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136B1 - Air bag device - Google Patents

Air ba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136B1
KR101301136B1 KR1020077028700A KR20077028700A KR101301136B1 KR 101301136 B1 KR101301136 B1 KR 101301136B1 KR 1020077028700 A KR1020077028700 A KR 1020077028700A KR 20077028700 A KR20077028700 A KR 20077028700A KR 101301136 B1 KR101301136 B1 KR 10130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inflator
gas
deploym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11691A (en
Inventor
히로유키 타니야마
요시오 시마자키
코우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6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1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4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em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23Heat protection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60R2021/2375F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플레이터(30)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l0)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하여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12' )가 에어백(1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포개 접어진 상태의 에어백 (10)이 본래 전개해야하는 부위로부터 차례로 규칙 바르게 전개하는 승차원 보호 성능이 뛰어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apparatus, in which a gas rectifying member (12 ') which rectifies and guides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30) to the vicinity of an expanded portion at the beginning of deployment of the airbag (10) is a central portion of the airbag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airbag 10, the folded state of the airbag 10 provides an airbag device excellent in the three-dimensional protection performance that is properly deployed in order from the site to be originally deployed.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 BAG DEVICE}Air bag device {AIR BA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apparatus of an automobile

에어백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장치 (50P)의 중앙 부분에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에어백 장치의 중앙 부분에는 표시용 부재 (40P)가 그 외주위에는 이면에 티아라인을 갖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복수의 커버 부품 (16Pb)으로 파열 가능한 에어백 커버 (16P)가 설치되고 에어백 커버 (16P)내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가 수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the airbag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steering apparatus 50P, the display member 40P is located in the center part of the airbag apparatus, and it has a tialine in the back periphery. The airbag cover 16P which can be ruptured by the some cover part 16Pb at the time of the expansion and expansion of an airbag is provided, and the airbag and inflator folded in the airbag cover 16P are accommodated (refer patent document 1).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는, 도 17과 같은 구성을 갖춘 다른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에어백 장치의 인플레이터 (30R)에는 가스를 토출하는 가스 토출구멍 (30Ra)가 설치된 디퓨저 (32R)이 배치되고 있고 에어백 (10R)의 인플레이터 장착구가 도시하는 Q의 위치에 고정되고, 에어백 (10R)의 중앙부에 그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규제 벨트 (11Ra)가 구비되어 지고 그 단부가 인플레이터 머리부에 설치한 고정구로 고정되고 있다.The airbag apparatus shown in FIG. 18 and FIG. 19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other airbag apparatus which has the structure similar to FIG. In the inflator 30R of the airbag apparatus, a diffuser 32R provided with a gas discharge hole 30Ra for discharging gas is disposed, and the inflator mounting opening of the airbag 10R is fixed at the position Q, which shows the airbag 10R. A regulating belt 11Ra for regulating the length at which the elongation starts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ead), and the end thereof is fixed by a fixture provided at the head of the inflator.

도 18에서 알 수 있듯이 인플레이터 (30R)과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R)과의 사이에는 복수의 가스 토출구멍 (32Ra)가 설치된 디퓨저 (32R)이 배치되 고 있다. 인플레이터 (30R)의 작동시에는 인플레이터 (30R)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이 가스 토출구멍 (32Ra)를 통하여, 직접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R)의 중앙 부분에 가스압을 걸치는 구성이 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참조) As can be seen from FIG. 18, a diffuser 32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as discharge holes 32Ra is disposed between the inflator 30R and the air bag 10R folded and housed therein.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inflator 30R,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30R applies a gas pressure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air bag 10R that is directly folded and stored through the gas discharge hole 32Ra. (See Patent Document 2)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인플레이터 (30R) 작동시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R)의 중앙 부분에 가스압이 집중해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R)의 포개 접은 상 태가 무너져 가스 토출구멍 (32Ra)의 구멍보다 윗쪽의 에어백 부분이 에어백 전개 방향으로 한번에 밀어 내져 에어백 커버 (16R)의 이면에 설치된 티아라인 (16Ra)를 파단해, 이들의 에어백 부분이 운전석 측으로 크게 튀어나와 버린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inflator 30R is operated, the gas pressure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olded airbag 10R, and the folded state of the folded airbag 10R collapses, which is higher than the hole of the gas discharge hole 32Ra. Airbag portion is pushed out at once in the airbag deployment direction to break the tialine 16Ra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airbag cover 16R, and these airbag portions protrude largely toward the driver's seat side.

상기 튀어나온 에어백 부분의 관성력으로 나머지의 에어백 부분도 한 번에 운전석 측으로 방출된다. 상기 튀어나옴은 「펀칭 현상이라고 말해지고 있고, 상기 에어백 부분의 최대 튀어나옴 속도는 시속 300 km의 고속으로 되는 경우도 있고 승차원에게 위해를 줄 우려가 있다. The remaining airbag portion is also released to the driver's seat side at a time by the inertia force of the protruding airbag portion. Said protruding is said to be a "punching phenomenon," the maximum protruding velocity of the airbag portion may be a high speed of 300 km per hour and may cause harm to the passengers.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이 펀칭 현상의 대책으로서 에어백 커버 (16R)의 파단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10R)의 전개를 위한 개구부를 작게 하고 한 번에 에어백 (10R)이 튀어나오지 않게 해, 전술한 펀칭 현상에 의한 가해성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개구부를 작게 하면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R)이 한 번에 상기 개구부를 향해 밀어내졌을 때, 에어백 (10R)은 커버 개구부에서 막혀 후방으로부터 더해지는 가스압에 의해, 개구부 근방에 위치 하는 에어백 부분이 운전석 측으로 나오기 어려워진다.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s an countermeasure against this punching phenomenon, the opening for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10R at the time of breakage of the airbag cover 16R is made smaller and the airbag 10R does not protrude at once. It is thought that reduction of the addability by the punching phenomenon mentioned above is aimed at. However, when the opening is made smaller, when the airbag 10R folded and stored is pushed out toward the opening at once, the airbag 10R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by the gas pressure that is blocked by the cover opening and added from the rear. It is difficult to get out of the driver's seat.

상기 상태에서는 에어백 (10R)내의 가스압이 상승해 에어백 커버 (16R)자체 가 팽창해, 개구를 강제적으로 펼치면서 속도를 더해 에어백 (10R)이 토출할 우려가 있다. 또 그 만큼은 아니고, 에어백 (10R)의 초기에 개구부를 빠져 나온 부분만큼이 먼저 튀어나와, 부분적으로 팽창 전개하는 것 같은 경우에는 에어백 전체의 전개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전개 방향이 안정되지 않고 에어백 장치의 승차원을 보호하는 성능은 쇠화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gas pressure in the airbag 10R rises, and the airbag cover 16R itself expands, and the airbag 10R may be discharged by adding speed while forcibly opening the opening.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part which has escaped from the opening part at the beginning of the airbag 10R first pops out and partially expands and expands, the deployment direction of the entire airbag is changed. The ability to protect the circle deteriorates.

다음에, 종래의 한층 더 다른 에어백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0은 그 횡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백 (10L)은 포개 접어져 에어백 커버 (16L)과 인플레이터 (30L)와의 사이에 수납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L)의 전면벽의 이면에는 대략h자형의 티아라인 (16La)가 형성되고 있고 에어백 (10L)의 인플레이터 장착구가 상기 인플레이터 (30L)의 외주위에 설치된 플랜지 (30Lb)에 고정되고 있다. (특허 문헌 3 참조) Next, an example of another conventional airbag apparatus is demonstrated. 20 is a cross sectional view thereof. As shown, the airbag 10L is folded and accommodated between the airbag cover 16L and the inflator 30L. A substantially h-shaped tialine 16La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of the airbag cover 16L, and the inflator mounting hole of the airbag 10L is fixed to the flange 30Lb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flator 30L. have. (See Patent Document 3)

상기 에어백 장치에서는 상기 인플레이터 (30L)의 작동시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L)의 후방 부분 전체에 가스압이 집중하는 것과 동시에, 가스 토출구멍 (30La)의 구멍보다 윗쪽의 에어백 (10L)의 덩어리가 에어백 전개 방향으로 단번에 밀어내져 에어백 커버 (16L) 이면에 설치된 대략h자형 티아라인 (16La)를 파단하여 이들의 에어백 부분이 승차원석 측에 크게 튀어나와 버린다. In the airbag apparatus, when the inflator 30L is operated, gas pressure concentrates on the entire rear portion of the folded airbag 10L, and a mass of the airbag 10L above the hole of the gas discharge hole 30La is formed. It pushes out at once in the airbag deployment direction and breaks the substantially h-shaped tialine 16La provided on the back of the airbag cover 16L, and these airbag portions protrude largely on the passenger seat side.

특수한 포개 접는 방법으로 에어백의 급속한 튀어나옴을 억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에어백의 급속한 튀어나옴을 억제하기에는 통상은 전개하기 어려운 포개 접음이 필요하게 되어, 풀 전개까지의 전개 시간이 늦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한편, 전개 시간을 늦추는 경우가 없도록 에어백을 포개 접으면 상술한 펀칭 현상이 발생한다.Although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apid protruding of the airbag by a special folding method, it is usually necessary to fold the envelope which is difficult to unfold in order to suppress the rapid protruding of the airbag,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unfolding time until full deployment is delayed. .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punching phenomenon occurs when the airbag is folded up so as not to slow down the deployment time.

도 21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이 전개하는 초기부터 경과시간마다의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더미의 자세는 에어백과 근접하는 상태(이 상태는 정규 착석 위치가 아닌 아웃 오브 포지션의 상태로 불리우고 이하, 생략해 「OOP 상태」라고 한다. )에 있다. 에어백은,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기초 천의 바깥 둘레부 끼리를 봉합해 봉제부 (P)를 작성함으로써 편평한 구 형상(측면에서 볼때 타원체 형상)으로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팽창 완료시에는 편평한 구 형상의 에어백의 측면 중앙에 봉제부 (P)가 위치하게 된다. Fig. 21 is a diagram showing the deployment state of the airbag for each elapsed time from the beginning of deployment of the airbag of the conventional airbag apparatus. The dummy posture is in a state close to the airbag (this state is called a state of out-of-position rather than a regular seating position, hereinafter abbreviated as " OOP state "). The airbag is formed in the bag shape which can be developed in a flat spherical shape (elliptic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by sealing the outer peripheries of two substantially circular base fabrics and creating a sewing portion P. Therefore, when the expansion is completed, the sewing portion P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of the flat spherical airbag.

도 21A내지 도 21D와 같이 에어백의 봉제부 (P)가 더미 경부에 걸리도록 팽창하면 완전하게 에어백이 팽창하기 직전에 더미 경부에 걸린 부분은 팽창이 억제되고 있기 때문에 에어백의 팽창의 완료 단계에서 억제된 부분, 특히 에어백의 지름이 최대가 되는 부분이 단번에 팽창해, 경부에 상해를 줄 우려가 있다. 상기 완료 단계에 있어서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에어백 내압을 단번에 높이기 위해서 발생하는 현상(완만한 상태로부터 단번에 에어백 내압이 상승해 승차원이 에어백에 전해지는 현상)은, 이른바 「멤브레인 현상」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21A to 21D, when the sewing portion P of the airbag is inflated to the dummy neck, the portion caught in the dummy neck just before the airbag is fully inflated is suppressed at the completion stage of the inflation of the airbag because the expansion is suppressed. The portion where the diameter of the airbag is maximized, especially the portion where the diameter of the airbag is maximized, may be inflated at once, which may cause injury to the neck. The phenomenon which occurs in order that the gas of the inflator raises the airbag internal pressure at once in the completion step (phenomena in which the airbag internal pressure rises at once from the relaxed state and the upward dimension is transmitted to the airbag) is called a "membrane phenomenon".

또한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은 (1)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는 방법, (2) 롤상으로 포개 접는 방법, (3) 에어백을 입체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하는 방향으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는 방법(특허 문헌 2에 개시)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특허 문헌 3에는 에어백을 어느 항의 방법으로 포개 접을까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의 특수한 포개 접는 방법을 제외하면 펀칭 현상은 어떤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에서도 발생한다. 그러나, 전술의 0OP 상태에서의 멤브레인 현상의 방지책으로서는 에어백 커버의 여는 방법을 조정하는 이외로 구체적인 방책이 없었다. In addition, the folding method of the airbag is (1) a folding method in a cornice shape, (2) a folding method in a roll shape, and (3) a folding method in a cornice shap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bag starts to extend three-dimensionally (see Patent Document 2). Disclosure) and the like. Patent Document 3 does not describe in which way the airbag is folded, but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special folding method, the punching phenomenon occurs in the folding method of any airbag. However, as a preventive measure of the membrane phenomenon in the above-mentioned 0OP state, there was no concrete measure other than adjusting the opening method of the airbag cover.

특허 문헌 1:US6739620호 명세서Patent document 1: US6739620 specification

특허 문헌 2:US2001/42978호 공개 공보 Patent document 2: US2001 / 42978 publication

특허 문헌3: 일본국 실개평3-38254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3-38254

본 발명은 어떤 방법으로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에서도, 펀칭 현상을 방지하고 또 0OP 상태에 있어서도 승차원으로의 가해성을 경감할 수가 있고 또 통상의 전개에 있어서도 승차원 보호 성능이 뛰어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 운전석 및 조수석 등의 승차원 자리의 에어백 장치에도 이용할 수가 있어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완만하게 에어백을 전개시켜, 압력 손실을 저감 할 수 있는데다가 하우징이나 커버등의 개개의 부재의 강도를 필요 이상으로 강화할 필요가 없이 구조가 간단해 염가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ba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punching phenomenon from being folded and stored in any manner, and can reduce the likelihood of going up to 3D even in the 0OP state, and is excellent in the 3D protection performance in normal deployment. In addition, it can also be used for airbag devices of passenger seats and passenger seats, and the airbags can be gently released at relatively low pressure, and pressure loss can be reduced, and the strength of individual members such as housings and covers can be reduce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does not need to be reinforced more than necessary to provide a cheap airbag device.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와 연통해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과 에어백을 포개 접은 수납 상태로 유지해 에어백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적어도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유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 해 안내하는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에어백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of claim 1 maintains the airbag and the airbag inflated by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in communication with the inflator and the inflator, and presses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airbag to at least initially deploy the airbag. In the airbag device comprising a holding member for suppressing the expansion of the airba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irbag by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to the gas rectification to rectify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to the vicinity of the portion inflated at the beginning of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And the member is installed at an approximately center portion of the airbag.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의 외주위 측에 상기 에어백이 포개 접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airbag is folded and hou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gas rectifying member.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통 형상으로서 상기 에어백에는 인플레이터와 연통하는 인플레이터 연통구가 형성되어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연통구 주변으로부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gas rectifying member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airbag is provided with an inflator communication port communicating with an inflator, so that the gas rectifying member has an airbag around the inflator communication port. It extends to the vicinity of the part which expands in the initial stage of expansion.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항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 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 rectifying member is made of a woven fabric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항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 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의 열이나 충격적인 압력으로부터 에어백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5 is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gas rectifying member is arranged as a member having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airbag from heat or shock pressure of the inflator.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항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 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승차원측 방향으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ixth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airbag is folded in a cornice shape in the upward dimension direction.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항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 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에어백을 덮은 상태로 수납하는 직포로부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7 is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holding member is made of a woven fabric to be stored in a state of covering the airbag.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의 어느 항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 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에어백 커버에 수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holding member is housed in an airbag cover.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가 그 이면에 인플레이터의 가스 발생시에 파열해 에어백의 전개구를 이루는 티아라인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a tialin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irbag cover that ruptures during gas generation of the inflator to form an airbag deployment port.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9의 어느 항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 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내에는 에어백의 승차원측으로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규제 벨트가 배치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0 is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a restrictor belt is disposed in the airbag to regulate a length at which the airbag starts to extend to the ascension side. do.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항인가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 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에 대신해 에어백 커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vention of Claim 11 is an airbag apparatus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6 WHEREIN: It uses the airbag cover instead of the said hold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1에 기재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내의 상기 보호 부재가 가스를 정류 해 안내하는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대향하는 위치에 티아라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the protection member in the airbag cover is provided with a tialine at an opposing position of an inflated portion at the beginning of deployment of the airbag for rectifying and guiding the gas. It is done.

도 1은 에어백 장치의 핸들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handle of an airbag device.

도 2는 도 1의 I-I로 본 횡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도 3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plate.

도 4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도 5A는 쿠션 링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그 일부를 단면에서 가리킨 측면도이다.Fig. 5A is a front view of the cushion ring, and Fig. 5B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thereof in cross section.

도 6A는 팽창 상태의 에어백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동에어백의 비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6A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airbag in an inflated state,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expanded state of the airbag.

도 7은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를 이용해 에어백을 포개 접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folding an airbag using an airbag folding machine.

도 8A는 유지 부재의 에어백을 덮기 전의 전개도이고, 도 8B는 포개 접어진 이면측의 에어백의 사시도, 도 8C는 에어백을 유지 부재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D는 유지 부재로 덮은 에어백의 이면도이다.FIG. 8A is an exploded view before covering the airbag of the retaining member, FIG. 8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bag on the back side folded and folded, FIG. 8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bag covered with the retaining member, and FIG. 8D is a view of the airbag covered with the retaining member. It is the back view.

도 9는 인플레이터 장착구의 주변부를 보호하는 주변 보호 부재의 전개도이다.9 is an exploded view of a peripheral protective member that protects the periphery of the inflator mounting tool.

도 10A는 에어백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이면도이다.10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bag cover, and FIG. 10B is a back view.

도 11은 개방한 상태의 각 커버 부품을 승차원측에서 본 도이다.It is a figure which looked at each cover part of the open state from the elevation dimension side.

도 12는 에어백 장치의 전개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고,도 12A는 전개 초기, 도 12B는 전개 완료시의 에어백의 팽창 상태를 나타낸다.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deployment operation of the airbag apparatus, Fig. 12A is the deployment initial stage, and Fig. 12B shows the inflated state of the airbag at deployment completion.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이 전개하는 초기부터 경과시간마다의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deployment state of the airbag for every elapsed time from the beginning which the airbag of the airbag apparatus of 1st Embodiment deploys.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assenger-side airbag apparatus which is 2nd Embodiment.

도 15는 가스 정류 부재, 에어백 및 유지 부재의 협지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1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lamping state of the gas rectifying member, the airbag, and the holding member.

도 16은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이다.16 is a schematic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assenger-side airbag apparatus.

도 17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핸들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 다.1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a conventional airbag device to a handle.

도 18은 종래의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deployment state of the conventional airbag.

도 19는 종래의 에어백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oring state of the conventional airbag.

도 20은 종래의 다른 에어백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20 is a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another conventional airbag.

도 21은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이 전개하는 초기부터 경과시간마다의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Fig. 21 is a diagram showing the deployment state of the airbag for each elapsed time from the beginning of deployment of the airbag of the conventional airbag apparatus.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indicating main parts **

10a···에어백 본체, 11a···통 형상 규제 벨트, 10a ... airbag body, 11a ...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2···보호 부재, 12'···가스 정류 부재, 14···유지 부재, 12 ... protection member, 12 'gas rectifying member, 14 holding member,

16···에어백 커버, 20···연결 부재, 22···쿠션 링, 16 airbag covers, 20 connecting members, 22 cushion rings,

24···베이스 플레이트, 30···인플레이터.24 base plate, 30 inflator.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운전석용의 에어백 장치 (M1)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백 장치의 핸들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도 2는 도 1의 I-I로 본 횡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M1)은, 도 1 및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의 핸들 중앙부에 조립되어지는 것이고, 장식용 부재 (40), 에어백 (10), 및 에어백 커버 (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에 있어서는 편의상 승무원측을 표면측, 이 반대측을 이면측이라고도 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airbag apparatus M1 for driver's seat which is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attached drawin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handle of an airbag device, and FIG. 2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line I-I of FIG.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irbag device M1 is assembled to the handle center portion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decorative member 40, an airbag 10, and an airbag cover 16.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crew side is also called the front side, and this opposite side is called the back side for convenience.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에는 에어백 본체부 (10a)와 그 본체부 (10a)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 형상의 규제 벨트 (11a) 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10)이, 표면측(승차원측) 방향으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진 상태로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되고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airbag cover 16 includes an airbag main body 10a and a tubular regulating belt 11a for regulating the length at which the main body 10a starts to extend. The airbag cover 16 is housed in a folded state in a cornice shape toward the surface side (upward dimension side) direction.

에어백 (10)은 그 외주위 측면을 눌러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도록 유지 부재 (14)로 덮여 있다. 에어백 본체부 (10a)와 유지 부재 (14)는 에어백 (10)내에 삽입된 쿠션 링 (22)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고정되고 있다. 또,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등을 덮도록 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고정되고 있다. The airbag 10 is covered with a retaining member 14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to suppress the expansion and expansion of the airbag side direction. The airbag main body 10a and the holding member 14 are fixed to the base plate 24 by a cushion ring 22 inserted into the airbag 10. The airbag cover 16 is fixed to the base plate 24 so as to cover the airbag 10 and the like.

한편, 통 형상의 규제 벨트 (11a)의 단부는 에어백 커버 (16)의 승차원측 측면으로 형성된 오목부 (16a)의 이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장식 부재 (40)의 이면 측에 돌출한 장착볼트 (40a)를 연결 부재 (20)에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이들의 부재간에 협지되고 있다. 또 연결 부재 (20)의 단부는 상기 쿠션 링 (22)와 베이스 플레이트 (24)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대해서 고정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nd portion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6a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airbag cover 16, and the mounting bolt protruding on the rear side of the decorative member 40 ( 40a) is clamped between these members by fixing to the connecting member 20 with a nut.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0 is sandwiched between the cushion ring 22 and the base plate 24 and fixed to the base plate 24.

또한 후에 상세 해설 하지만, 부호 12는 보호 부재, 부호 12'는 가스 정류 부재, 부호 11C는 상기 에어백 본체부 (10a)에 통 형상 규제 벨트 (11a)를 봉합한 봉제부를 나타낸다. Although detailed description later,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protective member,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gas rectifying member, and reference numeral 11C denotes a sewing portion in which a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is sealed to the airbag main body portion 10a.

이하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4), 연결 부재 (20) 및 쿠션 링 (2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structure of the base plate 24, the connecting member 20, and the cushion ring 22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24)는 대략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그 중앙부에 인플레 이터를 장착 가능한 구멍 (24h)가 형성됨과 동시에, 4개의 에어백 커버용 장착 부품 (24a)와 베이스 플레이트 (24) 자체의 장착을 위한 한 쌍의 장착 부품 (24b)가 상기 원판면으로부터 잘라 세워 형성되고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4)는, 인플레이터 (30), 에어백 (10) 및 전술한 장식용 부재 (40)을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장착 부품 (24b)은 스티어링 휠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plate 24 shown in FIG. 2. The base plate 2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a hole 24h for mounting the inflator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mounting of the four airbag cover mounting parts 24a and the base plate 24 itself is performed. The pair of mounting parts 24b for cutting are formed by cutting out from the said disk surface. The base plate 24 is for integrally fixing the inflator 30, the airbag 10 and the aforementioned decorative member 40, and the pair of mounting parts 24b for fixing to the steering wheel. .

상기 인플레이터 (30)은 개략 두꺼운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소정의 충격 지시에 가스를 토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인플레이터 (30)의 가스 토출구멍 (30a)가 형성된 인플레이터 윗쪽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구멍 (24h)를 관통하고 한편, 인플레이터 (30)의 두께 방향 대략 중간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베이스 플레이트 (24) 이면 측에 밀접시키도록 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구멍 (24c)를 개입시켜, 쿠션 링 (22)와 함께 고정된다. 즉, 인플레이터 (30)의 가스 토출구멍 (30a)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측으로 돌출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인플레이터 (30)으로부터의 토출 가스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측에서 토출되게 되어 있다. The inflator 30 is formed in a generally thick disc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discharging gas at a predetermined impact instruction. The upper part of the inflator in which the gas discharge hole 30a of the inflator 30 is formed passes through the hole 24h of the base plate 24, while the flange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pa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flator 30 is provided with a base plate ( 24) It is made to be close to the back surface side, and is fixed with the cushion ring 22 through the mounting hole 24c of the base plate 24. As shown in FIG. That is, the gas discharge hole 30a of the inflator 30 is fixed in the state which protruded to the surface side of the base plate 24, and discharge gas from the inflator 30 discharges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base plate 24. FIG. It is supposed to be.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연결 부재 (20)의 사시도이다. 연결 부재 (20)은, 장착볼트 (40a)가 끼워 맞추는 구멍 (20ah)를 구비한 중앙부 (20a)와 그 양측으로 이것과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다리부 (20b)와 또한 다리부 (20b)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장착 발 (20c)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금속 부품으로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장착 발 (20c)에는, 후술하는 쿠션 링 (22)의 장착구멍 (22a) 및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구멍 (24c)에 대응한 장착구멍 (22e)가 형성되고 있어 쿠션 링 (22)에 형성된 볼트 (22d)에 의해 동시 고정되게 되어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 2. The connecting member 20 includes a central portion 20a having a hole 20ah to which the mounting bolt 40a fits, and a leg portion 20b and a leg portion 20b, each of which is ben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thereto. It is comprised by the plate-shaped metal component which consists of the mounting foot 20c bent at substantially right angle. The mounting foot 20c is provided with mounting holes 22e corresponding to mounting holes 22a of the cushion ring 22 and mounting holes 24c of the base plate 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olt 22d formed at 22 is simultaneously fixed.

도 5A는 도 2에 나타내는 쿠션 링 (22)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그 일부를 단면에서 가리킨 측면도이다. 쿠션 링 (22)는 도 5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 (30)의 삽입 구멍 (22h)가 설치되고 또 삽입 구멍 (22h)의 주위의 각 구석부에는 쿠션 링 (22)를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 (22d)가 그 이면 측에 설치되고 있다. 또, 쿠션 링 (22)의 이면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 측에 에어백 (10)을 개재시켜 접할 수 있도록 당접면 (22b)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당접면 (22b)에는 그 측면도인 도 5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예를 들면 교형 가공으로 형성된 오목 형상부 (22c)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오목 형상부 (22c)의 조임은, 쿠션 링 (22)를 연결 부재 (20)에 연결했을 때, 상기 연결 부재 (20)의 장착 발 (20c)의 두께에 대략 비등한 깊이로 형성되고 있다. FIG. 5A is a front view of the cushion ring 22 shown in FIG. 2, and FIG. 5B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thereof in a cross section. The cushion ring 22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5A, and an insertion hole 22h of the inflator 30 is provided 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a cushion ring (3) is formed at each corner around the insertion hole 22h. A bolt 22d for attaching 22 to the base plate 24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thereof. In addition, the back surface of the cushion ring 22 constitutes a contact surface 22b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side of the base plate 24 via an air bag 10,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surface 22b is a side view thereof. As can be seen from 5B, a concave portion 22c formed by, for example, a cross processing is formed. Tightening of the concave portion 22c is formed at a dep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ounting foot 20c of the connecting member 20 when the cushion ring 2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20.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해 에어백 (10)을 설명한다.The airbag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도 6A는 팽창 상태의 에어백 (10)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고,도 6B는 동에어백 (10)의 비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간이화를 위해 통 형상 규제 벨트 (11a)내에 배치되는 장식 부재 (40)이나 장식 부재 (40)과 결합된 인플레이터 (30) 등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FIG. 6A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bag 10 in an inflated state,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inflated state of the airbag 10. In addition, the decoration member 40 arrange | positioned in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the inflator 30 couple | bonded with the decoration member 40, etc. for simplicity are not shown in figure.

에어백 본체부 (10a)는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천의 외주위 테두리부 끼리를 봉합하는 것으로 편평한 구 형상(타원체 형상)으로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에어백 본체부 (10a)의 표면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가 삽입되는 원형 형상의 절결부 (10h)가, 그리고, 그 이면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와 연통해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쿠션 플레이트 (22)의 볼트 (22d)(도 5B참조)를 통하기 위한 4개의 작은 구멍 (10b)가 형성되고 있다. The airbag main body portion 10a is formed in a bag shape that can be developed into a flat spherical shape (ellipse body shape) by sealing two periphery edge portions of a cloth of approximately circular shape. A circular cutout 10h into which the concave portion 16a of the airbag cover 16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surface side of the airbag main body portion 10a, and an inflator and an inflator are connected to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urface side thereof. An inflator mounting hole 10ah is formed for introducing gas generated through the airbag into the airbag, and bolt 22d of the cushion plate 22 is disposed on the periphery 10d of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ah (see FIG. 5B). Four small holes 10b for passing through are formed.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 주변에는 인플레이터의 발생하는 열이나 충격적인 압력으로부터 에어백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 (12)가 상기 주변부 (10d)에 겹쳐져 봉합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 부재 (12)를 가스의 유출 방향을 정류하여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후술 하는 유지 부재 (14)의 원형의 파단 예정부 (14h)로부터 전개하는 에어백 부분)의 근방까지 가스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는 가스 정류 부재로서도 사용하고 있다. Around the inflator mounting opening 10ah of the airbag 10, a protective member 12 for protecting the airbag from heat or shock pressure generated by the inflator is superimposed on the peripheral portion 10d. In this embodiment, the part which expands the said protection member 12 in the outflow direction of gas, and expands at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of an airbag (the airbag part which expands from the circular fracture | rupture plan part 14h of the holding member 14 mentioned later). It is also used as a gas rectifying member having a function of guiding the gas to the vicinity of.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호 부재 (12)는 예를 들면 직포제로, 그 형상은 원형으로 중심에 구멍을 갖고 그 구멍의 직경은,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내주위의 직경과 같고, 그 외지름은, 예를 들면 상기 구멍의 직경의 3배 이상의 크기로 작성되고 있다. 상기 보호 부재 (12)를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로 장착할 때에는, 상기 보호 부재 (12)의 구멍의 주변을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에 맞추어 주변부 (10d)의 외주위부 (10d') 및 그 동심 형상의 외주위부 (12a')와 함께 봉합한다. 보호 부재 (12)는, 열이나 가스압의 충격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와 에어백 (10)의 포개 접는 수납 후에 가스를 정류하는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호 부재 (12)는 1매라도 좋지만, 2매 이상으로서 도 좋고, 가스 정류 부재는 이들의 보호 부재 (12)의 1매 또는 복수매를 이용해도 괜찮다. As shown in Fig. 6A, the protective member 12 is made of, for example, a woven fabric, the shape of which is circular and has a hole in the center, and the diameter of the hole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ah. The diameter is made to be three times or more the diameter of the hole, for example. When attaching the protection member 12 to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ah, the periphery of the periphery 10d of the peripheral part 10d is aligned with the periphery of the hole of the protection member 12 to the periphery of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ah. ') And its concentric outer periphery 12a'. The protective member 12 has a function as a rectifying member which rectifies gas after the folding member of the protective member and the airbag 10 which protect the shock of a heat | fever or gas pressure. Moreover, although one sheet may be sufficient as the protection member 12, you may use as two or more sheets, and the gas rectifying member may use 1 sheet or multiple sheets of these protection members 12.

에어백 (10)은, 에어백 본체 (10a)와 에어백 (10)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 형상 규제 벨트 (11a)로 구성되고 있고 상기 에어백 본체 (10a)는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기초 천(표면 부분의 기초 천와 배후 부분의 기초 천)의 외주위 테두리부 끼리를 봉합해 봉제부 (10c)를 설치하고 봉제 한 에어백의 내외면을 반전함으로써 편평한 구 형상(타원체 형상)으로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airbag 10 is comprised of the airbag main body 10a and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which regulates the length in which the airbag 10 starts to stretch, and the airbag main body 10a has two substantially circular shap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fabric (the base fabric of the surface part and the base fabric of the rear part) is sewn together, and the sewing part 10c is installed, and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ewn air bag can be reversed to develop into a flat spherical shape (elliptical shape). It is formed into a bag shape.

도 6B로부터 알 수 있듯이,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기초 천의 크기는 대략 같다. 그리고, 에어백 (10)은 도 6A의 에어백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방향(도중 윗쪽)으로 거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로부터, 상하에 압축하도록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져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되고 있다. 이 때 에어백 본체 (10a) 뿐만이 아니고 통 형상 규제 벨트 (11a)도 그 통 길이 방향으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진다. 또한 상기 거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길이는 상기 표면 부분의 기초 천의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 및 배후 부분의 기초 천의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에 대략 비등하다. As can be seen from Fig. 6B, the sizes of the two substantially circular base fabrics are approximately the same. Then, the airbag 10 is folded in a cornice shape so as to be compressed up and down from the state where the entire length is op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bag of FIG. 6A starts to extend (upper side in the figure), and is stored in the airbag cover 16. At this time, not only the airbag main body 10a but also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are folded in a cornice shape along the cylinder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in the state where the entire length is opened, the length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is the length of the airbag body 10a of the base fabric of the surface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airbag body 10a of the base fabric of the rear portion. Is about to boil.

다음에, 상술한 에어백 (10)이 도 6A의 에어백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방향(도중 윗쪽)으로 거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로부터 상하에 압축하도록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는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10)을 포개 접는데는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를 이용해 실시한다. 도 7A 내지 도 7G는 상기 에어백 포 개 접는 기계를 이용해 에어백을 포개 접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상기 개념도를 이용해 에어백의 포개 접는 조작 순서를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folding the airbag 10 into a cornice shape so as to compress almost the entire length from the unfolded state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bag 10 starts to extend (upward in the figure) will be described below. Folding the airbag 10 is carried out using an airbag folding machine. 7A to 7G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folding an airbag using the airbag folding machine, and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folding an airbag using the conceptual diagram.

상기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 (60)은,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원주 형상의 통 형상 규제 벨트 (11a)를 지지하는 지지구 (62)및 그것과 동일한 축으로 또한 외측으로 에어백 (10)을 수납하는 외통실린더 (63)을 가지는 테이블 (61)과 상기 지지구 (62)의 수직 윗쪽 위치에 상기 지지구 (62)와 동일한 외경을 갖고, 규제 벨트 (11a)의 상단을 지지구 (62)와의 사이에 협지하는 원주 형상의 협지구 (64;도 7C참조)를 지지하는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로 완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 (62)의 외경은 쿠션 링 (22)의 삽입 구멍 (22h)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 (62)가 상기 삽입 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상승할 수가 있다. The airbag folding machine (60) includes a support (62) for supporting a cylindrical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as shown in Fig. 7A, and the airbag (10) for receiving the airbag (10) on the same axis and outward. It has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said support 62 in the table 61 which has the outer cylinder 63, and the vertical upper position of the said support 62, and the upper end of the regulation belt 11a between the support 62 It is completed with the support part (not shown) which supports the circumferentially narrowing pinhole 64 (refer FIG. 7C) clamped at the edge.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62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22h of the cushion ring 22, the support 62 can rise through the insertion hole 22h as described later. have.

에어백 (10)은, 에어백 (10)의 주변부 (10d)(도 6A참조)에 형성된 4개의 작은 구멍 (10b)에,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쿠션 링 (22)의 볼트 (22d)가 삽입 통과 되고 있고 그 볼트 (22d)를 상기 테이블 (61)의 지지구 (62)의 외주위 상단면에 설치된 4개의 구멍에 걸어 고정한다. 지지구 (62)의 머리부이 상기 삽입 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상승하고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통안에 삽입되고 그 상승 한 지지구 (62)의 바깥쪽에는 에어백 본체 (10a)가 평평한 상태로 테이블 (61)상에 놓여진다. The airbag 10 has four small holes 10b formed in the periphery 10d (see FIG. 6A) of the airbag 10, and the bolt 22d of the cushion ring 22 passes through as shown in FIG. 7A. The bolt 22d is fastened to four holes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al upper end face of the support 62 of the table 61. The head of the support 62 ri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22h,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and the airbag main body 10a is provided outside the raised support 62. It is placed on the table 61 in a flat state.

도 7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 7A에 나타낸 지지구 (62)의 머리부이 쿠션 링 (22)의 삽입 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통안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또한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하단을 밀어 올리면 에어백 본체 (10a)도 추종해 밀어 올려진다. As shown in FIG. 7B, the head of the supporter 62 shown in FIG. 7A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2h of the cushion ring 22 a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When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is pushed up, the airbag main body 10a is also pushed up.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길이는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가 대략 절반에 동일하기 때문에 지지구 (62)는 테이블 (61)로부터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길이가 최대한 약 3배의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해 그 위치에서 정지하고 상기 지지구 (62)의 선단부에 있는 볼록부에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를 수작업으로 삽입 통과해, 통 형상 규제 벨트 (11a)를 위치 결정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ength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is approximately equal to half the length of the airbag main body 10a, the support 62 is the length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from the table 61. Rises up to a position approximately three times as high as possible, stops at that position, and manually passes through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mounting hole 11ah into the convex portion at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62, thereby regulating the cylindrical shape. Position the belt (11a).

도 7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협지구 (64)가 하강해 상기 위치 맞춤된 통 형상 규제 벨트 (11a)를 상기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로 협지하고 상기 협지 상태를 유지해 지지구 및 협지구 (62, 63)이 하강한다. 도 7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가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절반의 길이의 위치까지 하강한 지점에서 동작을 정지해, 도 7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외측의 에어백 본체 (10a)를 윗방향으로 이끌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통 형상 규제 벨트 (11a)는 그 대략 중간의 위치에서 포개 접어진다. As shown in Fig. 7C, the pincer 64 is lowered to pinch the aligned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to the support 62 and the pincer 64, and to hold the pinch state to maintain the pinch. The earth (62, 63) descends. As shown in FIG. 7D, the operation stops at the point where the support 62 and the pincer 64 are lowered to the position of half the length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and as shown in FIG. Pull the airbag body 10a upward. As a result,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is folded over at its approximately intermediate position.

도 7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테이블 (61)로부터 외통실린더 (63)이 전술의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상단의 협지 위치까지 상승하고, 에어백 (10)을 외통실린더 (63)과 지지구 (62)와의 사이에 수납한다. 도 7F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위치에서 외통실린더 (63)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좌우 대칭으로 반원형의 구멍을 가지는 2매의 플레이트 (65)가 외통실린더 (63)의 상단을 좌우 방향으로부터 슬라이딩 하여 협지구 (64)의 하단부에 설치된 끼워 맞춤 홈(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춘다. As shown in FIG. 7E, the outer cylinder 63 is lifted from the table 61 to the pinching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described above, and the airbag 10 is supported by the outer cylinder 63 and the support 62. I store it in). As shown in FIG. 7F, two plates 65 having semi-circular holes symmetrically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outer cylinder 63 at that position slide the upper end of the outer cylinder 63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pincer strip ( 64) into the fitting groove (not shown)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the.

도 7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상태로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을 동시에 하강함으로써, 포개 접어진 통 형상 규제 벨트 (11a)는 자신이 겹친 상태로 에어백 본체 (10a)와 함께 압축되면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진다. 에어백 (10)의 압축이 종료하면(도h참조) 상기 플레이트 (65)를 제거한 후에,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이 동시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에어백 (10)의 포개 접는 작업을 종료한다. As shown in Fig. 7G, by simultaneously lowering the support 62, the narrow end 64, and the outer cylinder 63 in this state, the folded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is folded in the airbag body ( 10a) and folded into a cornice shape. When the compression of the airbag 10 is completed (see FIG. H), after removing the plate 65, the support 62, the pincer 64 and the outer cylinder 63 simultaneously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the airbag 10 End the folding work of).

또한 에어백 (10)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에 있어서,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길이를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가 대략 절반에 동일한 것으로 해, 에어백 (10)의 길이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길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구 (62)의 정지하는 위치,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가 하강해 정지하는 위치는 에어백 (10)의 길이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In the state where the entire length of the airbag 10 was opened, the length of the airbag body 10a was approximately equal to half the length of the airbag main body 10a, and the length of the airbag 10 was describe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length,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support 62 is stopped, the position at which the support 62 and the pincer 64 are lowered and stopped, is positioned along the length of the airbag 10. It is decided.

도 8A는 유지 부재 (14)의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전개도이다. 상기 유지 부재 (14)는 직포제로 대략 정방형의 형상이고, 그 중앙에는 원형의 장착볼트 삽입 구멍 (14hh)가 설치되고 대략 정방형의 4변의 중심과 대각선상의 단변에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걸리는 8개의 구멍 (14ah, 14bh)가 설치되고 있다. 유지 부재 (14)의 상기 장착볼트 삽입 구멍 (14hh)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유지 부재 (14)로 덮인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에 수납할 때에, 도 2에 나타낸 장착볼트 (40a)에 삽입 통과하기 위한 구멍이다. 부호 14h는, 유지 부재에 설치된 미싱눈으로 이루는 대략 원형의 파단 예정부이고, 에어백의 전개 초기시에 파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그 크기는,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 및 장식 용 부재 (40)의 직경이 통과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8A is an exploded view before covering the airbag 10 of the retaining member 14. The retaining member 14 is made of a woven fabric and has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and a circular mounting bolt insertion hole 14hh is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bolt of the cushion ring 22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our sides of the substantially square and a short side diagonally. Eight holes (14ah, 14bh) hanging over 22d) are installed. Although the mounting bolt insertion hole 14hh of the holding member 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mounting bolt shown in FIG. 2 when the airbag 10 covered with the holding member 14 is accommodated in the airbag cover 16. It is a hole for insertion through 40a. Reference numeral 14h denotes an approximately circular fracture scheduled portion formed by missing eyes provided on the holding member, and is for facilitating fracture at the beginning of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and the size thereof is the concave portion 16a of the airbag cover 16 and the size thereof. The diameter of the decorative member 40 has a size that can pass.

도 8B는,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유지 부재 (14)와 기술한 에어백 포개 접는 기계 (60)으로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이면측의 사시도이다.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으로부터 돌출하는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상기 에어백 (10)의 4개의 작은 구멍 (14ah)를 건다. 그 후에 대각선상에 위치 하는 구멍 (14bh)를 대향하는 2개소의 볼트 (22d)에 모두 건다. FIG. 8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side of the airbag 10 folded over with the holding member 14 and the described airbag folding machine 60 before covering the airbag 10. Four small holes 14ah of the airbag 10 are fastened to the bolts 22d of the cushion ring 22 protruding from the folded airbag 10. After that, fasten the holes (14bh) located on the diagonal to both two bolts (22d) facing each other.

도 8C는,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을 때에는, 도 6A에 나타낸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가 유지 부재 (14)의 장착볼트 삽입 구멍 (14hh)와 겹치도록 해 에어백 (10)을 덮는다. 8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lded airbag 10 is covered with the holding member 14. When covering the airbag 10 with the retaining member 14,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attaching hole 11ah shown in FIG. 6A is made to overlap with the mounting bolt insertion hole 14hh of the retaining member 14. To cover.

도 8D는, 도 8C의 유지 부재 (14)로 덮은 에어백 (10)의 이면도이다. 보호 부재 (12)는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내부에 코니스 형상으로 들어가고 있으므로, 이들을 일단 꺼내 도 8D(혹은 도 2)와 같이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보호 부재 (12)는 가스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보호 부재 (12)의 상기 임시 인출하여 도 8D(혹은 도 2)와 같이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배치한 부분을 보호 부재 (12)를 이하 가스 정류 부재 (12')라고 부른다. 그리고, 상기 유지 부재 (14)로 덮는 것으로 상기 삽입 구멍 (14hh)와 겹쳐진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가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대략 중심, 환언하면,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형성된 가스 정류 부재 (1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기술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에 장착된 가스 정류 부재 (12')는 도 8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포개 접어져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표면이 겹겹이 포개 접어진 주름 (12a)가 형성된다. FIG. 8D is a rear view of the airbag 10 covered with the retaining member 14 of FIG. 8C. Since the protection member 12 enters into the inside of the folded airbag 10 in the form of a cornice, the protective member 12 is disposed so as to be taken out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olded airbag 10 as shown in FIG. 8D (or FIG. 2). . By arranging in this way, the protection member 12 exhibits a function as a gas rectifying member. The temporary member of the protective member 12 is disposed so as to follow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olded air bag 10 as shown in FIG. 8D (or FIG. 2). The protective member 12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as rectifying member 12 ′. It is called. Then,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attaching hole 11ah overlapped with the insertion hole 14hh by covering with the holding member 14 is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ah, in other words, to expand in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The gas rectifying member 12 ′ formed to the vicinity of the portion is dispos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The gas rectifying member 12 'mounted on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ah described above is folded and folded as shown in Fig. 8D, and the wrinkles 12a having overlapped and folded surfaces are held in the state held by the retaining member 14. Is formed.

한편, 상기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에어백 (10)이 에어백 커버 (16)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는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를 협지하는 쿠션 링 (22)로부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인 포개 접어진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선단의 근방까지, 에어백 (10)의 내벽을 따르도록 표면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상태의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의 형상은 통 형상이다.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는 이와 같이 겹겹이 포개 접어진 주름 (12a)가 표면에 형성되고 있으므로,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의 열이나 가스압의 충격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 큰 효과를 갖고 또한 그 형상이 통 형상이므로, 가스를 정류하는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airbag 10 held by the retaining member 14 is housed in the airbag cover 16, as shown in FIG. 2, the gas rectifying member 12 'is provided with an inflator mounting opening ( 10ah) extending from the cushion ring 22 to the surface side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airbag 10 from the cushion ring 22 to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of the folded folded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which is the portion that expands at the beginning of the airbag deployment. Doing. The shape of the gas rectifying member 12 'in the above state is a cylindrical shape. The gas rectifying member 12 ′ is formed with a crease 12 a in which the layers are folded and folded on the surface. Thus, a protective member that protects the heat or gas pressure shock around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 ah of the air bag 10. As it has a large effect and its shape is cylindrical, it has a function as a rectifying member for rectifying gas.

에어백 (10)의 이면측으로부터는 포개 접이시에 삽입해 둔 쿠션 링 (22)의 볼트 (22d)가 인플레이터 장착부 주변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유지 부재 (14)의 구조에 의해, 유지 부재 (14)로 에어백 (10)을 덮는 것으로, 에어백 (10)의 외주위 측면을 누를 수 있으므로,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10)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할 수가 있다. From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airbag 10, the bolt 22d of the cushion ring 22 inserted at the time of folding is projected from the periphery of the inflator mounting part. Since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member 14 described above covers the airbag 10 with the holding member 14,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surface of the airbag 10 can be pressed, so that it i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at the beginning of deployment of the airbag 10. The expansion and expansion of the airbag 10 in the lateral direction due to the gas can be suppressed.

도 9는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를 보호하는 주변 보 호 부재 (70)의 전개도이다.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은 직포제로 그 표면에는 실리콘 고무가 코팅되고 있다.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은 대략 원형의 형상이고, 그 중앙에는 인플레이터 (30)을 삽입하는 삽입 구멍 (70ah)가 설치되고 그 바깥쪽 원주상에 상기 볼트를 삽입 통과하는 4개의 구멍 (70b)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은 쿠션 링 (22)의 이면측으로부터 연결 부재 (20)을 끼워 넣고,양쪽 부재 (20, 22)로 협지하고 고정될 때에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가 상기 연결 부재 (20)의 엣지에 의해 손상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peripheral protective member 70 for protecting the peripheral portion 10d of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ah. The peripheral protective member 70 is made of a woven fabric, and a silicone rubber is coated on the surface thereof. The peripheral protective member 70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an insertion hole 70ah for inserting the inflator 30 is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and four holes 70b for inserting the bolt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Is being formed. The peripheral protective member 70 inserts the connecting member 20 from the back side of the cushion ring 22, and the peripheral portion 10d of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ah when sandwiched and fixed by both members 20 and 22. Is to prevent damage by the edge of the connecting member (20).

또한 상기 도 8B로 나타낸,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20)으로 덮는 순서에서는 주변 보호 부재 (70)을 생략해 설명했지만, 상기 4변의 중앙에 있는 볼트 (22d)에 걸리는 유지 부재 (14)의 구멍 (14ah)를 상기 볼트 (22d)에 걸기 전에, 상기 볼트 (22d)에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의 구멍 (70b)를 삽입 통과하여 재치한 후에,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20)으로 덮는다. 보호 부재 (12)의 재질이 에어백 (10)과 동일하게 직포제인 경우에는 기술한 것처럼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소정의 폭의 천을 겹쳐 봉합한 보호 부재 (12)를 원통형에 배치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의 길이는,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예를 들면 포개 접어진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eriphery protection member 70 was abbreviate | omitted and demonstrated in the procedure which covers the airbag 10 with the holding member 20 shown in FIG. 8B, the holding member 14 caught by the bolt 22d in the center of the said four sides. The airbag 10 is held by the holding member 20 after the hole 14b of the peripheral protective member 70 is inserted into the bolt 22d before the hole 14ah is fastened to the bolt 22d. ) In the case where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member 12 is made of the same cloth as the airbag 10, the protective member 12, which is fabricated with a cloth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sealed on the periphery 10d of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ah, is described in a cylindrical form as described above. Place it. The length of the protection member 12 needs the length which touches the vicinity of the part which expands in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10, and the length which touches the front-end | tip of the folded cylindrical control belt 11a is preferable, for example. .

보호 부재 (12)의 재질은 에어백 (10)의 재질과 다른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시트도 좋고 가스를 정류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 (10)과 합성 수지제 시트를 적절한 수단 으로 고착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를 에어백 (10)에 고착하지 않고 별체의 것으로 해 실시할 수도 있다. 별체의 경우, 합성 수지제 시트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제의 것도 좋다. 그 경우에도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만 가스가 흐르도록 정류 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는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일체적으로 체결해도 좋게 완전하게 별체로서 장착하여도 좋고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용접하거나 그 깊이 돌림으로 형성해도 좋다. The material of the protection member 12 may be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airbag 10, for example, a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a material having a function of rectifying gas, and having a flexible material. In this case, the airbag 10 and the synthetic resin sheet may be fixed by appropriate means. The protective member 12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body without being fixed to the airbag 10. In the case of a separate body, it is not limited to the sheet | seat made of synthetic resin, but also a metal thing is good. Also in this case, the gas of the inflator may be rectified so that the gas flows only in the portion in which the airbag expands at the beginning of deployment of the airbag. The protection member 12 may be integrally fastened to the bolt 22d of the cushion ring 22, may be completely attached as a separate body, may be welded to the base plate 24, or may be formed by turning the depth thereof.

그 후의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 작업은 상술한 작업과 같다. 기술한 것처럼 보호 부재 (12)의 길이는,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포개 접어진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다. Subsequently, the assembling work of the airbag device M1 is the same as the work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protective member 12 needs to be close to the vicinity of the inflated portion at the beginning of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and preferably the length to reach the tip of the folded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

도 10A는 에어백 커버 (16)의 사시도이다. 에어백 커버 (16)는, 도시와 같이 합성 수지에 의해 대략 완장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그 중앙부분에 이미 기술한 것처럼 장식용 부재 (4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16a)를 갖추고 있다.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bag cover 16. The airbag cover 1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rm shape by synthetic resin as shown, and has provided the recessed part 16a for accommodating the decorative member 40 as already described in the center part.

상기 에어백 커버 (16)은 그 장착 부품 (24a)를 개재시켜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리벳으로 고정된다. 또한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에 장식용 부재 (40)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장식용 부재 (40)의 표면은 에어백 커버 (16)의 표면과 대략 면일치한 상태가 된다. The airbag cover 16 is riveted to the base plate 24 via its mounting part 24a.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decorative member 40 is attached to the recessed part 16a of the airbag cover 16, as shown in FIG. 2, the surface of the decorative member 40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surface of the airbag cover 16. As shown in FIG. It becomes a state.

도 10B는 에어백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의 이면에는 에어백 (10)의 팽창 전개에 있어 연결 부재 (20)에 의해 고정된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파열 가능한 홈 형상의 티아라인(L1~L4, Lc)이 형성되고 있다. 즉, 에어백 커버 (16)의 이면에는 에어백의 팽창 압력을 받으면 오목부 (16a)를 남겨 복수개의 커버 부품 (16b)에 분할할 수 있도록 오목부 (16a)의 주위에 원형의 티아라인 (Lc) 및 이 티아라인 (Lc)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늘어난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티아라인 (L1~L4)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티아라인이 설치되고 있다. 또,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의 팽창시에 각 커버 부품 (16b)으로 분할되고 또한 각각이 독립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리벳으로 고정되고 있다. 10B is a rear view of the airbag cov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ack surface of the airbag cover 16 has a groove-shaped tialine L1 to L4, which can be ruptured by leaving a central concave portion 16a fixed by the connecting member 20 in the expansion and expansion of the airbag 10. Lc) is formed. That is, the round tialine Lc around the recessed part 16a so that the recessed part 16a may be left in the back surface of the airbag cover 16 so that the recessed part 16a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ver parts 16b. And a series of tialin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or example, four thialines (L1 to L4) extending radially from the thialines (Lc). Moreover, the airbag cover 16 is divided into each cover part 16b at the time of the inflation of the airbag 10, and is fixed by rivet so that each may open independently.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30)이 작동해 에어백 (10)이 가스압에 의해 팽창 전개하면 그 힘으로 에어백 커버 (16)이 장식용 부재 (40) 주위의 티아라인 (L)부분에서 눌러 나누어지고 갈라진 커버 부품이 완장 형상의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각각 외측에 열려, 전술한 것처럼, 완전하게 분리되어 각각이 독립하여 개방한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inflator 30 is operated and the airbag 10 is inflated and deployed by gas pressure, the airbag cover 16 is pressed and divided in the tee line L portion around the decorative member 40 by the force. The cover parts are open to the outside, respectively, leaving the central recess 16a in the arm shape, and as described above, they are completely separated and each independently opens.

도 11은, 개방한 상태의 각 커버 부품 (16b)를 표면측(승차원측) 에서 본 도이다. 도시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의 전개시에 각 커버 부품 (16b)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에어백 (10)이 유지 부재 (14)의 파단 예정부 (14h)를 통과한 후는 그 측면 방향으로의 전개를 저해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간이화하기 위하여 에어백 등은 나타내지 않았다. FIG. 11 is a view of each cover part 16b in an open state as seen from the surface side (high dimension side). As shown, the airbag cover 16 is divided into respective cover parts 16b at the tim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10, and after the airbag 10 passes through the fracture scheduled portion 14h of the retaining member 14. Does not inhibit the develop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ddition, in FIG. 11, the airbag etc. are not shown for simplicity.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유지하는 대신에 에어백 커버 (16)만으로 유지해 수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에어백 커버 (16)의 측면이 도 11로 나타낸 것처럼 에어백 (10)의 전개 후에 파 열하는 경우가 없고, 도 8A 에서 상술 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 (14)의 대략 원형의 파단 예정부 (14h)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와 같은 형상의 티아라인을 에어백 커버 (16)내에 형성함으로써, 유지 부재 (14)를 이용하는 경우 없이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만으로 유지해 수납할 수가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내에 형성하는 개구부 형상의 티아라인은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가 가스를 정류하여 안내하는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Moreover, although the example which accommodated the airbag 10 hold | maintained by the holding member 14 in the airbag cover 16 was shown in said embodiment, instead of holding the airbag 10 by the holding member 14, it is an airbag. It can also hold and hold only the cover 16. In this case, the side surface of the airbag cover 16 does not rupture after deployment of the airbag 10 as shown in FIG. 11, and the approximately circular fracture scheduled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14 as described above in FIG. 8A ( By forming a tialin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formed by 14h) in the airbag cover 16, the airbag 10 can be held and stored only by the airbag cover 16 without using the holding member 14. The opening-type tialine formed in the airbag cover 16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rtion in which the gas rectifying member 12 'expands at the beginning of deployment of the airbag for rectifying and guiding the gas.

여기서,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도 3 내지 5, 도 8 및 10을 참조해 설명한다.Here, the assembling procedure of the airbag apparatus M1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3-5, 8, and 10. FIG.

조립시에는 에어백 커버 (16)에 미리 쿠션 링 (22)가 그 내부에 수납되고 유지 부재 (14)로 포장된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의 구멍 (16ah)와 에어백 (10)의 통 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의 위치를 맞추어 수납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 (20)을 그 중앙부의 구멍 (20ah)와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에어백 (10)안에 삽입 함과 동시에, 도 8D로 나타낸 에어백 (10)안에 삽입된 쿠션 링 (22)의 오목 형상부 (22c)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볼트 (22d)에, 연결 부재 (20)의 구멍 (22e)를 삽입해 장착 발 (20c)를 상기 오목 형상부 (22c)에 끼워 넣는다.At the time of assembly, the airbag 10, which has been previously housed in the airbag cover 16 with the cushion ring 22 therein and is packed with the retaining member 14, is provided with the holes 16ah and the airbag 10 of the airbag cover 16. The cylindrical control belt mounting hole 11ah is aligned and stored. Then, the connecting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airbag 1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entral hole 20ah and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mounting hole 11ah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into the airbag 10 shown in Fig. 8D. The hole 22e of the connecting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bolt 22d protruding from the concave portion 22c of the inserted cushion ring 22, and the mounting foot 20c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2c. Put it in.

표면측으로부터 장식용 부재 (40)의 장착볼트 (40a)를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의 구멍 (16ah)에 삽입 통과하는 것으로써, 그 구멍 (16ah)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되고 있는 상기 에어백 커버 (16)의 구멍 (16ah), 에어백 (10)의 통 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 및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의 구멍 (20ah)의 각 구 멍을 상기 장착볼트 (40a)가 삽입 통과한다. 상기 장착볼트 (40a)에 너트를 나사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장착볼트 삽입 구멍 (14hh) 및 통 형상 규제 벨트 장착구멍 (11ah)가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와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 (20a)의 사이에 협지 고정된다. The mounting bolt 40a of the decorative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hole 16ah of the recessed part 16a of the airbag cover 16 from the surface side, and is arrange | positio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le 16ah. Each hole of the hole 16ah of the airbag cover 16,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attaching hole 11ah of the airbag 10, and the hole 20a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0 is attached to the mounting bolt 40a.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As the nut is screwed into the mounting bolt 40a, the mounting bolt insertion hole 14hh and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mounting hole 11ah are connected to the recess 16a of the airbag cover 16 and the connecting member 20. It is pinched and fixed between the center part 20a of ().

다음에,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구멍 (24c)를 삽입 통과해 양쪽 부재 (22) 및 (24)를 겹쳐 베이스 플레이트 (24)를 에어백 커버 (16)에 끼워 맞추고, 또한 볼트 (22d)에 인플레이터 (30)을 끼워 넣어 볼트 (22d)에 너트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 및 보호 부재 (12)가 쿠션 링 (22)와 연결 부재 (20)의 사이에 협지 고착된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이 완료한다. Next, the hole 24c of the base plate 24 is inserted into the bolt 22d of the cushion ring 22 to overlap both the members 22 and 24 with the base plate 24 and the airbag cover 16. The inflator 30 to the bolt 22d and screw the nut to the bolt 22d. As a result, the inflator mounting hole 10ah and the protective member 12 are clamped between the cushion ring 22 and the connecting member 20. Thereby, the assembly of the airbag apparatus M1 shown in FIG. 2 is completed.

상기 에어백 장치 (M1)의 전개 동작에 대해서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해 설명한다. 우선, 차량 충돌시 등에 의한 충격 검지에 의해, 인플레이터 (30)이 점화되어 상기 인플레이터 (30)으로 가스가 생성되어 이 가스가 에어백 (10)내에 도입된다. 에어백 커버 (16)은 에어백 (10)이 팽창하기 시작하면 그 힘을 받아, 티아라인 L1~L4 및 Lc를 따라, 즉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갈라져 각 에어 커버 부품 (16b)는 방사 형상으로 퍼진다. The deployment operation of the airbag apparatus M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A and 12B. First, by the impact detection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or the like, the inflator 30 is ignited to generate gas into the inflator 30, and the gas is introduced into the airbag 10. The airbag cover 16 receives its force when the airbag 10 starts to inflate, and splits along the tee lines L1 to L4 and Lc, ie, leaving a central recess 16a so that each air cover part 16b is radiated. Spread in shape.

에어백 커버 (16)이 갈라진 후, 상기 에어백 (10)이 팽창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도 1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10)내에 가스가 도입되면 전개 초기에 팽창을 개시하는 에어백 (10)의 기초 천의 중앙부와 통 형상 규제 벨트 (11a)가 봉합한 봉제부 (11c)로부터 팽창 전개하면서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상기 오목부 (16a)를 감싸면서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이 승차원 측에 팽창한다. 상기 팽창시에는,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11a)가 통 길이 방향으로 포개 접어지고 있으므로, 늘어나기 시작할 때 거의 저항을 받지 않는다. 상기 봉제부 (11c)로부터 팽창 전개할 때, 에어백 (10)은 유지 부재 (14)의 파단 예정부 (14h)를 통과해 저항을 받으면서 승차원 측으로 전개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내압을 유지한 상태로 팽창하면서 포개 접는 수납 상태가 도중 부분에서 무너지는 경우 없고, 승차원측의 표면 부분으로부터 차례로 승차원 측에 전개해 가게 된다. In the initial stage when the airbag 10 begins to inflate after the airbag cover 16 is broken, the base of the airbag 10 which starts inflation at the beginning of deployment when gas is introduced into the airbag 10 as shown in FIG. 12A.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The surface portion of the airbag 10 rides while wrapping the concave portion 16a while expanding and expanding from the sewing portion 11c wher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loth and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are sewn. Inflate to the circle side. At the time of the expansion, since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is folded ov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there is little resistance when it starts to stretch. When inflating and deploying from the sewing portion 11c, the airbag 10 passes through the break scheduled portion 14h of the retaining member 14 and expands to the upward dimension while being subjected to resistance. Therefore, the state where the folded state of folding is not collapsed in the middle part while expanding while maintaining the internal pressure to a certain extent, and it is developed from the surface portion on the upward dimension side to the upward dimension in order.

그런데, 도 12A는 통 형상 규제 벨트 (11a)가 그 전체 길이를 다 늘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승차원 측에 이면 부분의 일부가 팽창 전개하고 있지만, 에어백 (10)의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천의 외주위 원부 끼리를 봉합한 봉제부 (10c)의 위치가 핸들 (50)의 근방에 있고 이면 부분의 다른 부분은 유지 부재 (14)안에 아직 수납되고 있다. 에어백이 어느 정도 팽창한 후는, 도 12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상기 봉제부 (10c)의 위치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해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의 중심선의 거의 중앙으로 이동하여 편평한 구 형상 형상이 되어 팽창 전개를 완료한다. 부호 12'는 가스 정류 부재이다. By the way, FIG. 12A has shown the state in which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extended the whole length. Although a part of the back part expands and expands on the elevation dimension side, the position of the sewing portion 10c which stitche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two substantially circular cloths of the airbag 10 is located near the handle 50. And other portions of the back portion are still housed in the retaining member 14. After the airbag is inflated to some extent, as shown in Fig. 12B, the position of the sewing portion 10c moves from right to left to move to almost the center of the centerline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to become a flat spherical shape. Complete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Reference numeral 12 'is a gas rectifying member.

이와 같이 통 형상 규제 벨트 (11a)가 전체 길이 늘어나기 시작하여 정지하는데 따라, 에어백 (10)의 승차원측으로의 전개가 정지하도록 하는 거동을 나타내는 것은, 파열의 힘을 얻기 위해서 에어백 커버 (16)내에서 에어백 내압이 일시적으로 커져, 에어백 커버 (16)의 파열 직후에, 그 내압에 의해 전술한 통 형상 규제 벨트 (11a)가 급속히 늘어나기 시작하고 이 움직임에 따라 에어백 (10)이 늘어나기 시작하지만, 전개와 동시에 에어백 (10)의 용적은 급격하게 증대하기 때문에 내압은 급속히 저하한다. 그 때, 관성력으로 에어백 (10) 자체는 늘어나기 시작하려고 하지만, 통 형상 규제 벨트 (11a)가 늘어나기 시작하는 정지와 유지 부재 (14)의 저항에 의해, 충분히 내압이 상승할 때까지 에어백 (10)의 승차원측으로의 전개가 정지한다.In this way, as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starts to increase in length and stops, the behavior of causing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10 to the upward dimension to stop is indicated by the airbag cover 16 in order to obtain a bursting forc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bag increases temporarily, and immediately after the airbag cover 16 ruptures, the above-mentioned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starts to increase rapidly by the internal pressure, and the airbag 10 starts to increase according to this movement. However, at the same time as the deployment, the volume of the airbag 10 rapidly increases, so the internal pressure decreases rapidly. At that time, the airbag 10 itself tries to increase due to the inertia force, but the airbag (until the internal pressure rises sufficiently) by the resistance of the stop and the holding member 14 in which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starts to increase. The expansion to the elevation dimension of 10) stops.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 후에 있어서의 승차원측으로의 전개 속도는 에어백 (10)의 중앙부가 승차원측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유지 부재 (14)내에 남은 에어백 부분이 늘어나기 시작하는 것에 비교해 실제로는 절반으로 감속되어 승차원에 대한 가해성이 통 형상 규제 벨트 (11a)가 없는 것과 비교하면 감소한다.In addition, in 1st Embodiment, since the center part of the airbag 10 cannot move to the upward dimension side, since the deployment speed to the upward dimension side, compared with the airbag part remaining in the holding member 14 starts to increase, In fact, it is decelerated in half, and the deterioration in elevation is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e absence of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상기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 형상 규제 벨트 (11a)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평탄한 통 형상 규제 벨트를 설치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The said effect is not limited to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in 1st Embodiment, and it is the same also when the normal flat cylindrical regulating belt is provided.

도 13A 내지 도 13D는, 제1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 (M1)의에어백 (10)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A내지 도 21D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의 에어백 (10)의 전개 상태와 대비하기 위해서 도 13A 내지 도 13D는 동일한 시간에서의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3A to 13D are diagrams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airbag 10 of the airbag device M1 of the first embodiment. In order to contrast with the deployment state of the airbag 10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S. 21A to 21D, FIGS. 13A to 13D show the deployment state of the airbag at the same time.

도 13A의 타이밍에서는, 팽창 전개중의 에어백 (10)의 형상이 그 표면 부분만큼이 팽창 전개하고 그 전개한 에어백 (10)의 상하의 크기가 대략 같고, 에어백 (10)은,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천의 외주위 테두리부 끼리를 봉합한 봉제부 (10c)의 위치가 핸들 (50)의 근방에 있는 상태로 튀어 나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언 하면, 팽창 전개 초기의 단계에서는 에어백 (10)은 기초 천의 중앙부와 통 형상 규제 벨트 (11a)가 봉합한 봉제부 (11c)로부터 포개 접어진 순서로 또한 대략 동심 형상으로 팽창 전개하고 있다. In the timing of FIG. 13A, the shape of the airbag 10 during inflating and expanding is expanded and expanded by the surface portion thereof, and the siz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deployed airbag 10 is approximately the same, and the airbag 10 has approximately two round shapes. It turns out that the position of the sewing part 10c which sealed the outer periphery edges of the shape cloth protrudes in the state near the handle 50. In other words, in the initial stage of the expansion and deployment, the airbag 10 is inflated and deployed in a substantially concentric manner in the folded-up order from the sewing portion 11c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fabric and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are sealed.

도 13B의 시점에서는,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만큼이 승차원측 및 원주 방향 측에 팽창 전개하는데 대해, 이면 부분의 상하의 일부가 승차원측 방향이 아니고 스티어링 장치의 이면측 방향으로 팽창 전개하고 있고 한편, 봉제부 (10c)의 위치가 도 13A와 동일하게 스티어링 장치의 근방에 있는 상태로 팽창 전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C의 시점에서는 도 13B의 상태에 비교해 표면 부분이 승차원측 및 원주 방향 측에 더 한층 팽창 전개하고 이면 부분의 상하의 일부가 스티어링 장치의 이면측 방향에도 더 한층 팽창 전개하고 있지만 봉제부 (10c)의 위치는 여전히 도 13B의 상태와 동일하게 스티어링 장치의 근방에서 멈춘 상태로 팽창 전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D의 시점에서는 봉제부 (10c)의 위치가 스티어링 장치의 근방으로부터 승차원 측에 이동하고 이면 부분이 승차원 측에 팽창 전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viewpoint of FIG. 13B, while the surface portion of the airbag 10 expands and expands on the upward dimension and the circumferential side, a part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portion is expanded and expanded on the rear side of the steering apparatus, not on the upward dimens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f the sewing portion 10c is expanded and expanded in the state in the vicinity of the steering apparatus as in FIG. 13A. At the time of FIG. 13C, compared with the state of FIG. 13B, compared with the state of FIG. 13B, the surface part expands and expands further in the up dimension side and the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back part expand and expand further also in the back side direction of a steering apparatus, The sewing part 10c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is still expanding and expanding in the stopped state in the vicinity of the steering apparatu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tate of FIG. 13B. It is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FIG. 13D that the position of the sewing portion 10c moves from the vicinity of the steering apparatus to the up-dimension side and the back portion expands and expands to the up-dimension side.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 (10)의 전개 상태를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그것과 비하면 종래의 에어백 장치의 도 20B의 타이밍으로는 더미의 턱 아래에 에어백 (10)의 덩어리가 튀어나오고 그 후, 도 20C의 시점에서는 턱으로부터 뺨을 에어백이 덮고, 도 20D의 시점에서는, 더미의 안면이 에어백으로 덮여 있는 것으로부터, 턱 아래 주변에 걸쳐 에어백 (10)의 내압이 급속히 상승해 멤브레인현상이 생기고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When the deployment state of the airbag 10 in the first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airbag apparatus, at the timing of FIG. 20B of the conventional airbag apparatus, a lump of the airbag 10 pops out under the chin of the dummy and thereafter. 20C, the airbag covers the cheek from the jaw, and at the time in FIG. 20D, the face of the dummy is covered with the airbag,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bag 10 rapidly rises around the lower jaw, resulting in a membrane phenomenon. I guess it is.

그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의 도 13B의 타이밍에서는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만큼이 승차원측 및 원주 방향 측으로 팽창 전개해,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이 직접 승차원에게 접촉해, 그 후, 도 13C의 시점에서는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이 승차원측 및 원주 방향 측에 더 한층 팽창 전개할 때에도, 승차원의 머리부에는 에어백 (10) 표면 부분 밖에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멤브레인 현상의 발생이 방지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도 13A 내지 도 13D의 전개 상태는, 에어백이 본래 전개해야 할 부위로부터 차례로 규칙 바르게 전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 (M1)은 에어백 (10)의 최대 지름에 봉제부 (10c)가 목에 걸린 상태로 멤브레인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ing of FIG. 13B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surface portion of the airbag 10 expands and expands to the up dimension side and the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surface portion of the air bag 10 directly contacts the up dimension. At the time of FIG. 13C, even when the surface portion of the airbag 10 is further expanded and deployed on the upward dimension and the circumferential side, the membrane phenomenon occurs because only the surface portion of the airbag 10 is in contact with the upward dimension head portion. It is clear that this is being prevented. 13A to 13D show that the airbag is regularly deployed in order from the site to be originally deployed. Therefore, in the airbag apparatus M1 of 1st Embodiment, a membrane phenomenon does not arise in the state which the sewing part 10c caught by the neck in the largest diameter of the airbag 10. As shown in FIG.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2)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장치 (M2)는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A)와 에어백 (10)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30A)와 에어백 (10A) 및 인플레이터 (30A)를 수납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에어백 커버 (16A)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는, 전술의 에어백 장치 (M1)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재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고, 동일한 부호의 말미에 A를 붙인 부호를 교부하여 에어백 장치 (M2)의 구성을 설명한다. Next, the passenger-side airbag apparatus M2 which is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14, the airbag device M2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for accommodating the folded airbag 10A and the inflator 30A for supplying gas to the airbag 10, the airbag 10A, and the inflator 30A. Airbag cover 16A. In addition, the airbag apparatus M2 i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same member in the above-mentioned airbag apparatus M1, and attaches the code | symbol which attached A to the end of the same code | symbol, and demonstrates the structure of the airbag apparatus M2.

상기 에어백 커버 (16A)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머리부의 이면에, 2개의 커버 부품 (16Ab)에 개폐할 수 있도록 H자 형상으로 배치된 티아라인 (LA)가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커버 부품 (16Ab)가 각각 도면으로부터 볼 때 상단측과 하단측을 경 첩부 (16Ae)로서 상하 양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머리부의 이면 측에는 2개의 커버 부품 (16Ab)의 배치 위치를 둘러싸도록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연결벽부 (16Af)가 배치 설치되고 있다. The airbag cover 16A is provided with a tialine LA disposed in an H shap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on two cover parts 16Ab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and the two cover parts ( 16Ab) is comprised so that the upper end side and the lower end side may open to both upper and lower sides as hinge part 16Ae, respectively, as seen from a figure. In addition, a substantially square cylindrical connecting wall portion 16Af protruding downwar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head of the square pillar shape so as to surrou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wo cover parts 16Ab.

연결벽부 (16Af)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계지구멍 (16Ag)가 관통되고 있다. 이들의 계지구멍 (16Ag)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24A)에 형성된 계지 갈고리 (24Ad)가 삽입되어 계지 갈고리 (24Ad)가 연결벽부 (16Af)에 걸리게 된다. 각 계지 갈고리 (24Ad)의 연결벽부 (16Af)로의 계지는, 연결벽부 (16Af)와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연결 상태를 확보해, 팽창시의 에어백 (10A)가, 원활히 2개의 커버 부품 (16Ab)를 밀어 올려 티아라인 (LA)를 파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16Ag penetrate through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all portion f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onnecting wall portion 16Af. The engaging hook 24Ad formed in the base plate 24A is inserted into these locking holes 16Ag, and the locking hook 24Ad is caught by the connecting wall portion 16Af. The latching to the connecting wall portion 16Af of each locking hook 24Ad secures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ing wall portion 16Af and the base plate 24A, and the airbag 10A at the time of inflation is smoothly provided with two cover parts 16Ab. To break the tia line (LA).

베이스 플레이트 (24A)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단 측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가진 금속판제의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직사각형 판 형상의 바닥벽부 (24Ae)와 바닥벽부 (24Ae)의 외주위 테두리로부터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에어백 커버 (16A)의 윗쪽으로 늘어나는 측벽부 (24Af)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바닥벽부 (24Ae)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늘어난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중앙에, 인플레이터 (30A)의 상부측을 하부로부터 에어백 커버 (16A)측의 윗쪽에 삽입 가능한 원형으로 개구 한 인플레이터 장착구 (24Ah)를 갖추고 있다. The base plate 24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made of a metal plate having a rectangular opening on the top side as shown in Fig. 14, so that the base plate 24A is form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wall portion 24Ae and the bottom wall portion 24Ae of the rectangular plate shape. It is comprised by providing the side wall part 24Af extended upward of the airbag cover 16A in substantially square cylinder shape. The bottom wall part 24Ae is formed in the rectangular plate shape exten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inflator mounting opening which opened the upper side of the inflator 30A in the center and can be inserted circularly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airbag cover 16A side is provided. (24 Ah)

바닥벽부 (24Ae)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24Ah)의 주변에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쿠션 링 (22A)의 각 볼트 (22Ad)를 삽입 통과 가능한 장착구멍 (22Ag)가 형성되고 있다. 또, 바닥벽부 (24Ae)에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 이스 플레이트 (24A)를 차량의 보디 (60) 측에 연결시키는 브라켓 (32)가, 바닥벽부 (24Ae)의 좌우 양측 부위의 하면 측에 고정되고 있다. 각 브라켓 (32)에 볼트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너트가 고착되고 있다. 보디 (60) 측에는, 리인포스먼트 (60a)로부터 늘어나는 브라켓 (60b)가 배치 설치되고 볼트는, 브라켓 (60b)의 장착 자리를 관통해, 너트에 나사 결합되고 있다. 각 볼트의 너트로의 체결에 의해, 에어백 장치 (M1)가 보디 (60) 측에 장착고정되고 있다. As shown in FIG. 14, the mounting hole 22Ag which can pass each bolt 22Ad of the cushion ring 22A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inflator mounting opening 24Ah of the bottom wall part 24Ae. As shown in Fig. 14, the bottom wall portion 24Ae has a bracket 32 for connecting the base plate 24A to the body 60 side of the vehicle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portion 24Ae. It is fixed. A nut for screwing a bolt to each bracket 32 is fixed. The bracket 60b which extends from the reinforcement 60a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dy 60 side, and the bolt penetrat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racket 60b, and is screwed to the nut. By the fastening of each bolt to the nut, the airbag device M1 is fixed to the body 60 side.

다음에, 에어백 장치 (M2)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해 설명한다Next, the assembling procedure of the airbag device M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도 15는 가스 정류 부재 (12A'), 에어백 (10A) 및 유지 부재 (14A)의 협지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에어백 장치 (M2)로 이용되는 에어백 (10A)는 상기 통 형상 규제 벨트 (11a)가 장비되고 있던 점을 제외하고, 에어백 장치 (M1)의 에어백 (10)과 동일하게 도 8A 내지 도 8D로 설명한 쿠션 링 (22A)를 내장하고, 포개 접어진 상태의 에어백 (10A)가 유지 부재 (14A)로 덮여 있다. 에어백 커버 (16A)내에 상기 유지 부재 (14A)로 덮인 에어백 (10A)를 수납하여 쿠션 링 (22A)의 나사부 (22Ad)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24Ah)를 삽입 통과해 쿠션 링 (22A)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를 겹침과 동시에, 에어백 커버 (16A)의 계지구멍 (16Ag)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계지 갈고리 (24Ad)를 삽입해 걸고,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측으로부터 너트를 나사 결합시킨다. FIG. 1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lamping state of the gas rectifying member 12A ', the airbag 10A, and the holding member 14A. The airbag 10A used as the airbag device M2 is the same as the airbag 10 of the airbag device M1, except that the cylindrical regulating belt 11a is equipped with the airbag 10A described in FIGS. 8A to 8D. 22 A of cushion rings are built-in, and the airbag 10A of the folded state is covered with the holding member 14A. The airbag 10A covered by the holding member 14A is accommodated in the airbag cover 16A, and the inflator mounting opening 24Ah of the base plate 24A is inserted into the threaded portion 22Ad of the cushion ring 22A to pass the cushion ring. The base plate 24A is overlapped with the base plate 24A, and the latch hook 24Ad of the base plate 24A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6Ag of the airbag cover 16A, and the back side of the base plate 24 is hooked. The nut from the screw.

그 후에 베이스 플레이트 (24A), 쿠션 링 (22A) 및 인플레이터 (30A)를 나사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A'), 에어백 (10A) 및 유지 부재 (14A)가 쿠션 링 (22A)와 베이스 플레이트 (24A)의 사이에 협지 고착되고, 에어백 장치 (M2)의 조립이 완료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 (M2)의 에어백 커버 (16A)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에어백 장치 (M2)를 장착 장소, 예를 들면, 인스톨먼트 패널의 상면 등에 따라, 어떠한 형상으로 하는가는 설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reafter, the base plate 24A, the cushion ring 22A, and the inflator 30A are screwed. As a result, the gas rectifying member 12A ', the airbag 10A, and the retaining member 14A are sandwiched and fixed between the cushion ring 22A and the base plate 24A, and the assembly of the airbag device M2 is completed. do.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airbag cover 16A of the airbag apparatus M2 is not limited to this, What kind of shape is it made according to a mounting place,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an installation panel, etc.? You can decide.

또한 에어백 장치 (M2)의 전개 동작은, 에어백 장치 (M1)과 비교해, 규제 벨트가 없기 때문에 도 10 및 도 11으로 설명한 일시적으로 승차원측으로의 전개가 정지하는 것 같은 거동은 없고, 에어백의 승차원 측으로 면하는 부분으로부터 팽창하면서 어느 정도의 내압을 유지한 상태로 승차원측으로 팽창 전개한다. 이와 같이 규제 벨트가 없는 경우에서도, 가스 정류 부재 (12A')에 의해 에어백은 승차원측의 표면으로부터 순서 좋게 팽창하고 유지 부재의 14A의 개구를 통과하면서 저항을 받아 승차원 측으로 전개하기 때문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커버가 파열하는 것과 동시에 에어백 전체가 튀어나와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에게 위해를 주는 것 같은 거동으로는 되지 않고 펀칭 현상이나 멤브레인 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eployment operation of the airbag device M2 does not have a regulating belt as compared with the airbag device M1, there is no behavior such that the deployment to the upside side temporarily stop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and the airbag rides. It expands and expands to the upward dimension while maintaining some internal pressure while expanding from the portion facing the original side. Even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regulating belt in this way, the gas rectifying member 12A 'expands the airbag in order from the surface of the upward dimension and receives resistance while expanding through the opening of 14A of the retaining member to expand to the upper dimension. At the same time that the airbag cover ruptures, the entire airbag pops up and becomes agglomerate, which does not act as a hazard to the ascension, and can prevent the punching phenomenon and the membrane phenomenon.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인 다른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3)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3)은, 전술의 에어백 장치 (M1 및 M2)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재와 대략 같은 구성이고, 동일한 부호의 말미에 B를 붙인 부호를 교부하고 있다. 도 16은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3)의 개략 확대 종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M3)은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B)와 그 에어백 (10B)안에 수납된 가스를 공급하는 대략 원주 형상의 인플레이터 (30B) 및 상기 인플레이터 (30B)를 격납 하 는 디퓨저 (32B)와 에어백 (10B) 및 인플레이터 (30B)를 수납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에어백 커버 (16B)로 구성되고 있다. Next, another passenger-side airbag device M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airbag apparatus M3 shown in FIG. 16 has the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ame member in the above-mentioned airbag apparatuses M1 and M2, and attaches the code | symbol which attached B to the end of the same code | symbol. 16 is a schematic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assenger-side airbag device M3. The airbag device M3 includes a folded airbag 10B and an approximately circumferential inflator 30B for supplying gas contained in the airbag 10B and a diffuser 32B for storing the inflator 30B. It consists of the substantially square cylindrical airbag cover 16B which accommodates 10B and the inflator 30B.

상기 에어백 커버 (16B)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머리부의 이면에, 2개의 커버 부품 (16Bb)에 개폐할 수 있도록 H자 형상에 배치된 티아라인 (LB)가 설치되고,상기 2개의 커버 부품 (16Bb)가 각각 도면으로부터 볼때 상단측과 하단측을 경첩부 (16Ae)로서 상하 양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머리부의 이면 측에는 2개의 커버 부품 (16Bb)의 배치 위치를 둘러싸도록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대략 사각통 형상의 연결벽부 (16Bf)가 배치 설치되고 있다. 디퓨저 (32B)의 에어백 커버 (16B)로의 고정은, 양쪽 부재 ((32B, 16B))의 복수의 고정 위치에 구멍이 설치되고 있어 그 구멍에 볼트를 삽입 통과해 고정함으로써 행해진다(도시하지 않음). The airbag cover 16B is provided with a tee line LB disposed in an H shap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on two cover parts 16Bb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and the two cover parts ( 16Bb) is comprised so that upper and lower sides may open to both upper and lower sides as hinge part 16Ae, respectively, when seen from a figure. In addition, a substantially square cylindrical connecting wall portion 16Bf protruding downwar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head of the square pillar shape so as to surrou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wo cover parts 16Bb. The fixing of the diffuser 32B to the airbag cover 16B is performed by inserting a bolt through the hole at a plurality of fixing positions of both members 32B and 16B, and fixing it through the hole (not shown). ).

상기 디퓨저 (32B)가 인플레이터 (30B)와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B)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있어, 그 디퓨저 (32B)의 팽창 가스를 유출 가능한 복수의 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 설치되고 있고 인플레이터 (30B) 작동시에는 인플레이터 (30B)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디퓨저 (32B)의 구멍을 지나 직접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의 중앙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diffuser 32B is disposed between the inflator 30B and the folded air bag 10B,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not shown) capable of flowing out the expansion gas of the diffuser 32B are disposed.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inflator 30B,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30B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diffuser 32B to apply pressure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bag that is folded and stored.

또한 부호 11B는 상술한 통 형상이 아닌 통상의 규제 벨트이고, 부호 (12B')는 가스 정류 부재이다. 이 양쪽 부재 (11B, (12B))는, 에어백 (10B)과 함께 겹친상태로 상기 디퓨저 (32B)의 에어백 커버 (16B)로의 고정 시에, 양쪽 부재 (32B, 16B)의 사이에 삽입해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에어백 장치에 장착된다. 또, 이 런 종류의 인플레이터 (30B)를 이용하는 에어백 장치 (M3)은,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어백 (10B)에는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인플레이터 (30B)를 삽입하는 연통구가 설치되고 있어 그 연통구에 인플레이터 (30B)가 삽입되고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에어백 장치로서 에어백내에 직접 인플레이터를 삽입하지 않고 에어백의 밖으로부터 에어백의 연통구를 통해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도입하는 기술은 주지 기술이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장치 M1 및 M2로 이용되는 에어백 (10, 10A)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10ah), 상기 인플레이터 (30B)를 삽입하는 연통구 및 주지의 에어백의 연통구의 각각은,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에어백내에 도입하는 연통구로서 같은 기능을 가지므로, 인플레이터 연통구로서 기재하는 경우는,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구, 인플레이터를 삽입하는 연통구 및 주지의 에어백의 연통구를 포함한 의미로 이용되고 있다. Reference numeral 11B denotes a normal regulating belt that is not the cylindrical shape described above, and reference numeral 12B 'denotes a gas rectifying member. The two members 11B and 12B are inserted between the two members 32B and 16B at the time of fixing the diffuser 32B to the airbag cover 16B in a state where they overlap with the airbag 10B. It is mounted on the airbag device by fixing it. Moreover, as shown from FIG. 16, the airbag apparatus M3 which uses this kind of inflator 30B does not have the inflator mounting opening 10ah in the airbag 10B, and the communication which inserts the inflator 30B is carried out. The sphere is provided, and the inflator 30B is inserted in the communication port. Further, although not shown, a technique of introducing a gas of the inflator into the airbag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airbag from the outside of the airbag without inserting the inflator directly into the airbag as an airbag apparatus is well known. From this, each of the inflator mounting holes 10ah of the airbags 10 and 10A used in the airbag apparatuses M1 and M2, the communication port into which the inflator 30B is inserted, and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known airbags are used to supply gas from the inflator. Since it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communication port introduced into an airbag, when describing as an inflator communication port, it is used by the meaning containing the said inflator mounting hole, the communication port which inserts an inflator, and the communication hole of a well-known airbag.

이상과 같이, 인플레이터 (30, 30A, 30B)로부터의 가스가 토출된 초기 단계에서는, 도 2,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1, M2, M3)의 구성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인플레이터 (30, 30A, 30B)의 토출구멍 (30a, 30Aa, 30Ba)로부터 발생한 가스는, 가스 정류 부재 (12'), (12a'), (12B')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하여 안내되어 동시에 유지 부재 (14)가 에어백 (10)의 측면 방향의 팽창을 방지하므로, 에어백 (10, 10A, 10B)가 본래 전개해야 할 부위로부터 차례로 규칙 바르게 전개하고, 부분적으로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 측으로 뛰쳐나오는 펀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initial stage in which the gas from the inflators 30, 30A, 30B is discharged, as can be seen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airbag devices M1, M2, M3 shown in FIGS. 2, 14, and 16, the inflator 30 Gas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holes 30a, 30Aa and 30Ba of the airbags 30A and 30B is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portion inflated at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by the gas rectifying members 12 ', 12a' and 12B '. At the same time, the holding member 14 prevents infl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irbag 10 so that the airbags 10, 10A, and 10B are regularly deployed from the site to be originally deployed, and are partially lump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nching phenomenon from jumping to the lift side.

이 때, 보호 부재 (12), (12a), (12B)의 외주위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 10A, 10B)를 배치해 두는 것으로, 인플레이터 (30, 30A, 30B)의 가스압에 의해 가스 정류 부재 (12'), (12a'), (12B')가 포개 접어진 에어백을 유지 부재와의 사이에 압축하게 되므로 그 압축력에 의해 에어백 (10, 10A, 10B)는 수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에어백 (10, 10A, 10B)의 전개 초기의 충격으로 포개 접은 상태가 무너져 부분적으로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 측에 뛰쳐나오는 펀칭 현상을 더 한층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by arranging the airbags 10, 10A, and 10B fol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protective members 12, 12a, and 12B, gas rectification is performed by the gas pressure of the inflators 30, 30A, and 30B. Since the airbags in which the members 12 ', 12a', and 12B 'are folded are compressed between the retaining members, the airbags 10, 10A, and 10B are firmly held by the compression force. In the initial stage of the deployment of the airbags 10, 10A, and 10B, the folded state collapses, and a partial lump is formed, which further prevents the punching phenomenon that protrudes on the riser side.

또, 상기와 같이 에어백 (10, 10A, 10B)를 배치하면 상기 배치가 가스 정류 부재 (12'), (12a'), (12B')에 부가하는 힘을 에어백 (10, 10A, 10B)에 의해 받아 들이는 구성이 되므로, 가스 정류 부재 (12'), (12a'), (12B')에 특별한 강도가 필요없다. 또, 본래 인플레이터 연통구 (10ah)의 주변부 (10d) 밖에 보호하지 않는 보호 부재를, 가스 정류 부재 (12'), (12a'), (12B')로서 또한 에어백 내면 전체의 보호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보호 부재가 원래 인플레이터 연통구 (10ah)의 주변부 (10d)로부터 외주위로 향하여 퍼지기 때문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 (10, 10A, 10B)의 내주위 측으로 배치하면 보호 부재 (12), (12a), (12B)에 실제로는 겹겹이 포개 접어진 벽이 형성되고 1매의 보호 부재로서도 3매, 4매의 보호 부재로 보호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에어백 (10, 10A, 10B) 전체를 지극히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irbags 10, 10A, and 10B are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adds a force to the airbags 10, 10A, and 10B to the gas rectifying members 12 ', 12a', and 12B '. Since it becomes a structure accepting by this, special strength is not needed for the gas rectifying members 12 ', 12a', and 12B '. In addition, a protective member that originally protects only the peripheral portion 10d of the inflator communication port 10ah can be used as the gas rectifying members 12 ', 12a', and 12B 'and also as a protective member of the entire airbag inner surface. have. In addition, since the protective member originally spreads outwar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0d of the inflator communication port 10ah, the protective member 12, 12a is dispos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olded airbags 10, 10A, and 10B. , (12B) has a wall which is actually folded and folded,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protecting with 3 or 4 protection members as a single protection member, so that the entire airbag (10, 10A, 10B) is extremely Can protect efficiently.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는 일시적으로 도 13A에 나타내는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의 천과 아래쪽 부분의 천의 외주위 원부 끼리를 봉합한 봉제부 (10c)의 위치가, 스티어링 장치 (50)의 근방에 있어, 에어백 내압이 상승할 때까지의 사이, 운전석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정규 착석 위치에 승차원이 착석하고 있지 않는 OOP 상태에서도,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반드시 에어백 (10)의 승차원측의 면이 승차원과 접촉하도록 팽창해, 승차원의 경부에 에어백 (10)의 최대경부인 봉제부 (10c)가 들어가 생기는 멤브레인 현상에 의한 위해의 우려도 없다. 또, 유지 부재 (14)가 에어백 (10)의 전개시에 주는 저항을 더욱 크게 하면 펀칭 현상은 더욱 경감된다. 제 2 및 제3 실시 형태도 마찬가지이다. In the first embodiment, at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10 to be expanded and expanded, a sewing portion 10c which seals the outer peripheral portions of the cloth of the cloth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airbag 10 and the clo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irbag 10 shown in FIG. 13A temporarily. ) Is not moved to the driver's seat side until the airbag internal pressure rises in the vicinity of the steering apparatus 50. For this reason, even in the OOP state in which the elevation dimension is not seated at the normal seating position, as shown in FIG. 13, the plane on the side of the elevation dimension of the airbag 10 always expands to contact the elevation dimension, and the airbag (10) There is also no fear of harm due to the phenomenon of the membrane caused by the sewing portion 10c, which is the largest neck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holding member 14 increases the resistance given at the tim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10, the punching phenomenon is further reduced.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통 형상 규제 벨트 (11a)를 설치하고 있지만, 끈 형상의 규제 벨트에 있어서도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규제 벨트가 없어도, 승차원측 방향으로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에 의해 유지하는 것으로 에어백 (10)의 승차원측으로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펀칭 현상을 저감함과 동시에 에어백 전체를 균일하게 팽창시켜 재빨리 승차원을 보호할 수 있는 형상으로 팽창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cylindrical regulation belt 11a is provided in 1st Embodiment, the same effect | action and effect can also be exhibited also in a string-shaped regulation belt.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regulating belt, the holding member 14 holds the airbag 10 folded and stored in the upward dimension in the upward dimension to speed up the deployment speed of the airbag 10 toward the upward dimension and to reduce the punching phenomenon. At the same time, the entire airbag is inflated uniformly to quickly expand to a shape that can protect the elevation.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M1)에 대해서, 제 2및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M2)에 대한 적응을 설명했지만,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석용 및 조수석용의 에어백 장치에 적응 가능하다.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daptation to the driver's seat airbag device M1 and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for the passenger seat airbag device M2.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It is adaptable to the airbag device.

또한 에어백 커버 (16, 16A, 16B)는 필수 요건은 아니고, 에어백 커버 (16, 16A, 16B)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지 부재 (14, 14A, 14B)의 구속에 의해 포개 접어 수납된 에어백 (10, 10A, 10B)를 질서 바르게 전개하자고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irbag covers 16, 16A, and 16B are not essential, and the airbags 10 that are folded and stored by the restraint of the retaining members 14, 14A, and 14B with or without the airbag covers 16, 16A, and 16B are not required. , 10A, 10B) in order to develop correctly.

에어백 커버 (16, 16A, 16B)를 병용하는 제1, 제 2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 서는, 전술한 것처럼 에어백 커버 (16, 16A, 16B)의 티아라인 (L, LA, LB)와 에어백 (10, 10A, 10B)의 초기 전개 부분을 대향시키도록 배치하는 것이, 전개의 개시를 빨리 하는데 있어서 유효하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파일로식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한 에어백 장치에 근거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경우 없이, 하이브리드, 스토어식의 어느 항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가스 정류 부재는 특히 에어백 기초천과 같은 천을 이용한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경우 없이, 금속제등의 여러 가지의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using the airbag covers 16, 16A and 16B in combination, the teelines L, LA and LB of the airbag covers 16, 16A and 16B and the airbags as described above. Arranging the initial deployment portions of (10, 10A, 10B) to face each other is effective in speeding up the onset of deployment. In addition, although 1st Embodiment demonstrated based on the airbag apparatus using a pilot type inflator, the same effect can be acquired even if it uses the inflator of any one of a hybrid and a store type,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In addition, the gas rectifying member is described as using a cloth such as an airbag base fabric, but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can be us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에어백 장치의 전개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한 가스의 흐름이 가스 정류부재에 의해 정류되어 가스가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되어 안내되어 동시에 유지 부재가 에어백의 측면 방향의 팽창을 방지하므로, 에어백이 본래 전개해야할 부위로부터 차례로 바르게 전개해, 부분적으로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 측에 뛰쳐나오는 펀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t the tim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device, the flow of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is rectified by the gas rectifying member to rectify and guide the gas to the vicinity of the portion where the gas expands at the beginning of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while at the same time the holding member prevents the airbag from expa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nching phenomenon that the airbag is correctly deployed in order from the area to be originally deployed, and partially lumps and jumps out on the elevation side.

가스 정류 부재의 외주위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을 배치해 두는 것으로, 인플레이터의 가스압에 의해, 가스 정류 부재가 포개 접어진 에어백을 유지 부재의 사이에 압축하게 되므로, 포개 접어져 수납된 에어백의 수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에어백의 전개 초기의 충격으로 포개 접은 상태가 순조롭게 무너져 펀칭 현상 등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By arranging the folded airbag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as rectifying member, the gas bag of the inflator compresses the folded airbag by folding the gas rectifying member between the retaining members due to the gas pressure of the inflator. Firmly maintained, the folded state collapses smoothly due to the impact of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thereby further preventing the punching phenomenon and the like.

또, 가스 정류 부재에 부가하는 힘을 에어백으로 받아들이는 구성이기 때문 에, 가스 정류 부재에 특별한 강도가 필요없다. 에어백의 인플레이터 연통구의 주변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정류 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보호 부재가 원래 인플레이터 연통구의 주변부로부터 외주위로 향해 퍼지기 때문에 포개 접어진 에어백의 내주위 측에 배치하면 가스 정류 부재가 실제로는 겹겹이 포개 접어진 주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1매의 보호 부재로서도 3매, 4매의 보호 부재로 보호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Moreover, since it is the structure which receives the force added to a gas rectifying member by an air bag, a special strength is not needed for a gas rectifying member. A protective member that protects the periphery of the inflator communication port of the airbag can also be used as a rectifying member, and since the protective member spreads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original inflator communication port, the gas rectifying member actually overlaps when placed on the inner periphery side of the folded airbag. Since the folded wrinkles are formed, the same effects as those protected by three or four protective members can also be obtained as one protective member.

이와 같이, 본래 인플레이터 연통구의 주변부 밖에 보호하지 않는 보호 부재가, 에어백 내면 전체의 보호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에어백 전체를 지극히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on member which protects only the periphery of the inflator communication port can exhibit the function as the protection member of the entire airbag inner surface, and can protect the entire airbag extremely efficiently.

Claims (12)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와 연통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과 에어백을 포개 접는 수납 상태로 유지해 에어백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적어도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유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The inflator and the inflator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flator. The inflated deployment of the airbag and the airbag by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is held in a folded state, and the lateral expansion of the airbag is pressed to at least expand the airbag side direction by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at the beginning of the airbag deployment. An airbag apparatus comprising a holding member for suppressing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정류하여 안내하는 겹겹이 작게 주름진 표면에 형성된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에어백의 중앙 부분의 인플레이터 장착구 주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An airbag, characterized in that a gas rectifying member is formed around the inflator mounting hole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airbag is formed on a small corrugated surface to rectify and guide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to the vicinity of the inflating portion at the beginning of the airbag deployment Device.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스 정류 부재의 외주위 측에 상기 에어백이 포개 접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And an air bag fol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gas rectifying member.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통 형상으로서, 상기 에어백에는 인플레이터와 연통하는 인플레이터 연통구가 형성되고,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 연통구 주변으로부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늘어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The gas rectifying member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airbag is provided with an inflator communication port communicating with an inflator, and the gas rectifying member extends from the periphery of the inflator communication port to the vicinity of the portion which expands at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Airbag device.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And the gas rectifying member is made of a woven fabric.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스 정류 부재가 상기 인플레이터의 열이나 충격적인 압력으로부터 에어백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And the gas rectifying member is arranged as a member having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airbag from heat or shock pressure of the inflator.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에어백이 승차원측 방향으로 코니스 형상으로 포개 접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An airbag apparatus, wherein the airbag is folded in a cornice shape in an upward dimension direction.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유지 부재가 에어백을 덮은 상태로 수납하는 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An airba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aining member is made of a woven fabric to be received while covering the airbag.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유지 부재가 에어백 커버에 수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An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member is housed in an airbag cover. 청구항 8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에어백 커버가 그 이면에 인플레이터의 가스 발생시에 파열해 에어백의 전개구를 이루는 티아라인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The airbag device, wherein the airbag cover is provided with a tee line which ruptures when gas i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to form an opening of the airba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상기 에어백내에는 에어백의 승차원측으로의 늘어나기 시작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규제 밸트가 배치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An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egulating belt is disposed in the airbag to regulate the length at which the airbag starts to extend to the ascension side of the airba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유지 부재에 대신해 에어백 커버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An airbag cover is used in place of the holding member. 청구항 1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에어백 커버 내의 상기 보호 부재가 가스를 정류하여 안내하는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대향하는 위치에 티아라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And a tialine at an opposing position of an inflated portion at the beginning of deployment of the airbag through which the protective member in the airbag cover rectifies and guides gas.
KR1020077028700A 2005-06-08 2006-05-22 Air bag device KR1013011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8869A JP4836494B2 (en) 2005-06-08 2005-06-08 Airbag device
JPJP-P-2005-00168869 2005-06-08
PCT/JP2006/310103 WO2006132071A1 (en) 2005-06-08 2006-05-22 Air ba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691A KR20080011691A (en) 2008-02-05
KR101301136B1 true KR101301136B1 (en) 2013-09-03

Family

ID=3749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700A KR101301136B1 (en) 2005-06-08 2006-05-22 Air bag devic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04792B2 (en)
EP (1) EP1889757B1 (en)
JP (1) JP4836494B2 (en)
KR (1) KR101301136B1 (en)
CN (1) CN101203407B (en)
AU (1) AU2006256300B2 (en)
WO (1) WO200613207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5602B2 (en) * 2007-03-30 2013-07-0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Airbag folding method and airbag folding apparatus
JP5187816B2 (en) * 2007-08-13 2013-04-24 芦森工業株式会社 Airbag device
DE102011108348A1 (en) * 2011-07-25 2013-01-31 Trw Automotive Gmbh Traction device, gas bag module with traction means and method for producing a traction device
JP2017177893A (en) * 2016-03-28 2017-10-05 豊田合成株式会社 Folding completion body for air bag and folding method thereof
WO2019069796A1 (en) 2017-10-05 2019-04-1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Airbag device
JP6948010B2 (en) * 2017-11-08 2021-10-13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Airbag device
JP6898283B2 (en) * 2018-09-20 2021-07-0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Airbag device
KR20210000905A (en) * 2019-06-26 2021-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ir bag device for driver
US11180103B2 (en) 2019-10-28 2021-11-23 Autoliv Asp, Inc. Frontal airbag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143A (en) * 1999-12-08 2001-06-19 Toyo Tire & Rubber Co Ltd Air bag device
JP2002166808A (en) * 2000-11-30 2002-06-11 Nippon Plast Co Ltd Air bag system
JP2004224145A (en) * 2003-01-22 2004-08-12 Mazda Motor Corp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with airbag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701Y2 (en) * 1973-12-03 1977-03-28
JP2674041B2 (en) 1987-09-17 1997-11-05 日本鋼管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ow nitrogen stainless steel
JP2512969Y2 (en) 1989-08-25 1996-10-02 芦森工業株式会社 Airbag device
US5558365A (en) * 1992-12-18 1996-09-24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 Seisakusho Tethered air bag
FR2712864B1 (en) * 1993-11-25 1996-02-23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ring wheel,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and steering wheel obtained according to this method.
FR2716857B1 (en) * 1994-03-03 1997-07-18 Autoliv Dev Steering wheel with pre-assembled airbag anti-shock protection device.
JP3467114B2 (en) 1995-03-29 2003-11-1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Airbag device
EP0783995B1 (en) * 1995-08-21 2002-11-27 Toyoda Gosei Co., Ltd. Air bag device
DE29606322U1 (en) * 1996-03-26 1996-06-20 Petri Ag Airbag cover with horn foils
DE29616914U1 (en) * 1996-09-27 1997-01-30 Trw Repa Gmbh Device for attaching an airbag cover
WO1998014353A1 (en) 1996-09-30 1998-04-09 Nihon Plast Co., Ltd. Air-bag device
JP3038254U (en) 1996-11-29 1997-06-10 カワサキ技研株式会社 Management equipment for tea gardens, etc.
JP3430841B2 (en) 1997-03-05 2003-07-28 豊田合成株式会社 Airbag cover
JP3144354B2 (en) * 1997-08-26 2001-03-12 株式会社デンソー Airbag
JPH11180240A (en) * 1997-12-24 1999-07-06 Kansei Corp Air bag device
DE29800444U1 (en) * 1998-01-13 1998-04-23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lame protection for an airbag
JPH11321508A (en) * 1998-03-18 1999-11-24 Denso Corp Air bag and manufacture thereof
JPH11278189A (en) * 1998-03-27 1999-10-12 Toyo Tire & Rubber Co Ltd Air bag system
US6672614B2 (en) * 1998-07-22 2004-01-06 Nihon Plast Co., Ltd.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JP3760638B2 (en) * 1998-09-16 2006-03-29 タカタ株式会社 Airbag device for passenger seat
DE29818946U1 (en) * 1998-10-23 1999-02-25 Trw Repa Gmbh Air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DE19952497B4 (en) * 1999-10-29 2004-03-0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Method of manufacturing a cap for an airbag restraint module and cap
JP4635293B2 (en) * 2000-04-07 2011-02-23 タカタ株式会社 Airbag device
DE50109589D1 (en) 2000-05-19 2006-06-01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Airbag retainer with indentation and a front wall whose center sec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module
JP3962207B2 (en) 2000-09-01 2007-08-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Airbag structure for vehicles
JP2001180427A (en) * 2000-11-27 2001-07-03 Toyo Tire & Rubber Co Ltd Bag for vehicular air ba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465872B2 (en) * 2000-12-19 2010-05-26 豊田合成株式会社 Airbag device
US6669229B2 (en) * 2001-03-22 2003-12-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vehicle air bag system
DE20105002U1 (en) 2001-03-22 2001-07-26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Vehicle steering device
DE10130715A1 (en) * 2001-06-26 2002-12-19 Breed Automotive Tech Cover for airbag module for passenger area of motor vehicles has parallel breaking lines forming two rows of opposite offset flaps
JP3873759B2 (en) * 2002-02-06 2007-01-24 豊田合成株式会社 Airbag device
JP2003260996A (en) * 2002-03-07 2003-09-16 Takata Corp Air bag device
JP4031337B2 (en) 2002-10-02 2008-01-09 芦森工業株式会社 Airbag device
JP4363179B2 (en) * 2003-01-23 2009-11-11 タカタ株式会社 Air bag and air bag device
JP2004314934A (en) 2003-04-02 2004-11-11 Takata Corp Airbag device
JP3777362B2 (en) * 2003-04-15 2006-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irbag device
JP4322080B2 (en) * 2003-09-22 2009-08-26 タカタ株式会社 Airbag device
DE202004002698U1 (en) * 2004-02-20 2005-03-24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Airbag module
JP4364081B2 (en) * 2004-07-14 2009-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Airbag device
US7445238B2 (en) * 2005-05-06 2008-11-04 Tk Holdings Inc.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DE202005008374U1 (en) * 2005-05-30 2005-09-15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Steering wheel for vehicle, has horn contact with contact unit that is located between central section of cover cap and stationary component of airbag module, such that contact is closed by pressing down central section of cover cap
JP4848141B2 (en) 2005-06-08 2011-12-28 マツダ株式会社 Airba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143A (en) * 1999-12-08 2001-06-19 Toyo Tire & Rubber Co Ltd Air bag device
JP2002166808A (en) * 2000-11-30 2002-06-11 Nippon Plast Co Ltd Air bag system
JP2004224145A (en) * 2003-01-22 2004-08-12 Mazda Motor Corp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with air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691A (en) 2008-02-05
AU2006256300B2 (en) 2011-10-20
AU2006256300A1 (en) 2006-12-14
EP1889757A4 (en) 2010-03-03
WO2006132071A1 (en) 2006-12-14
EP1889757B1 (en) 2012-03-21
EP1889757A1 (en) 2008-02-20
JP2006341716A (en) 2006-12-21
US20090218799A1 (en) 2009-09-03
JP4836494B2 (en) 2011-12-14
US8104792B2 (en) 2012-01-31
CN101203407A (en) 2008-06-18
CN101203407B (en)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134B1 (en) Airbag device
KR101301136B1 (en) Air bag device
KR101359432B1 (en) Airbag device
JP5187816B2 (en) Airbag device
US5765863A (en) Airbag cushion having compression-deployed section
KR101301135B1 (en) Method of assembling airbag device and airbag device
KR101301137B1 (en) Folding device and folding method for airbag
WO2013073451A1 (en)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folding airbag of airbag device
US6802528B2 (en) Air bag cushion energy diverter
US7946622B2 (en) External and internal airbag tether arrangement
JP4979148B2 (en) Airbag device
JP4780756B2 (en) Airbag device
KR100655209B1 (en) Cushion of Side Air-bag
JP2007015542A5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