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108B1 -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 보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 보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108B1
KR101303108B1 KR1020060028823A KR20060028823A KR101303108B1 KR 101303108 B1 KR101303108 B1 KR 101303108B1 KR 1020060028823 A KR1020060028823 A KR 1020060028823A KR 20060028823 A KR20060028823 A KR 20060028823A KR 101303108 B1 KR101303108 B1 KR 101303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rinthead
track
printheads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559A (ko
Inventor
스코트 제이. 필립스
안토니오 엘. 윌리암스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0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8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for paper-width or non-reciprocating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44Constructions for the positioning of wiper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프린터/복사기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들을 절연시키는 보수 어셈블리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보수 어셈블리는 제 1 프린트헤드와 잉크 수용면 사이에 개재된 보수 경로를 따라 홈 위치(home position)에서 완료 위치(completion position)로 주행하게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운반체(car), 및 상기 운반체가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프린트헤드 앞면들을 와이핑(wiping)하기 위해 상기 운반체로부터 연장한 와이퍼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프린트헤드 앞면들과 이들 앞면들에 평행한 상기 잉크 수용면 사이에 개재된 보수 경로를 따라 운반체로부터 연장한 와이퍼를 갖는 운반체를 제 1 및 제 2 프린트헤드 앞면들을 와이핑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프린터, 복사기,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

Description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 보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solid ink printheads}
도 1은 프린터/복사기의 블록도.
도 2는 제 1 및 제 2 평면들을 따라 앞면들이 배치된 상측 및 하측 프린트헤드들의 블록도.
도 3은 보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홈 위치들에 배치된 운반체를 갖는 어셈블리의 제 1 실시예의 블록도.
도 5는 보수 어셈블리의 제 2 실시예의 블록도.
도 6은 상측 프린트헤드 앞면들을 와이핑하는 와이퍼를 갖는 경로 M1을 따라 움직이는 운반체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상측 프린트헤드 앞면들을 와이핑하는 와이퍼를 갖는 경로 M1을 따라 움직이는 운반체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하측 프린트헤드 앞면들을 와이핑하는 와이퍼를 갖는 경로 M1을 따라 움직이는 운반체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완료 위치에서의 운반체를 도시하는 블록도.
본 명세서에 예시되는 것은 프린터/복사기 프린트헤더들을 절연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계된 실시예들이다.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들을 갖는 이미징 장치에 관련한 특정한 응용을 발견하고 이를 특히 참조하여 기술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또한 다른 유사 응용들로 수정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프린터들 및/또는 복사기들 등과 같은 이미지 생성 머신들은 잉크 수용면, 이를테면 기지체(substrate)라고도 하는 프린트 매체, 또는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프린트 매체에 옮겨지는 이미지 드럼에 잉크를 분사시키는 프린트헤드들을 흔히 사용한다. 고체 잉크 이미지 생성 머신들은 상변화 잉크(phase change ink)라고도 하는 고체 잉크를 사용한다. 고체 잉크는 주변온도에서는 고상(solid phase)이고, 고양된 동작온도에선 용융된 액상(liquid phase)으로 용융된다. 동작온도에서, 용융된 액체 잉크의 액적들 또는 제트들(jets)이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린트헤드들로부터 분사된다. 잉크 액적들이 기지체의 표면에 접촉할 때, 이들은 신속하게 고화하여 미리 결정된 패턴의 고화된 잉크 액적들 형태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고체 잉크 프린팅 프로세스는 고체 잉크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액체잉크를 형성하기 위해 고체 형태의 고체 잉크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잉크젯 프린트헤드와 같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패턴으로 이미징면에 액체 형태로 고체 잉크의 액적들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프로세스는 이미징면에 고체 잉크 액적들을 고화시키고, 이들을 이미지 수용 기지체에 옮기고, 고체 잉크를 기지체에 고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잉크 액적들은 프린트헤드 앞면들 내 오리피스들(orifices)로부터 분사된다. 프린트시 및 프린트가 완료된 후에 잉크는 프린트헤드 앞면들 상에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폐잉크의 축적은 잉크 액적들의 올바른 분사에 간섭을 일으켜 형성되는 이미지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시로 폐잉크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들을 보수하는 보수 어셈블리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보수 어셈블리는 제 1 프린트헤드와 수용면 사이에 개재된 경로를 따라 홈 위치(home position)에서 완료 위치(completion position)로 주행하기 위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운반체(car), 운반체로부터 연장한 몸체, 및 운반체가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프린트헤드를 와이핑(wiping)하기 위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이퍼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터/복사기라고 하는 고체 잉크 이미지 생성 머신(10)과 같은 이미지 생성 머신이 도시된다. 프린터/복사기(10)는 후술하는 기지체(substrate)에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된 고체 잉크를 사용하는 복사기, 프린터, 또는 다기능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린터/복사기(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든 동작 서브시스템들 및 구성요소들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는 프레임(11)을 포함한다. 먼저, 프린터/복사기는 드럼 형태로 도시된, 그러나 지지된 엔드리스 벨트(endless belt)의 형태일 수도 있는 이미징 부재(12)를 포함한다. 이미징 부재(12)는 여기서는 이미지들을 형성하기 위해 프린트헤드들(30)로부터 분사된 용융된 고체 잉크를 받는 잉크 수용면이라고도 하는 이미징면(14)을 갖는다. 수용면(14)은 화살표 1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면 경로를 따라 프린트헤드들(30)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다.
프린터/복사기(10)는 또한 고체 형태의 한 컬러 고체 잉크의 적어도 한 소스(22)를 갖는 고체 잉크 운반 서브시스템(20)을 포함한다. 프린터/복사기(10)는 4개의 서로 다른 색상들 CYMK(시안, 옐로우, 마젠타, 블랙)의 고체 잉크들을 나타내는 4개의 소스들(22, 24, 26, 28)을 포함하는 잉크 운반 시스템(20)을 갖는 다색 이미지 생성 머신일 수 있다. 고체 잉크 운반 시스템(20)은 고체 형태에서 액체 형태로 고체 잉크를 용융 또는 상변화시키기 위한 용융 및 제어 장치(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또한 포함한다. 고체 잉크 운반 시스템(20)은 이미지를 형성할 때 잉크를 수용면(14)에 분사시키는 프린트헤드들(30)에 액체 형태로 잉크를 공급하는데 적합하다. 다른 응용가능한 예들에서, 수용면(16)은 기지체일 수 있다. 이들 예들에서, 수용면 경로(16)는, 기지체 경로라고도 할 수 있고 또는 기지체 핸들링 경로라고도 할 수 있고 또는 용지 경로(paper path)라고도 할 수 있는 이미지 형성 프로세스 동안의 기지체에 의해 취해지는 경로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복사기(10)는 기지체 공급 및 핸들링 시스템(40)을 포함한다. 기지체 공급 및 핸들링 시스템(40)은, 공급원(48)이 예를 들면 절단시트들 형태로 이미지 수용 기지체들을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고용량 용지공급 또 는 피더(feeder)인 복수의 기지체 공급원들(42, 44, 46, 48)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체 공급 및 핸들링 시스템(40)은 기지체 선-히터(substrate pre-heater; 52), 기지체들 및 이미지 히터(54)를 갖는 기지체 핸들링 및 처리 시스템(50)과, 퓨즈 디바이스(fusing device; 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복사기(10)는 또한 문서 홀딩 트레이(72), 문서 시트 공급 및 수정 디바이스들(74), 및 문서 노출 및 스캐닝 시스템(76)을 갖는 원 문서 피더(original document feeder; 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복사기(10)의 여러 서브시스템들, 구성요소들 및 기능들의 동작 및 제어는 제어기(80)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제어기(80)는 중앙 프로세서 유닛(CPU)(82), 전자 저장장치(84), 및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86)를 갖는 완비된 전용 컴퓨터일 수 있다. 제어기(80)는 센서 입력 및 출력 제어수단(88)뿐만 아니라 픽셀 배치 및 제어수단(89)을 포함할 수 있다. CPU(82)는 스캐닝 시스템(76) 또는 온라인이나 워크 스테이션 접속(90)과 같은 이미지 입력소스들과 프린트헤드들(30) 사이의 이미지 데이터 흐름을 읽고, 캡쳐하고 준비하고 관리한다. 이와 같이, 제어기(80)는 후술하는 절연 어셈블리의 타이밍 및 동작을 포함하여, 다른 머신 서브시스템들 및 기능들을 동작시키고 제어하는 주 멀티-태스킹 프로세서이다.
동작에서, 생성될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는 스캐닝 시스템(76)으로부터 또는 온라인이나 워크 스테이션 접속(90)을 통해, 처리하여 프린트헤드들(30)로 출력하기 위해 제어기(80)에 보내진다. 또한, 제어기(80)는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86)를 통해 조작자 입력들로부터, 관계된 서브시스템들 및 구성요소 제어들을 결정 및/또는 받아들이고, 이에 따라 이러한 제어들을 실행한다. 결국, 적합한 색상의 고체 형태들의 고체 잉크가 용융되고 알려진 방식으로 프린트헤드들(30)에 전달된다. 또한, 이미징면(14)에 대해 픽셀 배치 제어가 행해지고 이에 따라 이러한 이미지 데이터마다 원하는 이미지들을 형성하고, 수용 기지체들은 소스들(42, 44, 46, 48)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되고 표면(14) 상에 이미지 형성과의 시간을 맞추어 수단(50)에 의해 핸들링된다. 마지막으로, 이미지는 전달 닙(transfer nip; 92) 내에서, 퓨즈 디바이스(60)에서의 후속되는 퓨즈를 위해 수용면(14)으로부터 기지체로 옮겨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 예에서 기술된 프린터/복사기(10)는 하측 프린트헤드들(32, 36) 및 상측 프린트헤드들(34, 38)을 포함하여 4개의 프린트헤드들(30)을 갖는 고속, 또는 고 처리율의 다색 이미지 생성 머신이다. 각 프린트헤드(32, 34, 36, 38)는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수용면이 수용면 경로(16)를 따라 이동할 때 수용면(14)에 잉크를 분사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앞면(33, 35, 37, 39)을 갖는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보수 어셈블리는 단일 상측 및 하측 프린트헤드들 또는 둘 이상의 상측 및 둘 이상의 하측 프린트헤드들을 보수하기에 적절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미지를 형성할 때, 여기서는 프린트 모드라 하는 모드에서, 상측 프린트헤드들(32, 36)은 수용면(14)의 서로 다른 부분들을 커버하기 위해 수용면 경로(16)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하측 프린트헤드들(34, 38)에 대해 서로 엇갈려 있게 된다. 엇갈린 배열에 의해서 프린트헤드들(30)은 기지체의 전체 폭에 걸쳐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프린트 모드에서,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5, 37, 39)은 예를 들면 약 23 mil로 이미징면(14)에 가깝게 놓여진다.
프린터/복사기(10)가 보수 모드에 진입하였을 때, 프린트헤드들(30)은 보수 위치로 이동된다. 보수 위치에서 프린트헤드들(32, 34, 36, 38)은 이들의 프린트 모드의 스태거 위치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된 위치로 이동된다. 정렬된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상측 프린트헤드들, 이 예에선 프린트헤드들(34, 38)은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하측 프린트헤드들(32, 36) 위에 정렬된다. 그러나, 상측 프린트헤드들은 여기 기술된 바와 같이 프린트헤드 앞면들을 와이핑하기 위해 여기 기술된 보수 어셈블리에 대해 하측의 프린트헤드들 위에 정렬될 필요는 없음을 알 것이다.
또한, 보수 모드에서, 프린트헤드들(30)은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5, 37, 39)이 수용면으로부터 거리 D에 놓여지도록 수용면(14)으로부터 철회(retract), 즉 떨어지게 이동된다. 거리 D는 프린트헤드들이 프린트 위치에 있을 때 수용면(14)으로부터 프린트헤드 앞면들의 거리보다는 크다. 제공된 예에서, D는 약 1인치이지만, D는 그 미만 또는 그 이상의 거리일 수 있다. 프린트헤드들은 이들의 위치 및 방위를 변경하는데 적합한 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보수 위치에서, 상측 프린트헤드들(34, 38)은 대응하는 하측 프린트헤드들(32, 36)에 대해, A로서 도시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각도 A는 통상적으로 약 90도 미만이고 여기 제공된 예에서, A는 약 36°이다. 보수 위치에서, 하측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7)은 P1으로서 도시된 제 1 평면을 따라 놓여지고, 상측 프린트헤드 앞면들(35, 39)은 P2로서 도시된 제 2 평면을 따라 놓여진다. 제 1 평면(P1)은 제 2 평면(P2)에 대해, B로서 도시한 각도를 형성한다. 각도(B)는 180°-A가 되게 결정된다. 이 예에서, B는 약 144°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린터/복사기(10)는 보수 모드에서 프린트헤드들(30)을 와이핑하기 위한 100으로 표시한 보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보수 어셈블리(100)는 프레임(1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지지판들(1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 기술된 예에서, 2개의 지지판들(102)이 서로 이격하여 대략 평행하게, 프린트헤드들이 위에 기술된 보수 위치에 놓여졌을 때 프린트헤드들(30)의 각 측에 하나씩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절연 어셈블리(100)는 제 1 부분(106), 제 2 부분(108) 및 제 3 부분(110)을 갖는 제 1 콘투어 트랙(contoured track; 1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 제공된 예에서, 콘투어 트랙(104)은 지지판들(102) 내에 콘투어 슬롯(104)에 의해 형성된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지지판들(102)은 도 4 내지 도 11엔 도시하지 않았으나 트랙들을 형성하는 슬롯들은 도 4 내지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였다.
콘투어 슬롯(104)은 제 1 슬롯 부분(106)(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됨), 제 1 슬롯 부분에서 연장하여 그럼으로써 이와 연통하는 제 2 슬롯 부분(108), 및 제 2 슬롯 부분에서 연장하여 그럼으로써 이와 연통하는 제 3 슬롯 부분(11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랙의 제 2 부분(108)은 제 2 평면(P2)과 평행하게 지지판들(102)을 따라 연장하고 트랙의 제 3 부분(110)은 제 1 평면(P1)에 평행하게 지지판들(102)을 따라 연장한다. 제공된 예에서, 콘투어 슬롯(104)은 2개의 지지판들(102)을 관통하여 연장하나, 콘투어 트랙(104)은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면 특히 콘투어 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보수 어셈블리(100)는 제 1 부분(116) 및 제 2 부분(118)을 갖는 제 2 트랙(1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 제공된 예에서, 제 2 트랙(114)은 지지판들(102) 내에 제 2 슬롯(114)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슬롯(114)은 제 1 슬롯 부분(116) 및 제 1 슬롯 부분에서 연장하고 그럼으로써 이와 연통하는 제 2 슬롯 부분(118)을 포함한다. 제 2 부분(118)은 제 2 평면(P2)에 평행하게 지지판들(102)을 따라 연장한다. 제공된 예에서, 제 2 슬롯(104)은 두 개의 지지판들(102)을 관통하여 연장하나, 제 2 트랙(114)은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면 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보수 어셈블리(100)는 전단부(124) 및 이 전단부에 대향 배치된 후단부(126)를 갖는 제 1 운반체(122)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단부(126)의 각 측은 피벗 핀(pivot pin)을 통해 제 1 트랙(104)에 연결되고, 이중 하나가 128로서 도시되었다. 후단부(126)의 각 측은 피벗 핀을 통해 제 1 트랙(104)에 또한 연결되고, 이중 하나가 130으로서 도시되었다. 피벗 핀들(128, 130)은 제 1 트랙(104)과 제 1 운반체(122)의 양 단부들(124, 126) 사이에 피벗 연결들(pivoting connections)이 되게 하여, 제 1 트랙을 따라 이동하게 제 1 운반체를 지지하고 제 1 전단부(124) 및 후단부(126)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트랙(104)의 서로 다른 부분들을 따라 동시에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보수 어셈블리(100)는 제 1 단부(144), 및 제 1 단부에 대향 배치된 제 2 단부(146)를 갖는 제 2 운반체(142)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단부들(144, 146)의 각 측은 피벗 핀들(148, 150)을 통해 제 2 트랙(114)에 연결된다. 피벗 핀들(148, 150)은 제 2 트랙(114)과 제 2 운반체(142)의 양 단부들(144, 146) 사이에 피벗 연결들이 되게 하여, 제 2 트랙을 따라 이동하게 제 2 운반체를 지지한다.
보수 어셈블리(100)는 제 1 운반체(122)를 제 2 운반체(142)에 연결하기 위한 운반체-대-운반체 링키지(car-to-car linkage; 16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키지(160)는 피벗 핀(128)을 통해 제 1 운반체(122)의 제 1 단부(124)에 피벗 연결된(pivotally connected) 제 1 단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링키지(160)는 링키지와 제 2 운반체(142) 사이의 슬라이딩 연결을 제공하는 제 2 운반체 피벗 핀(148)을 수용하는 슬롯(16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164)은 제 2 운반체(142)의 제 1 단부(144)에서 피벗 핀(148)에 접하여 제 2 운반체에 인력을 제공하고 그럼으로써 제 1 운반체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경로(M1)를 따라 이동할 때 제 1 운반체(122) 뒤로 제 2 운반체를 당기게 되는, 제 1 단부(168)를 포함한다.
제 1 운반체(122)와 제 2 운반체(142)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는 운반체-대-운반체 링키지(160)가 예의 목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다른 연결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수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200으로 도시하였고,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유사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제 2 실시예(200)는 유연성 케이블인 제 2 운반체(142)에 제 1 운반체(122)를 연결하는 운반체-대-운반체 링키지(260)를 포함한다. 유연성 케이블(260)은 이의 길이 를 따라 축방향으로 거의 내지는 전혀 스트레치가 없다. 이 실시예에서, 유연성 케이블(260)은 제 1 단부(262)가 제 1 운반체(122)의 제 1 단부(124)에 연결되고 제 2 단부(264)가 제 2 운반체(142)의 제 1 단부(144)에 연결된 와이어로 형성된다. 유연성 케이블(260)은 제 1 운반체가 제 1 경로(M1)를 따라 이동할 때 제 1 운반체(122) 뒤로 제 2 운반체(142)가 당겨지기에 충분한, 제 1 운반체(122)보다 대략 긴 길이를 갖는다.
보수 어셈블리(100)는 화살표 S로 표시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홈 위치(H2)를 향하여 제 2 운반체를 바이어스시키는 제 2 운반체(142)에 연결된 스프링(170)(도 6에 도시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70)은 인장 스프링, 압축 스프링, 클럭 스프링 또는 홈 위치(H2)에서 제 2 운반체(142)를 바이어싱하기에 적합한 그 외 어떤 다른 스프링일 수 있다.
보수 어셈블리(100)는 전단부(184) 및 후단부(186)를 갖는 제 3 운반체(182)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 3 운반체(182)는 시트 금속 형태일 수 있는 금속과 같은 단단한 물질, 또는 그 외 적합한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운반체(182)는 피벗 핀들 중 하나를 185로 표시한 피벗 핀들에 의해 형성되고 운반체의 각 측 상의 핀 수용 개구들을 관통하여 연장하여 트랙(104)에 대해 제 3 운반체(182)가 피벗(pivot)할 수 있게 하는 피벗 접속(183)에 의해 트랙(104)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운반체(186)의 후단부는 피벗 접속(188)을 통해 제 1 운반체(124)의 전단부에 피벗 연결된다. 피벗 접속(188)은 피벗 핀들(128)을 수용하기 위해 제 3 운반체 내 핀 수용 개구 또는 개구들을 형성함으로써,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벗 접속(188)은 제 1 운반체(122)가 트랙(104)에 대해 그리고 트랙(104)을 따라 운반체들이 이동할 때 제 1 운반체에 대해 피벗할 수 있게 한다. 피벗 핀들(128)은 제 3 운반체(182)의 후단부(186)의 양측들을 트랙(104)에 연결한다.
보수 어셈블리(100)는 제 3 운반체(182)로부터 연장하는 몸체(192)를 갖는 와이퍼(19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는 프린트헤드들(30)과 접촉하게 되었을 때는 양보하면서도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5, 37, 39)에 대해선 와이핑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단단하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와이퍼 몸체(192)는 스프링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적합한 재료들도 사용될 수 있다. 와이퍼(19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폐잉크와 같은 잉크 및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5, 37, 39)을 와이핑하기 위한 블레이드(194)를 또한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94)는 비닐, 고무, 또는 그 외 유연한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보수 어셈블리(100)는 트랙(104)을 따라 제 3 운반체(182)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17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구(174)는 구동 벨트(178)에 의해 제 3 운반체(122)에 연결된 모터(17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벨트(178)는 피벗 핀(128)에 부착된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다. 모터(176)의 동작은 제어기(80)에 의해 제어된다.
프린트헤드 보수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명료성을 위해 프린트헤드들(32, 34) 및 각각의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5)만이 도시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기술하지만, 프린트헤드들(36, 38) 및 각각의 프린트헤드 앞면들(37, 39)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보수 어셈블리(100, 200)에 의해 와이핑됨을 알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3 운반체는 홈 위치(H1)에 놓여있다. 홈 위치(H1)에서, 제 1 및 제 2 운반체들(122, 142)은 함께 적층되어 있어 공간을 덜 점유하고, 모든 운반체들(122, 142, 182)은 프린트시 프린트헤드들(30)과 간섭하지 않게 이들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하여 있다. 홈 위치에서, 제 3 운반체(182)는 프린트헤드 앞면들과 잉크 수용면 사이에 위치하여 있지 않다. 프린트/복사기(10)가 프린트 모드에서 보수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제어기(80)는 제 1 트랙(104)을 따라 제 3 운반체(122)를 이동시켜 도 6에 점선 M1으로서 도시된 보수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174)의 동작을 개시한다. 제 3 운반체(182)는 홈 위치(H1)에서 완료 위치(C1)(도 9)로 보수 경로(M1)를 따라 이동된다. 제 3 운반체(182)에 의해 취해진 보수 경로(M1)는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5, 37, 39)과 수용면(14) 사이에 개재된다. 제 3 운반체(182)가 경로(M1)을 따라 이동할 때, 와이퍼 블레이드(194)는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5, 37, 39)을 와이핑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3 운반체(182)에 연결된 제 1 운반체(122)와 함께, 제 3 운반체(182)가 제 1 홈 위치(H1)로부터 이격하여 경로(M1)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도시되었다. 제 2 운반체(140)는 스프링(17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와이퍼(194)가 상측 프린트헤드 앞면들(35, 39)로부터 잉크를 제어하기 위해 이들을 와이핑하는 것이 도시되었다. 제 1 트랙(104)의 제 2 부분(108)은 제 2 평면(P2) 및 이에 따라 상측 프린트헤드 앞면들(35, 39)에 평행하기 때문에, 제 3 운반체(182)는 앞면들에 평행하게 이동하고 와이퍼(190)는 와이퍼 블레이드(194)가 앞면을 가로질러 와이핑할 때 이들 앞면에 비교적 일정한 와이핑 압력을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운반체(122)는 제 2 운반체(142)를 링키지(160 또는 260)를 통해 당기기 시작한다. 슬롯 링키지(160)를 갖는 실시예(100)에서, 슬롯(164)의 제 1 단부(168)는 제 2 운반체 피벗 핀(148)에 접하여 제 1 운반체(122)로부터 인력을 제 2 운반체(142)에 전달한다. 유연성 링키지(260)를 갖는 실시예(200)에서, 유연성 링키지는 이를 당긴 후 이 인력을 제 2 운반체(142)를 당기도록 전달하기 시작한다. 와이퍼(194)는 계속하여 상측 프린트헤드 앞면들(35, 39)을 와이핑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3 운반체(182)가 제 1 트랙(104)의 제 3 부분(110)에 진입하고 와이퍼(194)는 하측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7)을 와이핑하기 시작한다. 제 1 트랙(104)의 제 3 부분(110)은 제 1 평면(P1), 및 이에 따라 하측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7)에 평행하기 때문에, 제 3 운반체(182)는 앞면들에 평행하게 이동하고 와이퍼(190)는 와이퍼 블레이드(194)가 앞면을 가로질러 와이핑할 때 이들 앞면에 비교적 일정한 와이핑 압력을 제공한다.
도 9을 참조하면, 제 3 운반체(182)는 완료 위치(C1)에 도달하여 있고 와이퍼(190)는 하측 프린트헤드 앞면들(35, 39)의 와이핑을 종료하였다. 프린터/복사기(10)가 다시 수용면(14) 상에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프린트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제어기(80)는 구동 유닛(174)을 보수 경로(M1)를 따라 반대 방향으로 제 3 운반체(182)를 다시 이동시켜 제 3 운반체를 다시 홈 위치(H1)로 되돌아가게 한다. 제 1 운반체(122) 및 제 2 운반체(142) 또한 도 4에 도시한 위치들로 다시 이동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보수 어셈블리(100, 200)의 이점은 프린터/복사기(10) 내 최소 공간을 점유하면서도 서로 다른 평면들 내 놓여진 하나 이상의 상측 및 하측 프린트헤드 앞면들(33, 35, 37, 39)을 와이핑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의 동작은 앞면들(33, 35, 37, 39)이 서로 다른 평면들에 배치된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들(33, 34, 36, 38)을 절연시키는 방법을 예시한다. 방법은 제 1 및 제 2 프린트헤드 앞면들과 수용면 사이에 개재된 보수 경로(M1)를 따라 운반체로부터 연장한 와이퍼를 갖는 운반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프린트헤드 앞면은 제 1 평면(P1) 내에 배치되고 제 2 프린트헤드 앞면은 제 2 평면(P2) 내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평면들(P1, P2)는 서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보수 경로(M1)는 제 1 및 제 2 평면들에 평행하다. 방법은 와이퍼로 제 1 및 제 2 프린트헤드 앞면들을 와이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4)

  1. 잉크를 잉크 수용면(ink receiving surface)에 분사시키기 위해 제 1 평면에 배치된 앞면을 갖는 하측 제 1 프린트헤드와, 잉크를 상기 수용면에 분사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평면과 각도를 형성하는 제 2 평면에 배치된 앞면을 갖는 제 2 상측 프린트헤드를 포함하는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들을 보수하는 보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헤드 앞면들과 상기 수용면 사이에 개재된 보수 경로를 따라 홈 위치(home position)로부터 완료 위치(completion position)로의 이동을 위해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된 운반체(car)로서, 전단부와 후단부를 가지는, 상기 운반체;
    보수 경로를 따라 운반체를 가이드하는 트랙;
    상기 운반체의 상기 전단부를 상기 트랙에 피벗 연결하는(pivotally connecting) 제 1 커넥터;
    상기 운반체의 상기 후단부를 상기 트랙에 피벗 연결하는 제 2 커넥터; 및
    상기 운반체로부터 연장한 몸체, 및 상기 운반체가 상기 보수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프린트헤드 앞면들을 와이핑(wiping)하기 위한 블레이드를 갖는 와이퍼를 포함하는, 보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과 연통하고 상기 제 2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하여, 상기 상측 프린트헤드 앞면에 평행하게 상기 와이퍼를 안내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과 연통하며 상기 제 1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하여, 상기 하측 프린트헤드 앞면에 평행하게 상기 와이퍼를 안내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는, 보수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을 형성하는 콘투어 홈들(contoured grooves)을 갖는 한 쌍의 이격된 지지판들을 더 포함하는, 보수 어셈블리.
  4. 삭제
KR1020060028823A 2005-03-30 2006-03-30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 보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303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94,944 2005-03-30
US11/094,944 US7347527B2 (en) 2005-03-30 2005-03-30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solid ink printhea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559A KR20060105559A (ko) 2006-10-11
KR101303108B1 true KR101303108B1 (ko) 2013-09-06

Family

ID=3708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823A KR101303108B1 (ko) 2005-03-30 2006-03-30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 보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47527B2 (ko)
KR (1) KR101303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6237B2 (en) * 2009-03-24 2013-02-05 Xerox Corporation Print head maintenance system for an ink-jet printer using phase-change ink printing on a continuous web
EP2599635B1 (en) * 2011-11-30 2014-11-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ng device
US9592669B2 (en) * 2014-09-08 2017-03-14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JP7020864B2 (ja) * 2017-10-30 2022-02-16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8949B2 (en) * 2000-09-13 2003-06-17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and controlling the same
US6663215B2 (en) * 2001-10-25 2003-12-16 Hewlett-Packard Company, L.P. Printhead service station
US6764160B1 (en) * 2002-12-16 2004-07-20 Xerox Corporation Printhead interposing maintenance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ducing machine hav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6803A (en) 1984-10-16 1987-01-13 Exxon Printing Systems, Inc. System to linearly supply phase change ink jet
US4739339A (en) 1986-02-14 1988-04-19 Dataproducts Corporation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a cartridge for phase change ink in an ink jet apparatus
US5038157A (en) 1989-08-18 1991-08-06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solid ink pellets into a printer
EP0499432B1 (en) 1991-02-12 1997-04-23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system and method
US5372852A (en) 1992-11-25 1994-12-13 Tektronix, Inc. Indirect printing process for applying selective phase change ink compositions to substrates
US6328412B1 (en) * 1995-07-31 2001-12-11 Hewlett-Packard Company Integrated translational service station for inkjet printheads
JPH09164693A (ja) 1995-11-27 1997-06-24 Xerox Corp 保守用消耗品を備えた液体インクプリンタ
US6053608A (en) 1996-07-24 2000-04-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pellet with step configuration including slidable bearing surfaces
US6783221B2 (en) 2002-12-16 2004-08-31 Xerox Corporation Phase change waste in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5022193A (ja) * 2003-07-01 2005-01-2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8949B2 (en) * 2000-09-13 2003-06-17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and controlling the same
US6663215B2 (en) * 2001-10-25 2003-12-16 Hewlett-Packard Company, L.P. Printhead service station
US6764160B1 (en) * 2002-12-16 2004-07-20 Xerox Corporation Printhead interposing maintenance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ducing machin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47527B2 (en) 2008-03-25
KR20060105559A (ko) 2006-10-11
US20060227162A1 (en)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980B2 (en)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inthead assembly
EP1057646A2 (en) Forming ink images having a protection film
EP16662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n inkjet printhead
KR101303108B1 (ko)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 보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5535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6764160B1 (en) Printhead interposing maintenance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ducing machine having same
US72908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phase change ink to multiple printheads
US867856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302427B1 (ko) 고체 잉크 프린트헤드 절연 시스템 및 방법
KR101959573B1 (ko) 인쇄기
JP2001105628A (ja) 画像形成装置
US9033457B2 (en) Print head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CA2487506C (en) Multi-stage pre-transfer substrate heating assembly
US85290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ink from an exterior of a printhead
JP3576879B2 (ja) プリント装置
JPH097648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896464B2 (en) Printhead restraint system
US6840615B2 (en) Imaging surface field recond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6137075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9073327B1 (en) Printhead cleaning system having an elongated member connected to a vacuum source
JPH11138769A (ja) 画像記録装置
JPH049035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419775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8207391A (ja) 記録装置、および該記録装置を備えた情報処理システム
JPH0520101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