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935B1 - 감 건조용 대차 - Google Patents

감 건조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935B1
KR101303935B1 KR1020120126093A KR20120126093A KR101303935B1 KR 101303935 B1 KR101303935 B1 KR 101303935B1 KR 1020120126093 A KR1020120126093 A KR 1020120126093A KR 20120126093 A KR20120126093 A KR 20120126093A KR 101303935 B1 KR101303935 B1 KR 10130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drying
frame
hang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명갑
손영훈
Original Assignee
손영훈
손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550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039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손영훈, 손명갑 filed Critical 손영훈
Priority to KR102012012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26B25/185Spacers; Elements for supporting the goods to be dried, i.e. positioned in-between the goods to build a ventilated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열풍이 골고루 공급되어 감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감을 매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감을 매달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열풍장치의 내부로 공급 및 배출의 편리성을 갖게 한 감 건조용 대차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틀과 하부틀 및 수직틀로 사각형상을 이루게 형성한 틀체와 상기 틀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캐스터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감을 걸어 건조시킬 수 있게 상기 상부틀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봉 형상의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를 감싸는 형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하단에는 걸고리가 형성된 고정클립과 상기 고정클립의 걸고리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감을 건조시킬 수 있게 감을 고정하기 위한 감걸이구로 이루어진 걸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감 건조용 대차{cart device for persimmon drying}
본 발명은 감 건조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풍이 골고루 공급되어 감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감을 매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감을 매달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열풍장치의 내부로 공급 및 배출의 편리성을 갖게 한 감 건조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곶감은 생감을 가공한 건과(乾果)로서, 통상 떫은맛이 있는 생감을 완숙되기 전에 따서 껍질을 얇게 벗겨 대꼬챙이나 싸리꼬챙이 같은 것에 꿰어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매달아 건조시키며, 수분이 1/3 정도로 건조되었을 때 속의 씨를 빼내고 손질하여 다시 건조시키고, 그것을 볏짚에 싸서 상자에 늘어놓고 밀폐된 상태로 두면 감이 완전히 건조되면서 표면에 포도당(글루코오스)의 흰 가루가 생기는데, 이것을 꺼내 다시 한 번 건조시켜서 상자에 넣고 밀폐해 두면 곶감이 된다.
한편, 감은 영양이 풍부한 과일로 100g당 당분이 14g, 비타민C는 사과의 8~10배인 40~60mg, 비타민A는1000iu, 칼슘 13mg, 단백질 600mg으로 되어 있으며, 곶감으로 가공될 경우 그 당분은 4배, 비타민A는 7배, 비타민C는 1.5배가 많아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곶감의 성분과 효능을 살펴보면, 감의 떫은맛을 내는 타닌 성분이 단맛으로 변하여 수렴작용에 의해 설사를 멎게 하고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비타민A를 생성하는 카로틴 및 숙취를 풀어주는 당질이 포함되어 있고, 비타민C의 경우 귤의 2배에 달하는 양이 포함되어 인체의 조직세포를 연결해 주는 콜라겐을 형성함은 물론 피로회복 효과가 있으며, 곶감의 표면에 생긴 흰 가루는 시상(枾霜) 또는 시설(枾雪)이라고 하는데, 정액 생성 및 정력 강화에 특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몸 안의 비생리담을 없애주고 폐열을 낮춰 주는 등의 효과가 있어 겨울철 건강식품으로 아주 좋다.
이러한 곶감을 만들기 위해 감을 건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노천에서 건조하기 때문에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대기의 오염으로 인해 먼지 및 불순물 등이 흡착되어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대부분 태양열이나 자연풍에 의한 자연건조방법을 취하고 있는 바, 이는 인도나 도로변, 공터 등의 바닥에 펼쳐 놓은 상태에서 건조를 행하므로 상당히 넓은 면적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한정된 시간 안에 많은 량의 농수산물을 일시에 건조할 수 없어 작업효율과 생산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비나 강한 바람 등이 불게 되면 건조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등 일조량이 균일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결국, 자연건조방법은 기후적인 여건에 따라 많은 제약을 받아 감의 건조속도, 건조량, 건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등 생산성 저하 및 상품성 저하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2003-4269호의 "곶감의 제습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가 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은 자연건조방식보다 생산량과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지니지만, 채반에 감을 올려놓은 상태로 건조하기 때문에 열풍이 골고루 공급되지 않아 감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없었고 이에 건조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건조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감의 위치에 따라 건조 상태가 천차만별로 인해 양질의 제품을 소비자에 제공할 수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설치에 있어 건조실을 모듈화시켜 규격화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증설 및 이설이 신속 원활하면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 가능함과 함께 다양한 규격으로 대체 가능하면서 설치비가 저렴하여 경쟁력을 제공하고, 사용에 있어 건조실 내로 공급하는 열풍을 순환 공급함은 물론 순환된 열풍을 재차 유입하여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과 함께 습기를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감을 포함한 피 건조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되어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하고 열손실이 적어 유지비용이 저렴한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를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191950호로 받았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2003-4269호, 곶감의 제습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191950호,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이 특허 받은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에서 곶감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열풍이 골고루 공급되어 감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감을 매달 수 있게 하는 걸이수단이 설치되는 본체를 건조기와는 별개로 구성하여 건조기로부터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건조기의 열풍장치의 내부로 감을 지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의 편리성을 갖게 한 감 건조용 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널형 건조실을 갖는 곶감 건조기를 구비하고, 상기 터널형 건조실의 내부로 수납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틀과 하부틀 및 수직틀로 사각형상을 이루게 형성한 틀체의 하부에 캐스터를 설치하여 상기 터널형 건조실의 내부로 수납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감을 걸어 건조시킬 수 있게 상기 상부틀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봉 형상의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를 감싸는 형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하단에는 걸고리가 형성된 고정클립과 상기 고정클립의 걸고리에 고정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감을 건조시킬 수 있게 감을 고정하기 위한 감걸이구로 이루어진 걸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풍이 골고루 공급되어 감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감을 매달 수 있게 하는 걸이수단이 설치되는 본체를 건조기와는 별개로 구성하여 건조기로부터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 것에 의해, 건조기의 열풍장치의 내부로 감을 지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 건조용 대차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 건조용 대차에 구비되는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 건조용 대차에 구비되는 걸이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걸이수단에서 연결클립걸이홈(236)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 건조용 대차는 터널형 건조실(10a)을 갖는 곶감 건조기(10)를 구비하고, 상기 터널형 건조실(10a)의 내부로 수납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틀체(110)와 캐스터(1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틀체(1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틀(112)과 하부틀(114) 및 수직틀(116)로 사각형상을 이루게 형성되고, 이러한 틀체(110)의 하부에 캐스터(120)가 설치되어 틀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틀체(110)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 건조용 대차는 걸이수단(2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걸이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에 감(12)을 걸어 건조시킬 수 있도록 걸이대(210)와 고정클립(220) 및 감걸이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대(210)는 양단에 마개(212)가 설치되는 사각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틀(112)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걸이대(210)는 상부틀(112)에 얹혀 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걸이대(210)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짐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220)은 걸이대(210)를 감싸는 형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하단에는 걸고리(22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클립(220)은 강선(철선)을 원형 링 형상으로 절곡하여 클립몸체(222)를 형성하고, 상기 클립몸체(222)의 하부에는 어느 일단을 절곡하여 걸고리(224)를 형성하며, 다른 일단은 고정고리(226)를 이루게 절곡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클립(220)은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클립몸체(222)를 상기 걸이대(210)에 끼워 지지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걸고리(224)에 감걸이구(230)를 걸어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감걸이구(230)는 감(12)을 건조시킬 수 있게 감(12)을 고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감걸이구(230)를 상기 고정클립(220)의 걸고리(224)에 고정하여 감(12)을 걸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감걸이구(230)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걸이구몸체(232)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양측으로 돌출편(234)들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234)들에 걸이홈(236)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홈(236)에 감(12)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감 건조용 대차는,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틀체(110)의 상부틀(112)에 상기 걸이대(210)를 얹혀 지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클립(220)의 클립몸체(222)를 걸이대(210)에 끼워 지지되게 하고, 상기 고정클립(220)의 걸고리(224)가 감걸이구(230)를 걸어 지지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감걸이구(230)의 고정홈걸이홈(236)들에 감(12)을 고정하게 되면, 틀체(110)에 감이 매달리게 된다.
이와 같이 틀체(110)에 감(12)을 매달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캐스터(120)에 의해 상기 틀체(110)를 곶감 건조기(10)의 터널형 건조실(10a)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널형 건조기(10)는 본 출원인이 특허 받은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도1 참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감(12)을 매달은 상태에서 곶감을 만들 수 있게 터널형 건조실(10a)의 내부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을 채반에 올려놓은 상태로 건조하지 않고 매달은 상태로 건조함에 의해 열풍이 골고루 공급되어 감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건조장치에서의 건조기술은 특허등록번호 제10-1191950호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100 - 본체 110 - 틀체
120 - 캐스터 200 - 걸이수단
210 - 걸이대 220 - 고정클립
224 - 걸고리 230 - 감걸이구

Claims (1)

  1. 터널형 건조실을 갖는 곶감 건조기를 구비하고, 상기 터널형 건조실의 내부로 수납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틀과 하부틀 및 수직틀로 사각형상을 이루게 형성한 틀체의 하부에 캐스터를 설치하여 상기 터널형 건조실의 내부로 수납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본체;및
    상기 본체에 감을 걸어 건조시킬 수 있게 상기 상부틀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봉 형상의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를 감싸는 형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하단에는 감을 건조시 킬 수 있게 감을 고정하는 감 걸이구를 고정되게 설치하는 걸고리가 형성된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진 걸이수단을 포함하여 된 감 건조용 대차.
KR1020120126093A 2012-11-08 2012-11-08 감 건조용 대차 KR10130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093A KR101303935B1 (ko) 2012-11-08 2012-11-08 감 건조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093A KR101303935B1 (ko) 2012-11-08 2012-11-08 감 건조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935B1 true KR101303935B1 (ko) 2013-09-05

Family

ID=4945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093A KR101303935B1 (ko) 2012-11-08 2012-11-08 감 건조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59B1 (ko) 2014-07-09 2014-09-23 최현석 농수산물 청결 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363A (ko) * 2009-11-26 2011-06-01 (주)신일산업 건조용송풍대차
KR101187088B1 (ko) 2012-03-14 2012-09-28 송낙호 곶감 건조장치
KR200463026Y1 (ko) * 2010-08-17 2012-10-12 곽근탁 곶감 제조용 감 건조대
KR101191950B1 (ko) 2012-02-03 2012-10-17 손명갑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363A (ko) * 2009-11-26 2011-06-01 (주)신일산업 건조용송풍대차
KR200463026Y1 (ko) * 2010-08-17 2012-10-12 곽근탁 곶감 제조용 감 건조대
KR101191950B1 (ko) 2012-02-03 2012-10-17 손명갑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187088B1 (ko) 2012-03-14 2012-09-28 송낙호 곶감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59B1 (ko) 2014-07-09 2014-09-23 최현석 농수산물 청결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unde-Akintunde et al. Influence of drying methods on drying of bell-pepper (Capsicum annuum)
CN102818437A (zh) 干燥装置
KR101303935B1 (ko) 감 건조용 대차
CN207262856U (zh) 一种旋转式肉干烘干机
KR101673268B1 (ko) 황토볼이 구비된 가마형 농수축산물 건조장치
CN209234823U (zh) 一种鱼干烘烤房
JP2006254883A (ja) 渋抜き装置を備えた柿の乾燥干し機器
CN218604896U (zh) 一种干冰果蔬冻干制冷装置
KR100873338B1 (ko) 곶감 건조용 클립
KR20190002145A (ko) 건조대차 공기공급장치
CN205276001U (zh) 一种多用途晾晒衣架
CN205848542U (zh) 一种香肠晾晒架
CN207040824U (zh) 一种油茶果用晾晒架
CN208863446U (zh) 一种山楂饼生产用烘干机
CN207779008U (zh) 一种畜牧养殖用食品加工用高效干燥机
CN209441696U (zh) 一种脱水蔬菜的包装设备
CN108224956A (zh) 一种广式腊肠加工用烘干设备
CN203661973U (zh) 一种黄秋葵的干制装置
CN208403195U (zh) 一种橘子清洗装置
CN206581040U (zh) 一种新型晾衣杆
CN210538563U (zh) 一种风鹅风干架
KR20160003761U (ko) 다목적 예냉 제습기
CN104336169A (zh) 一种鲜百合保鲜方法
CN208755140U (zh) 一种龙眼烘干装置
CN206413649U (zh) 一种低温烘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118

Effective date: 201410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