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326B1 -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 - Google Patents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326B1
KR101307326B1 KR1020130017743A KR20130017743A KR101307326B1 KR 101307326 B1 KR101307326 B1 KR 101307326B1 KR 1020130017743 A KR1020130017743 A KR 1020130017743A KR 20130017743 A KR20130017743 A KR 20130017743A KR 101307326 B1 KR101307326 B1 KR 10130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ee
slit
fixing
suppor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광
권민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비텍
유한회사 로드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비텍, 유한회사 로드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비텍
Priority to KR102013001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3Transplanting devices for grasping, undercutting or transporting the root bal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반에 터파기한 터의 외부로 지지목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목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지지목이 인력 등을 포함한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지지목이 수목과 접하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반에 터파기한 터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목이 수목의 성장의 방해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없으며, 아울러 뿌리가 지반에 활착된 수목으로부터 상기 지지목을 분리수거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TREE SUPPORTS AND TREE SUPPORT METHOD}
본 발명은 지반에 터파기한 터의 외부로 지지목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목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지지목이 인력 등을 포함한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지지목이 수목과 접하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반에 터파기한 터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목이 수목의 성장의 방해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없으며, 아울러 뿌리가 지반에 활착된 수목으로부터 상기 지지목을 분리수거할 필요가 없는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 조경수 등의 수목을 원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겨 이식하고자 할 경우 다른 장소로 옮겨진 수목의 뿌리가 다른 장소의 지반에 활착되지 못한 관계로 다른 장소로 옮겨진 수목이 어느 한방향으로 치우쳐 쓰러질 우려가 다분하다.
이에 다른 장소로 옮겨진 수목이 어느 한방향으로 치우쳐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장소의 지반에 터파기한 터에는 이식하고자 하는 수목과 접한 상태로 상기 수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목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목이 외부로 노출되는 관계로 수목의 외관이 미려해지지 못함과 더불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지지목에 인력 등을 포함한 외부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지지목이 파손될 우려가 다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수목과 접한 상태인 상기 지지목이 상기 수목의 성장의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장소로 옮겨진 수목의 뿌리가 다른 장소의 지반에 활착된 경우 상기 지지목을 상기 수목으로부터 분리수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지반에 터파기한 터의 외부로 지지목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목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지지목이 인력 등을 포함한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지지목이 수목과 접하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반에 터파기한 터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목이 수목의 성장의 방해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없으며, 아울러 뿌리가 지반에 활착된 수목으로부터 상기 지지목을 분리수거할 필요가 없는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목의 뿌리분을 매립하기 위하여 지반에 터파기한 터에 수목의 뿌리분을 식재한 후 수목을 지지하기 위한 수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목의 줄기가 삽입되는 줄기삽입공간이 중앙에 형성되고, 중앙에서 가장자리까지 절개형성되는 줄기삽입슬릿과, 상기 줄기삽입슬릿의 중간부 일측 주변에 위치하는 표면과 상기 줄기삽입슬릿의 중간부 타측 주변에 위치하는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슬릿고정부 및 타측슬릿고정부와, 상기 일측슬릿고정부 및 타측슬릿고정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표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줄 고정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의 일측슬릿고정부와 타측슬릿고정부를 결속하는 슬릿 고정줄과; 상기 지반의 터의 주변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목과; 상기 고정줄 고정부와 상기 지지목에 연결되는 지지목 고정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줄기삽입공간은 상기 지지시트의 중앙에 상하관통형성되는 삽입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줄기삽입공간은 상기 지지시트의 중앙에 방사상으로 절개형성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시트의 중앙에 절취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슬릿과 상기 고정줄 고정부 사이의 상기 지지시트의 표면에 상기 슬릿 및 상기 고정줄 고정부와 직선을 이루는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시트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슬릿과 상기 절취부 사이의 상기 지지시트의 표면에 원형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줄 고정부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접한 상태로 포개어진 고정띠로 이루어지고, 서로 접한 상태로 포개어진 상기 고정띠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일측슬릿고정부 및 타측 슬릿고정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시트의 표면에 봉제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목 고정줄은 케이블 타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시트는 투수형 방초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지반에 터파기된 터에 안착된 수목의 줄기를 상기 지지시트의 줄기삽입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시트를 수목의 뿌리분의 상부면에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시트의 일측슬릿고정부 및 타측슬릿고정부를 슬릿고정줄을 이용하여 결속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시트의 고정줄 고정부와 지지목을 지지목 고정줄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목을 상기 지반의 터 주변에 삽입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지지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시트는 투수형 방초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목 고정줄은 케이블 타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반에 터파기한 터의 외부로 지지목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목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지지목이 인력 등을 포함한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지지목이 수목과 접하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반에 터파기한 터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목이 수목의 성장의 방해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없으며, 아울러 뿌리가 지반에 활착된 수목으로부터 상기 지지목을 분리수거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목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고정줄 고정부와 지지목에 지지목 고정줄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지반에 터파기된 터에 수목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수목의 뿌리분에 지지시트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일측슬릿고정부 및 타측슬릿고정부를 슬릿고정줄을 이용하여 결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고정줄 고정부와 지지목에 지지목 고정줄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지지목이 지반에 터파기된 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반에 터파기된 터내에 흙이 매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목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수목지지구는 수목(도 6의 3)의 뿌리분(도 6의 31)을 매립하기 위하여 지반(도 7의 5)에 터파기한 터(도 7의 7)에 수목(3)의 뿌리분(31)을 식재한 후 수목(3)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지지시트(도 1의 10), 슬릿 고정줄(도 6의 20), 지지목(도 6의 30), 지지목 고정줄(도 6의 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시트(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줄기삽입공간(100), 줄기삽입슬릿(110), 일측슬릿고정부(120) 및 타측슬릿고정부(130), 고정줄 고정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에는 수목(3)의 줄기가 삽입되는 상기 줄기삽입공간(100)이 형성된다.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은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에서 상기 지지시트(10)의 가장자리(물건의 가를 이루는 선(도 1의 E부분).) 중 어느 지점까지 절개형성된다.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중간부 일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상부표면에 타원형의 띠형태인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중간부 일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상부표면에는 상기 줄기삽입슬릿(110)과 직교를 이루는 타원형의 띠형태인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의 일측이 봉제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중간부 타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상부표면에 타원형의 띠형태인 상기 타측슬릿고정부(1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중간부 타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상부표면에는 상기 줄기삽입슬릿(110)과 직교를 이루는 타원형의 띠형태인 상기 타측슬릿고정부(1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이 봉제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 및 타측슬릿고정부(1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시트(10)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가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 중 적어도 2개의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는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 및 타측슬릿고정부(1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중간부 일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상부표면 및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중간부 타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상부표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릿 고정줄(20)은 상기 지지시트(10)의 줄기삽입슬릿(110)을 통해 상기 지지시트(10)의 줄기삽입공간(100)에 수목(3)의 줄기(3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와 상기 타측슬릿고정부(130)를 결속하게 된다.(도 6 참조.)
상기 슬릿 고정줄(20)은 일자형의 와이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작업자에 의해 상기 슬릿 고정줄(20)을 이루는 일자형의 와이어의 일측이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의 타측내를 통과하고,
일자형의 와이어의 타단부가 상기 타측슬릿고정부(130)의 일측내를 통과한 상태에서 일자형의 와이어의 일측과 타측은 작업자에 의해 매듭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와 상기 타측슬릿고정부(130)를 보다 더욱 손쉽게 결속하기 위해 상기 슬릿 고정줄(20)은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의 내측과 상기 타측슬릿고정부(130)의 내측을 각각 통과하는 케이블 타이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목(30)은 수목(3)의 뿌리분(3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반(5)의 터(7) 주변에 작업자에 의해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된다.(도 10 참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줄기삽입공간(100)은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에 상하관통형성되는 삽입구(1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줄기삽입공간(100)은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에 방사상으로 절개형성되는 슬릿(10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릿(102)의 절개길이는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절개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에서 상기 지지시트(10)의 가장자리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절취부(160)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에서 상기 지지시트(10)의 가장자리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상기 절취부(160)의 연장길이는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절개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취부(160)는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중간부 일측 주변과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중간부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와 상기 삽입구(10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에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와 직선을 이룬상태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취부(160)는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지지시트(10)의 삽입구(101)에서 상기 지지시트(10)의 가장자리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취부(160)는 상기 슬릿(102) 사이 마다 위치한 상태로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표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에서 상기 지지시트(10)의 가장자리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릿(102)과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 사이의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에 상기 슬릿(102) 및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와 직선을 이루는 상기 절취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시트(10)는 원형, 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지지시트(10)에 보다 많은 개수의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가 구비 및 지반(5)에 터파기한 터(7)에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와 대응되는 개수의 복수의 지지목(30)이 설치되어 수목(3)이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지반(5)에 터파기한 터(7)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시트(10)가 오각형 또는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각형 형상 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 등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릿(102)과 상기 절취부(160)가 서로 만나는 지점(P)에 해당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에는 원형의 관통구(17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시트(10)의 고정줄 고정부(150)는 고정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에 의해 일자형의 상기 고정띠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접한 상태로 포개어져 상기 고정띠가 타원형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 접한 상태로 포개어진 상기 고정띠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 및 타측슬릿고정부(1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에 봉제고정될 수 있다.
수목(3)의 성장에 따라 수목(3)의 줄기(32)의 외경크기는 점차 커지게 된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의 경우, 외경크기가 점차 커지는 수목(3)의 줄기(32)의 성장에 따라 상기 절취부(160)가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심에서 상기 지지시트(10)의 외측방향으로 점차 절취됨과 더불어, 상기 절취부(160) 주변의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은 상기 지지시트(10)의 외측방향으로 점차 벌어지게 된다.
도 4, 5의 경우, 외경크기가 점차 커지는 수목(3)의 줄기(32)의 성장에 따라 상기 슬릿(102) 주변의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 및 상기 줄기삽입슬릿(110) 주변의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은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심에서 상기 지지시트(10)의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102)과 상기 절취부(160)가 서로 만나는 지점(P)에 해당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원형의 상기 관통구(170)를 통해 상기 슬릿(102)에서 상기 절취부(160) 방향으로의 절개력을 보다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절취부(160)가 급작스럽게 절취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있고, 나아가 원형의 상기 관통구(170)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이 찢어져 훼손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목(3)의 줄기(도 3의 32)의 외경크기는 보다 더욱 커질 시 상기 절취부(160)는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심에서 상기 지지시트(10)의 외측방향으로 점차 절취되고,
이때,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과 상기 절취부(160)가 일직선을 이룬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절취부(160)가 필요이상으로 상기 지지시트(10)의 외측방향으로 절취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고정줄 고정부(150)와 지지목(30)에 지지목 고정줄(40)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목 고정줄(40)은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와 상기 지지목(30)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목 고정줄(40) 역시 일자형의 와이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작업자에 의해 상기 지지목 고정줄(40)을 이루는 일자형의 와이어의 일측이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의 내측을 통과하고,
일자형의 와이어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목(30)의 상측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지지목(30)에 걸쳐진 상태에서 일자형의 와이어의 일측과 타측은 작업자에 의해 매듭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목 고정줄(40)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와 상기 지지목(30)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지지목 고정줄(40)은 일측이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의 내측을 통과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목(30)의 상측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지지목(30)에 걸쳐지는 케이블 타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목 고정줄(40)을 이루는 케이블 타이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목(30)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목(30)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목 고정줄(40)을 이루는 케이블 타이의 타단부가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시트(10)는 수목(3)의 뿌리분(31)으로의 빗물 등을 포함한 수분이 보다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수목(3)의 뿌리분(31) 주변에 잡초가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 등을 포함한 투수형 방초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지반(5)에 터파기된 터(7)에 수목(3)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수목(3)의 뿌리분(31)에 지지시트(10)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수목의 지지방법은 크게, 지지시트 준비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지지시트 안착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일측슬릿고정부 및 타측슬릿고정부 결속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지지목 고정줄 연결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 및 지지목 삽입단계(이하 'e)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a)단계는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된 상기 지지시트(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반(5)에 터파기된 터(7)에 안착된 수목(3)의 줄기(32)를 상기 지지시트(10)의 줄기삽입공간(100)내 삽입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시트(10)를 수목(3)의 뿌리분(31)의 상부면에 안착하는 단계이다.
도 9는 일측슬릿고정부(120) 및 타측슬릿고정부(130)를 슬릿고정줄(20)을 이용하여 결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시트(10)의 일측슬릿고정부(120) 및 타측슬릿고정부(130)를 상기 슬릿 고정줄(20)을 이용하여 결속하는 단계이다.
도 10은 도 5의 고정줄 고정부(150)와 지지목(30)에 지지목 고정줄(40)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시트(10)의 고정줄 고정부(150)와 상기 지지목(30)을 상기 지지목 고정줄(40)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목(30)의 하측을 상기 지반(5)의 터(7) 주변에 일정깊이로 수직으로 삽입고정하는 단계이다.
도 11은 지지목(30)이 지반(5)에 터파기된 터(7)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반(5)에 터파기된 터(7)내에 흙이 매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지지목(30)이 지반(5)에 터파기한 터(7)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반(5)에 터파기된 터(7) 내로는 작업자에 의해 흙이 매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수목의 지지방법의 상기 지지시트(1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 등을 포함한 투수형 방초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상기 지지목 고정줄(40) 역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타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반(5)에 터파기한 터(7)의 외부로 상기 지지목(30)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목(3)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목(30)이 인력 등을 포함한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지지목(30)이 수목(3)과 접하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반(5)에 터파기한 터(7)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목(30)이 수목(3)의 성장의 방해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없으며,
아울러, 뿌리가 지반(5)에 활착된 수목(3)으로부터 상기 지지목(30)을 분리수거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3; 수목, 10; 지지시트,
20; 슬릿 고정줄, 30; 지지목,
40; 지지목 고정줄.

Claims (13)

  1. 수목(3)의 뿌리분(31)을 매립하기 위하여 지반(5)에 터파기한 터(7)에 수목(3)의 뿌리분(31)을 식재한 후 수목(3)을 지지하기 위한 수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목(3)의 줄기(32)가 삽입되는 줄기삽입공간(100)이 중앙에 형성되고, 중앙에서 가장자리까지 절개형성되는 줄기삽입슬릿(110)과,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중간부 일측 주변에 위치하는 표면과 상기 줄기삽입슬릿(110)의 중간부 타측 주변에 위치하는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슬릿고정부(120) 및 타측슬릿고정부(130)와,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 및 타측슬릿고정부(1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표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줄 고정부(1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지지시트(10)와;
    상기 지지시트(10)의 일측슬릿고정부(120)와 타측슬릿고정부(130)를 결속하는 슬릿 고정줄(20)과;
    상기 지반(5)의 터(7)의 주변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목(30)과;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와 상기 지지목(30)에 연결되는 지지목 고정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줄기삽입공간(100)은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에 방사상으로 절개형성되는 슬릿(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102)과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 사이의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에 상기 슬릿(102) 및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와 직선을 이루는 절취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102)과 상기 절취부(160) 사이의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에 원형의 관통구(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시트(10)의 중앙에 절취부(160)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시트(10)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접한 상태로 포개어진 고정띠로 이루어지고,
    서로 접한 상태로 포개어진 상기 고정띠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일측슬릿고정부(120) 및 타측 슬릿고정부(1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시트(10)의 표면에 봉제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목 고정줄(40)은 케이블 타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시트(10)는 투수형 방초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구.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지시트(10)를 준비하는 단계와;
    지반(5)에 터파기된 터(7)에 안착된 수목(3)의 줄기(32)를 상기 지지시트(10)의 줄기삽입공간(100)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시트(10)를 수목(3)의 뿌리분(31)의 상부면에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시트(10)의 일측슬릿고정부(120) 및 타측슬릿고정부(130)를 슬릿고정줄(20)을 이용하여 결속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시트(10)의 고정줄 고정부(150)와 지지목(30)을 지지목 고정줄(40)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목(30)을 상기 지반(5)의 터(7) 주변에 삽입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지지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시트(10)는 투수형 방초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지지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목 고정줄(40)은 케이블 타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지지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017743A 2013-02-20 2013-02-20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 KR101307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43A KR101307326B1 (ko) 2013-02-20 2013-02-20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43A KR101307326B1 (ko) 2013-02-20 2013-02-20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326B1 true KR101307326B1 (ko) 2013-09-11

Family

ID=4945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743A KR101307326B1 (ko) 2013-02-20 2013-02-20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3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851U (ko) * 1977-06-27 1979-01-25
JPH03112419A (ja) * 1989-09-27 1991-05-14 Toho Perlite Co Ltd 樹木の支持施工方法
JP2009526522A (ja) * 2006-02-14 2009-07-23 ダブリュー ファーマー,ジェームズ 樹木地下固定装置及び方法
JP2010124749A (ja) 2008-11-27 2010-06-10 Toho Leo Co 樹木の支持施工方法と、支持施工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851U (ko) * 1977-06-27 1979-01-25
JPH03112419A (ja) * 1989-09-27 1991-05-14 Toho Perlite Co Ltd 樹木の支持施工方法
JP2009526522A (ja) * 2006-02-14 2009-07-23 ダブリュー ファーマー,ジェームズ 樹木地下固定装置及び方法
JP2010124749A (ja) 2008-11-27 2010-06-10 Toho Leo Co 樹木の支持施工方法と、支持施工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2374B2 (ja) 植物の生長調節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植物栽培容器
KR20140018070A (ko) 나무를 빠르게 성장시키는 방법
US11700800B2 (en) Protective tree tube, method, and revetment using tree contained in same
KR20140069556A (ko) 삽수 보호구와 이를 이용한 닥나무의 재배방법
JP2011010660A (ja) 花、及び/又は、実を多く実らせる栽培方法
KR101049249B1 (ko) 수목 지하 지주 설치방법
JP2014076039A (ja) 自然薯の生産方法
KR20090085388A (ko) 조림목 보호구
KR20120085705A (ko) 과수용 잡초 성장억제 덮개장치 및 잡초성장 억제방법
KR101307326B1 (ko) 수목 지지구 및 수목의 지지방법
KR200495312Y1 (ko) 과실수용 제초패드
JP2016171771A (ja) 挿し木苗を製造するための資材及び挿し木苗の製造方法
JP2001218523A (ja) 苗 木
JP3154908U (ja) 苗木育成用保護具
JP4841890B2 (ja) 植栽用竹具および該竹具を用いた植栽方法並びに斜面緑化工法
JP2008289425A (ja) 取木用ポット
JP5207160B1 (ja) 自然薯の栽培装置
JP3112039U (ja) 雑草侵入防止板
KR101591513B1 (ko) 초기 생육을 위한 수목 식재 공법
JP3114416U (ja) 植栽用ポット
KR101775415B1 (ko) 과일나무 재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일나무 재배방법
KR101713488B1 (ko) 수목 재배 용기
JP3409004B2 (ja) 植物育成方法
JPH09107820A (ja) 法面への植樹方法
JP6662584B2 (ja) 植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