 쌍의 직립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직립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와 마주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인서트 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그루브에 수용된 베어링볼에 의해 상기 직립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상하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 하우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내장된 상기 슬라이더에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서 연장되어 타단부측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외측 공간부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의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웨이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내장된 상기 슬라이더에는 승강 가이드 스트랩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서 연장되어 타단부측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외측 공간부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포지션 셋터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전방 벽부와 후방 벽부가 형성된 채널 형상의 롤러 브라켓과, 상기 롤러 브라켓의 상기 전방 벽부와 후방 벽부에 회전 중심부가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으로는 상기 승강 가이드 스트랩이 경유하여 지나가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롤러 브라켓의 상기 전방 벽부와 후방 벽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상기 회전 중심부에 축결합된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된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양면과 상기 롤러 브라켓의 내부 사이에는 마찰 패드가 개재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의 양면 위치에 두 개의 마찰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마찰 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찰 패드와 상기 롤러 브라켓의 내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인서트 그루브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어링볼이 수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인서트 그루브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상기 베어링볼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베어링식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승강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인서트 그루브에는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구조의 보조 롤링홀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 롤링홀은 상기 인서트 그루브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인서트 그루브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어링볼이 수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인서트 그루브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볼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베어링식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승강되며,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볼은 상기 인서트 그루브에 상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메탈 베어링볼과 세라믹 베어링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제2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2보드의 측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2브라켓의 연결 부위에는 방진 러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드의 양측단부에는 제1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좌우 직립 프레임의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결합 걸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 걸이편의 외측면에는 걸림돌편이 구비되고,
    상기 직립 프레임은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제1브라켓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 결합편에는 상기 결합 걸이편의 상기 걸림돌편이 형합되는 걸림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결합 걸이편을 상기 직립 프레임의 상기 제1브라켓 결합편에 끼워서 상기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홈부의 맞결합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을 상기 직립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측 공간부와 상기 외측 공간부는 중간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에는 오목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내측 공간부의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공간부의 상기 오목 결합홈과 마주하는 내벽면에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의 상기 개구부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단은 상기 내측 공간부의 상기 오목 결합홈에 끼워지고 상기 도어의 타측단에 형성된 걸림돌부는 상기 내측 공간부의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 전방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막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KR1020110084654A 2011-08-24 2011-08-24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KR101309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654A KR101309624B1 (ko) 2011-08-24 2011-08-24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654A KR101309624B1 (ko) 2011-08-24 2011-08-24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455A KR20130022455A (ko) 2013-03-07
KR101309624B1 true KR101309624B1 (ko) 2013-09-17

Family

ID=4817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654A KR101309624B1 (ko) 2011-08-24 2011-08-24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01B1 (ko) * 2013-04-23 2014-08-01 이철희 판서 보드 승강 기능을 구비한 칠판
KR101654460B1 (ko) * 2015-02-12 2016-09-05 (주)금강칠판교구산업 스탠드타입 고정식 다면칠판
KR101878641B1 (ko) * 2018-05-15 2018-07-13 김성동 전동식 이젤
CN109733093A (zh) * 2019-01-03 2019-05-10 黄锦洪 一种左右移动自动复位的电教写字板
CN113183662B (zh) * 2021-05-10 2024-03-08 江西儒昕艺术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艺术培训的教学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162B1 (ko) * 2006-12-18 2008-06-13 이호균 승강가능한 복수의 화이트보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162B1 (ko) * 2006-12-18 2008-06-13 이호균 승강가능한 복수의 화이트보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455A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624B1 (ko) 판서면 승강 조절 구조를 구비한 칠판
US8505609B2 (en) Safety assembly for a roller blind
KR20150109653A (ko) 구동롤러를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TW201513816A (zh) 無拉繩式窗簾總成
KR101665116B1 (ko) 폴딩 도어용 힌지장치
JP4475667B2 (ja) 振止め構造を備えている吊戸
KR20100120035A (ko)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20160071976A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 가변형 파티션
KR200453189Y1 (ko) 슬라이딩 도어가 내장된 파티션
CN202926044U (zh) 一种推拉门窗锁体装置及锁闭系统
JP2011163067A (ja) 間仕切り用移動家具
KR20080019103A (ko) 엘리베이터의 양방향 비상 정지 장치
KR200480320Y1 (ko) 칸막이
JP5296729B2 (ja)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ガイド構造
JP3829241B2 (ja) 収納庫
JPH0648074Y2 (ja) 障子のパネル取付け構造
CN210594822U (zh) 一种电梯轿底减振装置
JP2008297742A (ja) 可動間仕切り装置
CN206279908U (zh) 木门挡门装置
CN218754403U (zh) 一种电梯轿架结构
JP2013014104A (ja) ボード昇降機構
KR200408707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
JP44424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94027A (ja) 引戸の上部ガイド構造
JP3133557U (ja) パネルのロッド調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