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938B1 -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938B1
KR101303938B1 KR1020070109873A KR20070109873A KR101303938B1 KR 101303938 B1 KR101303938 B1 KR 101303938B1 KR 1020070109873 A KR1020070109873 A KR 1020070109873A KR 20070109873 A KR20070109873 A KR 20070109873A KR 101303938 B1 KR101303938 B1 KR 101303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error
power amplifier
signal
output signal
error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634A (ko
Inventor
한상민
올레그 블라디미로비치 포포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8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82Acting on the phase and the amplitude of the input signal
    • H03F1/3288Acting on the phase and the amplitude of the input signal to compensate phase shift as a function of the amplitu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94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ing vector summing of two or more constant amplitude phase-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36A I/Q, i.e. phase quadrature, modulator or demodulator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증폭기의 전송특성에 따른 위상 오차에 대응하는 스칼라 값을 이용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위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에 있어서, (a) 파워 증폭기의 IQ 복조기와 입력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특성에 따른 위상 오차에 대응하는 스칼라 값을 구하는 단계; (b) 스칼라 값을 이용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특성에 따른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위상 시프트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 오차 보상 방법을 제공하며, 위상오차를 제거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 특성을 효과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Phase error, calibration, power amplifier, 위상오차, 위상편차, 보상회로, 파워 증폭기

Description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phase errors in power amplifiers}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을 위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오차 보상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다.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대부분 장거리 통신을 위하여 신호가 특정 파워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전기신호의 파워 증폭기가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신호의 증폭 과정은 종종 위상(phase) 특성의 왜곡을 수반한다. 이는 파워 증폭기의 전송특성으로 인하여 공급전압과 증폭된 신호의 위상 간에 비선형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는 파워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바이어스 전압이 파워 증폭기의 출력신호에 더해져서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를 제거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 특성을 안정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위상오차를 제거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 특성을 효과적으로 안정시키는 무선통신을 위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오차 보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워 증폭기의 전송특성에 따른 위상 오차에 대응하는 스칼라 값을 이용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무선통신을 위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에 있어서, (a) 파워 증폭기의 IQ 복조기와 입력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특성에 따른 위상 오차에 대응하는 스칼라 값을 구하는 단계; (b) 스칼라 값을 이용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특성에 따른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위상 시프트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 오차 보상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a) 단계는, 파워 증폭기의 입력신호 및 입력신호에 대한 직각 위상 신호에 대한 IQ 복조기의 헤테로다인(heterodyne)을 이용하여 스칼라 값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IQ 복조기의 벡터 특성을 이용하여 스칼라 값을 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무선통신을 위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에 있어서, (a) 파워 증폭기의 입력신호를 증폭한 출 력신호의 평균 벡터와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를 이용하여 증폭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상 오차에 대응하는 스칼라 값을 구하는 단계; (b) 스칼라 값을 이용하여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 및 (c) 추정된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이용하여 위상 오차 보상 신호를 상기 파워 증폭기의 입력신호에 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상 오차 보상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a) 단계는, (a1) 출력신호를 진폭에 대하여 정규화하는 단계; (a2)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를 구하는 단계; (a3)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를 구하는 단계; 및 (a4) 직교 벡터에 대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에 비례하는 프로젝션 크기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 단계는, 프로젝션 크기를 이용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무선통신을 위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파워 증폭부; 파워 증폭부의 출력신호에 대한 평균 벡터와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를 이용하여 증폭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상 오차에 대한 스칼라 값을 구하는 스칼라 값 계산부; 스칼라 값을 이용하여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결정하는 위상오차보상각도 결정부; 및 결정된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파워 증폭부의 입력신호에 더하는 위상오차 보상부;를 포함하는 위상 오차 보상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스칼라 값 계산부는, 출력신호를 진폭에 대하여 정규화하고, 정규화 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를 구하며,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를 구하고, 직교 벡터에 대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에 비례하는 프로젝션 크기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보상각도 결정부는, 프로젝션 크기를 이용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결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나아가, 위상오차 보상부는, 결정된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파워 증폭부의 입력신호에 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오차 보상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상오차 보상장치는 파워 증폭부(10), 스칼라값 계산부(20), 위상오차보상각도 결정부(30), 및 위상오차 보상부(40)를 구비한다.
파워 증폭부(10)는,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즉, 파워 전압 또는 바이어스 전압을 이용하여 진폭에 의해 신호가 변조된다. 이때 위상 오차와 함께 신호가 증폭되며, 진폭 변조된 신호가 출력된다.
스칼라 값 계산부(20)는, 파워 증폭부(10)의 출력신호에 대한 평균 벡터와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를 이용하여 증폭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상 오차에 대한 스칼라 값을 구한다. 여기서, 스칼라 값은 위상 오차의 크기에 비례하는 값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스칼라 값 계산부(20)는 위상 오차의 크기에 비례하는 스칼라 값을 구하기 위하여, 파워 증폭기(10)의 출력신호를 진폭에 대하여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를 구하며,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를 구하고, 직교 벡터에 대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에 비례하는 스칼라 값, 즉 프로젝션 값(projection value)을 구한다.
위상오차보상각도 결정부(30)는, 위상 오차의 크기에 비례하는 스칼라 값, 즉 프로젝션 값을 이용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결정한다.
위상오차 보상부(40)는, 결정된 위상 오차 보상 각도, 즉 위상 시프트 각도(phase shift angle)를 이용하여 위상 오차 보상 신호를 파워 증폭부(10)의 입력신호에 더한다. 파워 증폭부(10)의 입력신호에 위상 오차에 비례하는 스칼라 값을 이용한 위상 오차 보상 신호가 더해져 파워 증폭부(10)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위상오차를 제거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 특성을 효과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특히,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사용할 필요 없이 위상 오차를 실시간 측정하여 후술하는 간단한 계산을 통해 실시간으로 위상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오차 보상 장치의 상세 구성과 그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본다.
도 2는 위상 오차의 크기에 비례하는 스칼라 값을 구하는 스칼라 값 계산부(20)의 상세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스칼라 값 계산부(20)는, 정규화부(202), 평균계산부(204), 직교화부(206), 및 프로젝션값 산출부(208)를 구비한다.
정규화부(202)는, 파워 증폭기(10)의 출력신호를 진폭에 대하여 정규화하여 상수 진폭을 갖는 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01
)를 생성한다. 평균계산부(204)는, 단위 시간 내에 정규화된 출력신호들의 평균 벡터(
Figure 112007078104168-pat00002
)를 구한다. 직교화부(206)는,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
Figure 112007078104168-pat00003
)를 구한다. 프로젝션값 산출부(208)는, 직교 벡터에 대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에 비례하는 프로젝션 크기(
Figure 112007078104168-pat00004
)를 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워 증폭기 출력단에서 파워 공급 전압과 무선 주파수 신호와의 관계가 도시된다. 즉, 시간에 따른 파워 공급 전압 또는 입력 신호 진폭의 변화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의 진폭 및 위상 변조 신호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상 오차가 발생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위상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과 장치를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평균신호와 평균신호의 직교화된 신호를 구하는 과정 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1 내지 4의 번호가 붙여진 벡터값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른 파워 공급 전압의 변화에 대응하는 파워 증폭부(10)의 출력신호를 나타낸다.
먼저, 정규화부(202)는 파워 증폭부(10)의 출력신호를 진폭에 대하여 정규화하여 상수 진폭을 갖는 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05
)를 생성한다. 이를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8104168-pat00006
평균계산부(204)는 단위 시간 내에 정규화된 출력신호들의 평균 벡터(
Figure 112007078104168-pat00007
)를 구한다. 평균 벡터는 다음 수학식 2를 통해 간단히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8104168-pat00008
이제 직교화부(206)는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 터(
Figure 112007078104168-pat00009
)를 구한다. 다음 수학식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X 좌표의 부호를 바꿔 줌으로써 간단히 직교벡터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8104168-pat00010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위상오차를 보상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을 확대하여 도 5에 도시하였다.
프로젝션값 산출부(208)는, 직교 벡터(Vave_orthog)에 대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에 비례하는 스칼라 값으로서 프로젝션 크기(
Figure 112007078104168-pat00011
)를 구한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규화된 각 신호들(
Figure 112007078104168-pat00012
)로부터 평균 벡터의 직교 벡터(
Figure 112007078104168-pat00013
)에 대하여 수선을 그렸을 때의 밑변의 길이(
Figure 112007078104168-pat00014
)가 평균 벡터로부터 얼마만큼의 위상 오차를 갖는지를 나타내게 된다. 즉, 프로젝션 값은 정규화된 각 신호들의 위상 오차의 크기에 비례하게 된다. 결국 프로젝션 값을 이용하면 위상 오차에 비례하는 위상오차보상 각도(
Figure 112007078104168-pat00015
)를 구할 수 있게 된다. 프로젝션 값은 다음 수학식 4를 통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8104168-pat00016
위상보상각도 결정부(30)는 정규화된 각 신호의 위상 오차에 비례하는 프로젝션 값을 이용하여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추정한다. 즉, 위상오차보상각도 결정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값을 파워 증폭부(10)로 입력되는 새로운 입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17
)의 직각위상 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18
)와 곱함으로써, 위상오차 보상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19
)의 벡터값을 구할 수 있다. 다음 수학식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위상오차가 보상된 입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20
)는 파워 증폭부(10)로 입력되는 새로운 입력신호의 직각위상 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21
)에 프로젝션 값을 곱한 신호 결과값을 파워 증폭부(10)로 입력되는 새로운 입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22
)에 더하여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7078104168-pat00023
또한, 위상보상각도(
Figure 112007078104168-pat00024
)는 새로운 입력신호에 프로젝션 값을 곱한 위상오차 보상신호값을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6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8104168-pat00025
이제, 위상오차 보상부(40)는 전술한 방법을 통해 구해진 위상오차 보상각도를 이용하여 파워 증폭부(10)로 입력되는 새로운 입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26
)에 위상오차 보상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27
)를 더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오차 보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위상 오차 보상 방법은 먼저, 파워 증폭부(10)에서 증폭된 출력신호를 진폭에 대하여 정규화하며(S800), 정규화된 각 신호의 평균을 계산한다(S810). 평균벡터의 직교벡터를 구하고(S820), 정규화된 각 신호들의 직교벡터에 대한 프로젝션 값을 계산한다(S830). 여기서 프로젝션 값은 정규화된 각 신호들의 위상오차에 비례한다. 이제 프로젝션 값을 이용하여 위상보상각도를 결정하고(S840) 위상보상각도를 이용하여 입력신호에 위상보상신호를 더한다(S850). 이에 따라 별도의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신호들에 대하여 간단한 계산을 통해 위상오차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상오차 보상 장치는 다양한 실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오차 보상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7a를 참조하면, 파워 증폭부(510)는 두개의 위상 변조된 신호를 상수 진폭과 함께 입력받는다. 제로 위상(동위상: in-phase) 신호와 이에 대한 직각 위상 (qudrature phase) 신호가 그것이다. 제로 위상 신호는 파워 증폭부(51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이를 위해 제로 위상 신호는 직각 위상 신호가 더해지는 덧셈기(509)로 전달된다. 덧셈기(509)는 직각 위상 신호를 제로 위상 신호와 섞는다. 덧셈기(509)에서 출력된 신호는 파워 증폭부(510)로 전달되며, 파워 증폭부(510)에서는 파워 전압 또는 바이어스 전압을 이용하여 진폭에 의해 신호가 변조된다. 이때 위상 오차와 함께 신호가 증폭되며, 진폭 변조된 신호가 출력된다.
출력신호는 제한기(limiter)(501)로 전달된다. 제한기(501)에서 상수 진폭을 갖는 신호, 즉 정규화된 출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28
)가 생성되어(수학식 1 참조) IQ 복조기(502.1 및 502.2)의 첫번째 입력으로 전달된다.
IQ 복조기(502.1 및 502.2)는 헤테로다인 신호로서 파워 증폭부(10)의 입력신호의 동위상 신호(0°)와 직각 위상 신호(90°)을 두번째 입력으로 입력받아 사용한다. IQ 복조기는 파워 증폭부(10)의 입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29
)와 제한기(501)를 통해 정규화된 출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30
)에 비례한 두 개의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젝션 값 계산부(20)는 생성된 두 개의 신호를 이용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31
)에 비례하는 프로젝션 값을 계산한다(수학식 4 참조).
계산된 프로젝션 값은 오피엠프(507)를 거쳐 증폭되고 곱셈기(508)를 통해 파워 증폭부(10)의 입력신호의 직각 위상 신호(90°)와 곱하여져 덧셈기(509)를 통해 파워 증폭부(10)의 입력으로 투입된다(수학식 5 참조).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b를 살펴본다. 파워 증폭부(10)가 입력신호를 진폭에 의해 변조하면, 진폭 변조된 출력신호는 제한기(limiter)(501)로 전달된다. 제한기(501)에서 상수 진폭을 갖는 신호, 즉 정규화된 출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32
)가 생성되어 IQ 복조기(502.1 및 502.2)로 전달된다(수학식 1 참조).
IQ 복조기(502.1 및 502.2)는 정규화된 출력신호와, 헤테로다인 신호로서 파워 증폭부(10)의 입력신호의 동위상 신호(0°)와 직각 위상 신호(90°)을 입력받아 사용한다. IQ 복조기는 파워 증폭부(10)의 입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33
)와 제한기(501)를 통해 정규화된 출력신호(
Figure 112007078104168-pat00034
)에 비례한 두 개의 신호를 생성한다.
평균 계산부(503)는 고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을 계산한다(수학식 2 참조). 직교화부(504)는 평균 벡터의 직교 벡터(
Figure 112007078104168-pat00035
)를 구한다(수학식 3 참조). 저장부(505)는 다음에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을 위해 평균 벡터를 저장해 둔다.
이제 IQ 복조기의 곱셈기(506.1 및 506.2)는 직교 벡터와 정규화된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오차의 크기에 비례하는 프로젝션 값을 계산한다(수학식 4 참조).
계산된 프로젝션 값은 오피엠프(507)를 거쳐 음(-)의 이득으로 증폭되어 -|projection| 값을 형성하고 곱셈기(508)를 통해 파워 증폭부(10)의 입력신호의 직각 위상 신호(90°)와 곱하여져 덧셈기(509)를 통해 파워 증폭부(10)의 입력으로 투입된다(수학식 5 및 수학식 6 참조). 프로젝션 값은 위상오차 보상각도에 비례하므로, 곱셈기(508)는 프로젝션 값을 이용하여 위상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즉, 파워 증폭부(510)로 입력되는 직각위상 전압(90°)을 위한 제어각으로 사용된다.
전술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공급 전압의 변화로부터 기인하는 위상 변조의 왜곡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상오차를 제거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 특성을 효과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특히,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을 사용할 필요 없이 위상 오차를 실시간 측정하여 후술하는 간단한 계산을 통해 실시간으로 위상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오차 보상 방법 및 장치는 일반 파워 증폭기와 폴라 전송 방식(polar tx)의 파워 증폭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비선형 장치의 위상 오차 보정에 적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오차 보상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오차 보상장치의 상세 블록도,
도 3 내지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오차 보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오차 보상 방법의 흐름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오차 보상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Claims (10)

  1. 무선통신을 위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에 있어서,
    (a) 파워 증폭기의 IQ 복조기와 입력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특성에 따른 위상 오차에 대응하는 스칼라 값을 구하는 단계;
    (b) 상기 스칼라 값을 이용하여 파워 증폭기의 전송특성에 따른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위상 시프트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 오차 보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파워 증폭기의 입력신호 및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직각 위상 신호에 대한 IQ 복조기의 헤테로다인(heterodyne)을 이용하여 스칼라 값을 구하는 위상 오차 보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Q 복조기의 벡터 특성을 이용하여 스칼라 값을 구하는 위상 오차 보상 방법.
  4. 무선통신을 위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에 있어서,
    (a) 파워 증폭기의 입력신호를 증폭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와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를 이용하여 증폭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상 오차에 대응하는 스칼라 값을 구하는 단계;
    (b) 상기 스칼라 값을 이용하여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추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정된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이용하여 위상 오차 보상 신호를 상기 파워 증폭기의 입력신호에 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상 오차 보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출력신호를 진폭에 대하여 정규화하는 단계;
    (a2) 상기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를 구하는 단계;
    (a3) 상기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를 구하는 단계; 및
    (a4) 상기 직교 벡터에 대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에 비례하는 프로젝션 크기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상 오차 보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젝션 크기를 이용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추정하는 위상 오차 보상 방법.
  7. 무선통신을 위한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파워 증폭부;
    상기 파워 증폭부의 출력신호에 대한 평균 벡터와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를 이용하여 증폭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상 오차에 대응하는 스칼라 값을 구하는 스칼라 값 계산부;
    상기 스칼라 값을 이용하여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결정하는 위상오차보상각도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이용하여 위상 오차 보상 신호를 상기 파워 증폭기의 입력신호에 더하는 위상오차 보상부;를 포함하는 위상 오차 보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칼라 값 계산부는,
    상기 출력신호를 진폭에 대하여 정규화하고, 상기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를 구하며, 상기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평균 벡터에 대한 직교 벡터를 구하고, 상기 직교 벡터에 대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에 비례하는 프로젝션 크기를 구하는 위상 오차 보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오차보상각도 결정부는,
    상기 프로젝션 크기를 이용하여 정규화된 출력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결정하는 위상 오차 보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오차 보상부는, 상기 결정된 위상 오차 보상 각도를 이용하여 위상 오차 보상 신호를 상기 파워 증폭기의 입력신호에 더하는 위상 오차 보상 장치.
KR1020070109873A 2007-03-27 2007-10-30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1303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RU2007111185 2007-03-27
RU2007111185/09A RU2007111185A (ru) 2007-03-27 2007-03-27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фазовой ошибки в усилителях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игнал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634A KR20080087634A (ko) 2008-10-01
KR101303938B1 true KR101303938B1 (ko) 2013-09-05

Family

ID=3992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873A KR101303938B1 (ko) 2007-03-27 2007-10-30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3938B1 (ko)
RU (1) RU20071111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050B1 (ko) 2015-03-12 2020-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의 위상 보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543B1 (ko) * 1995-07-07 1998-08-17 이헌일 주파수 오차 보상 기능을 갖는 위상변조신호 검파기
JP2004104744A (ja) 2002-07-15 2004-04-02 Sony Corp 位相誤差補正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受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50077683A (ko) * 2004-01-30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위상 에러 보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543B1 (ko) * 1995-07-07 1998-08-17 이헌일 주파수 오차 보상 기능을 갖는 위상변조신호 검파기
JP2004104744A (ja) 2002-07-15 2004-04-02 Sony Corp 位相誤差補正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受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50077683A (ko) * 2004-01-30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위상 에러 보정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634A (ko) 2008-10-01
RU2007111185A (ru) 200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5087B2 (en) Feedback compensation detector for a direct conversion transmitter
JP3570898B2 (ja) プレディストーション回路
KR101011748B1 (ko) 무선 주파수 송신기를 위한 내부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US10153792B2 (en) Digital compensation for antenna load mismatch
US7912148B2 (en)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050152471A1 (en) Transmitting device
JP3710253B2 (ja) 歪補償システム
US9331652B2 (en) Auto gai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H11136302A (ja) 歪補償回路
JP2016115952A (ja) 歪補償装置及び歪補償方法
KR20080037846A (ko) 직접 변환 구조의 rf 쿼드러쳐 송수신기에서 부정합을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6253749A (ja) 歪み補償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303938B1 (ko) 파워 증폭기의 위상 오차 보상 방법 및 장치
JPH03174810A (ja) 線形送信装置
US20140285276A1 (en) Modulating device and modulation method
JP2004165900A (ja) 通信装置
KR100737747B1 (ko) 송신기의 미스매치를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221613A (ja) 歪補償方法および装置
JP2885713B2 (ja) 送信機
JPH1079693A (ja) 送信装置
JP2007158842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局
JPH0525421B2 (ko)
JP4382950B2 (ja) 非線形歪み補償回路および非線形歪み補償方法
US20060083330A1 (en) Distortion compensation table creation method and distortion compensation method
JP3436250B2 (ja) 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