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849Y1 -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 Google Patents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849Y1
KR200182849Y1 KR2019990029292U KR19990029292U KR200182849Y1 KR 200182849 Y1 KR200182849 Y1 KR 200182849Y1 KR 2019990029292 U KR2019990029292 U KR 2019990029292U KR 19990029292 U KR19990029292 U KR 19990029292U KR 200182849 Y1 KR200182849 Y1 KR 200182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outlet
conten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목
Original Assignee
송희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희목 filed Critical 송희목
Priority to KR2019990029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8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8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말 또는 액체를 보관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출구에 연결된 계량용기에 의하여 배출하기 위한 정량을 계량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기에 보관되는 내용물은 눈대중으로 배출하거나 용기 뚜껑에 별도로 설치된 눈금을 통하여 배출량을 결정하여 배출함으로 정량배출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은 ㄱ형으로 형성된 선단의 배출구(6)내부에 삽입홈(5)과 상측에 삽입공(7)을 형성하여 손잡이(11)가 상측으로 연결되고 관통구(10)가 형성된 차단판(9)을 설치한 계량용기(3)로 형성되어 용기를 기울임에 따라서 결정된 배출정량을 간편하게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본 고안은 분말 또는 액체를 보관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출구에 연결된 계량용기에 의하여 배출하기 위한 정량을 계량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발된 대부분의 용기들은 액상이나 분말 또는 겔상으로 내용물을 단순하게 보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는 그 형상이나 모양에 관계없이 용기의 상단부에 하나의 주입구를 뚜껑으로 밀봉하도록 되어있으며, 필요시에 뚜껑을 분리한 후 배출용량을 어림잡아서 계산할 수 있도록 용기에 눈금이 표시되거나 용기의 뚜껑을 계량컵으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내용물의 일정량을 배출하고자 하여도 정확한 용량을 공급하지 못하고 사용자에 의한 짐작으로 배출되므로 정량배출이 어려웠다.
특히, 정량을 요구하는 세제나 농약과 같이 정량을 계량하여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이들 내용물을 별도의 계량컵을 이용하여 배출시킨 후 계량하므로 손에 이들 내용물이 닿는 등 정량배출이 매우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용기의 연결출구에 연결되는 계량용기에 계량눈금이 있어서 정량측정이 가능하고, 배출구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배출정량을 계량한 후 차단판을 회전시켜 간단히 배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를 기울이는 정도에 따라서 내용물이 계량용기로 들어가도록 하여 정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의 연결출구에 연결되며 선단에 배출구를 갖고, 배출구의 내부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측의 삽입공에서 관통구가 형성된 차단판을 삽입하여 계량한 후 손잡이로 차단판을 회전시켜 관통구로 배출구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정량 배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을 이용한 용량계량 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을 이용한 계량된 내용물의 배출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연결출구
3 : 계량용기 4 : 계량눈금
5 : 삽입홈 6 : 배출구
7 : 삽입공 8 : 캡
9 : 차단판 10 : 관통구
11 : 손잡이
본 고안은 분말이나 액체 또는 겔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1)의 상측에는 연결출구(2)가 형성되며, 연결출구(2)에는 ㄱ형의 계량용기(3)가 연결된다.
계량용기(3)는 내부에 계량눈금(4)이 표시되어 내용물이 배출될때 정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하며, 선단에는 배출구(6)를 형성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배출구(6)의 내부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삽입홈(5)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삽입공(7)이 형성된다.
삽입공(7)에서 차단판(9)이 삽입되어 배출구(6)를 막고 있으며, 중앙에 관통구(10)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손잡이(11)가 형성된다.
손잡이(11)의 하측에는 삽입공(7)에 캡(8)이 형성되어 있어서 차단판(9)을 보호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용기(1)에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용기와 마찬가지로 손잡이(11)를 돌려 차단판(9)이 회전되어 관통구(10)가 배출구(6)와 일치되어 개방하도록 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시키거나 계량이 필요없을 때에는 충진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계량용기(3)는 용기(1)의 상측인 연결출구(2)가 있는 부분에서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용기(1)에 보관된 내용물을 정량 배출할 경우에는, 용기(1)를 기울이면 연결출구(2)를 통하여 내용물이 계량용기(3)로 이동되고 기울이는 정도에 따라서 이동되는 용량이 결정된다.
이와같이 용기(1)를 기울이는 정도에 따라서 내용물을 계량용기(3)로 이동시켜 계량눈금(4)을 통하여 배출정량을 결정한다.
배출정량이 결정되면 손잡이(11)를 잡고 90°회전시키면 차단판(9)이 배출구(6)를 막고 있다가 회전되면서 배출구(6)와 관통구(10)가 일치되며 배출구(6)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계량용기(3)에 계량된 내용물이 관통구(10)와 배출구(6)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고안은 용기를 기울여서 계량용기로 내용물을 이동시켜 내용물의 배출량을 계량눈금으로 배출정량을 결정한 후 손잡이로 차단판을 회전시켜 배출구를 개방시켜 내용물을 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1)의 상측으로 연결출구(2)를 형성한 후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ㄱ형으로 형성된 선단의 배출구(6)내부에 삽입홈(5)과 상측에 삽입공(7)을 형성하여 손잡이(11)가 상측으로 연결되고 관통구(10)가 형성된 차단판(9)을 설치한 계량용기(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KR2019990029292U 1999-12-22 1999-12-22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KR200182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92U KR200182849Y1 (ko) 1999-12-22 1999-12-22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92U KR200182849Y1 (ko) 1999-12-22 1999-12-22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849Y1 true KR200182849Y1 (ko) 2000-05-15

Family

ID=1960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292U KR200182849Y1 (ko) 1999-12-22 1999-12-22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8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942A (ko) * 2000-12-12 2002-06-21 이소하 분말분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942A (ko) * 2000-12-12 2002-06-21 이소하 분말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3126C (en) Multi-purpose container system for loading liquid dispenser
US6948641B1 (en) Measur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5839619A (en) Measuring dispenser
US5477895A (en) Outlet metering assembly
CA2309288C (en) Metered material dispenser
KR200182849Y1 (ko)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JP2002505416A (ja) 容器用計量装置
KR200182853Y1 (ko)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JP2007084107A (ja) 粉体又は粒体用可変計量振出し容器
KR200182852Y1 (ko)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EP0506822A1 (en) MULTI-COMPARTMENT TANK FOR THE PROPORTIONAL DISTRIBUTION OF SEVERAL TYPES OF LIQUIDS.
JP2013035553A (ja) キャップ
JP4843278B2 (ja) 計量容器
KR200188576Y1 (ko) 계량용기 일체형 용기
KR200183839Y1 (ko)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KR200182850Y1 (ko)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KR200182864Y1 (ko) 용기의 뚜껑에 체결되는 정량 배출장치
KR200405556Y1 (ko) 계량부가 구비된 용기
KR200182851Y1 (ko)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KR930001057Y1 (ko) 계량용기가 일체로 형성된 포장용 용기
JPH09301404A (ja) 定量吐出容器
JPH063800Y2 (ja) 液体計量部付き容器
KR200181285Y1 (ko) 계량컵이 부착된 용기 캡
JPH0140873Y2 (ko)
JP2010120670A (ja) 注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