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945B1 -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 - Google Patents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945B1
KR101306945B1 KR1020120035594A KR20120035594A KR101306945B1 KR 101306945 B1 KR101306945 B1 KR 101306945B1 KR 1020120035594 A KR1020120035594 A KR 1020120035594A KR 20120035594 A KR20120035594 A KR 20120035594A KR 101306945 B1 KR101306945 B1 KR 101306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hamber
dispensing
metering chamber
chambe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석균
Original Assignee
남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석균 filed Critical 남석균
Priority to KR102012003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장챔버(S1) 및 저장챔버의 하측에 배치되되 체적이 가변될 수 있는 계량챔버(S2) 및 상기 계량 챔버(S2)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출부(150)를 구비하는 본체부(110)와; 상기 저장챔버(S1)와 상기 계량챔버(S2) 사이의 계량공(160)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가동되는 저장챔버 개폐수단(114)과; 상기 계량챔버(S2)와 상기 배출부(150) 사이의 배출공(16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가동되는 계량챔버 개폐수단(132)과; 상기 계량챔버(S2)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체적가변부(11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Dispensing Controllable Discharging Container}
본 발명은 분배량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는 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필요한 부피의 양념을 계량하여 공급할 수 있는 양념 용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념을 담아두는 양념 용기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의 개방된 타측에 캡이 장착되고, 캡을 개방하고 용기를 기울여서 사용자의 눈대중으로 용기를 기울여서 흔들어줌으로써 분배될 양념량을 계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분배형 용기, 예를 들어 양념 용기의 경우, 사용자에 따라 양념 용기에서 1회에 분배되는 양이 서로 상이하여 양념 용기를 사용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양념의 용량을 적절한 양으로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념 용기에서 양념을 바로 분배하는 것이 아니라 계량숫가락을 이용하여 양념 분배량을 개량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는 하였으나, 별도의 계량 숫가락을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고, 계량 숫가락에 양념을 분배하는 단계에서 양념이 계량 숫가락의 탑재 한도를 넘어서서 분배되는 바람에 양념이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용기에서 분배되는 분배물의 분배량을 계량하여 분배할 수 있는 분배량 조절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장챔버(S1) 및 저장챔버의 하측에 배치되되 체적이 가변될 수 있는 계량챔버(S2) 및 상기 계량 챔버(S2)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출부(150)를 구비하는 본체부(110)와; 상기 저장챔버(S1)와 상기 계량챔버(S2) 사이의 계량공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가동되는 저장챔버 개폐수단(114)과; 상기 계량챔버(S2)와 상기 배출부(150) 사이의 배출공(16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가동되는 계량챔버 개폐수단(132)과; 상기 계량챔버(S2)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체적가변부(118)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체적가변부(118)는 상기 계량챔버(S2)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되 경사각이 가변되는 경사부(118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체적가변부(118)는 상기 경사부(118b)의 경사각을 가변시키는 지지 플레이트(118a)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체적가변부(118)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18a)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한편, 상기 체적가변부(118)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18a)에 연결되어 있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리브(118d)를 구비한 이동바(118c) 및 상기 리브(118d)에 상보적인 치형(118g)이 형성된 다이얼부(118f)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저장 챔버(S1) 내부에 상기 저장챔버(S1)와 상기 계량챔버(S2) 사이의 계량공(160)을 향하여 경사진 저장챔버 경사부(111)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저장챔버 개폐수단(114)은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슬라이딩한다.
상기 계량챔버 개폐수단(132)은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130)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에서 분배되는 내용물의 분배량을 간편하게 계량하여 분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되는 내용물의 분배량을 간편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에서 저장챔버에서 계량챔버로 내용물이 이동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에서 계량챔버에서 배출부로 계량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에서 저장챔버에서 계량챔버로 내용물이 이동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에서 계량챔버에서 배출부로 계량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는, 내용물이 담겨지게 되는 본체부(110)와, 그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140) 및 본체부(110)의 측면에 배치되는 손잡이(130)를 구비한다. 또한,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는 본체부 내부에 저장 챔버와 계량 챔버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부(110) 외부로 그립부(114a)가 돌출된 저장챔버 개폐 수단(114)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130)의 내부에는 계량 챔버를 개폐하기 위한 계량 챔버 개폐수단(132)이 구비된다.
한편 본체부(110)에는 계량 챔버의 체적을 가변시켜 계량되는 내용물의 량을 변화시키는 체적가변부(118)가 설치된다.
이 사건 출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장챔버(S1) 및 저장챔버의 하측에 배치되되 체적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계량챔버(S2) 및 상기 계량 챔버(S2)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출부(150)를 구비하는 본체부(110)와; 상기 저장챔버(S1)와 상기 계량챔버(S2) 사이의 계량공(160)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가동되는 저장챔버 개폐수단(114)과; 상기 계량챔버(S2)와 상기 배출부(150) 사이의 배출공(16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가동되는 계량챔버 개폐수단(132)과; 상기 계량챔버(S2)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체적가변부(118)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체적가변부(118)는 상기 계량챔버(S2)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되 경사각이 가변되는 경사부(118b)를 구비하며, 아울러, 상기 체적가변부(118)는 상기 경사부(118b)의 경사각을 가변시키는 지지 플레이트(118a)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경사부(118b)는 가요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데, 일측은 상기 본체부의 배출부(150)의 측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 플레이트(118a)를 지나서 배치된 권취부(118e)에 의해 탄성부재 방식으로 권취되거나 권취상태가 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18a)의 이동에 의해서 경사부(118b)의 경사각 조절에도 불구하고 경사부(118b)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적가변부(118)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18a)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체적가변부(118)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18a)에 연결되어 있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리브(118d)를 구비한 이동바(118c) 및 상기 리브(118d)에 상보적인 치형(118g)이 형성된 다이얼부(118f)를 구비한다. 상기 다이얼부(118f)는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된 다이얼 회전부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본체부의 다이얼 회전부의 원주방향에는 계량되는 양을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서 지지 플레이트(118a)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경사부(118b)의 경사각이 커지게 되어 결국 계량 챔버(S2)의 부피가 작아지게 되고, 반대로 지지 플레이트(118a)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경사부(118b)의 경사각이 작아지게 되어 계량 챔버(S2)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 챔버(S1) 내부에 상기 저장챔버(S1)와 상기 계량챔버(S2) 사이의 계량공(160)을 향하여 경사진 저장챔버 경사부(111)를 추가로 구비하여, 저장챔버(S1) 내부에 담겨지는 내용물이 경사부(111)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보조된다.
상기 저장챔버 개폐수단(114)은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본체부(110)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 그립부(114a)는 본체부(110) 내부에서 경사부(111)와 구획부(117) 사이의 공간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저장챔버(S1)에 대한 개폐를 담당하는 저장챔버 개폐수단 플레이트(114b)에 연결된다. 상기 저장챔버 개폐수단 플레이트(114b)는 그 일측은 본체부에 형성된 저장챔버 개폐수단 탄성부재 본체부 고정부(114c)와 연결되고, 타측은 저장챔버 개폐수단 플레이트(114b)에 형성된 저장챔버 개폐수단측 고정부(114d)에 연결되어 탄성 작용을 하는 제1 탄성부재(114e)에 의해 저장챔버를 개폐한 후 복귀하는 동력을 얻게 된다.
상기 계량챔버 개폐수단(132)은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130)의 내측에 형성된 경로(131)를 따라 상기 본체부(1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계량 챔버 개폐수단(132)는 손잡이(130)에서 본체부(110)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133)를 통하여 돌출되는 푸쉬부(132a)와, 상기 푸쉬부(132a)에 연결되면서 상기 손잡이 내부의 경로(131)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결부(132b)와 상기 제 1 연결부(132b)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부(111)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개량챔버 개폐수단 플레이트(132c)를 구비한다. 상기 개량챔버 개폐수단 플레이트(132c)의 단부는 계량 챔버(S2) 하측의 배출부(150)를 개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량 챔버 개폐수단 플레이트(132c)는 상기 저장 챔버 개폐수단(114)와 마찬가지로 탄성 부재에 의해 슬라이딩에 대하여 복원력을 가지도록 작동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량챔버 개폐수단 플레이트(132c)은 개량챔버 개폐수단 탄성부재 본체측 고정부(132d)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개량챔버 개폐수단 플레이트(132c)에 타측이 고정된 제 2 탄성부재(132f)에 의해 개방을 위하여 작동하는 힘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폐쇄를 위하여 바이어스 된다.
도 3은 저장 챔버(S1)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물이 저장 챔버 개폐수단(114)의 작동에 의하여 계량 챔버(S2)로 하강하여 계량 챔버(S2)의 공간이 내용물로 채워져서 계량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저장챔버 개폐 수단(114)는 사용자가 그립부(114a)를 잡아당길 때 본체부(110)의 제 1 탄성부재(140e)의 바이어스력을 이기고 본체부(110)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서 내용물이 계량공(160)을 통과하게 한다. 이때, 계량 챔버(S2)는 계량챔버 개폐수단(132)에 의해 그 하측이 폐쇄되어 있다.
저장 챔버 개폐수단(114)을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제 1 탄성부재(140e)에 의해 저장챔버 개폐수단(114)은 계량공(160)을 폐쇄하게 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 챔버 개폐수단(132)의 푸쉬부(132a)가 푸쉬되면 계량 챔버 개폐수단(132)의 계량 챔버 개폐수단 플레이트(132c)가 제2 탄성부재(132f)의 바이어스력을 이기고 슬라이딩되어 배출공(165)가 개방됨으로써 계량되어진 내용물은 배출부(150)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계량 챔버(S2) 내부에 있던 내용물이 모두 배출되면 계량 챔버 개폐수단(132)에 대하여 작용하던 힘을 해제하여 계량 챔버 개폐 수단(132)은 다시 배출공(165)를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저장 챔버(S1)에 있던 내용물 중 일부가 체적이 가별된 수 있는 계량 챔버(S2)에서 계량된 후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 110: 본체부
130: 손잡이 140: 덮개
150: 배출부

Claims (8)

  1.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장챔버(S1) 및 저장챔버의 하측에 배치되되 체적이 가변될 수 있는 계량챔버(S2) 및 상기 계량 챔버(S2)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출부(150)를 구비하는 본체부(110)와;
    상기 저장챔버(S1)와 상기 계량챔버(S2) 사이의 계량공(160)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가동되는 저장챔버 개폐수단(114)과;
    상기 계량챔버(S2)와 상기 배출부(150) 사이의 배출공(16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가동되는 계량챔버 개폐수단(132)과;
    상기 계량챔버(S2)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체적가변부(118)를 구비하는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가변부(118)는 상기 계량챔버(S2)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되 경사각이 가변되는 경사부(118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가변부(118)는 상기 경사부(118b)의 경사각을 가변시키는 지지 플레이트(118a)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가변부(118)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18a)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가변부(118)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18a)에 연결되어 있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리브(118d)를 구비한 이동바(118c) 및 상기 리브(118d)에 상보적인 치형(118g)이 형성된 다이얼부(118f)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챔버(S1) 내부에 상기 저장챔버(S1)와 상기 계량챔버(S2) 사이의 계량공(160)을 향하여 경사진 저장챔버 경사부(111)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챔버 개폐수단(114)은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챔버 개폐수단(132)은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130)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100).
KR1020120035594A 2012-04-05 2012-04-05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 KR101306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594A KR101306945B1 (ko) 2012-04-05 2012-04-05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594A KR101306945B1 (ko) 2012-04-05 2012-04-05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945B1 true KR101306945B1 (ko) 2013-09-09

Family

ID=4945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594A KR101306945B1 (ko) 2012-04-05 2012-04-05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9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4059A (ja) * 1995-10-27 1997-05-13 Toppan Printing Co Ltd 計量可変機能付定量キャップ
JPH09272557A (ja) * 1996-04-03 1997-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可変計量装置および可変計量容器
JP2003054658A (ja) 2001-08-10 2003-02-26 Fumio Sawada 粉粒体の定量取り出し容器
JP2010538923A (ja) 2007-09-14 2010-12-16 レストラ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節可能な被計量物ディスペ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4059A (ja) * 1995-10-27 1997-05-13 Toppan Printing Co Ltd 計量可変機能付定量キャップ
JPH09272557A (ja) * 1996-04-03 1997-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可変計量装置および可変計量容器
JP2003054658A (ja) 2001-08-10 2003-02-26 Fumio Sawada 粉粒体の定量取り出し容器
JP2010538923A (ja) 2007-09-14 2010-12-16 レストラ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節可能な被計量物ディスペン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9992A (en) Multi-compartmented device for dispensing exact quantities of dry material
JP2014510611A5 (ko)
US8028865B2 (en) Two-way dispenser cap with metered and unmetered selection
JP2008161680A (ja) 粉末状の媒質を計量して配出するための器具
JP5683235B2 (ja) 注出容器
KR101306945B1 (ko) 분배량 조절 배출 용기
KR20160104526A (ko) 통과 장치,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US11105671B2 (en)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US20120217270A1 (en) Adjustable measuring dispenser and method
KR200274791Y1 (ko) 계량용 포장용기
WO2013055200A1 (en)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dispensing liquid
KR101523932B1 (ko) 양념통
US2767889A (en) Dispensing caps or covers
KR101271169B1 (ko) 액제용 용기
US3201008A (en) Dispensing package with sliding trap chamber
KR101989618B1 (ko)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KR20110095496A (ko)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배방법
JPH0854272A (ja) 粉末状製品の計量装置
CN211168103U (zh) 可计量的容器
JP3225714U (ja) 計量米びつ
KR200182853Y1 (ko)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CN212458586U (zh) 一种药丸胶囊称重装置
KR20220042018A (ko)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KR200182849Y1 (ko)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JP2010179931A (ja) 倒立計量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