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297B1 -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297B1
KR101306297B1 KR1020110123825A KR20110123825A KR101306297B1 KR 101306297 B1 KR101306297 B1 KR 101306297B1 KR 1020110123825 A KR1020110123825 A KR 1020110123825A KR 20110123825 A KR20110123825 A KR 20110123825A KR 101306297 B1 KR101306297 B1 KR 10130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manual opening
key
open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864A (ko
Inventor
김병진
김삼영
곽성복
박용재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2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로의 전원차단시, 비상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개폐작동하는 개폐부재를 밀어 강제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글로브박스의 일측에서 상기 개폐부재를 향한 위치에 설치되는 키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소지한 키 조작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키 어셈블리;
상기 키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단이 상기 키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키 어셈블리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를 밀어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수동개방용 바; 및
상기 키 어셈블리의 작동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키 하우징과 상기 수동개방용 바에 구비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식 글로브박스에 공급되는 전원이 다양한 원인들로 차단된 경우에, 운전자가 소지한 키를 이용하여 키 어셈블리를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수동개방용 바가 글로브박스 개폐작동용 개폐부재를 밀게 되므로, 전원공급이 이루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HAND OPERATED OPEN DEVICE OF ELECTRICALLY POWERED GLOVE 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으로 개폐작동되도록 된 자동차용 글로브박스가 전기적 결함 등으로 개방이 불가능할 때, 즉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박스(Glove Box)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이 공간을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하는 개폐도어로 개폐하도록 된 차량용 보관박스를 지칭하는 말이다.
자동차 산업이 발전하면서 단순 물품 보관함으로만 사용되어 왔던 글로브박스가 근래에는 냉/온 기능이 부가되어 기능적인 면에서 사용자들에게 한층 더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브박스는 잠금장치와 개폐장치가 설치되는데, 잠금장치는 키(key)를 이용하여 타인이 함부로 개방하지 못하게 잠금 시킬 때 사용하며, 개폐장치는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때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글로브박스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글로브박스의 개폐 편의성을 위하여 자동차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의해 작동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59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 하우징에 대한 록킹로드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작동케이블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엑츄에이터와, 엑츄에이터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도록 엑츄에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부와, 엑츄에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와, 글로브박스 커버의 개방 여부를 알리기 위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스위치부 및 출력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BCM를 포함하여, 탑승자가 글로브박스를 스위치의 조작으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동식 글로브박스는 사고, 배터리의 방전, 배터리 파열 등으로 인하여 메인전원이 완전 차단된 경우에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글로브박스에 보관중인 물품을 꺼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50978호(공개일 : 2008.08.1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전동식 글로브박스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차량의 소유자가 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로의 전원차단시, 비상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개폐작동하는 개폐부재를 밀어 강제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글로브박스의 일측에서 상기 개폐부재를 향한 위치에 설치되는 키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소지한 키 조작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키 어셈블리; 상기 키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단이 상기 키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키 어셈블리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를 밀어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수동개방용 바; 및 상기 키 어셈블리의 작동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키 하우징과 상기 수동개방용 바에 구비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회전방지부; 및 상기 회전방지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의 단면과 동일하게 상기 키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는 다각형상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키 어셈블리의 회전작동으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작동 변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작동 변환수단은, 일단이 상기 키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작동홈을 갖는 연결부재; 및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홈에 끼워져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시 상기 작동홈에 안내되어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직선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직선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로의 전원차단시, 비상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개폐작동하는 개폐부재를 밀어 강제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글로브박스의 일측에서 상기 개폐부재를 향한 위치에 설치되는 키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소지한 키 조작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키 어셈블리; 상기 키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단이 상기 키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키 어셈블리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를 밀어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수동개방용 바; 및 상기 키 어셈블리의 작동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키 하우징과 상기 수동개방용 바에 구비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회전방지부; 및 상기 회전방지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의 단면과 동일하게 상기 키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는 다각형상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키 어셈블리의 회전작동으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작동 변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작동 변환수단은, 일단이 상기 키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나사산과 맞물려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직선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통과하는 상기 글로브박스의 일부 영역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안내홈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방지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글로브박스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는 것이다.
삭제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홈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와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홈에는, 상기 수동개방용 바 또는 글로브박스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감쇄용 패킹이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진동 감쇄용 패킹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와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개폐부재에 접하는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끝단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식 글로브박스에 공급되는 전원이 다양한 원인들로 차단된 경우에, 운전자가 소지한 키를 이용하여 키 어셈블리를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수동개방용 바가 글로브박스 개폐작동용 개폐부재를 밀게 되므로, 전원공급이 이루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로,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로,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안내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로,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로,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로의 전원차단시, 비상 개방이 가능하도록 글로브박스(10)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개폐작동하는 링크구조의 개폐부재(12)를 수동으로 밀어 강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수동 개방장치는, 글로브박스(10)의 일측에서 개폐부재(12)를 향한 위치에 설치되는 키 하우징(22)과, 이 키 하우징(22)의 내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소지한 키(30) 조작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키 어셈블리(20)와, 키 하우징(22)의 내부에서 일단이 키 어셈블리(20)와 결합되고, 타단은 개폐부재(12)와 접촉되며, 키 어셈블리(20)의 회전작동에 의해 개폐부재(12)를 밀어 개폐부재(12)를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수동개방용 바(40)와, 키 어셈블리(20)의 작동시 수동개방용 바(40)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키 하우징(22)과 수동개방용 바(40)에 구비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글로브박스(10)가 엑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구체적 구성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개폐부재(12)의 끝단을 수동개방용 바(40)로 밀어 올릴 경우 내부 개방구조에 의해 글로브박스(10)는 수동으로 개방된다.
키 하우징(22)은, 키 어셈블리(20)를 글로브박스(10)의 일측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즉, 키 어셈블리(20)와 수동개방용 바(40)는 키 하우징(22) 내부에서 결합되며, 키 하우징(22)은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글로브박스(10)에 결합된다.
키 어셈블리(20)는, 운전자가 소지한 키(30), 예를 들면 보조키 등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어느 한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통체와 내통체 및 외통체와 내통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내통체의 회전을 단속하는 핀들로 이루어진 잠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키(30)가 키홀로 삽입되어 내통체의 회전이 허용될 때, 키 어셈블리(20)는 회전 작동을 하게 된다.
한편, 수동개방용 바(40)는, 키 하우징(22)의 내부에서 일단이 키 어셈블리(20)와 결합되고, 타단은 개폐부재(12)와 접촉되며, 키 어셈블리(20)의 회전작동에 의해 개폐부재(12)를 밀어 개폐부재(12)를 개방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키 어셈블리(20)와 수동개방용 바(40)에는 키 어셈블리(20)의 회전작동에 의해 수동개방용 바(40)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회전작동을 변환하기 위한 회전작동 변환수단이 구비된다.
이 회전작동 변환수단은, 일단이 키 어셈블리(20)와 결합되고, 중공형의 내주면에 나선형의 작동홈(24A)을 갖는 연결부재(24)와, 수동개방용 바(40)의 일단이 연결부재(24)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홈(24A)에 끼워져 연결부재(24)의 회전시 작동홈(24A)에 안내되도록 수동개방용 바(40)의 일단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직선 안내돌기(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작동 변환수단은, 직선 안내돌기(42)가 작동홈(24A)에 삽입되어 안내되므로, 수동개방용 바(40)가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직선 안내돌기(42)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끝단이 만곡지게 원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24)는 키 어셈블리(20)의 내통체의 단부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작동 변환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작동홈(24A)이 암나사산으로 치환될 수 있고, 직선 안내돌기(42)가 숫나사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수동개방용 바(40)의 일단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구조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연결부재(24)가 회전하면, 연결부재(24)와 체결구조로 연결된 수동개방용 바(4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방지수단은, 키 어셈블리(40)의 작동시 수동개방용 바(40)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키 하우징(22)과 수동개방용 바(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동개방용 바(4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회전방지부(44)와, 회전방지부(44)가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방지부(44)의 단면과 동일하게 키 하우징(22)의 일단에 형성되는 다각형상의 관통공(28)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관통공(28)은 키 하우징(22)의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중앙에 관통공(28)이 형성되고, 키 하우징(22)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키 하우징(22)의 단부에 결합되는 캡부재(28A)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회전방지수단은 수동개방용 바(40)가 연결부재(24) 내부로 삽입되는 영역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관통공(28)을 통과하는 영역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방지부(44)가 관통공(28)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수동개방용 바(40)의 회전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글로브박스(10)에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개방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시동꺼짐, 배터리의 방전, 배터리의 파손과 같은 이유로 글로브박스(10)에 공급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전동식 글로브박스(10)의 개방작동은 이루어질 수 없다.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전동식 글로브박스(10)를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미리 소지하고 있는 키(30)를 키 어셈블리(20)의 키홀로 삽입한다.
키(30)의 삽입으로 키 어셈블리(20)의 내통체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체에 구비된 연결부재(24)가 회전하게 된다.
이 연결부재(24)의 회전에 의해 나선형의 작동홈(24A)에 삽입된 직선 안내돌기(42)가 작동홈(24A)에 안내되어 연결부재(24)의 외측으로, 즉 개폐부재(1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작동홈(24A)이 경사지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선형의 경사진 작동홈(24A)의 내벽에 직선 안내돌기(42)가 슬라이딩 접촉되면서 안내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때, 작동홈(24A)에 오일이나 구리스와 같은 윤활제를 도포하여 직선 안내돌기(42)가 원활하게 미끄럼 작동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직선 안내돌기(42)가 작동홈(24A)에 안내되므로 수동개방용 바(40)는 개폐부재(12)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키 하우징(22)의 다각형상으로 된 관통공(28)에 다각형상의 회전방지부(44)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수동개방용 바(40)는 회전하지 않고 직선운동만 하게 되어 개폐부재(1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동개방용 바(40)가 직선운동하여 개폐부재(12)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수동개방용 바(40)의 끝단부가 개폐부재(12)를 밀어 개폐부재(12)가 링크작동으로 개방 작동을 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수동개방용 바(40)의 끝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48)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사면(48)은 개폐부재(1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될 경우, 개폐부재(12)를 효과적으로 밀어올리거나 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수동개방용 바(40)가 개폐부재(12)를 밀어 링크 작동시켜 글로브박스(10)가 소정의 각도로 개방되면, 운전자는 글로브박스(10)를 취부한 후 강제로 당겨서 완전 개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키(30)를 이용하여 글로브박스(10)를 비상 개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동 개방장치는, 수동개방용 바(40)가 통과하는 글로브박스(10)의 일부 영역에 일측으로 개구된 안내홈(52)을 구비하여 회전방지부(44)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부재(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다. 이때, 안내부재(50)는 별도로 제작되어 나사나 리벳 등에 의해 글로브박스(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글로브박스(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방지부(44)가 안내부재(50)의 안내홈(52)에 삽입되어 안내되므로 충격에 의해 회전방지부(44)가 흔들리거나 변형되지 않게 되므로, 정확한 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52)에는 다수개의 돌기(5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돌기(52A)들은 회전방지부(44)와 선접촉 또는 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회전방지부(44)와 안내홈(52)의 내측면이 면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전방지부(44)와 안내홈(52)의 내측면이 선 또는 점 접촉되므로 마찰로 인한 마모, 소음 등이 방지된다.
한편,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52)에는 수동개방용 바(40) 또는 글로브박스(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감쇄용 패킹(60)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들과 같다.
진동 감쇄용 패킹(60)은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펀지나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측면에 회전방지부(44)와 선접촉 또는 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돌기(62)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무재로 된 진동 감쇄용 패킹(60)가 안내홈(52)에 설치되므로, 글로브박스(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수동개방용 바(4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각 돌기(62)들과 진동 감쇄용 패킹(60)에 의해 감쇄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글로브박스 12 : 개폐부재
20 : 키 어셈블리 22 : 키 하우징
24 : 연결부재 24A : 작동홈
28 : 관통공 28A : 캡부재
30 : 키 40 : 수동개방용 바
42 : 안내돌기 44 : 회전방지부
50 : 안내부재 52 : 안내홈
52A,62 : 돌기 60 : 진동 감쇄용 패킹

Claims (10)

  1. 삭제
  2.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로의 전원차단시, 비상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개폐작동하는 개폐부재를 밀어 강제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글로브박스의 일측에서 상기 개폐부재를 향한 위치에 설치되는 키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소지한 키 조작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키 어셈블리;
    상기 키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단이 상기 키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키 어셈블리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를 밀어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수동개방용 바; 및
    상기 키 어셈블리의 작동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키 하우징과 상기 수동개방용 바에 구비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회전방지부; 및 상기 회전방지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의 단면과 동일하게 상기 키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는 다각형상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키 어셈블리의 회전작동으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작동 변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작동 변환수단은,
    일단이 상기 키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작동홈을 갖는 연결부재; 및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홈에 끼워져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시 상기 작동홈에 안내되어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직선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직선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3.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로의 전원차단시, 비상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개폐작동하는 개폐부재를 밀어 강제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글로브박스의 일측에서 상기 개폐부재를 향한 위치에 설치되는 키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소지한 키 조작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키 어셈블리;
    상기 키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단이 상기 키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키 어셈블리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를 밀어 개방작동시키기 위한 수동개방용 바; 및
    상기 키 어셈블리의 작동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회전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키 하우징과 상기 수동개방용 바에 구비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회전방지부; 및 상기 회전방지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의 단면과 동일하게 상기 키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는 다각형상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키 어셈블리의 회전작동으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작동 변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작동 변환수단은,
    일단이 상기 키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나사산과 맞물려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직선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4. 삭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개방용 바가 통과하는 상기 글로브박스의 일부 영역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안내홈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방지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글로브박스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홈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와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홈에는,
    상기 수동개방용 바 또는 글로브박스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감쇄용 패킹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쇄용 패킹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와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 접하는 상기 수동개방용 바의 끝단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KR1020110123825A 2011-11-24 2011-11-24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KR10130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825A KR101306297B1 (ko) 2011-11-24 2011-11-24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825A KR101306297B1 (ko) 2011-11-24 2011-11-24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864A KR20130057864A (ko) 2013-06-03
KR101306297B1 true KR101306297B1 (ko) 2013-09-09

Family

ID=4885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825A KR101306297B1 (ko) 2011-11-24 2011-11-24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105893U1 (de) 2018-10-25 2019-11-05 Dongkook Ind. Co., Ltd. Handschuhfachvorrich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184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댐퍼
CN112158140A (zh) * 2020-10-12 2021-01-01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手套箱和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084B1 (ko) * 1994-03-28 1997-03-14 금양전자산업 주식회사 전자식 해정장치와 수동식 해정장치를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게한 호환성이 제공된 문개폐장치
KR20050110291A (ko) * 2004-05-18 2005-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100850978B1 (ko) * 2007-09-14 2008-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084B1 (ko) * 1994-03-28 1997-03-14 금양전자산업 주식회사 전자식 해정장치와 수동식 해정장치를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게한 호환성이 제공된 문개폐장치
KR20050110291A (ko) * 2004-05-18 2005-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100850978B1 (ko) * 2007-09-14 2008-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105893U1 (de) 2018-10-25 2019-11-05 Dongkook Ind. Co., Ltd. Handschuhfachvorrichtung
US11518314B2 (en) 2018-10-25 2022-12-06 Hyundai Mobis Co., Ltd. Glove box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864A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KR102039079B1 (ko) 작동 장치
KR101306297B1 (ko)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US20050258652A1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KR101610499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KR101799285B1 (ko) 비상 해제기능을 갖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용 액츄에이터 장치
KR101260217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도어 개폐장치
EP1005599A2 (en) Door latch striker
US20190226260A1 (en) Keyless access for commercial vehicles
JP2007069895A (ja) 自動車のボディ部品を操作する操作装置及び方法
JP7037081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JP7100267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KR101230047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WO2011125535A1 (ja) 車両用ロック装置、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780023B1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2009138407A (ja) 車両用サイドロック機構
JP2016097882A (ja) グラブボックス
JP4095543B2 (ja) ドア開閉装置
KR101349045B1 (ko) 푸시 방식 글로브 박스 록킹 장치
KR101123789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KR100577816B1 (ko) 트레이의 개폐 구조
JP7037084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KR102601595B1 (ko) 도어 위치 감지 기능을 갖는 차량의 도어 팝업 액츄에이터 유닛
KR101235919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장치
KR101193625B1 (ko) 글로브 박스의 셀프 로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