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961B1 - 로터리 압축기 - Google Patents

로터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961B1
KR101300961B1 KR1020110014895A KR20110014895A KR101300961B1 KR 101300961 B1 KR101300961 B1 KR 101300961B1 KR 1020110014895 A KR1020110014895 A KR 1020110014895A KR 20110014895 A KR20110014895 A KR 20110014895A KR 101300961 B1 KR101300961 B1 KR 101300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supply passage
oil supply
oil
closur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628A (ko
Inventor
나오히로 쯔찌야
야스히로 기시
류우노스께 다까노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3Lubricant distribution through a hollow driving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크랭크축에 형성된 급유로가 되는 구멍 및 급유로 내에서 발포한 냉매 가스의 유로가 되는 구멍에 의한 강도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크랭크축의 축방향에 형성된 급유로가 되는 구멍의 길이를 상기 폐색 부재의 베어링부 하단부 이하로 하고, 또한 상기 급유로와 상기 밀폐 용기 내를 도통하는 가스 유로를 상기 폐색 부재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 {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냉동 공조 시스템 등의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부하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자연계 냉매의 적용이나, 압축기의 가일층의 고효율화가 필요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자연계 냉매 중 이산화탄소 냉매를 사용한 냉동 공조 시스템에서는, R410A 냉매에 대해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의 차압이 커지므로, 압축 기구부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진다. 그로 인해, 종래 기술에 있어서 허용되어 있던 압축 기구부에 있어서의 변형을 저감시켜, 기계 손실을 어떻게 억제할지가 큰 과제로 되어 있다.
냉동 공조 시스템 등의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는, 압축기의 밀폐 용기 내에 수납된 전동기부의 회전 토크를 압축 기구부로 전달하는 크랭크축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에는 2개의 하중에 대한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 2개의 하중이라 함은, 전동기부에서 발생한 회전 토크 및 자기 흡인력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과, 상기 전동기부에서 발생한 회전 토크와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 기구부에 있어서의 가스 압축 토크 및 주로 상기 크랭크축을 보유 지지하는 베어링부에 있어서 작용하는 하중이다.
한편, 상기 크랭크축에는 상기 압축기의 밀폐 용기 내 하부에 저장된 냉동기유를 상기 압축 기구부로 공급하기 위해, 급유로가 되는 구멍이, 하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에는 냉동기유 내에 용해된 냉매 가스의 발포 현상에 의한 급유 저해를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과 같이, 상기 급유로가 되는 구멍을 연장하는 방향으로 가스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08752호 공보
상기 크랭크축의 축 직경은 상기 급유로 및 가스 유로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전동기부 및 압축 기구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토크 및 하중에 대한 강도를 가질만한 굵기로 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 크랭크축의 축 직경을 굵게 하면, 상기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마찰력이 커져, 기계 손실이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급유로가 되는 구멍은, 상기 압축 기구부에 있어서의 각 미끄럼 이동 부위에 냉동기유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이다. 따라서, 상기 급유로가 되는 구멍은, 상기 크랭크축의 강도를 고려하면, 축방향 길이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가스 유로는 상기 급유로와 상기 밀폐 용기 내를 도통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반드시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상기 급유로는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 하단부로부터 상측 베어링 중앙 근방까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유로는 상기 급유로의 내경에 대해 직경을 작게 한 후에 상기 급유로를 연장하도록 상기 전동기부의 하단부 근방까지 개방된 후, 상기 크랭크축의 직경 방향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것에 따르면, 상기 크랭크축 중 상기 전동기부와 결합하는 부분은 중실축으로 되므로, 강도가 높아진다. 그러나 상기 크랭크축 중 상기 상측 베어링부에 걸리는 부분은 중공축이므로, 강도가 낮다. 따라서, 상기 크랭크축의 중공축 중 상기 상측 베어링부에 걸리는 부분에서는, 상기 토크 및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상측 베어링부와의 마찰력이 커져 압축기의 효율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 용기 내에 전동기부를 수납하고, 상기 전동기부의 회전을 전달하는 편심부를 가진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이동력에 의해 압축일을 행하는 압축 기구부를 설치하고, 상기 압축 기구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크랭크축의 편심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 외주로 연장되어 상기 롤러의 편심 운동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에 설치된 수납부에 출입하는 베인과, 상기 실린더의 양단부면을 폐색하고 또한 상기 크랭크축을 보유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는 폐색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밀폐 용기 내 하부에 상기 압축 기구부를 윤활하는 냉동기유를 저장하고,
상기 크랭크축의 하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상기 냉동기유의 급유로가 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급유로와 상기 밀폐 용기 내를 도통하여 상기 급유로 내에서 발포한 냉매 가스의 유로가 되는 구멍이 형성된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급유로가 되는 구멍의 길이를 상기 상측 폐색 부재의 베어링부 하단부 이하로 하고, 또한 상기 급유로와 상기 밀폐 용기 내를 도통하는 가스 유로를 상기 상측 폐색 부재에 상기 크랭크축의 대략 직경 방향으로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 용기 내에 고정하기 위한 상부 베이스업 평면부를 갖는 상부 베이스업으로 크랭크축의 지지를 담당하고,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 내에 배치되는 압축실의 용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크랭크축 내에 배치된 급유로에 의해, 상기 밀폐 용기 내의 오일을 빨아올려, 상기 압축실 및 그 주위에 오일을 공급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은 오일을 통과시키기 위한 급유로이며, 상기 실린더의 두께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업 평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크랭크축의 위치까지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에 대응하는 상기 크랭크축의 위치에는 도달하지 않고 당해 대응하는 상기 크랭크축을 중실로 유지하는 급유로를 갖고,
상기 상부 베이스업 평면부에는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밀폐 용기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가스 유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로터리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냉동기유 및 냉매 가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관한 냉동기유 및 냉매 가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압축기의 케이스가 되는 밀폐 용기(1) 내에 전동기부의 회전을 전달하는 편심부를 가진 크랭크축(2)과, 상기 크랭크축(2)의 회전 이동력에 의해 압축일을 행하는 압축 기구부를 설치하고, 상기 압축 기구부는 실린더(3)와, 상기 실린더(3) 내에 배치되어 상기 크랭크축(2)의 편심부(2a)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롤러(4)와, 상기 롤러(4) 외주로 연장되어 상기 롤러(4)의 편심 운동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3)에 설치된 수납부에 출입하는 베인(5)과, 상기 실린더(3)의 상단부면을 폐색하고 또한 상기 크랭크축(2)을 보유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는 상부 베이스업(6)과, 상기 실린더(3)의 하단부면을 폐색하고 또한 상기 크랭크축(2)을 보유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는 하부 베이스업(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베이스업(6)은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와, 상부 베이스업 평면부(6e)를 주된 구성 부분으로 하고 있다. 상부 베이스업 평면부(6e)가 밀폐 용기(1)와 고정됨으로써, 상부 베이스업(6)은 밀폐 용기(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 베이스업 평면부(6e)는 어느 정도의 축방향 길이(두께)를 갖고 있다.
상기 밀폐 용기(1) 내 하부에는 상기 압축 기구부의 윤활을 행하는 냉동기유(8)가 저장되어 있다. 압축기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냉동 사이클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 가스는, 상기 압축 기구부에 있어서, 실린더(3)에 형성된 흡입구(9)로부터 실린더(3) 내로 유입하고, 실린더 내벽면(3a)과, 롤러 외벽면(4a)과, 상기 베인 측면과, 상부 베이스업 내벽면(6a)과, 하부 베이스업 내벽면(7a)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10) 내에서 승압되어, 도시하지 않은 토출구로부터 상기 밀폐 용기(1) 내로 배출된다.
상기 냉동기유(8)는 상기 크랭크축(2)의 축방향에 설치된 직경 d1의 급유로(2b)로부터 빨아 올려져, 상기 급유로(2b)로부터 하부 베이스업 베어링부(7b)로의 공급로가 되는 2c와, 상기 급유로(2b)로부터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부(2a)와 롤러 내벽면(4b)으로의 공급로가 되는 2d와, 상기 급유로(2b)로부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로의 공급로(2e)로부터, 각 미끄럼 이동부로 공급된다.
상기 3개의 공급로(2c, 2d, 2e)의 출구측은 상기 냉동기유의 유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 및 하부 베이스업 베어링부(7b)에는 각각 홈(6c 및 7c)(도면 중 기울어진 파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축(2)의 회전 운동과 상기 냉동기유(8)의 점성을 이용한 점성 펌프 기구에 의해 급유를 행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실선 화살표는 상기 냉동기유(8)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냉동기유(8)에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배출된 냉매 가스가 액화되어 용해된다. 상기 냉동기유(8)에 용해된 냉매는 주위 온도가 상승 혹은 감압됨으로써 기화되어, 체적을 확대하여 발포 현상을 발생한다. 그로 인해, 상기 급유로(2b)에는 상기 발포 현상에 의한 급유 저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파선 화살표는 상기 냉동기유(8) 내에 용해된 냉매가 기화된 후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후, 도 2를 사용하여 종래 기술에 대해 설명하여, 본 발명의 과제의 명확화를 행한다. 상기 급유로(2b)는 직경 d1로 길이를 상기 크랭크축(2)의 축방향으로 상기 크랭크축(2)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의 대략 중앙까지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급유로(2b)의 상단부면으로부터 상기 크랭크축(2)의 축방향으로 상기 크랭크축(2)의 상단부까지 직경 d2로 개방된 구멍(2f)은, 상기 급유로(2b)와 상기 밀폐 용기(1) 내를 도통함으로써 상기 급유로(2b) 내에서의 발포 현상에 의한 급유 저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 유로이다. 그로 인해, 상기 크랭크축(2)은 상기 급유로(2b) 및 가스 유로(2f)에 의해,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중공축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축(2)은 상기 전동기부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토크 및 굽힘력에 대한 강도가 필요해진다. 특히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에 있어서는,
상기 크랭크축(2)의 직경 D1과 압축기 회전수에 의해 결정되는 주속,
상기 크랭크축(2)으로부터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에 대한 수직 하중,
상기 크랭크축(2)과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의 표면성상으로 결정되는 마찰 계수,
이들 3요소의 곱으로 나타내어지는 마찰력이 작용하여, 기계 손실을 발생한다.
상기 마찰력을 결정하는 3개의 요소 중 수직 하중은 상기 크랭크축(2)의 변형이 커짐에 따라서 증대한다. 한편 상기 마찰력을 결정하는 3개의 요소 중 상기 크랭크축(2)의 주속은 상기 크랭크축(2)의 직경 D1이 커짐에 따라서 증대한다.
이로 인해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크랭크축(2)의 변형을 억지하는 것, 혹은 상기 크랭크축(2)의 베어링부의 주속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최근의 압축기의 사용 환경은, 예를 들어 가정용 룸 에어컨에 탑재될 때에는 난방 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회전수 증가 혹은 압축기의 기통 용적 확대가 필요해지고 있고, 상기 크랭크축(2)의 변형 혹은 주속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유로(2f)에는 상기 발포 현상에 의해 발생한 냉매 가스와 상기 급유로(2b)를 통과한 상기 냉동기유(8)의 일부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동기유(8)는 압축기의 각 미끄럼 이동부로의 안정된 공급을 행하기 위해, 상기 밀폐 용기(1) 내부에 머물러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는 냉매 가스의 흐름과 함께 압축기 외부의 냉동 사이클로 유출되게 된다.
상기 냉동기유(8)의 냉동 사이클로의 유출량이 과대해지면, 냉동 사이클 내의 유로 저항의 증가 및 열교환 효율의 저하에 의한 효율 저하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최근의 압축기 사용 환경의 변화에 의해, 냉매 가스의 순환량도 많아지므로, 상기 냉동기유(8)의 냉동 사이클로의 유출량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중, 종래 기술과 같이 급유로(2b) 및 가스 유로(2f)에 의해 중공축으로 된 상기 크랭크축(2)에서는, 특히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강도 부족과 상기 냉동기유(8)가 가스 유로(2f)를 통해 상기 전동기부 상방으로 흘러 냉동 사이클로 유출되는 것에 의한, 효율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왔다.
이상과 같은 과제에 대해, 이후, 도 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급유로(2b)는 직경 d1로 길이를 상기 크랭크축(2)의 축방향으로 상기 크랭크축(2)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의 하단부 이하로 한다. 상기 가스 유로(2f)는 상기 상부 베이스업(6)의 폐색부에 상기 크랭크축(2)의 직경 방향으로 설치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전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2개의 과제, 마찰력에 의한 기계 손실과, 냉동 사이클로의 오일의 유출에 의한 효율 저하를 해결할 수 있다.
우선 첫번째 과제인 상기 크랭크축(2)의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기계 손실의 저감에 대해 서술한다. 상기 급유로(2b)는 각 미끄럼 이동부로의 상기 냉동기유(8)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3개의 공급로(2c, 2d, 2e)와 도통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상기 급유로의 길이는 상기 3개의 공급로(2c, 2d, 2e) 중 가장 상방에 있는 상기 상부 베이스업 급유로(2e)에 도달하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상기 상부 베이스업 공급로(2e)의 출구 근방은 상기 공간(12)을 형성하기 위해 베어링 기구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크랭크축(2)은 상기 급유로(2b)의 길이를 상기 상부 베이스업 공급로(2e)의 하단부 이상으로 하고, 또한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 하단부 이하로 함으로써, 중실의 부분을 늘려, 축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유로(2b)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베이스업 공급로(2e)의 직경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급유로(2b)의 하단부 혹은 상기 상부 베이스업 공급로(2e)로부터 에어 블로우함으로써, 상기 급유로(2b) 가공 시의 절삭 가루 혹은 상기 크랭크축(2) 세정 후의 세정액이나 잔류물 등의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유로(2f)를 상기 상부 베이스업(6)의 폐색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크랭크축(2) 중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와 베어링 기구를 구성하는 부위를 중실축으로 할 수 있어, 마찬가지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2)으로부터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에 대한 수직 하중에 있어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크랭크축(2) 중 상기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6b)와 베어링 기구를 구성하는 부위를 중실축으로 함으로써, 상기 크랭크축(2)의 변형량이 동일해질 때까지 상기 크랭크축(2)의 직경을 가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술한 마찰력을 결정하는 주속을 저감시킬 수 있어,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두번째 과제인 상기 냉동기유(8)의 냉동 사이클로의 유출 억지에 대해 서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유로(2f)를 상기 상부 베이스업(6)의 폐색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냉동기유(8)는 상기 밀폐 용기(1) 내의 상기 상부 베이스업(6)의 폐색부 이하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동기부의 회전 운동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냉동 사이클로의 유출을 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베이스업(6)의 폐색부에 형성된 가스 유로(2f)의 출구는, 상기 상부 베이스업(6)의 폐색부 상방으로의 흐름을 억지하는 벽면(6d)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랭크축에 형성된 급유로가 되는 구멍의 길이를 상기 폐색 부재의 베어링부 하단부 이하로 하고, 또한 상기 가스 유로를 상기 상측 폐색 부재에 크랭크축의 직경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크랭크축의 베어링부를 중실축으로 할 수 있어, 상기 크랭크축의 변형을 저감시키는 효과에 의해,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의 베어링부를 중실축으로 함으로써, 상기 크랭크축의 축 직경은 상기 크랭크축의 변형량을 종래와 동등해질 때까지 작게 할 수 있어,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주속을 저감시키는 효과에 의해,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에 설치된 가스 유로를 상기 상측 폐색 부재에 크랭크축의 직경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압축기의 밀폐 용기 내 하부에 저장된 냉동기유를 상측 폐색 부재 하방에서 순환시킬 수 있고, 냉동 사이클로의 유출에 의한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크랭크축에 형성된 급유로가 되는 구멍 및 급유로 내에서 발포한 냉매 가스의 유로가 되는 구멍에 의한 강도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 밀폐 용기
2 : 크랭크축
2a : 크랭크축의 편심부
2b : 급유로
2c : 하부 베이스업 공급로
2d : 편심부 공급로
2e : 상부 베이스업 공급로
2f : 가스 유로
3 : 실린더
3a : 실린더 내벽면
4 : 롤러
4a : 롤러 외벽면
6 : 상부 베이스업
6a : 상부 베이스업 내벽면
6b : 상부 베이스업 베어링부
6c : 상부 베이스업 홈
6d : 가스 유로 출구 상방 벽면
6e : 상부 베이스업 평면부
7 : 하부 베이스업
7a : 하부 베이스업 내벽면
7b : 하부 베이스업 베어링부
7c : 하부 베이스업 홈
8 : 냉동기유
9 : 흡입구
10 : 압축실
12 : 공급로 출구측 공간

Claims (6)

  1. 밀폐 용기 내에 전동기부를 수납하고, 상기 전동기부의 회전을 전달하는 편심부를 가진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압축일을 행하는 압축 기구부를 설치하고, 상기 압축 기구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크랭크축의 편심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 외주로 연장되어 상기 롤러의 편심 운동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에 설치된 수납부에 출입하는 베인과, 상기 베인을 롤러에 압박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의 양단부면을 폐색하고 또한 상기 크랭크축을 보유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는 폐색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압축 기구부의 윤활을 목적으로 한 냉동기유는 밀폐 용기 내 하부에 저장되어, 상기 냉동기유를 상기 압축 기구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유로를 상기 크랭크축에 설치한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의 급유로는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 크랭크축의 하단부로부터 상측 폐색 부재의 베어링부 하단부 이하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급유로와 상기 밀폐 용기를 도통하는 가스 유로를 상기 상측 폐색 부재에 배치하고,
    상기 크랭크축의 급유로의 상단부는 상기 냉동기유를 상기 상측 폐색 부재의 베어링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가 되는 구멍의 직경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로와 상기 밀폐 용기를 연통하는 가스 유로는 상기 급유로로부터 상기 크랭크축의 편심부 외벽면으로의 공급로 및 상기 상측 폐색 부재의 플랜지부 두께 내에서 상기 크랭크축의 직경 방향으로 개방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폐색 부재의 플랜지부 두께 내에서 상기 크랭크축의 직경 방향으로 개방된 구멍의 출구에는 상기 밀폐 용기 내 상방으로의 흐름을 억제하는 벽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5. 삭제
  6. 삭제
KR1020110014895A 2011-01-24 2011-02-21 로터리 압축기 KR101300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1508 2011-01-24
JP2011011508A JP5358591B2 (ja) 2011-01-24 2011-01-24 ロータリ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628A KR20120085628A (ko) 2012-08-01
KR101300961B1 true KR101300961B1 (ko) 2013-08-27

Family

ID=4652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895A KR101300961B1 (ko) 2011-01-24 2011-02-21 로터리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58591B2 (ko)
KR (1) KR101300961B1 (ko)
CN (1) CN1026064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2530B (zh) * 2013-12-12 2019-06-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
CN112412799A (zh) * 2020-12-03 2021-02-26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曲轴、压缩机、压缩机的供油方法以及电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8586U (ko) * 1986-05-20 1987-12-01
JPH0674176A (ja) * 1992-08-26 1994-03-15 Hitachi Ltd ロータリ圧縮機
JP2000213483A (ja) 1999-01-25 2000-08-02 Daikin Ind Ltd ロ―タリ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3385A (ja) * 1987-03-13 1988-09-16 Hitachi Ltd ロ−タリ形圧縮機
JPS63230982A (ja) * 1987-03-20 1988-09-27 Hitachi Ltd ロ−タリ圧縮機
KR20040023069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8586U (ko) * 1986-05-20 1987-12-01
JPH0674176A (ja) * 1992-08-26 1994-03-15 Hitachi Ltd ロータリ圧縮機
JP2000213483A (ja) 1999-01-25 2000-08-02 Daikin Ind Ltd ロ―タリ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06478A (zh) 2012-07-25
JP5358591B2 (ja) 2013-12-04
JP2012154185A (ja) 2012-08-16
KR20120085628A (ko) 2012-08-01
CN102606478B (zh)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4749B2 (en) Hermetic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device
KR101008787B1 (ko) 밀폐형 전동 압축기
EP2657524B1 (en)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US10890187B2 (en) Scroll compressor witha lubricant supply system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having the scroll compressor
KR101300961B1 (ko) 로터리 압축기
US9435337B2 (en) Scroll compressor
EP3633193B1 (en) Hermetic refrigerant compressor and freezing apparatus
US20140010685A1 (en) Sealed compressor
JP6137166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2016075260A (ja) 密閉型圧縮機、前記密閉型圧縮機を備える冷凍装置、及び前記密閉型圧縮機を備える冷蔵庫
KR20150021443A (ko) 밀폐형 압축기 및 이것을 이용한 냉장고
JP5579676B2 (ja) 密閉型圧縮機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JP2014156803A (ja) 密閉型圧縮機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JP5469612B2 (ja) ロータリ流体機械
WO2022264792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6518026B1 (ja) 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る冷凍サイクル装置
JP6643712B2 (ja) 2シリンダ型密閉圧縮機
JP2015001217A (ja) 圧縮機
WO2016139825A1 (ja) 回転圧縮機
JP2018059515A (ja) 回転圧縮機
JP2010242565A (ja) 密閉形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JP6348298B2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2012031769A (ja) 密閉形圧縮機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JP2016169604A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2013119802A (ja) ロータリ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