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232B1 -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232B1
KR101308232B1 KR1020100004940A KR20100004940A KR101308232B1 KR 101308232 B1 KR101308232 B1 KR 101308232B1 KR 1020100004940 A KR1020100004940 A KR 1020100004940A KR 20100004940 A KR20100004940 A KR 20100004940A KR 101308232 B1 KR101308232 B1 KR 10130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motin
composition
ethanol
cells
casp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260A (ko
Inventor
김명옥
미나 엘. 나르시안
엠. 임란 나사르
레이 에이. 브레산
윤대진
이혜령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0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232B1/ko
Priority to US13/811,893 priority patent/US9352018B2/en
Priority to PCT/KR2010/009317 priority patent/WO2011090270A2/ko
Publication of KR2011008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nerv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신경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신경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 comprising osmotin}
본 발명은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신경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신경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 및 동물 모계의 알코올 섭취는 자손의 뇌 발달에 손상을 미친다. 기초가 되는 한 메카니즘은 에탄올이 대뇌피질, 해마, 소뇌, 후각근과 같은 다양한 뇌 영역에 있는 신경의 수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에탄올의 반응은 변형된 신경 이동과 증가된 세포 죽음을 반영한다. 특히 뇌 발달 동안에 에탄올에 노출되면 노출 정도의 심각성에 따라 과다활동(hyperactivity)을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neurological disorders), 학습능력과 기억능력 결함, 정신 지체(mental retardation), 정신병(psychosis), 우울증(depression), 정신분열(schizophrenia)을 동반한 태아 알코올 효과(fetal alcohol effects, FAE) 또는 태아 알코올 증후군(fetal alcohol syndrome, FAS)이라고 불리는 신경발달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에탄올은 노출 후 12시간 이내에 아폽토시스와 신경퇴행에 의한 두개골 안면 기형을 유발한다. 상기와 같은 신경퇴행은 에탄올이 NMDA 길항제 및 GABA 모방 특성을 가지고 있고, 자살 유발과 같은 신경 활동 비정상적인 억제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일어난다.
태아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s, FASD)는 미국에서 태어난 100명의 아이들 중 1명에게 나타나며, 많은 메카니즘이 에탄올 신경 독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산화 스트레스, 아폽토시스의 유도, 흥분독성, 세포-세포 상호작용의 파괴, 성장 인자 활동의 방해와 같은 것들이 바로 그것이다. 에탄올은 신경발생, 신경이동, 또는 세포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의해 뇌 발달에 손상을 준다. 이러한 연구는 FAS가 정신 지체의 주요한 비-유전적 원인임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FAS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임신 중 알코올 섭취, 과도한 과음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모체에 있어서 태아의 FAS를 예방 또는 되돌리긴 위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다.
자유라디칼의 손상 및 세포 내 Ca2 +에서의 빠른 변화는 에탄올 발작에 의해 활성화된 신호 전달 경로의 요소로 예상된다. 뇌가 다세포 유기조직으로 발달되는 “뇌 성장 급등기” 동안 신경은 알코올 노출에 민감하다. 인간의 뇌 성장 급등기는 임신 후기에 시작되어 출생 후 몇 년간 계속 되는 반면에, 설치류에서는 출생 후 초기에 일어난다. 따라서 설치류와 같이 진화된 동물 모델에서의 알코올 노출 연구는 인간의 뇌 발달에서의 에탄올의 효과에 관한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탁월한 수단이다.
한편, 식물에서 유래된 오스모틴은 지방산 산화 조절, 글루코오스 수득, 인산화(AMP 키나아제) 및 신호 변환 경로에 관여한다. 오스모틴(24 kDa)은 당분-측정 단백질 타우마틴(sweet-testing protein thaumatin)과 상동성을 가지는 PR-5 패밀리에 포함되는 안정한 단백질이고, 효모에서 세포 내 신호 전달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스모틴은 열, 산성 및 효소에 저항성을 가지며, 따라서 소화에 의해 분쇄될 필요 없이 신체를 순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스모틴은 동물에 존재하는 아디포넥틴과 상동체로 알려져 있는데, 아디포넥틴의 경우 일부 항-염증, 항-당뇨, 항-죽상경화 능력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진 바 있다. 그러나 오스모틴과 관련하여서는 주로 비만이나 당뇨병과 관련된 효과가 연구되었을 뿐, 그 외의 효과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신경퇴행성 질환 및 다른 신경 질환에 있어서 오스모틴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오스모틴이 신경세포의 아폽토시스 유도를 억제하여, 신경계 질환, 학습능력과 기억능력 결함, 정신 지체, 정신병, 우울증, 정신분열을 동반한 태아 알코올 효과 또는 태아 알코올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오스모틴(osmotin)”은 포도 등 숙성한 과일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로서, 30여 년 전 처음 발견되었다. 오스모틴의 기능과 관련하여 인체 내에서 비만 및 당뇨를 억제하는 단백질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으며, 일부 암의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가능성에 대해 알려진 바 있으나, 신경 세포 관련 보호 물질로 기능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오스모틴이 신경세포의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특히 상기 조성물이 발달 초기 단계에 있는 태아의 신경 세포 보호 작용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바람직하게 발생 초기 태아의 모체가 알코올과 같은 독성 물질에 노출됨으로써 정상적인 신경발달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상기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상기 태아의 신경 세포를 보호할 수 있음을 구체적인 실험을 통해 입증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오스모틴의 신경세포 보호 작용에 있어서, 신경세포가 외부 물질 또는 독성에 의해 아폽토시스 되어 정상적인 신경 세포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아폽토시스를 억제함으로써 신경세포 보호 작용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오스모틴은 개체에 따라 약 150개 내지 25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단백질로서, 식물의 종류에 따라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오스모틴은 식물체의 숙성한 과일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Nicotiana tabacum, Citrus sinensis, Rosa roxburghii, Solanum tuberosum, Piper colubrinum, Solanum tuberosum, Ricinus communis, Arabidopsis thaliana 등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기 예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스모틴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병의 오스모틴은 그 기원에 제한이 없으며,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유래된 오스모틴이 사용될 수 있고, 공지된 유전 공학적 방법에 따라 인위적으로 합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임신 17.5일(GD 17.5) 된 랫트의 뇌 신경 세포, 출생 후 7일(P 7) 된 랫트의 뇌 신경 세포에 오스모틴, 에탄올, 및 서로 다른 농도의 오스모틴 및 에탄올을 처리하여 신경세포의 아폽토시스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오스모틴을 투여한 군에서 시토크롬-c 방출, 카스파제-3 활성, 세포내 Ca2 +가 억제되고, Bax/Bcl-2 비율이 감소되며, 미토콘드리아 막전위가 회복되어 아폽토시스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오스모틴은 랫트의 경우 0.001 내지 1000ug/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ug/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ug/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ug/g의 농도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0.001ug/g 이하로 투여한 경우에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과가 미미하며, 1000ug/g 이상으로 투여하더라도 그 이상의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한다. 다만 이러한 오스모틴의 투여량을 투여되는 세포 또는 개체의 종류, 부피, 특징, 무게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실험에 의해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세포가 관여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적용가능한 신경질환의 예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간질, 정신분열증, 우울증, 조울증, 신경 발생장애, 자폐증, 루게릭, 헌팅턴병, 뇌졸중, 뇌성마미, 외상성 뇌손상, 파킨슨병, 치매, 진행성 근위축증, 근위축성 가쪽경화증, 후-소아마비증후군, 척수매독, 척수구멍증, 다발성 경화증, 팔 말초신경질환, 다리 말초신경질환, 얼굴신경마비, 길리안-바레 증후군, 프리드리히 조화운동불능증, 샤르코-마리-투스병, 척추갈림증, 물뇌증, 다운증후군, 또는 무도증이 있으나, 상기 예에 의해 신경질환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치료 가능한 신경질환으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HIV 치매, 간질, 정신분열증, 우울증, 조울증, 신경 발생장애, 자폐증, 뇌졸중, 루게릭, 헌팅턴병 및 다발성경화증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경세포의 발달기에 있어서 정상적인 발생에 문제가 생겨 발병하는 태아 알코올 증후군(FAS)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태아 알코올 증후군(FAS)"이란 임신 중인 여성이 술을 과도하게 마심으로써 태어난 아기에게 신체적·정신적인 이상이 나타나는 선천성 기형을 포함하는 선천성 증후군을 의미한다. 알코올은 분자가 작아서 태반을 쉽게 통과하기 때문에 모체가 알코올에 노출되는 경우 태아의 알코올 수치도 모체와 같아진다. 특히 모체의 영양상태가 좋지 않거나 스트레스가 심할 때 음주한 경우, 담배를 피우면서 술을 마신 경우에 FAS 발생률은 더 높아진다. 아울러 임신 초기 및 후기의 음주는 태아에게 더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어, 알코올 섭취량뿐만 아니라 알코올 노출 시기도 큰 영향을 미친다.
FAS를 겪는 태아는 일반적으로 정신지체, 소뇌증, 저체중, 짧은 안검열(아래위 눈꺼풀이 맞닿는 면) 등 4가지 특징적인 증세가 나타난다. 얼굴 모습은 코밑 인중이 없고, 윗입술이 아래 입술에 비하여 현저하게 가늘며, 미간이 짧으면서 눈이 작다. 또 출생 후 성장지체, 팔·다리와 관절 이상, 학습장애, 심장질병, 외부 생식선과 귓불 기형 등의 특징이 나타난다. 이 밖에 섬세하게 움직이거나 크게 움직이는 능력이 부족하고, 근력이 약하면서 떨림증이 나타나며, 과도하게 활동하거나 사회성이 떨어지고, 판단력을 잃는 등의 행동장애가 나타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신 초기 또는 후기 모체 및 신경 발달기에 있는 태아에 투여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신경 질환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신경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신경 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폽토시스”란 세포가 유전자에 의해 제어되어 죽는 방식의 한 형태로 세포의 괴사나 병적인 죽음인 네크로시스(Necrosis)와는 구별된다. 아폽토시스는 발생 과정에서 몸의 형태 만들기를 담당하고, 성체에서는 정상적인 세포를 갱신하거나 이상이 생긴 세포를 제거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암 세포 내의 세포 소실, 바이러스 감염과 약물, 방사선 등에서 일어나는 점은 유사한 과정인 프로그램 세포사(programed cell death, PCD)와 다른 점이다.
바람직하게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억제함으로써 신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최근에 본 발명자들은 아폽토시스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Bcl-2, Bax, 시토크롬-c,의 발현 양상 분석을 통해 오스모틴의 신경질환에서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Bcl-2"란, 분자량 26kDa인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일종으로 아폽토시스 억제인자로 알려져 있다. Bcl-2는 Fas항원과 TNF 수용체를 매개로 하는 아폽토시스를 차단하며, Bcl-2를 과발현시키면 아폽토시스를 억제하여 세포수명이 연장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Bcl-2는 Bax의 작용을 억제하고 시토크롬 C의 방출을 저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반해 "Bax"는 아폽토시스 유도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Bcl-2와 유전자 염기서열이 비슷하여 Bcl-2 패밀리에 속한다. Bax가 활성화되면 아폽토시스를 촉진하여 세포사멸이 증가하고, 반대로 Bcl-2가 활성화되면 아폽토시스를 억제하여 세포사멸이 감소하게 되므로 Bcl-2 및 Bax 발현은 세포가 아폽토시스로 진행될 때의 감수성을 결정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Bax, Bcl-2의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신경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로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경로에 따라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경구 또는 비경구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을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조공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현탁액, 엑스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하여 신경질환의 발병 단계 이전 또는 발병 후, 질환 치료를 위한 약제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동물은 소, 말, 코끼리, 돼지, 쥐, 인간, 사슴, 다람쥐, 토끼, 호랑이, 사자, 늑대, 염소, 표범, 곰, 고래, 물개, 박쥐, 고양이, 참새, 제비, 꿩, 매, 독수리, 고니, 천둥오리, 펭귄, 비둘기, 타조, 에뮤, 뱀, 도마뱀, 거북이, 악어, 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붕어, 메기, 잉어, 가물치, 농어, 조기, 고등어, 꽁치, 갈치, 쏘가리, 광어, 우럭 또는 가오리 등이 있으나, 상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수 있는 개체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은 시토크롬-c의 방출 억제, 카스파제 발현 감소, Bcl-2/Bax의 비율 증가, 또는 Ca2 + 농도 감소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신경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억제하여 정상적인 발생, 발달 및 성장이 저해되는 신경세포를 외부의 자극 또는 독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MTT 어세이를 이용하여 12시간 및 24시간 오스모틴 처리에 따른 해마 신경 세포 생존에서의 에탄올의 효과를 본 결과이다.
도 1b는 에탄올, 오스모틴, 오스모틴 및 에탄올 처리 12시간 및 24시간 하에서 JC-1 염색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유세포 분석 결과이다.
도 2a는 에탄올, 오스모틴, 오스모틴 및 에탄올로 24시간 처리된 Bax, Bcl-2, 시토크롬-c, 카스파제-3의 면역블롯 결과이다.
도 2b는 ±표준오차(n=4)로 나타낸 Bax, Bcl-2, 시토크롬-c, 카스파제-3의 해당 단백질의 밀도 값이다.
도 3a는 임신 랫트 해마 신경 세포에서의 시토크롬-c 및 카스파제-3 발현을 면역형광에 의해서 인 시추로 분석한 것이다.
도 3b는 해마 신경 세포 배양물에 에탄올, 오스모틴 및 에탄올을 노출시 나타나는 FJB 염색 결과이다.
도 3c는 임신 랫트 해마 신경세포에서 PI 및 FJB로 표지된 신경퇴행의 면역형광 분석 결과이다.
도 3d는 해마 영역에서 나타나는 PI 및 FJB의 비교분석 결과이다.
도 4a는 오스모틴이 에탄올로 유도되는 카스파제-3의 활성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b는 에탄올 투여 12시간 후 오스모틴을 30분 투여한 후에 Bax, Bak, Bcl-2, Bcl-XL, 시토크롬-c, 카스파제-9, 카스파제-3 및 PARP-1의 웨스턴 블롯 결과이다.
도 5a는 뇌의 피질에서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c 방출과 카스파제-3 발현을 가시화한 것이다.
도 5b는 뇌의 해마의 CA1 영역에서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c 방출과 카스파제-3 발현을 가시화한 것이다.
도 6a는 에탄올 및 오스모틴 투여 후 출생 후 랫트 뇌의 피질에서의 신경퇴행의 PI 및 FJB 염색 분석 결과이다.
도 6b는 에탄올 및 오스모틴 투여 후 출생 후 랫트 뇌의 해마에서의 신경퇴행의 PI 및 FJB 염색 분석이다.
도 6c는 에탄올, 오스모틴, 오스모틴 및 에탄올 노출 하에서의 출생 후 7일(P 7) 된 뇌 해마의 CA1, CA3, DG영역의 PI 염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동물처리
암컷 (n=35) 스프래그 다우리(Sparague-Dawley) 랫트 (250g, 경상대, 신경생물학 실험실)는 광선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환경에서 6~20시간 동안 임의의 사료와 함께 배양하였다. 실험군의 랫트는 물로 처리하였다.
동물은 무작위로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1. 임신 기간을 지정하였다(수정된 날을 임신 0.5일로 봄). 임신 17.5일(GD 17.5)이 된 스프래그 다우리는 펜토바르비탈 나트륨 (3 mg/100 g b.w)을 정맥 주사한 후에, 목을 자르는 것에 의해 사살시켰다.
2. 출생 7일(P 7) 된 스프래그 다우리 새끼가 인 비보(in vivo) 실험에 사용되었고, 동등하게 4개의 다른 그룹, 구체적으로 대조군, 에탄올, 오스모틴, 오스모틴에 에탄올을 더한 그룹으로 나누었다. 출생 7일 후의 랫트는 5g/kg 에탄올을 피하에 주사하였고, 30분 후에 식염수에 녹인 1uM 오스모틴을 주사하였고, 약물 처리 12시간 후 희생시켰다.
실시예 2: 일차 세포 배양과 약물 처리
배양물은 임신한 지 17.5일(GD 17.5) 된 랫트의 해마로부터 준비하였다. 울혈 해마 조직은 0.25% 트립신 EDTA로 20분간 처리하였고, 기계적인 분쇄에 의해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pH 7.4)가 없는 차가운 칼슘과 마그네슘 하에서 분리하였다. 원심분리에 의해서 펠렛을 모은 후에, 세포를 폴리-리신(0.02 g/l)로 미리 코팅하여 챔버에 올려 놓은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였다(1×106 cells/ml). 세포 배양 배지는 열 처리로 불활성화시킨 10% FBS(fetal bovine serum)가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mM 피루베이트, 4.2 mM 탄산수소나트륨, 20 mM HEPES, 0.3 g/l BSA(bovine serum albumin), 50 U/ml 페니실린, 50 mg/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한다. 배양물은 5%의 CO2와 95%의 공기로 구성된 습기가 있는 대기 하에서 37 ℃로 유지하였다. 배양 5일 후에, 해마 신경 세포는 정상 배지로 처리하여 대조군으로 하였고, 실험군의 배지에는 각각100mM 에탄올, 2 μg/ml (0.08μM) 오스모틴을 첨가하며, 나머지 세가지 실험군은 오스모틴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군으로서 오스모틴을 각각 2, 4, 6 μg/ml의 양으로 첨가한다. 약물 처리된 모든 그룹은 24시간 동안 인 비트로(in vitro)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3: 웨스턴 블롯팅
웨스턴 블롯 분석은 종래의 방법을 약간 변경하여 실행하였다. 요약하면, 일차 배양 해마 세포는 100mM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 PMSF를 포함하는 세포 용해 완충용액(Cell signaling #9803)으로 균질화하였다. 면역반응은 항-래빗 카스파제-3, Bax, Bak, Bcl-2, Bcl-XL, 카스파제-9, 시토크롬-c, PARP-1(1:1000, 24 h, 4 ℃, Cell signaling, Santa Cruz)를 항체로 사용하거나 또는 래빗 유래의 항-염소 AMPK 및 p-AMPK(1:1000, Santa Cruz, USA)를 항체로 사용하였다. 항체를 씻어내고, HRP(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염소 항-래빗 또는 염소 항 마우스 IgG(1:10000, Bio-Rad)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프로토콜에 따라 ECL 검출시약(Amersham Pharmacia Biotech,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s)을 사용하여, 화학발광에 의해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상기의 웨스턴 블롯은 컴퓨터 시스템인 Sigma Gel(SPSS Inc. Chicago, USA)을 사용한 밀도계로 분석하였다. 밀도값은 ± 표준오차(SEM)로 표현하였다. 관련 있는 실험 그룹들 차이의 유의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Tukey-Kramer 다중 비교 테스트에 따른 one-way AN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위한 허용 수준은 *P < 0.05 와 **P < 0.01 였다.
실시예 4: MTT 어세이
일차 신경 세포의 대수 증식기(logarithmic growth phase)는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ly tetrazolium bromide)를 이용한 성장 어세이를 통해 얻어졌다. 정상배지에 200 μl의 DMEM이 포함되어 있는 96-웰 플레이트에 일차 해마 신경 세포를 1x105 세포/웰의 농도로 배양하여 대조군으로 하였고, 배지는 100mM 에탄올, 2μg/ml, 오스모틴 및 다른 양의 에탄올을 첨가한 것을 실험군으로 하였다. 상기의 대조군과 실험군은 5% CO2를 포함하고, 습기가 있는 대기 하에서 37 ℃를 유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세포 생존 능력은 각 웰에 MTT (5 mg/ml in phosphate buffer saline, PBS)를 처리하여 37 ℃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결정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에 의해 형성되는 포르마잔 결정의 용해를 위해 DMSO를 각 웰에 첨가하였고 흡광도는 595 nm 파장에서 측정되어 미세적정 판독기 상에 표준 파장인 690 nm 파장의 결과와 함께 기록되었다. OD(optical density)는 표준 파장과 실험 파장에서 측정된 흡광도의 차이로 계산되었다. 성장에서의 약물의 효과는 세포 생존의 비율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5: JC-1를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측정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JC-1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검출 키트(Biotium Inc, Hayward, CA, USA)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막전위를 측정하였다. JC-1은 막전위에 의해 초록색이나 빨강색 형광을 방출하였는데, 초록색 신호는 감극된 미토콘드리아를 가리키는 것이며, 빨간색 신호는 분극화된 미토콘드리아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빨간색에서 초록색 형광으로 옮겨가는 것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가 감소하는 것에 대한 믿을만한 표지라고 생각될 수 있다. 요약하면, 신경 세포는 폴리-리신(0.02 g/l)으로 미리 코팅되어 챔버에 올려져 있는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였다(1×106 cells/ml). 세포 배양 배지는 열 처리로 불활성화시킨 10% FBS(fetal bovine serum)가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mM 피루베이트, 4.2 mM 탄산수소나트륨, 20 mM HEPES, 0.3 g/l BSA(bovine serum albumin), 50 U/ml 페니실린, 50 mg/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한다.
배양 환경은 5%의 CO2와 95%의 공기로 구성된 습기가 있는 대기 하에서 37 ℃로 유지하였다. 배양 3일 후에, 신경 세포는 정상 배지로 처리하여 대조군(C)으로 하였고, 실험군의 배지에는 100mM 에탄올(E), 오스모틴을 첨가하였고, 또는 오스모틴 및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약물 처리된 모든 그룹은 인 비트로 배양 시간과 같이 24시간 동안 37 ℃를 유지하여 배양하였다. 3차 배양 플레이트에서 약물 처리된 세포를 수확하였고, 37 ℃에서 15분 동안 19 JC-1 시약으로 염색하였으며, 1X 어세이 완충용액으로 2회 섞어주었다.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변화는 하기의 조건에서 FACSCalibur 유세포 분석기(Becton Dickinson,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단일 세포 수준에서 측정되었다: FL1, 511 볼트; FL2, 389 볼트; FL1 - 10.5% FL2; FL2 - 25.9% FL1; 488 nm 아르곤 여기 레이저 및 585 nm 밴드 통과 필터. 총 10000개 세포가 CellQuest 소프트웨어 버전 3.0(Becton Dickinson, San Jose, CA, USA)을 이용한 분석을 하기 위해 수득되었고, 총 세포군의 백분율로서 낮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에서의 세포수 정량화가 수행되었다.
실시예 6: 세포내 Ca 2 + 의 측정
세포내 Ca2 + 농도는 Ca2 + 형광 지시자인 아세톡시메틸에스테르 fura-2 AM에 의해 측정되었다. 피질세포(3차 배양된 플레이트에 있는 1x106 개의 세포)는 상기에서 알려준 것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고, 피질 세포는 정상 배지로 처리하여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실험군의 배지에는 100mM 에탄올을 첨가하거나 2μg/ml 오스모틴을 첨가하였고, 또는 오스모틴 및 다른 양의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인 비트로에서 배양한 지 5일 후에, 세포를 Krebs 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하고, 5% CO2,를 포함하는 습기가 있는 인큐베이터에서 5uM fura-2/AM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 37 ℃로 유지하여 60분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Locke 용액(pH 7.8)으로 2회 세척하였고 [Ca2 +]c의 fura-2 형광 신호는 발광 분광광도계(LS50B, Perkin Elmer, Boston, MA)로 측정하였다. 제논 램프(Xenon lamp)에서 나온 여기 광원은 340 nm와 380nm 밴드 통과 필터 사이에서 바뀌었고, 510nm에서 방출된 형광은 광자-측정 광전자 증폭관에 의해 측정되었다. 2초 이상에서 340/380-nm 형광 비율을 측정하였다. 수득한 형광 신호는 컴퓨터와 일반적인 이미징 소프트웨어, 또는 MicroVax II computer and software (origin 7)를 사용하여 저장 및 분석되었다. 세포 내 칼슘은 하기에 언급된 Grynkiewicz 방정식으로부터 유래된 비율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Figure 112010003617596-pat00001
Kd: 세포질 환경 내 225 nM에서의 fura-2-Ca2 + 상호작용의 해리 상수;
R: 340 nm 및 380 nm에서의 형광 비율;
Rmin: Ca2 +가 전혀 없을 때의 비율;
Rmax: Ca2 +가 포화상태인 경우의 비율(염화칼슘 이용);
Sf2: Ca2 +가 전혀 없을 때 380 nm에서의 형광도;
Sb2: Ca2 +가 포화상태인 경우 380 nm에서의 형광도.
실시예 7: 세포 사멸의 검출과 조직학적 분석
FJB(Fluoro-Jade-B) 염색은 이전에 수행했던 방법대로 수행하였다. 요약하면, 면역형광법은 임신한 지 17.5일(GD 17.5) 된 일차 해마 세포를 폴리-D-리신으로 코팅된 챔버 슬라이드에서 인 비트로 배양하여 수행하였다. 해마 세포는 정상 배지로 처리하여 대조군(C)으로 하였고, 실험군의 배지에는 100mM 에탄올(E), 오스모틴, 또는 오스모틴 및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약물 처리된 모든 그룹은 1시간 동안 인 비트로 상태에서 37 ℃를 유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물은 4% 파라포름알데히드가 포함된 PBS로 5분간 고정하였고, -70℃에 저장하였다. 다음날 3시간 동안 건조시킨 슬라이드를 10분 동안 0.06% 과망간니즈산칼륨 용액에 담구었다. 물로 씻어낸 후에, 슬라이드를 0.1% 아세트산과 0.0004% FJB 용액(Calbiochem, San Diego, California, USA)에 20분 동안 담구었다. 슬라이드를 증류수로 3회 세척하였고, 55 ℃에서 10분간 건조하였다. 영상화를 위하여 공초점 현미경(Fluoview Olympus, Japan)의 FITC 필터를 사용하였다. PI 염색 슬라이드는 1 μg/ml PI(Propidium iodide)가 들어 있는 PBS 용액에 20분간 담가 실온에서 약하게 섞어주고, PBS로 10분간 2회 세척하여 준비하였다. 유리 커버 슬립을 고정 배지가 있는 유리 슬라이드에 고정하였다. FJB와 PI 염색은 인 비보Iin vivo)에서도 수행하였다. 출생 7일된 동물을 펜토바르비탈 나트륨(50mg/g. i.p)으로 마취시켰다. 태아에서 제거된 뇌는, 차가운 4% NBP에서 48시간 동안 고정하고, 20% 수크로스 인산 완충용액에서 48시간 동안 4℃를 유지하여, 냉동 보존하였다. 전체 태아를 O.C.T 화합물(A.O. USA)에 얼리고, 14 μm 두께로 관상면 절편(coronal plane)을 제작하였다. 절편은 탐침이 있는 양이온 슬라이드(Fisher)에 얼리고 고정하였다. 슬라이드는 1 μg/ml PI가 들어 있는 PBS 용액에 20분간 담가 실온에서 약하게 섞어주고, PBS로 10분간 2회 세척하였다. 유리 커버 슬립을 고정 배지가 있는 유리 슬라이드에 고정하였다. PI 필터는 PI 염색(빨간색)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FITC 필터는 FJB(초록색)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영상화는 Zeiss 사의 형광 현미경(Zeiss, Germany) 및 다초점 현미경(Olympus, Japan)을 사용하였다. 사진은 소프트 이미징 시스템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실시예 8: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c 방출과 카스파제 -3 발현의 시각화
출생 후 7일이 지난 랫트의 뇌에 4시간 동안 약물 처리한 후, 면역형광법으로 시토크롬-c 방출과 카스파제-3 발현의 인 시추(in situ) 분석을 수행하였다.
발달기의 랫트 새끼는 차가운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관류시킨 후에 1× PBS로 경심(transcardially) 관류하고, 뇌는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하룻밤 고정한 뒤, 뇌가 튜브의 바닥에 가라앉을 때까지 20% 수크로스에 담갔다. 전체 태아를 O.C.T 화합물(A.O. USA)에 얼리고, 16 μm 두께로 관상면 절편을 제작하였다. 한편, 에탄올, 오스모틴, 에탄올 및 오스모틴을 첨가한 것으로 처리한 일차 배양 해마 신경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있는 1x106개의 세포)는 4% NBP(neutral buffer paraformaldehyde)로 고정하고, 냉장 상태에서 PBS로 세척하였다. 시토크롬-c는 4℃ 에서 하룻밤 마우스 항-시토크롬-c 항체(1:250, Santa Cruz Biotechnology, CA, USA)를 사용하여 반응 시키고, 실온에서 90분간 래빗 항-마우스 FITC-표지 항체(1:100, Santa Cruz Biotechnology, CA, USA)를 사용하여 반응시켜 검출하였다. 그 후, 카스파제-3 발현은 4℃서 하룻밤 래빗 항-카스파제-3 항체(1:250, Cell signaling)를 사용하여 반응시키고, 어두운 실온에서 90분간 염소 항-래빗 TRITC 표지 항체(1:100, Santa Cruz Biotechnology, CA, USA)를 사용하여 반응시켜 검출하였다. 슬라이드는 Prolong Antifade 시약(Molecular Probes, Eugene, OR, USA)으로 고정하였다. 시토크롬-c(초록색)과 카스파제-3(빨간색) 염색 패턴은 다초점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Fluoview FV 1000, Olympus, Japan)으로 얻었다.
실시예 9: 데이터 분석과 통계
RT-PCR 및 웨스턴 블롯으로 얻어진 목적 밴드는 Sigma Gel 시스템(SPSS Inc., Chicago, IL)을 기초로 한 컴퓨터의 밀도계에 의해 영상화하고 분석하였다. 밀도값은 ± 표준오차(SEM)로 표현하였다. 관련 있는 실험 그룹들 차이의 유의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Tukey-Kramer 다중 비교 테스트에 따른 one-way AN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위한 허용 수준은 *P < 0.05 와 **P < 0.01 였다.
결과
에탄올로 유도된 신경 세포의 신경퇴행을 보호하는 오스모틴
본 발명자들은 일차 배양 신경 세포에서 오스모틴이 에탄올로 유도된 세포사멸적 신경퇴행을 보호해주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에탄올 및 서로 다른 세 가지 농도의 오스모틴으로 처리한 신경세포에서 에탄올 독성효과에 저항하여 세포가 생존하는 데 있어서 오스모틴이 기여하는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서 MTT어세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에서 에탄올 및 오스모틴의 농도는 에탄올에 의한 세포 독성 효과 및 에탄올 독성 효과에 저항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오스모틴의 역할을 평가할 수 있다. 12 시간 및 24 시간 동안 오스모틴, 에탄올, 오스모틴 및 에탄올에 노출된 세포는 에탄올만 처리된 그룹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율에 있어서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12시간 및 24시간 배양 후 세포 생존율에 있어서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는, 에탄올과 함께 처리된 오스모틴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에탄올의 효과를 현저하게 역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도 1a). 도 1a의 각 막대는 3개의 플레이트를 가지고 한 세 번의 독립적인 실험(n=3)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에탄올, 오스모틴, 에탄올 및 오스모틴을 처리한 그룹에서의 미토콘드리아 막전위는 형광 염색 물질 JC-1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수득된 JC-1을 유세포 분석기로 관찰하였다. 상기의 유세포 분석에서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손실은 FL1 형광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도 1b).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경 세포에 에탄올을 처리한 결과 낮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와 함께 눈에 띄는 세포 소집단이 나타났다. 반면에, 에탄올 그룹과 비교하여 에탄올과 오스모틴을 동시에 처리한 그룹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가 회복되었다
.
해마 신경 세포 배양에서 에탄올로 유도된 세포사멸을 보호하는 오스모틴
에탄올에 대한 오스모틴 보호 효과를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일차 배양 해마 신경 세포로 웨스턴 블롯팅을 수행하였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에 노출된 후에 세포사멸 촉진 단백질 Bax는 상당하게 유도되었고, 오스모틴 처리 하에서는 상당히 감소하였다. 반면에, Bcl-2는 농도 의존적인 방법으로 에탄올과 오스모틴을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상당하게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에탄올에 대한 오스모틴의 항세포사멸 효과가 에탄올에 저항하는 항 세포사멸 효과의 중요한 요소인 Bcl-2 단백질의 증가에 의해 유발됨을 알려주었다(도 2 a, b).
에탄올 처리 결과 웨스턴 블롯팅 상에서 절단 카스파제-3의 활성 성분이 나타난 반면에, 에탄올과 오스모틴의 동시 처리한 군에서는 에탄올 효과와 반대로 카스파제-3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카스파제 연쇄반응의 상위 사건은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시토크롬-c를 방출하는 것이다. 오스모틴은 투여량에 의존하여 시토크롬-c의 방출을 보호하는 반면에, 에탄올은 시토크롬-c의 방출을 유도한다.
에탄올로 유도되는 시토크롬 -c의 방출, 카스파제 -3의 활성 및 신경 세포에서의 세포내 Ca 2 + 의 과발현을 억제하는 오스모틴
시토크롬-c는 미토콘드리아 내부 막 단백질이며, 상기 단백질이 세포질에서 다량 방출되면 궁극적으로 카스파제-3을 활성화 시키는 연쇄반응을 이끌어낸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시토크롬-c의 이동 및 카스파제-3의 활성을 다초점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토크롬-c(시토크롬-c, 초록색 FITC-표지)의 확산된 염색 분포를 확인하였고, 이는 해마 신경 세포 배양에서 에탄올, 오스모틴 및 에탄올 처리 하였을 경우, 카스파제-3(TRITC, 빨간색)과 같이 미토콘드리아로부터 방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마 신경 세포에서의 에탄올 노출은 대조군과 비교시, 시토크롬-c의 발현 및 카스파제-3 발현 증가에 원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에탄올과 오스모틴을 동시에 처리한 군은 시토크롬-c와 카스파제-3의 발현에 상당한 감소를 보여주었는데, 이것은 오스모틴이 자발적 세포 사멸체(apoptosom)의 유도를 위하여 세포질에서 시토크롬-c가 방출되는 것을 막아준다는 것을 암시해준다.
FJB 염색은 생존 기간 후에 신경 세포의 취약성을 확인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마커로서 퇴화된 신경을 식별하는 것에 사용하였다. FJB는 FJB 양성 세포의 양 및 에탄올, 오스모틴, 오스모틴 및 에탄올을 처리한 상태(도 3) 하에서의 신경세포의 형태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에탄올 처리 하에서의 세포는 현저하게 농축되었고, FJB 양성 세포의 양은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대조적으로 오스모틴을 처리한 세포와 에탄올 및 오스모틴을 처리한 세포는 FJB 양성세포의 양이 감소하였고, 세포 형태는 대조군과 유사하였고, 이것은 웨스턴 블롯 MTT 어세이, 유세포 분석의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에탄올 및 오스모틴 처리 세포와 비교하여 에탄올 처리 세포의 경우에 신경퇴행의 유도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도 3). 에탄올 처리 후에 신경 세포에서의 오스모틴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서 FJB와 PI를 동시에 염색하였다. FJB와 PI 염색은 주요한 신경 손상의 마커로, 에탄올 처리 세포의 뇌에서의 신경퇴행을 밝혀주었다. 대조적으로, 에탄올 및 오스모틴이 처리된 세포는 FJB와 PI 표지가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것은 MTT 어세이, 유체 분석에 의한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므로, 에탄올 및 오스모틴 처리 세포와 비교하여 에탄올 처리 세포의 경우에 신경퇴행의 유도가 상당하게 증가하였다(도 3b, c).
세포사멸의 흔적은 신경 세포에서 세포내 Ca2 + 수준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정량화 하였다. 상기에서 Ca2 + 수준은 카스파제 활성과 예정된 세포 죽음(Programmed cell death, PCD)을 포함하는 후기 미토콘드리아 이벤트를 위한 필요조건 이다. 세포질 내 Ca2 + 신호의 발생은 세포 종에 따라 다른 다양한 분자 연쇄반응을 포함한다. 연구자들은 CNS의 뉴런에서 Ca2 + 신호의 역할 및 메커니즘에 관심을 두었다. 세포질의 Ca2 + 농도에서의 변화는 신경전달물질 방출, 효율적인 시냅스 전달, 신경발달에 중요하고, Ca2 + 생체항상성의 조절 곤란의 결과로 인한 세포사멸 촉진 경로의 활성은 에탄올 독성을 근원으로 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제안되었다. 따라서 에탄올, 오스모틴, 에탄올 및 오스모틴을 노출한 경우에 세포내 Ca2 + 수준 변화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대조군 및 각 실험군에서 Ca2 +의 농도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에탄올로 인해 초기 발달 단계의 피질과 해마 신경 세포에서 세포 내 Ca2 + 농도가 상당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3d). 반면에 오스모틴은 초기 발달 단계의 생체항상성 유지에 의해 에탄올의 효과와 반대 결과를 보였다.
발달기 랫트 뇌에서 에탄올로 유도된 세포사멸 경로를 억제하는 오스모틴
7일된 스프래그-다우리 랫트는 5 g/kg 식염수가 포함된 20% 에탄올로 주사하였고, 성장시킨 후 각 시간별로 희생시켰다. 복용량은 혈액 내 에탄올의 농도를 200 mg/dl 이상으로 하여 몇 시간 동안 유지하였는데, 상기의 농도는 신경 퇴행을 유발할 수 있는 최소 농도로 이전에 Olney et al., 2002b; Carloni et al., 2004에서 제시한 양이며, 이는 과다한 양의 에탄올을 모계 섭취 시킨 후에 인간 태아에서의 농도와 같다. 에탄올 복강 주사 4시간 후에 세포사멸적 신경퇴행이 관찰되었고, 이는 20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오스모틴이 에탄올로 유도되는 카스파제-3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에탄올 노출 후에 증가하는 오스모틴 복용량을 투여하였다. 오스모틴의 투여는 12 시간 후에 카스파제-3 활성을 감소시켰고, 최대 억제는 체질량 복용량 의존 농도인 0.20μg/g (또는 체질량이 10그램인 경우 2ug/10g)에서 볼 수 있었다(도 4a).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나머지 실험에서는 5g/kg 에탄올을 투여하고, 에탄올 투여 30분 후에 0.20μg/g 오스모틴을 투여하였다.
에탄올로 유도되는 세포사멸로 인한 신경퇴행의 분자 메커니즘 및 오스모틴의 보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경로와 관계된 세포사멸 단백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에탄올과 오스모틴 처리 12시간 후 Bcl-2의 패밀리 멤버인, 세포사멸 촉진 Bax 및 항세포사멸 Bcl-2를 포함하여 뇌의 해마와 피질에서의 Bax 및 Bcl-XL 단백질의 발현을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관찰하였다. 발달기 랫트 뇌에 에탄올을 투여한 후, 오스모틴을 처리한 경우에 Bax 단백질의 과한 조절이 반전되었다. Bax의 과발현은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세포 죽음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실험에서 에탄올에의 노출은 세포 내 Bax의 과발현을 유도하였다. 반면에, 에탄올과 오스모틴을 동시에 처리한 것은 Bax의 과발현이 억제되었고, 발달기 랫트 새끼에서 에탄올로 유도되는 신경퇴행을 막기 위한 신경 보호 효과에 공헌하였다. 에탄올 투여 12시간 후의 발달기 랫트의 해마와 피질에서 Bax와 Bak 발현은 대조군과 비교시 상향 조절되었다. 반면에 오스모틴(5μg/g)을 후처리한 경우에 Bax의 상향조절은 반전되었다(도 4b(A,B)). 12시간 동안 에탄올을 투여한 결과, 발달기 랫트 뇌에서 Bax/Bcl-2 비가 증가하였고, 호의적인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오스모틴(5 μg/g)을 투여한 경우에는 Bax/Bcl-2 비가 상당히 감소하였고, 항세포사멸 효과를 유도하였다(도 4b (A,B)).
에탄올로 유도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시토크롬 -c의 방출을 억제하는 오스모틴
시토크롬-c는 미토콘드리아 내부 막 단백질이며, 상기 단백질은 세포질에서 다량 방출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카스파제-3을 활성화 시키는 연쇄반응을 이끌어낸다. 미토콘드리아 세포사멸 연쇄반응은 내부에 있는 미토콘드리아 막 단백질인 시토크롬-c를 세포질로 방출하는 것을 요구하고, 세포질에 증가된 시토크롬-c는 카스파제-9 및 카스파제-3의 활성을 유도하고 연속적으로 신경 죽음을 유도한다. 미토콘드리아 연쇄반응 활성을 위한 마커로서 해마와 피질에서의 시토크롬-c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였다. 발달기 랫트 뇌의 해마와 피질에서 모두 Bax의 수준이 증가함을 관찰하였고, 이것은 에탄올 투여 후에 세포질에서 시토크롬-c의 수준이 증가하는 것과 연관성이 있다(도 4b (C, D)).
대조군과 오스모틴 처리 그룹을 비교해 볼 경우에 에탄올과 오스모틴을 동시에 처리하고 12시간 후에 뇌의 해마와 피질에서 시토크롬-c의 발현이 상당하게 감소하였다(도 4b (C, D)).
발달기 랫트 뇌에서 에탄올로 유도된 카스파제 -9 및 카스파제 -3의 활성을 억제하는 오스모틴
카스파제 활성은 일반적인 세포사멸 경로의 특징이고, 시토크롬-c의 방출은 카스파제-3을 활성화하며, 이는 미토콘드리아 파괴, 세포 에너지 결핍, 세포골격 요소의 절단, 세포 단백질의 파괴 작용을 초래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토콘드리아 막 탈분극 및 시토크롬-c의 방출을 막아주는 오스모틴의 능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카스파제-9와 카스파제-3의 억제와 같은 하위 세포 경로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해마와 피질에 활성화된 카스파제-9와 카스파제-3의 수준을 측정하고자 웨스턴 블롯 분석을 이용하였는데, 에탄올 처리 군에서는 해마와 피질에서 카스파제-9와 카스파제-3 모두 상당히 증가하였다. 반면 에탄올 노출 후 오스모틴을 처리한 군에서는 해마 및 피질에 활성화된 양 카스파제 수준을 대조군 또는 오스모틴만을 처리 그룹과 유사한 정도로 현저하게 감소시켰다(도 4b (E, F)).
발달기 랫트 뇌에서 에탄올로 유도되는 PARP -1의 절단을 억제하는 오스모틴
에탄올은 궁극적으로 DNA 절편과 세포 죽음을 유발하는 ROS의 급격한 증가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신경 흥분세포독성에서 관찰되는 PARP-1의 활성에 따른 DNA 복원 기능에도 불구하고, PARP-1은 카스파제-3의 초기 타겟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PARP-1 단백질 절단을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확인하였고, 그 결과 발달기 랫트 피질과 해마 신경에서의 PARP-1의 절단이 카스파제-3 활성의 증가로 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오스모틴을 처리한 랫트의 피질과 해마에서의 절단된 PARP-1 수준은 대조군과 비교시 상당하게 증가하였다. 에탄올 투여 후의 오스모틴의 효과는 전체 길이 116KDa인 PARP-1 절단은 눈에 띄게 감소시켰고, 발달기 랫트의 피질과 해마에서 조각난 생성물인 89KDa 카스파제-3의 감소를 수반하였다. 종합적으로 에탄올에 노출된 발달기 랫트 뇌의 해마와 피질에서는 PARP-1 절단 수준이 증가한 반면에, 오스모틴을 처리한 경우는 해마와 피질에서 모두 절단된 PARP-1 수준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오스모틴 처리나 대조군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하였다(도 4b(G, H)).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c 방출, 카스파제 -3 발현과 조직 구조의 가시화
오스모틴이 시토크롬-c 방출과 카스파제-3 활성을 억제하는지 결정하기 위해서 에탄올로 유도되는 세포사멸적 세포 죽음을 막는 데 충분한 오스모틴을 사용하였고, 뇌는 면역형광법을 사용하여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에탄올로 유도되는 신경퇴행의 정도와 에탄올에 저항하여 신경 세포 죽음을 막기 위한 오스모틴의 신경보호 효과는 발달기 랫트 뇌의 피질과 해마에서 분석하였다(도 5a, b). 에탄올은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카스파제-3(TRITC-표지, 빨간색)과 함께 시토크롬-c(시토크롬-c, 초록색 FITC-표지)의 방출을 유도하고, 반면에 오스모틴과 에탄올을 동시에 처리한 것은 뇌의 해마와 피질에서 카스파제-3발현과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시토크롬-c의 방출이 감소되어 에탄올 효과에 반대되는 효과를 보였다. 병합된 사진은 세포질에서의 시토크롬-c의 방출과 카스파제-3의 발현을 가리키는 것으로, 발달기 랫트 뇌에서의 에탄올과 에탄올 및 오스모틴 처리 결과이다(도 5a, b).
발달기 랫트 뇌에서 에탄올로 유도되는 신경퇴행의 심각성을 감소해주는 오스모틴
에탄올이 인 비보에서 신경세포의 죽음을 유도하는지 여부 및 뇌의 피질과 해마에서 오스모틴이 반대되는 효과를 갖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 PI 및 FJB를 이용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PI는 일반적으로 다색 형광법에서 대비 염색으로 사용되는 핵산 새틴(Satin)이다. PI는 조직 절편에서 핵 마커로 사용되고, 때로는 세포 사멸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반면에 FJB 염색은 생존 기간 후에 신경 세포의 취약성을 확인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마커로서 퇴화된 신경 세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다초점 현미경 분석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에탄올을 처리한 출생 후 랫트 뇌의 피질과 해마에서 활발한 염색을 보여주었다(도 6a (A-I), b (A-C)). 해마 CA1의 하부 영역에서의 거대한 신경은 흩어지고 줄어들었으며, 핵은 상당하게 응축되었다(도 6b, A-C). FJB와 PI 염색 결과, 식염수로 처리한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에탄올로 유도된 신경퇴행 모델인 출생 후 랫트의 피질과 해마에서 FJB와 PI 표지의 상당한 증가를 보여주었다(도6a, b). 오스모틴을 12시간 투여 후에 전대상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과 해마 CA1에서 신경퇴행이 나타났다. FJB를 사용한 전대상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과 해마 CA1의 실험에서 FJB 양성 세포의 수가 증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6a, panel (A-I), b panel (A-C)). 이와 대조적으로, 에탄올 후에 오스모틴을 처리한 랫트 새끼는 대조군과 비교시 취약한 뇌에서 FJB 양성 세포에 상당한 감소를 보였다. 에탄올 처리한 전대상피질, 해마의 CA1에서 증가된 공포형성(Vacuolization), 신경 손실, 조직 손상을 보였고. 대조군과 비교시 에탄올로 처리한 경우 해마와 피질에서 퇴행 신경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반대로 말하면, 에탄올 후에 오스모틴을 처리하면 취약한 뇌에서 공포형성, 신경 손실이 감소하고, 형태학적으로 정상으로 나타나는 대조군과 비교시 에탄올로 유도된 세포사멸과 신경 세포 죽음에 저항하여 오스모틴은 상당한 신경보호를 보였다(도 6a, b panel (A, C)).
추가적으로 발달기 랫트 뇌의 해마에서 에탄올로 유도되는 신경독성의 조직학적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손상되거나 죽은 신경을 표시하는 PI를 사용하였다. 형광 표지를 가시화하여 대조군, 에탄올, 에탄올 및 오스모틴을 처리한 그룹에서의 손상되거나 죽은 신경의 정도를 분석하였다(도 6c). 에탄올은 뇌의 취약한 영역에서 심각한 신경퇴행을 유도하였고, 이것은 대조군의 몇 배에 해당하였다. 해마 CA1에서의 PI 양성 세포(줄어들거나 응축된 핵 및 고농도로 염색된 PI)의 수가 현저하게 증가했다는 사실은, 대조군과 비교시 에탄올을 투여한 그룹에서 PI로 표지된 손상 세포가 더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도 6c panel, A-G). 이와 달리 에탄올 처리 후 오스모틴을 처리하는 경우, 발달기 랫트의 취약한 뇌 영역에서의 PI 양성 세포의 수가 상당히 감소하였다.

Claims (14)

  1. 오스모틴(osmotin)을 포함하는, 알코올에 의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에 의한 신경퇴행성 질환은 태아 알코올 증후군(fetal alcohol syndrome, FAS) 인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모틴은 2 내지 6 ug/ml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신경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오스모틴은 태아 뇌 신경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회복, Bcl-2/Bax의 비율 증가, 또는 세포질 내 Ca2+ 농도 감소를 유도하여 아폽토시스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현탁액, 엑스제, 에멀젼, 시럽 또는 에어로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알코올에 의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코올에 의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시토크롬-c의 방출 억제, 카스파제 발현 감소, Bcl-2/Bax의 비율 증가, 또는 Ca2+ 농도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 방법.

KR1020100004940A 2010-01-19 2010-01-19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0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40A KR101308232B1 (ko) 2010-01-19 2010-01-19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3/811,893 US9352018B2 (en) 2010-01-19 2010-12-24 Methods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s comprising osmotin
PCT/KR2010/009317 WO2011090270A2 (ko) 2010-01-19 2010-12-24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40A KR101308232B1 (ko) 2010-01-19 2010-01-19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260A KR20110085260A (ko) 2011-07-27
KR101308232B1 true KR101308232B1 (ko) 2013-11-06

Family

ID=4430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940A KR101308232B1 (ko) 2010-01-19 2010-01-19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52018B2 (ko)
KR (1) KR101308232B1 (ko)
WO (1) WO2011090270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27A1 (ko) * 2015-03-04 2016-09-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208910A1 (ko) * 2015-06-23 2016-12-2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208908A1 (ko) * 2015-06-23 2016-12-2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38934A1 (ko) 2022-08-19 2024-02-2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966B1 (ko) * 2012-10-25 2014-12-1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조성물 및 gaba b 수용체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신경질환 치료제
KR20150064423A (ko) * 2013-12-03 2015-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6429A (ko) * 2014-01-17 2015-07-2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흥분독성 또는 시냅스 기능 장애에 의한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WO2016043354A1 (ko) * 2014-09-15 2016-03-24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새로운 알츠하이머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107934A (ko) * 2015-03-06 2016-09-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또는 학습능력 향상용 조성물
KR20170000145A (ko) * 2015-06-23 2017-01-0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7017B1 (ko) * 2015-12-21 2019-10-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또는 이의 활성화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개선 또는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89681B1 (ko) * 2016-06-07 2016-12-2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58353B1 (ko) * 2016-07-27 2020-09-2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새로운 알츠하이머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50199B1 (ko) * 2017-03-28 2019-02-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1913506B1 (ko) * 2017-07-18 2018-10-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프롤릴 올리고펩티다아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14460A (ko) 2021-02-08 2022-08-17 (주)지뉴인텍 니트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4982B1 (ko) * 2021-02-24 2024-02-08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ical Pharmacology Vol. 72, pages 616-623 (2006) *
Biochemical Pharmacology Vol. 72, pages 616-623 (2006)*
Endocrine Reviews Vol. 26, pages 439-451 (2005) *
Endocrine Reviews Vol. 26, pages 439-451 (2005)*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27A1 (ko) * 2015-03-04 2016-09-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471119B2 (en) 2015-03-04 2019-11-12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 containing osmotin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WO2016208910A1 (ko) * 2015-06-23 2016-12-2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208908A1 (ko) * 2015-06-23 2016-12-2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38934A1 (ko) 2022-08-19 2024-02-2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0270A2 (ko) 2011-07-28
WO2011090270A3 (ko) 2011-12-01
US9352018B2 (en) 2016-05-31
KR20110085260A (ko) 2011-07-27
US20130210738A1 (en)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232B1 (ko)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tacchiotti et al. Natural compounds and autophagy: allies against neurodegeneration
US20180117007A1 (en) Small molecule, indirubin-3-oxi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one disease
CA3108249A1 (en) Magnesium-serinate compound and use thereof
US1116697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 comprising aucubin
KR101502465B1 (ko)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 또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18530B1 (ko) 해파리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1403B1 (ko) 곡기생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058031B2 (ja) タキシフォリンを含有する肝線維化抑制剤及び褐色脂肪細胞活性化剤
KR20170047458A (ko) 에틸 파이루베이트(ethyl pyruvate)를 포함하는 말초신경계 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12829A (ko)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8155B1 (ko) 3-메틸아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106340B2 (ja) 血液脳関門保護剤
JP7333626B2 (ja) アルツハイマー型認知症予防・治療用組成物、アミロイドβオリゴマー神経毒性低減用組成物
KR20160081189A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17272B1 (ko) 메트포민 및/또는 타이모퀴논을 포함하는 임신중 알코올 노출에 의한 신경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213616A1 (en) A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for alzheimer&#39;s disease and/or alzheimer dementia, and a composition for reducing amyloid-beta oligomer neurotoxicity
KR102538278B1 (ko) 진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헌팅턴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0353B1 (ko) 몰루긴 및 bmp-2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7251B1 (ko) 피지디움 조개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3007939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rvous system disorders comprising sulfuretin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KR101340675B1 (ko) 탄제레틴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84047A (ko) 멜라토닌의 새로운 용도
KR101547735B1 (ko) 파라돌을 포함하는 뇌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62726A (ko) 캄페라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