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203B1 -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203B1
KR101301203B1 KR1020120127443A KR20120127443A KR101301203B1 KR 101301203 B1 KR101301203 B1 KR 101301203B1 KR 1020120127443 A KR1020120127443 A KR 1020120127443A KR 20120127443 A KR20120127443 A KR 20120127443A KR 101301203 B1 KR101301203 B1 KR 10130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ellets
solvent
coupling agent
polyme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원현
Original Assignee
(주)창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창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12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6Carbon nanorods, nanowires, nanoplatelets or nano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 전도성을 갖고 카본파이버를 포함하는 제 1 전도성 펠렛과, 열 전도성을 갖고 흑연을 포함하는 제 2 전도성 펠렛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전도성 펠렛과, 제 2 전도성 펠렛을 각기 10 내지 90wt% 범위 내에서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된 펠렛을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혼합 펠렛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AL AND ELECTRIC CONDUCTIVE POLYMER COMPOUND}
본 발명은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 전기 전도성과 고강성을 만족하고 사출 생산이 가능한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는 합성섬유, 고무, 플라스틱류로 일반적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이다. 하지만, 전도성 고분자는 이러한 부도체의 특성에 전기 전도성 및 열 전도성이 부여된 고분자이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는 휴대용 통신 기기의 내장 안테나, 투명 전도체, 전자파 차폐용 박막, 이차전지, 전기변색소자, 발광다이오드, 레이저, 초고속 스위치, 비선형 광학 소자, 감광 재료, 광 기록 소재, 트랜지스터, 다양한 종류의 화학, 생물 센서(sensor), 분자 크기의 전자소자(molecular electronics), 쉴드캔 등으로 다양하다.
또한, 열 전도성 고분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항공 우주 산업의 기술 발전에 따라 냉각 조건이 까다로워짐으로 인해 각종 산업에서 열 전도 향상을 통한 기기 내부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열 전도성 고분자는 방열 소재로 특히, LED등의 방열판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고분자는 그 특성에 따라 열 전도성이 우수한 고분자, 전기 전도성의 우수한 고분자로 분리되었다. 이는 기존의 열 전도성 특성을 갖는 물질과 전기 전도성 특성을 갖는 물질과 고분자 재료간의 혼합은 균일한 분산이 어렵고, 압출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면서도 고강성을 만족하는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 전도성을 갖고 카본파이버를 포함하는 제 1 전도성 펠렛과, 열 전도성을 갖고 흑연을 포함하는 제 2 전도성 펠렛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전도성 펠렛과, 제 2 전도성 펠렛을 각기 10 내지 90wt% 범위 내에서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된 펠렛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혼합 펠렛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전도성 펠렛의 제조 방법은, 사출에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 전기 전도성 재료, 전도성 첨가재, 분산제 및 커플링 에이전트 그리고 희석을 위한 용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용제에 커플링 에이전트를 희석하는 단계와,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가 희석된 용제에 분산제를 희석하는 단계와,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와 분산제가 희석된 용제에 고분자 재료,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전도성 첨가재를 혼합 및 분산하는 단계와, 혼합물에 대한 컴파운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를 제외한 혼련된 혼합물의 량을 100으로 할 경우,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는 0.5 내지 5wt% 범위내를 첨가하고, 분산제는 0.1 내지 5wt% 범위내로 첨가하고, 고분자 재료는 30 내지 80wt%와 전기 전도성 재료는 10 내지 40wt%와, 전도성 첨가재는 9.4 내지 49.4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전도성 펠렛의 제조 방법은, 사출에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 열 전도성 재료, 필러, 커플링 에이전트 그리고 희석을 위한 용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용제에 커플링 에이전트를 희석하는 단계와,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가 희석된 용제에 고분자 재료, 열 전도성 재료와 필러를 첨가 혼합 분산하는 단계와, 혼합물에 대한 컴파운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를 제외한 혼련된 혼합물의 량을 100으로 할 경우,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는 0.5 내지 5wt% 범위내를 첨가하고, 고분자 재료는 30 내지 80wt%와 열 전도성 재료는 10 내지 40wt%와, 전도성 첨가재는 9.4 내지 49.4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전도성 펠렛과, 제 2 전도성 펠렛을 혼합하는 단계는, 혼련기에서 30 내지 60rpm으로 10 내지 60분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카본파이버가 함유된 제 1 전도성 펠렛과 열 전도성을 갖는 흑연이 함유된 제 2 전도성 펠렛을 각기 분리 제작한 다음 특성에 따라 혼합하여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면서도 고강성을 만족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도성 펠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도성 펠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도성 펠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도성 펠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제 1 전도성 펠렛과, 열 전도성을 갖는 제 2 전도성 펠렛을 제작한다(S110, S120).
먼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도성 펠렛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사출에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 전기 전도성 재료, 전도성 첨가재, 분산제 및 커플링 에이전트 그리고 희석을 위한 용제를 준비한다. 즉, 제 1 전도성 펠렛의 제조를 위한 재료를 준비한다(S111).
상기 고분자 재료,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전도성 첨가재들은 분쇄하여 미분화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이들 입도는 1 내지 100 미크론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범위를 유지하여 분산과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사출에 사용가능한 고분자 재료로 PC(polycarbonate), PPS(poly(phenylene sulfid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A66(homopolyamide based on hexamethylenediamine and adipic acid), PP(Poly prophylene), PE(polyethylen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EVA(Ethylene Vinyl Acetate), PVB(Poly Vinyl Butyral), PEK(Poly Ether Keton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로 카본 파이버 즉, 탄소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도성 첨가재로는 금속 분말, 합금 분말 및 페라이트 계열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금속 분말로는 은(Ag), 금(Au), 백금(Pt), 구리(Cu), 니켈(Ni), 팔라듐(Pd), 코발트(Co), 로듐(Rh), 루테늄(Ru) 또는 주석(Sn) 등과 같은 금속 미립자 또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인듐주석(ITO), 산화안티몬, 산화안티몬아연 또는 산화안티몬주석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합금 분말로는 샌더스트(sendust) 계열, 퍼멀로이(permalloy) 계열, 몰리퍼멀로이(molypermalloy)계열, 비정질(amorphous) 계열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페라이트 계열의 분말로는 산화철(Fe203), 산화니켈(NiO), 산화 아연(ZnO), 산화구리(CuO), 니켈-아연 페라이트 및 망간-아연 페라이트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산제로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인계, 유기산염계 및 무기산염계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 에이전트로는 실란을 사용한다.
또한, 용제로는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등의 알콜류, 벤젠, 크실렌, 텍사놀, 에틸렌글리콜, 부틸카비톨, 에틸셀로솔브, 글리세롤,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용제 대신에 수성(물)을 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재료들을 혼합하는 혼합 공정을 실시한다. 즉, 커플링 에이전트를 용제에 희석한다(S112). 그리고, 커플링 에이전트가 희석된 용제에 분산제를 먼저 희석한다(S113). 이와 같이 커플링 에이전트와 분산제를 용제에 먼저 희석함으로 인해 후속 첨가제들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전도성 첨가재가 균일하게 혼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희석 용액에 고분자 재료와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전도성 첨가재를 첨가 혼련한다(S114).
여기서, 용제를 제외한 혼련된 혼합물의 량을 100으로 할 경우,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는 0.5 내지 5wt% 범위내를 첨가하고, 분산제는 0.1 내지 5wt% 범위내로 첨가하고, 고분자 재료는 30 내지 80wt%와 전기 전도성 재료는 10 내지 40wt%와, 전도성 첨가재는 9.4 내지 49.4wt%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커플링 에이전트의 량이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고분자 내에 전기 전도성 재료가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잉 함유에 따른 상승효과가 없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산제도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전기 전도성 재료와 전도성 첨가재의 균일한 분산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잉 함유로 인해 상승 효과가 없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제의 량은 고분자 재료 및 전도성 첨가재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와 전도성 첨가재의 분산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분산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재료 준비와 재료의 혼합 및 분산은 연속식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거나 배치식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연속식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앞서 언급한 방법으로 커플링 에이전트, 고분자 재료,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전도성 첨가재가 용제에 혼합된 재료를 탱크의 내부 공간에 충진시킨다. 이때, 교반기가 탱크 내부에 위치하여 혼합된 재료를 교반한다. 이어서, 정량 펌프를 통해 일정량의 혼합 재료만을 초음파 장치에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재료의 량과 그 혼합 비율을 일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분자 재료가 파우더 형태로 미분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초음파 장치 내부의 초음파 처리를 통해 고분자 재료 내에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전도성 첨가재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후, 초음파 처리가 완료된 혼합 재료는 수납 욕조를 통해 외부로 반출되고, 별도의 건조 오븐에 의해 건조된다.
또한, 배치식 초음파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혼합된 재료를 분산 준비용 욕조 내에 충진시킨다. 이후, 이 분산 준비용 욕조를 초음파 발진 장치 상에 위치하여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전도성 첨가재가 균일하게 분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혼련과 분산 및 건조 공정이 완료된 이후, 컴파운딩 공정을 진행하여 제 1 전도성 펠렛을 제작한다(S115).
컴파운딩 공정은 컴파운딩 장비를 통해 실시하되 컴파운딩 장비로는 동방향 이축 압축기(twin screw extruder) 또는 코 니더(co-knead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컴파운딩 공정시 별도의 혼합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미 재료들의 혼련으로 인해 고분자 재료 내에 전기 전도성 재료와 전도성 첨가재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컴파운딩 공정시 재료의 량을 균일하게 투입할 수 있고, 단순화된 컴파운딩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컴파운딩 공정을 통해 혼합물을 제 1 전도성 펠렛 형태로 제작한다.
이어서, 열 전도성을 갖는 제 2 전도성 펠렛을 제조한다. 제 2 전도성 팰렛 또한, 앞선 제 1 전도성 펠렛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다. 하기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사출에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 열 전도성 재료, 필러, 커플링 에이전트 그리고 희석을 위한 용제를 준비한다. 즉, 제 2 전도성 펠렛의 제조를 위한 재료를 준비한다(S121).
상기 고분자 재료, 열 전도성 재료 및 필러들은 분쇄하여 미분화된 것을 사용한다.
열 전도성 재료로는 흑연 즉, 그라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첨가제로 사용되는 필러로는 탄소 나노튜브(CNT), 카본 파이버(Carbon fiber), 그라핀(Graphene) 및 금속 파우더(metal powde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금속 파우더로는 은(Ag), 금(Au), 백금(Pt), 구리(Cu), 니켈(Ni), 팔라듐(Pd), 코발트(Co), 로듐(Rh), 루테늄(Ru) 또는 주석(Sn) 등과 같은 금속 미립자 또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인듐주석(ITO), 산화안티몬, 산화안티몬아연 또는 산화안티몬주석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재료들을 혼합하는 혼합 공정을 실시한다. 즉, 커플링 에이전트를 용제에 희석한다(S122). 그리고, 커플링 에이전트가 희석된 용제에 고분자 재료, 열 전도성 재료와 필러를 첨가 혼합한다(S123).
이와 같이 커플링 에이전트 즉, 실란을 용제에 먼저 희석함으로 인해 후속 첨가제인 열 전도성 재료와 필러 그리고 고분자 재료 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실란을 고분자 재료, 열 전도성 재료와 필러를 첨가한 이후 희석하는 것에 비하여 그 결합력이 증대한다.
여기서, 용제를 제외한 혼련된 혼합물의 량을 100으로 할 경우,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는 0.5 내지 5wt% 범위내를 첨가하고, 고분자 재료는 30 내지 80wt%와 열 전도성 재료는 10 내지 40wt%와, 필러는 9.4 내지 49.4wt%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커플링 에이전트의 량이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고분자 내에 열 전도성 재료가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잉 함유에 따른 상승효과가 없어지는 문제가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 전도성 재료와 필러의 분산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분산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재료 준비와 재료의 혼합 및 분산은 연속식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거나 배치식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혼련과 분산 및 건조 공정이 완료된 이후, 컴파운딩 공정을 진행하여 제 2 전도성 펠렛을 제작한다(S124).
상술한 방법을 통해 카본 파이버의 함량이 높아 전기 전도성 및 고강성을 확보한 제 1 전도성 펠렛을 제작하고, 흑연의 함량이 높아 열 전도성을 향상시킨 제 2 전도성 펠렛을 제작한다.
이어서, 제 1 및 제 2 전도성 펠렛을 혼합한다(S130). 혼합량은 10 내지 90wt% 범위 내에서 사출 제품의 특성에 따라 두 펠렛의 혼합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의 제 1 전도성 펠렛과, 열 전도성의 제 2 전도성 펠렛을 각기 분리하여 제작하는 것은, 열 전도성 재료인 흑연과 전기 전도성 재료인 카본파이버를 동시에 컴파운딩하여 혼합하는 경우, 압출기의 특성상 압출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카본파이버와 흑연간의 균일한 분산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펠렛을 사출 제품의 특성에 따라 10 내지 90wt% 범위내에서 혼합하되, 혼련기에서 30 내지 60rpm으로 10 내지 60분간 혼합한다.
이어서, 건조 공정을 통해 수분을 제거하고(S140), 사출 작업을 실시한다(S150).
이로인해 목표로 하는 사출 제품을 제작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 전도성을 갖고 카본파이버를 포함하는 제 1 전도성 펠렛과, 열 전도성을 갖고 흑연을 포함하는 제 2 전도성 펠렛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도성 펠렛과, 제 2 전도성 펠렛을 각기 10 내지 90wt% 범위 내에서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펠렛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혼합 펠렛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펠렛의 제조 방법은,
    사출에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 전기 전도성 재료, 전도성 첨가재, 분산제 및 커플링 에이전트 그리고 희석을 위한 용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제에 커플링 에이전트를 희석하는 단계;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가 희석된 용제에 분산제를 희석하는 단계;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와 분산제가 희석된 용제에 고분자 재료,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전도성 첨가재를 혼합 및 분산하는 단계;
    혼합물에 대한 컴파운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를 제외한 혼련된 혼합물의 량을 100으로 할 경우,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는 0.5 내지 5wt% 범위내를 첨가하고, 분산제는 0.1 내지 5wt% 범위내로 첨가하고, 고분자 재료는 30 내지 80wt%와 전기 전도성 재료는 10 내지 40wt%와, 전도성 첨가재는 9.4 내지 49.4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도성 펠렛의 제조 방법은,
    사출에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 열 전도성 재료, 필러, 커플링 에이전트 그리고 희석을 위한 용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제에 커플링 에이전트를 희석하는 단계;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가 희석된 용제에 고분자 재료, 열 전도성 재료와 필러를 첨가 혼합 분산하는 단계;
    혼합물에 대한 컴파운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를 제외한 혼련된 혼합물의 량을 100으로 할 경우, 상기 커플링 에이전트는 0.5 내지 5wt% 범위내를 첨가하고, 고분자 재료는 30 내지 80wt%와 열 전도성 재료는 10 내지 40wt%와, 필러는 9.4 내지 49.4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성 펠렛과, 제 2 전도성 펠렛을 혼합하는 단계는,
    혼련기에서 30 내지 60rpm으로 10 내지 60분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0120127443A 2012-11-12 2012-11-12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130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443A KR101301203B1 (ko) 2012-11-12 2012-11-12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443A KR101301203B1 (ko) 2012-11-12 2012-11-12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203B1 true KR101301203B1 (ko) 2013-08-29

Family

ID=4922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443A KR101301203B1 (ko) 2012-11-12 2012-11-12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011B1 (ko) 2018-10-17 2020-01-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도성 차량 부품 사출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한 전도성 차량 부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6636A (ja) 1999-12-27 2001-09-11 Bridgestone Corp 混合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を用いた感光ドラム
KR101021805B1 (ko) 2010-07-21 2011-03-17 권원현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1065712B1 (ko) 2011-02-08 2011-09-19 권원현 전자파 흡수체의 제조 방법
KR20120057976A (ko) * 2010-11-29 2012-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열전도성 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6636A (ja) 1999-12-27 2001-09-11 Bridgestone Corp 混合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を用いた感光ドラム
KR101021805B1 (ko) 2010-07-21 2011-03-17 권원현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20120057976A (ko) * 2010-11-29 2012-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열전도성 수지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065712B1 (ko) 2011-02-08 2011-09-19 권원현 전자파 흡수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011B1 (ko) 2018-10-17 2020-01-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도성 차량 부품 사출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한 전도성 차량 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hi et al. Dielectric property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effectiveness of ethylene vinyl acetate‐based conductive composites: Effect of different type of carbon fillers
KR101579522B1 (ko) 우수한 방열 특성과 전자파 차폐 및 흡수능을 갖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Kasaliwal et al. Influence of processing conditions in small‐scale melt mixing and compression molding on the resistivity and morphology of polycarbonate–MWNT composites
Rwei et al. Dispersion of carbon black in a continuous phase: Electrical, rheolog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KR20200105625A (ko) 전자기 방사선을 차폐시키기 위한 복합 재료, 부가적 제조 방법을 위한 원료 및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제품 및 이러한 제품의 제조 방법
CN108384213A (zh) 一种高导电率的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540151B (zh) 用于沉积金属薄膜的改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其应用
CN102532669A (zh) 具正电阻温度系数的高分子基石墨烯复合材料及制备方法
EP2898003A1 (en) Thermally conductive plastic compositions,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thermally conductive plastics
Ram et a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effectiveness and skin depth of poly (vinylidene fluoride)/particulate nano‐carbon filler composites: prediction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ercolation threshold
CN109096572A (zh) 一种高直流击穿强度的聚烯烃纳米复合绝缘材料及其制备方法
JP7067908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物
Li et al. Electrically insulating ZnOs/ZnOw/silicone rubber nanocomposites with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CN111087790A (zh) 一种石墨烯-金属粉末复合导电导热塑料及其制备方法
CN108841157A (zh) 一种电磁屏蔽的石墨烯pc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301203B1 (ko) 열 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1021805B1 (ko)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Lee et al. Highly dispersed graphene nanoplatelets in polypropylene composites by employing high-shear stress for enhanced dielectric properties and frequency-select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capability
Razak et al. Polyaniline-coated kenaf core and its effect on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epoxy resin
KR101993883B1 (ko) 탄소나노튜브를 갖는 실리콘 복합소재,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한 무금속 실리콘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CN110564113B (zh) 一种导电母粒及其制备方法
CN104693800A (zh) 一种耐冲击的导电pps/lcp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214799A (zh) 一种导热抗静电pet/ptt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196069B (zh) 一种高分散炭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746531A (zh) 一种pc-abs电磁屏蔽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