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088B1 - 곶감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곶감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088B1
KR101187088B1 KR1020120026066A KR20120026066A KR101187088B1 KR 101187088 B1 KR101187088 B1 KR 101187088B1 KR 1020120026066 A KR1020120026066 A KR 1020120026066A KR 20120026066 A KR20120026066 A KR 20120026066A KR 101187088 B1 KR101187088 B1 KR 10118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chamber
drying
air supply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낙호
Original Assignee
송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낙호 filed Critical 송낙호
Priority to KR102012002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에 필요한 열풍이 건조실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꼭지부터 시작하여 배꼽부위로 건조되므로 균일하게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에 단열수단을 강구하고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하여 마련하는 건조실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건조에 필요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수단과 열풍홴으로 구성하여 설치되는 열풍공급기와, 상기 건조실의 측벽면에 요입되게 종방향으로 형성하는 유지홈과, 상기 유지홈에 설치하여 열풍공급기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건조실로 배출하는 열풍공급관과, 상기 열풍공급관의 하단에 돌출되는 작동축은 건조실 저면에 형성되는 작동실에 설치되는 작동수단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일정각도 왕복하게 하고, 상기 건조실의 바닥위치 후측벽면에는 건조실을 경유한 열풍을 열풍공급기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순환홀을 포함하는 곶감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곶감 건조장치{PERSIMMON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곶감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곶감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하면서 건조온도를 조절하여 곶감 이외의 다른 농수산물도 건조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건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곶감의 건조는 감을 탈피한 후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서 자연건조하여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일손이 부족한 실정에 맞추어 빠른 시간에 건조를 수행하고 상품의 생산주기를 단축하여 농가 소득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한 건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조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기름을 연소시켜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가 주를 이루었으나 유류가격의 상승과 더불어 건조된 상품에서 기름냄새가 발생하는 문제로 인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전기히터와 가스(천연가스 또는 엘피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건조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용도와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건조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실용신안등록 제 351116 호가 있으며 이의 구성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건조기(1)는, 건조기(1)를 구성하는 건조실(2)은 측벽(3)에 온풍이 이동할 수 있게 공간부(4)를 형성하고, 또 건조실(2)의 내부에 온풍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구멍(5)들을 형성하며, 또한 건조실(2)의 가운데에는 격벽(6)을 형성하되, 온풍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부(7)를 형성하면서 격벽(6)의 하단 좌우측으로 온풍이 공급되도록 토출구(8)를 형성하였다
상기 건조실(2)의 측벽(3)과 격벽(6)에는 채반을 빌딩식으로 거치시키기 위한 레일(9)들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며, 상기 건조기(1)의 상부에는 건조실(2)과 연통된 온풍회수관(10)을 발열장치(11)의 후미와 연결하며, 상기 발열장치(11)는 작동레바(12)가 구비된 풍량조절구(13)와 온풍을 건조실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14), 그리고 온풍을 만들기 위한 히터(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건조장치는, 건조실의 양측으로는 공간부의 구멍을 통하여 건조실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고,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하여 공급된 열풍은 하방의 토출구를 통하여 건조실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면서 건조실 내부의 열풍의 회수는 건조실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발열장치에서 발생한 열풍이 측방의 공간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건조실로 공급될 때에는 송풍홴의 압력에 의하여 상측의 구멍으로는 많이 배출되고 하측의 구멍으로는 적게 배출되는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건조의 효율성이 저하되게 된다.
그리고, 건조실의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공급된 열풍은 하단의 토출구를 통하여 건조실로 유입된 후 대류현상 또는 온풍회수수단에 의하여 강제로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측방의 공간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풍과 충돌을 일으켜 건조실의 중앙위치에만 열풍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건조실 내부 전체에서 고르게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양측방의 공간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열풍이 건조실 내부로 공급되고 구멍이 건조실 전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된 상태라 하여도 송풍홴의 공급한계로 인하여 중앙부위에만 집중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없어 결국에는 건조실 내부의 건조온도와 조건을 균일하게 지속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구멍을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과 토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이 자연스럽게 대류 현상에 의하여 건조실의 상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온풍회수관에 의하여 열풍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건조실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열풍이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다.
이와 같이 열풍이 건조실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곶감을 건조하게 되면, 곶감의 특성상 꼭지부위의 면적(체적)이 넓고 배꼽부위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배꼽부위가 먼저 건조되고 꼭지부위는 나중에 건조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곶감이 균일하게 건조되지 못하고 꼭지부위는 미건조 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건조실의 건조 온도가 균일하지 못하고 높은 곳과 낮은 곳의 편차가 심하여 높은 곳은 건조가 된다 하여도 검은색으로 변하여 상품의 질이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낮은 곳은 빠르게 건조가 되지 않음으로써 건조시간이 늘어나 불필요한 에너지원을 낭비하고 건조비용의 상승을 가져와 대외적인 경쟁력이 약화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에 단열수단을 강구하고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하여 마련하는 건조실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건조에 필요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수단과 열풍홴으로 구성하여 설치되는 열풍공급기와, 상기 건조실의 측벽면에 요입되게 종방향으로 형성하는 유지홈과, 상기 유지홈에 설치하여 열풍공급기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건조실로 배출하는 열풍공급관과, 상기 열풍공급관의 하단에 돌출되는 작동축은 건조실 저면에 형성되는 작동실에 설치되는 작동수단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일정각도 왕복하게 하고, 상기 건조실의 바닥위치 후측벽면에는 건조실을 경유한 열풍을 열풍공급기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순환홀을 포함하여;
건조에 필요한 열풍이 건조실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꼭지부터 시작하여 배꼽부위로 건조되므로 균일하게 건조가 이루어지고 건조된 곶감의 형태 또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우수한 상품을 짧은 시간내에 생산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건조실 내부로 건조열풍을 균일하게 공급하면서 열풍의 회수를 건조실의 하측(바닥)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열기가 건조실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형태를 이루어 꼭지에서부터 배꼽으로 건조가 이루어져 균일하게 짧은 시간에 완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건조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상품의 질을 높여 농가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를 도시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를 도시한 A - A선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를 도시한 B - B선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의 열풍공급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의 열풍공급관 작동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를 도시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를 도시한 A - A선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를 도시한 B - B선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의 열풍공급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의 열풍공급관 작동관계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곶감 건조장치(100)는, 개략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101)에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단열수단을 강구하고, 내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격벽(102)으로 구획되는 건조실(103)을 마련한다.
상기 케이스(101)의 상부에는 건조에 필요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히터 또는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가열수단(104)과 가열수단(104)으로 바람을 불어 열풍을 만들어 건조실(103)로 공급하기 위한 열풍홴(105)으로 구성되는 열풍공급기(106)가 설치된다.
상기 건조실(103)의 측벽면(107)에는 외측방향으로 요입된 형태의 유지홈(108)을 종방향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유지홈(108)에는 열풍공급기(106)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건조실(103)로 배출하기 위한 열풍공급관(110)을 설치한다.
상기 열풍공급관(110)의 상단과 열풍공급기(106)는 열풍공급관(110)의 정,역방향으로의 회전에 지장이 없으면서 열풍의 누출이 없도록 기밀을 강구한 상태로 연결한다.
상기 열풍공급관(110)의 하단에는 작동축(111)을 돌출시켜 건조실(103) 저면에 형성되는 작동실에 설치되는 작동수단(113)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일정각도(약 45 ~ 120°범위 바람직하게는 90°)로 왕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풍공급관(110)에는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열풍공급공(114,115)을 형성하는 데, 가급적이면 종방향으로 1열 또는 1열 이상 형성하여 열풍이 고르게 건조실(103)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본원에서는 2열로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열풍공급공(114,115)는 상측은 좁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측에 비하여 넓게 형성하여 열풍공급기(106)의 높은 압력이 전달되는 상측과 낮은 압력이 전달되는 하측의 열풍 배출비율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건조실(103)의 바닥위치 후측벽면에는 건조실(103)을 경유한 열풍을 열풍공급기(106)로 재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홀(116)을 형성하여 순환관체 등으로 연결한다.
상기 열풍공급관(110)을 정,역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왕복시키는 작동수단(113)은, 건조실(103)의 바닥면과 베어링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건조실(103) 저면으로 돌출되는 작동축(111)에 작동캠(120)의 일단을 고정한다.
상기 작동캠(120)의 타단에는 보조축(121)을 고정하여 상측에는 볼조인트(122)를 가지는 작동로드(123)로 대향 위치의 작동캠(124)에 고정된 보조축(125)과 연결하고, 상기 대향위치의 작동캠(124)의 보조축(125)의 하측에는 역시 볼조인트(126)를 가지는 연동로드(127)로 인접 위치의 작동캠(128)에 고정된 보조축(129)과 연결하는 형태로 여러 개의 열풍공급관(110) 전체를 연결한다.
상기 보조축(121)의 하측에는 볼조인트(130)을 이용하여 모터(131)의 축에 고정된 편심캠(132)과 연결하여 모터(1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과 각운동으로 변환하여 열풍공급관(110)을 정,역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왕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곶감 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곶감을 건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조실(103) 내부에 곶감으로 만들기 위하여 탈피한 감을 걸이구를 이용하여 다단 및 다열로 준비하여 건조할 준비를 한 후, 열풍공급기(106)를 작동시키면 열풍공급기(106)와 연결되고 건조실(103)의 측벽면(107)에 요입되게 형성된 유지홈(108)에 설치된 열공공급관(110)으로 열풍이 공급되어 건조실(103) 내부로 고르게 공급하게 된다.
이는 열풍공급관(110)이 건조실(103) 저면에 형성되는 작동실에 설치되는 작동수단(113)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왕복하게 되므로 열풍은 열풍공급관(110)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열풍공급공(114,115)을 통하여 건조실(103) 내부로 고르게 분사된다.
특히, 열풍공급관(110)에 형성되는 열풍공급공(114,115)은 상측의 것이 좁고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서 열풍공급기(106)의 높은 압력이 작용하는 상측과 낮은 압력이 작용하는 하측이 고르게 분사되어 열풍편차가 없도록 하게 된다.
상기 작동수단(113)에 의하여 열풍공급관(110)이 정,역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것은, 모터(131)의 동력을 전달받은 편심캠(132)이 회전운동하면, 이와 연결된 볼조인트(130)가 작동캠(120)에 고정된 보조축(121)과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축(111)을 소정각도를 왕복(반복)하는 각운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볼조인트(122,126)를 가지는 작동로드(123)와 연동로드(127)로 연결된 다른 작동축에 고정된 작동캠(124)을 소정각도를 왕복하게 함으로서 모든 열풍공급관(110)이 동일하게 왕복운동하면서 열풍을 건조실 내부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열풍을 건조실 내부로 공급하여 곶감을 건조할 때에는, 건조실(103)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30 ~ 34℃의 온도로 10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1단계와, 가열수단(104)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열풍홴(105)만 작동시켜 건조실(103) 내부의 열풍을 순환시켜 20 ~ 25℃의 온도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1 ~ 2시간을 유지하는 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2단계를 24시간 동안 반복하는 3단계와, 가열수단(104)과 열풍홴(104)의 작동을 모두 정지시킨 상태에서 3 ~ 5시간 동안 숙성시켜 떫은 맛을 제거하는 4단계와 상기 1단계에서 4단계를 2 ~ 4일 동안 반복하여 곶감의 건조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온 건조를 수행할 경우에는 건조된 곶감이 자연건조시킨 것과 같은 색상을 띠게 되며, 건조에 필요한 열풍이 건조실(103)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꼭지부터 시작하여 배꼽부위로 건조되므로 균일하게 건조가 이루어지고 건조된 곶감의 형태 또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우수한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곶감을 건조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건조하기 위한 농수산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 조건(온도)을 달리하여 건조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100; 곶감 건조장치
103; 건조실
106; 열풍공급기
108; 유지홈
110; 열풍공급관
111; 작동축
114,115; 열풍공급공
120,124,128; 작동캠
122,126,130; 볼조인트
131; 모터

Claims (4)

  1.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에 단열수단을 강구하고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하여 마련하는 건조실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건조에 필요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수단과 열풍홴으로 구성하여 설치되는 열풍공급기와;
    상기 건조실의 측벽면에 요입되게 종방향으로 형성하는 유지홈과;
    상기 유지홈에 설치하여 열풍공급기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건조실로 배출하는 열풍공급관과;
    상기 열풍공급관의 하단에 돌출되는 작동축은 건조실 저면에 형성되는 작동실에 설치되는 작동수단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일정각도 왕복하게 하고;
    상기 건조실의 바닥위치 후측벽면에는 건조실을 경유한 열풍을 열풍공급기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순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건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관에는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열풍공급공을 형성하고;
    상기 열풍공급공은 상측은 좁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측에 비하여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건조실 저면으로 돌출되는 작동축에 고정하는 작동캠과;
    상기 작동캠의 타단에 고정하는 보조축과;
    상기 보조축의 상측에 볼조인트를 가지는 작동로드로 대향 위치의 작동캠에 고정된 보조축과 연결하고;
    상기 대향위치의 작동캠의 보조축 하측에는 볼조인트를 가지는 연동로드로 인접 위치의 작동캠에 고정된 보조축과 연결하여 전체 열풍공급관을 연결하고;
    상기 보조축의 하측에는 볼조인트을 이용하여 모터 축에 고정된 편심캠과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운동을 각운동으로 변환하여 열풍공급관을 정,역 방향으로 일정각도 왕복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건조장치.
KR1020120026066A 2012-03-14 2012-03-14 곶감 건조장치 KR10118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066A KR101187088B1 (ko) 2012-03-14 2012-03-14 곶감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066A KR101187088B1 (ko) 2012-03-14 2012-03-14 곶감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088B1 true KR101187088B1 (ko) 2012-09-28

Family

ID=4711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066A KR101187088B1 (ko) 2012-03-14 2012-03-14 곶감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0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935B1 (ko) 2012-11-08 2013-09-05 손영훈 감 건조용 대차
CN104596229A (zh) * 2015-02-12 2015-05-06 桐乡市田野机械科技有限公司 鲜菊花干燥装置
CN109288104A (zh) * 2018-11-12 2019-02-01 方家铺子(莆田)绿色食品有限公司 一种桂圆鲜果挂黄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CN111121425A (zh) * 2019-12-09 2020-05-08 广东东图规划科技有限公司 一种土壤监测样品风干装置
CN111365970A (zh) * 2020-03-24 2020-07-03 广州光义化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分子筛成型的烘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795Y1 (ko) 2006-03-23 2006-06-02 (주)대한공영 농수산물용 건조기
KR101044995B1 (ko) 2008-07-30 2011-06-29 주식회사 하이텍에너지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095389B1 (ko) * 2011-08-19 2011-12-16 유한회사 유일 비순환식 공기흐름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795Y1 (ko) 2006-03-23 2006-06-02 (주)대한공영 농수산물용 건조기
KR101044995B1 (ko) 2008-07-30 2011-06-29 주식회사 하이텍에너지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095389B1 (ko) * 2011-08-19 2011-12-16 유한회사 유일 비순환식 공기흐름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935B1 (ko) 2012-11-08 2013-09-05 손영훈 감 건조용 대차
CN104596229A (zh) * 2015-02-12 2015-05-06 桐乡市田野机械科技有限公司 鲜菊花干燥装置
CN109288104A (zh) * 2018-11-12 2019-02-01 方家铺子(莆田)绿色食品有限公司 一种桂圆鲜果挂黄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CN109288104B (zh) * 2018-11-12 2023-09-01 方家铺子(莆田)绿色食品有限公司 一种桂圆鲜果挂黄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CN111121425A (zh) * 2019-12-09 2020-05-08 广东东图规划科技有限公司 一种土壤监测样品风干装置
CN111365970A (zh) * 2020-03-24 2020-07-03 广州光义化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分子筛成型的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088B1 (ko) 곶감 건조장치
CN209027217U (zh) 一种加热均匀的食品烘干机
KR101471471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CN109820065B (zh) 一种青砖茶自动蒸茶装置及方法
CN204461009U (zh) 一种热利用率高的冻干原料药生产用蒸汽烘箱
CN208261182U (zh) 一种保温板表面喷涂干燥设备
KR101137774B1 (ko) 회전드럼형 농산물 건조기
CN103344102B (zh) 一种坯体用振荡式加热干燥系统及其干燥方法
CN106135623A (zh) 果脯烘干方法
CN201116829Y (zh) 节能烘箱
CN205505598U (zh) 一种用于木板制造的高效烘干装置
CN205409962U (zh) 一种制鞋烘干装置
CN115553346A (zh) 一种新型茶叶干燥装置及干燥方法
CN201700523U (zh) 制鞋红外线烘干成型生产线
CN202127773U (zh) 热风式茶叶杀青理条炒干机
CN202915681U (zh) 一种双循环风道红外烘干机
CN102997637A (zh) 一种双循环风道红外烘干机
CN204806874U (zh) 一种腐竹烘干设备
CN209445716U (zh) 一种直射式热气烘干设备
CN208312950U (zh) 一种咖啡豆节能烘干系统
CN202452793U (zh) 一种连续式振动强化微波真空干燥机
CN207095234U (zh) 一种化工用微波干燥器
KR101702083B1 (ko) 메주 발효 건조기
KR102111586B1 (ko) 곶감 건조장치
CN205825650U (zh) 一种高效型羽毛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