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809B1 - 공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809B1
KR101300809B1 KR1020087018060A KR20087018060A KR101300809B1 KR 101300809 B1 KR101300809 B1 KR 101300809B1 KR 1020087018060 A KR1020087018060 A KR 1020087018060A KR 20087018060 A KR20087018060 A KR 20087018060A KR 101300809 B1 KR101300809 B1 KR 10130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tool part
parts
interface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155A (ko
Inventor
디에테르 크레쓰
프리드리히 해베를레
Original Assignee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filed Critical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9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8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2Connections between shanks and removable cu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32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2Connections between the shanks and detachable cu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3Cutting heads comprised of different material than the shank irrespective of whether the head is detachable from the sh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1Plural simultaneously usable separable tools in common seat or common clamp actuator for plural simultaneously usable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7Tool or Tool with support including detailed sh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8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means to retain Tool to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8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means to retain Tool to support
    • Y10T408/90993Screw drive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olf Club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서로 지지하는 적어도 두 공구 부품(1, 23)을 갖고 그 부품의 서로에 할당된 접촉 표면(5, 25)이 서로 맞물리는 치상 돌기(7, 27)와 홈(9, 29)을 갖는 치상 돌기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공구 시스템이 제안된다. 상기 공구 시스템은 접촉 표면(5, 25)이 공구 부품의 중심 축(15)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회전각 위치에서만 함께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치상 돌기 시스템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7018060
공구 시스템

Description

공구 시스템{TOOLING SYSTEM}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서로 지지하는 적어도 두 공구 부품을 갖는 공구 시스템에 관련된다.
여기서 언급하는 형태의 공구 시스템은 대체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언급하는 인터페이스는 공구 시스템의 공구 부품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홀더는 공작 기계에 연결될 수 있고 공구 팁을 가지며, 홀더는 어댑터 또는 중간 부품을 가지며, 어댑터 또는 중간 부품은 공구 팁을 가지며, 어댑터 또는 중간 부품은 공구 인서트를 갖는다. 여기서 언급하는 공구 부품은 원하는 공구 시스템을 실현하고 이를 다른 용도로 적용하기 위해 원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공구 시스템의 두 인접하는 부품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구비됨으로써, 공구 시스템의 두 공구 부품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구 내에 다수의 인터페이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둘 이상의 공구 부품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서로 지지하는 공구 부품은 서로에 할당된 접촉 표면을 갖는다. 공구 시스템은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인터페이스의 영역에 구비된다. 따라서 접촉 표면은 인터페이스의 조립 상태에서 토크를 전달하는 서로 맞물리는 치상 돌기 및 홈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공구 부품을 관통하고 공구 부품의 접촉 표면으로 열리는 적 어도 하나의 냉각제/윤활제 통로가 구비되도록 공구 시스템이 설계된다. 인터페이스의 조립 상태에서, 냉각제/윤활제는 하나의 공구 부품으로부터 인터페이스를 거쳐 다른 공구 부품으로 보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공구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공구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절삭 날을 갖고 이로 인해 칩이 작업물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작업물의 가공 중에, 냉각제/윤활제는 적어도 하나의 활동 절삭 날을 냉각하고 윤활한다.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공구 부품은 다양한 회전각 위치에서 함께 끼워 맞추어질 수 있어서, 냉각제/윤활제 공급이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가로막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하나의 공구 부품의 냉각제/윤활제 통로가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인접하는 다른 공구 부품과 정렬되지 않고 매개물이 한 통로에서 다른 쪽으로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방지하는 공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공구 시스템이 제안된다.
이 공구 시스템에서, 두 공구 부품이 서로 지지하는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공구 부품의 서로 할당된 접촉 표면은 치상 돌기(tooth)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리브와 홈(recess)을 갖는다. 이는 인터페이스를 거쳐 토크를 확실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구 시스템은 접촉 표면이 공구 부품의 중심 축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회전각 위치에서만 함께 끼워 맞추어질 수 있도록 치상 돌기 시스템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제1공구 부품의 냉각제/윤활제 통로가 제2공구 부품의 냉각제/윤활제 통로와 합쳐지도록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두 공구 부품의 위치 선정을 미리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냉각제/윤활제 통로의 구멍과 제2냉각제/윤활제 통로의 구멍의 완전한 겹침이 바람직하게는 제공된다. 그러나, 두 통로의 적어도 부분적인 겹침이 보장되어, 이 부분적 겹침이 충분한 매개물이 인터페이스를 흐르게 하도록, 회전각 위치를 미리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공구 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이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결합한 공구 부품의 마주보는 접촉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유극(clearance) 부분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두 공구 부품은 공구 부품의 중심 축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회전각 위치에서만 함께 끼워 맞추어질 수 있으며, 두 공구 부품의 위치 선정이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구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돌기가 공구 부품의 일체 구성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것은 공구 부품의 모체에 직접 형성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두 공구 부품의 각 위치 선정의 기능을 하는 별도의 부품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두 공구 부품의 회전각 위치를 보장하는 것은 특히 간단하다.
공구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두 공구 부품 사이에 하나 이상의 회전각 위치가 접촉 표면의 영역에서 다수의 돌기와 유극 부분으로 인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공구 시스템은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다양한 요구에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공구 부품에 구비되는 절삭 날, 안내 영역, 특히 안내 스트립, 칩 배출 나선형 홈 등이 다른 공구 부품의 대응 구성에 맞도록, 두 공구 부품의 위치 선정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원주 방향에서 볼 때 균일하게 분포하는 다수의 돌기와 유극 부분이 구비되는 공구 시스템의 실시 태양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두 공구 부품의 다양한 회전각 위치가 허용되도록 하며, 이러한 균일한 간격의 생산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비용-효과적이다.
다른 구성은 종속항에 따른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공구 시스템의 제1공구 부품을 측면도로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제1공구 부품의 확대된 말단부 도면을 보여준다.
도 3은 공구 시스템의 제2공구 부품을 측면도로 보여준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2공구 부품의 배면도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제2공구 부품의 배면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1은 적절한 리테이너를 통해, 예를 들어 공작 기계 또는 그 공구 스핀들에 연결될 수 있는 공구 시스템의 제1공구 부품(1)을 보여준다.
여기서, 리테이너는 원통형 몸통(3)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다른 고정 수단, 예를 들어 가늘어지는 몸통 설계 또는 중공 몸통 연결부가 사용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다루지 않는다.
제1공구 부품(1)의 몸통(3)으로부터 멀리, 반대편 말단 면에 접촉 표면(5)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제1공구 부품(1)이 제2공구 부품의 대응 접촉 표면에 지지되며, 인터페이스는 두 공구 부품의 접촉 표면의 영역에서 형성된다. 두 공구 부품은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서로 단단히 죄인다; 따라서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두 공구 부품을 서로 누르는 힘이 생성된다.
제1공구 부품(1)의 접촉 표면(5)은 홈(9)이 있는 사이에 다수의 치상 돌기(7)를 갖는다. 치상 돌기와 홈의 수와 구성은 궁극적으로 중요하지는 않다. 치상 돌기(7)와 홈(9)이 제2공구 부품의 접촉 표면에 있는 대응 치상 돌기와 홈과 맞물려서 치상 돌기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공구 부품(1)의 접촉 표면(5)이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제1공구 부품(1)으로 도입된 토크를 인터페이스를 거쳐 제2공구 부품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공구 부품의 원주 표면(11)은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홈(flute)(13)을 갖는데, 공구 시스템과 제1공구 부품(1)의 사용 중에, 작업물에서 제거된 칩을 가공 지점으로부터 가져가는 역할을 한다.
나선형 홈(13)은 제1공구 부품의 중심 축(15)에 어느 정도 평행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여기서와 같이, 가상의 나선을 따른다.
나선형 홈의 모퉁이 사이에 놓이는 원주 표면의 영역은 가상의 원통 표면에 놓이며 따라서 안내 영역(17)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공구의 원주 표면으로 삽입되고 특히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한편으로는 최적의 안내 특성을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멍의 가공 중에 어떠한 재료 축적(용접된 부위)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특히 안내 스트립에 의해 안내 영역을 실현하는 것은 대체로 알려져 있다.
도 2는 제1공구 부품(1)의 말단 면, 즉 접촉 표면(5)을 확대 도면으로 보여준다. 여기에 도시된 제1공구 부품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2개의 나선형 홈(13 및 13')을 갖는 것을 명백히 볼 수 있다.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즉 중심 축(15)에서 원주 표면(11)으로 넓어지는 치상 돌기(7)와 홈(9)을 볼 수 있다.
제1공구 부품(1)은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두 공구 부품을 죄는 죔 요소를 수용하는 관통-개구(19)를 갖는 것이 도 2에 따른 말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제1공구 부품을 관통하고 제2공구 부품에 맞물리는 이음 막대를 사용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2공구 부품(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을 관통하고 관통-개구(19)의 내부 나사 선과 상호 작용하는 나사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제1공구 부품은 접촉 표면(5)으로 개방되고 제2공구 부품(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에 냉각제/윤활제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여기서는 2개의 냉각제/윤활제 통로(21, 21')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은 공구 시스템의 제2공구 부품(23)을 측면도로 보여준다. 여기서, 예를 들어, 이 제2공구 부품(23)은 여기서 모체로서 설계되는 제1공구 부품(1)에 끼워질 수 있는 공구 팁이다. 제2공구 부품(23)은 치상 돌기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치상 돌기(27)와 홈(29)을 구비하는 접촉 표면(25)을 갖는다. 따라서 제2공구 부품(23)이 그 접촉 표면(25)으로 제1공구 부품(1)의 접촉 표면(5)에 끼워질 경우, 제1공구 부품(1)에서 제2공구 부품(23)으로 토크를 전달할 수 있기 위한 치상 돌기 시스템을 갖는 인터페이스가 생성된다.
제2공구 부품(23)의 접촉 표면(25) 반대편의 말단 면(31)은 여기서 드릴 포인트로 설계된다. 치상 돌기와 홈을 갖는 접촉 표면은 여기서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실현하기 위해 구비될 수도 있다. 제2공구 부품(23)은 말단 면(31) 및 접촉 표면(25)으로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윤활제 통로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공구 부품(1)을 통해 인터페이스를 거쳐 제2공구 부품(23)으로 냉각제/윤활제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제2공구 부품(23)의 배면도는 치상 돌기(27)와 홈(29)을 갖는 접촉 표면(25)을 보여준다. 제2공구 부품(23)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여기서는 2개의 대칭적인 나선형 홈(35 및 35')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제2공구 부품(23)에 의해 제거되는 작업물의 칩이 가공 영역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제2공구 부품은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냉각제/윤활제 통로(33 및 33')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접촉 표면(25)으로 개방되는 냉각제/윤활제 통로(33 및 33')를 통해, 냉각제는 제1공구 부품(1)으로부터 그 냉각제/윤활제 통로(21, 21')를 거쳐 제2공구 부품(23)으로 유입될 수 있고 말단 면(31)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도 3에도 도시된 제2공구 부품(23)의 배면도는 접촉 표면(25)이 여기서 제2공구 부품(23)의 중심 축(15)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고 여기서도 구비되는 관통-개구(19)와 인접하는 다수의 치상 돌기(27)와 홈(29)을 구비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은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두 공구 부품의 조립된 상태에서 실현되는, 치상 돌기 시스템의 부품이다.
제2접촉 표면(25)의 평면도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윤활제 통로(33)를 보여준다. 여기서, 직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냉각제/윤활제 통로(33')가 구비된다. 이 도면은 제2공구 부품(23)의 적어도 하나의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절삭 날에 의해 제거된 칩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중심 축(15)에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가상의 나선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홈(35 및 35')을 보여준다.
나선형 홈(35 및 35')은 제2공구 부품(23)의 원주 표면(37)에 결합한다. 나선형의 폭과 깊이는 각 용도에 맞추어진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공구 부품(23)의 접촉 표면(25)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전 도면이 참고되도록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명칭이 주어진다.
이 사시 도면은 또한 2개의 냉각제/윤활제 통로(33 및 33')가 접촉 표면(25)으로 개방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1공구 부품(1)의 냉각제/윤활제 통로(21, 21')를 거쳐 제2공구 부품(23)으로 매개물을 보내고 이를 제2공구 부품의 절삭 날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따른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제2공구 부품(23)은 이 제2공구 부 품(23)이 사용될 때 작업물로부터 칩을 제거하는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절삭 날(39)을 갖는다. 여기서, 직경 방향으로 절삭 날(39)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절삭 날(39')이 구비된다.
절삭 날(39, 39')에 의해 제거되는 칩은 나선형 홈(35, 35')으로 전달되고 따라서 가공 영역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안내 경사면(41)은 절삭 날(39)에 인접한다. 절삭 날(39')의 안내 경사면은 여기서는 볼 수 없다.
제2안내 경사면(43)은 원주 방향에서 측정할 때 안내 경사면(41, 41')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구비되며, 이 제2안내 경사면(43)은 제1안내 경사면(41)처럼 작업물의 가공 중에 제2공구 부품(23)을 안내한다.
나선형 홈(35)은 경사면(41, 43) 사이에서 어느 정도 얻어지며, 이 나선형 홈(35)은 경사면에서 떨어져 있다.
나선형 홈(35)은 제2공구 부품(23)의 중심 축(15)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가상의 나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따른 도면에서, 제2공구 부품(23)은 작업물의 가공 중에 그 중심 축(15)의 방향으로 전진함으로써, 말단 면(31)의 영역에서 냉각제/윤활제 통로(33, 33')로부터 유출되는 냉각제/윤활제가 나선형 홈(35)으로 전달될 수 있다.
중심 축(15)에 대한 두 공구 부품(1 및 23)의 특정된 회전각 위치가 하나 또는 두 접촉 표면의 특정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방법이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우선, 제1공구 부품(1)의 접촉 표면(5)을 도시한 도 2는 더욱 상세하게 고려된다.
이 접촉 표면(5)의 영역에서, 제1공구 부품(1)은 유극 부분(47)으로 불리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돌기가 맞물릴 수 있는 구멍을 보여준다.
유극 부분(47)의 윤곽이 형성되는 방법과 얼마나 많은 유극 부분이 접촉 위치(5)의 영역에서 구비되는지는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특정된 회전각 위치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그리 중요하지 않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태양에서, 유극 부분(47)은 원의 단편처럼 설계된다. 이는 관통-개구(19)의 앞에서 직접 끝을 이루고 웹(49)에 의해 상기 개구로부터 분리된다. 유극 부분(47)은 이 웹(49)에 의해 유체가 통하지 않는 방식으로 관통-개구(19)로부터 밀봉된다.
반경 방향에서 측정된 유극 부분(47)의 길이는 이 유극 부분(47)이 제1공구 부품(1)의 원주 표면(11)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태양에서, 냉각제/윤활제 통로(21)는 유극 부분(47)과 교차한다. 웹(49)에 의해 관통-개구(19) 및 원주 표면(11)에 대해 모두 밀봉이 보장되므로, 인터페이스의 조립된 상태에서 냉각제/윤활제 통로에 존재하는 매개물은 누출될 수 없다.
그러나, 통로의 매개물이 유극 부분(47)의 영역을 통과할 수 없도록, 냉각제/윤활제 통로(21)를 유극 부분(47)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2공구 부품(23)의 접촉 표면(25)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 4는 이하에서 더 욱 상세하게 고려된다.
여기서, 접촉 표면(25)이 바람직하게는 채움 요소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채움 요소로서 제1공구 부품(1)의 유극 부분(47)에 맞물릴 수 있는, 두 치상 돌기 사이를 채우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51)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제2공구 부품(23)의 접촉 표면(25)에서 돌기(51)의 배치는 두 공구 부품(1 및 23)이 돌기(51)가 유극 부분(47)에 맞물리는 회전각 위치에서만 함께 끼워 맞춰질 수 있음을 보장한다.
한편으로 제1공구 부품(1)에서 유극 부분(47) 및 다른 한편으로 제2공구 부품(23)에서 돌기(51)의 배치는 냉각제/윤활제 통로의 구멍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서로 정렬되고 냉각제/윤활제가 인터페이스를 거쳐 전달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제1공구 부품(1)의 나선형 홈(13, 13')은 제2공구 부품(23)의 나선형 홈(35, 35')과 정렬됨으로써, 칩이 제2공구 부품(23)의 영역에서 제1공구 부품(1)의 영역으로 쉽게 전달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돌기(51)가 제2공구 부품(23)과 일체로 형성될 경우, 즉 제2공구 부품(23)의 모체로부터 형성될 경우에 특히 비용-효과적이다. 이는 예를 들어 전기 방전 가공 공정 또는 레이저 공정에 의해, 또한 금속 사출 성형(MIM) 또는 소결 공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5는 제2공구 부품(23)의 접촉 표면(25)을 사시도로 보여준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도 4에 대한 설명이 참고되도록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명칭이 주어진다.
도 5는 돌기(51)가 치상 돌기(27)의 가장 높은 지점과 평면으로 놓이도록 설계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돌기(51)의 높이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다양한 수단에 맞추어질 수 있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공구 부품(23)의 냉각제/윤활제 통로(33, 33')와 교차하는 치상 돌기는 감소 영역(53, 53')을 가짐으로써, 냉각제/윤활제 통로는 인터페이스가 조립될 때 제1공구 부품(1)의 치상 돌기에 의해 완전히 닫히지 않는다. 반대로, 냉각제/윤활제 통로(33, 33')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시작되는 출구가 얻어지고 이를 통해 통로로 전달된 매개물이 반경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유극 부분(47)과 돌기(51)에 의해 보장되는 두 공구 부품(1 및 23)의 특정된 회전각 위치는 예를 들어 안내 경사면, 특히 안내 경사면(43)의 윤활을 보장하기 위해 이런 식으로 특정 출구가 특정된 위치에 실현되게 한다.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두 공구 부품(1 및 23)의 특정된 회전각 위치는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 경우에, 얼마나 많은 유극 부분과 돌기가 구비되는지는 중요하지 않고 유극 부분이 제1공구 부품(1)에 구비되는 것인지 돌기(51)가 제2공구 부품(23)에 구비되는 것인지도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유극 부분과 돌기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보완적 설계의 유극 부분과 돌기를 두 접촉 표면(5 및 25) 모두에 구비함으로써 특정된 회전각 위치를 보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두 공구 부품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회전각 위치는 유극 부분과 돌기의 수를 특정함으로써 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돌기와 유극 부분이 서로로부터 동일한 원주 거리에 구비됨으로써 제작을 단순화하는 공구 시스템이 특히 바람직하다.
인터페이스의 두 인접하는 공구 부품의 특정된 회전각 위치는 다양한 기능적 특징,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냉각제/윤활제의 전달, 한 공구 부품의 나선형 홈에서 다른 공구 부품의 나선형 홈으로의 연속, 한 공구 부품에서 다른 공구 부품으로의 안내 영역의 연속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두 공구 부품의 정확한 회전각 위치 선정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모든 경우에서, 이러한 위치 선정을 실현하는 단순한 해결수단이 여기서 보장된다.
본 발명의 공구 시스템은 치상 돌기 시스템을 가짐으로써 인터페이스를 거쳐 토크를 확실하게 전달한다. 공구 시스템의 특정된 회전각 위치 구성으로 인해, 두 공구 부품의 냉각제/윤활제 통로가 합쳐지도록 두 공구 부품의 위치 선정을 미리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서로 지지하는 적어도 두 공구 부품(1, 23)을 갖고 그 부품의 서로에 할당된 접촉 표면(5, 25)이 서로 맞물리는 치상 돌기(7, 27)와 홈(9, 29)을 갖는 치상 돌기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접촉 표면(5, 25)이 공구 부품의 중심 축(15)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회전각 위치에서만 함께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치상 돌기 시스템이 설계되는 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5, 25)이 두 치상 돌기 사이를 채우는 채움 요소인 적어도 하나의 돌기(51)를 갖고, 다른 접촉 표면이 적어도 하나의 유극 부분(47)을 갖되, 상기 채움 요소는 상기 두 치상 돌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과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두 공구 부품(1, 23)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회전각 위치가 다수의 돌기와 유극 부분으로 인해 가능하며, 회전각 위치가 공구 부품(1, 23)이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함께 맞추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원주 방향에서 볼 때 균일하게 분포되는 다수의 돌기와 유극 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시스템.
KR1020087018060A 2006-01-13 2007-01-09 공구 시스템 KR101300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1739.0 2006-01-13
DE102006001739 2006-01-13
DE102006003686A DE102006003686A1 (de) 2006-01-13 2006-01-26 Werkzeugsystem
DE102006003686.7 2006-01-26
PCT/EP2007/000101 WO2007082652A1 (de) 2006-01-13 2007-01-09 Werkzeug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155A KR20080091155A (ko) 2008-10-09
KR101300809B1 true KR101300809B1 (ko) 2013-08-26

Family

ID=3795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060A KR101300809B1 (ko) 2006-01-13 2007-01-09 공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257001B2 (ko)
EP (1) EP1979119B1 (ko)
JP (1) JP5236497B2 (ko)
KR (1) KR101300809B1 (ko)
CN (1) CN101374619B (ko)
AT (1) ATE439932T1 (ko)
BR (1) BRPI0706590A2 (ko)
DE (2) DE102006003686A1 (ko)
ES (1) ES2330804T3 (ko)
PL (1) PL1979119T3 (ko)
WO (1) WO2007082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3287A1 (de) * 2009-05-20 2010-11-25 Hilti Aktiengesellschaft Bohrer
RU2673520C2 (ru) 2014-04-17 2018-11-27 Айзапак Холдинг С.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удирования и этикетирования упаковочной тубы
EP2933092A1 (fr) 2014-04-17 2015-10-21 Aisapack Holding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xtrusion et étiquetage d'un tube d'emballage
EP3292980A1 (fr) 2016-09-13 2018-03-14 Aisapack Holding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xtrusion et d'étiquetage d'un produit cylindrique
CN116323058A (zh) * 2020-12-16 2023-06-23 住友电工硬质合金株式会社 钻头头部及钻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2569A1 (en) 2000-07-14 2002-11-21 Naohiro Nakamura Throw-away cutting tool
US20030039523A1 (en) * 2001-07-13 2003-02-27 Kemmer Hartmetallwerkzeuge Gmbh Drilling or bor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9207C2 (sv) * 1995-05-04 1998-12-14 Seco Tools Ab Verktyg för skärande bearbetning
JPH0911038A (ja) * 1995-06-22 1997-01-14 Mitsubishi Materials Corp リーマ
SE510533C2 (sv) * 1996-11-04 1999-05-31 Seco Tools Ab Verktyg för skärande bearbetning
SE509540C2 (sv) * 1997-06-30 1999-02-08 Seco Tools Ab Verktyg
SE518154C2 (sv) * 1999-12-21 2002-09-03 Sandvik Ab Borr bestående av borrspetsparti som är löstagbart förenat med ett borrskaft
JP3851804B2 (ja) 2001-10-26 2006-11-29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ツイストドリル
EP1310312A1 (de) * 2001-11-12 2003-05-14 Kemmer Hartmetallwerkzeuge GmbH Bohrwerkzeug
JP4456852B2 (ja) * 2003-12-02 2010-04-28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SE526990C2 (sv) * 2004-04-20 2005-11-2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Roterbart skär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med självcentrerande funktion
DE102006005880A1 (de) * 2006-02-06 2007-08-09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Schneidwerkzeug für spanende Bearbei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2569A1 (en) 2000-07-14 2002-11-21 Naohiro Nakamura Throw-away cutting tool
US20030039523A1 (en) * 2001-07-13 2003-02-27 Kemmer Hartmetallwerkzeuge Gmbh Drilling or bor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36303A1 (en) 2009-05-28
US8257001B2 (en) 2012-09-04
KR20080091155A (ko) 2008-10-09
WO2007082652A8 (de) 2007-10-04
ES2330804T3 (es) 2009-12-15
PL1979119T3 (pl) 2010-01-29
CN101374619A (zh) 2009-02-25
DE502007001350D1 (de) 2009-10-01
EP1979119B1 (de) 2009-08-19
JP2009523073A (ja) 2009-06-18
DE102006003686A1 (de) 2007-08-02
BRPI0706590A2 (pt) 2011-04-05
JP5236497B2 (ja) 2013-07-17
WO2007082652A1 (de) 2007-07-26
ATE439932T1 (de) 2009-09-15
CN101374619B (zh) 2011-02-23
EP1979119A1 (de)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809B1 (ko) 공구 시스템
US6012881A (en) Drilling tool
KR100802129B1 (ko) 칩제거기계가공용 툴 및 카운터싱커
US6045301A (en) Drill with cooling-lubricant channel
US5980166A (en) Rotary tool with shank
US7997836B2 (en) Indexable type cutting tool
KR100540724B1 (ko) 드릴
JP5694799B2 (ja) シャフトツールおよび接続片を備えた装置
JPH0310450B2 (ko)
JP5559470B2 (ja) 内径加工工具および内径加工方法
KR102183324B1 (ko) 절삭 공구
KR20100106390A (ko) 가공대상물의 가공용 공구
KR101544208B1 (ko)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공구
JP4230878B2 (ja) 深穴切削具
KR101033696B1 (ko) 교환가능한 삽입물을 가진 드릴링 도구와 상기 드릴링 도구를 위한 교환가능한 삽입물
KR20030089638A (ko) 보어의 버링 가공을 위한 공구, 장치 및 방법
KR20110008173A (ko) 리머
JP4168612B2 (ja) 穴明け工具
JP2007136563A (ja) インサート式ドリル
JP4460868B2 (ja) 深孔切削工具
CN111565875B (zh) 旋切工具
EP1108491A2 (en) Contact tip for mig welding torches
JP4218233B2 (ja) 内径加工工具用ホルダ
JP7502725B1 (ja) 切削工具
JP4400178B2 (ja) ド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