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476B1 -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476B1
KR101300476B1 KR1020130014892A KR20130014892A KR101300476B1 KR 101300476 B1 KR101300476 B1 KR 101300476B1 KR 1020130014892 A KR1020130014892 A KR 1020130014892A KR 20130014892 A KR20130014892 A KR 20130014892A KR 101300476 B1 KR101300476 B1 KR 101300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astening
joint
disk
scre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기
Original Assignee
(주)디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케이엔지 filed Critical (주)디케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01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8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assembling machines or tools moving synchronously with the units while these are being asse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는, 자동차 본체 밑판의 나사를 조이기 위한 나사체결부, 일단이 상기 나사체결부의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나사체결부의 수평운동을 조절하는 하나의 암으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체결부가 동작할 때 소정의 디스크부에 의해서 고정되는 중심암부, 상단이 상기 디스크부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나사체결부의 수직운동을 조절하는 관절부, 및 일단이 상기 관절부와 결합되며, 상기 관절부의 수직운동을 조절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Automobile underbody screw driver}
본 발명은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밑판의 나사를 안전하게 조일 수 있게 하는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량생산 라인에서의 나사체결작업은 드라이버나 전동스크류 등과 같은 수공구나 전동공구를 이용하고 있으며, 생산성 향상과, 조립품의 품질균일화, 인건비 절감 등의 이유로 지그에 고정된 조립체를 자동나사체결기를 이용하여 조립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나사체결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나사체결기(300)는 나사체결본체(310), 거리조절용 암(350), 높이조절용 관절부(360), 높이조절용 실린더(370) 및 지지축(380)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체결기(300)는 자동차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핸들(315)을 잡고 거리조절용 암(350)을 통해 나사체결본체(31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자동차 하부의 나사를 조인다. 자동차 하부의 나사를 조일 때 나사체결본체(310)의 나사조임소켓(316)이 회전하는데, 나사가 다 고정된 그 순간 나사조임소켓(31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강하게 작용한다. 이 힘으로 인해 관절부위(320, 330, 340)가 꺾이게 되어 나사체결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칠 우려가 있으며, 거리조절용 암(350)이 꺾이는 충격으로 인해 나사체결기(300) 자체에도 무리가 올 수 있다. 또한, 나사조임소켓(31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인해 원하는 힘으로 자동차 하부의 나사를 조일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5-0115720호 한국실용신안공보 제20-1986-001580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는 자동차 밑판의 나사를 쉽게 조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안전하게 장치를 다루도록 구조가 개선된 나사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는, 나사체결부, 중심암부, 관절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사체결부는 자동차 본체 밑판의 나사를 조이기 위한 장치이다.
중심암부는 일단이 상기 나사체결부의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나사체결부의 수평운동을 조절하는 하나의 암으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체결부가 동작할 때 소정의 디스크부에 의해서 고정된다.
관절부는 상단이 상기 디스크부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나사체결부의 수직운동을 조절한다.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관절부와 결합되며, 상기 관절부의 수직운동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의 중심암부는, 슬라이드 암, 및 디스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드 암은 일단이 상기 나사체결부 지지대의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나사체결부가 수평방향으로 전진과 후진을 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디스크부는 상기 슬라이드 암이 삽입관통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며, 상기 나사체결부의 수평방향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의 디스크부는, 디스크 고정부, 및 브라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크 고정부는 상기 관절부에 고정된다.
브라켓부는 상기 디스크 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디스크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체결부의 수평방향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나사체결부의 소켓이 회전할 때 상기 디스크 고정부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의 디스크 고정부는, 브레이크 디스크, 디스크 중심축, 베어링들, 베어링 하우징, 및 브레이크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레이크 디스크는 원판형상으로 상기 브라켓부의 측면 내측으로 일부분이 위치한다.
디스크 중심축은 원통형으로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하단과 결합고정된다.
베어링들은 상기 디스크 중심축의 외주면 상단 측면과 하단 측면에 형성된다.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디스크 중심축을 둘러싸며, 상기 베어링들에 의해서 상기 디스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브레이크 받침대는 상기 디스크 중심축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관절부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의 브라켓부는, 브라켓 받침대, 브라켓 본체, 에어 브레이크, 및 슬라이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 받침대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하단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브라켓 본체는 상기 브라켓 받침대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상부 일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다.
에어 브레이크는 상기 함몰부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는 에어 브레이크로서, 상기 에어 브레이크 사이에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소켓의 회전시 작동하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브라켓부가 고정되도록 한다.
슬라이딩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 받침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암이 삽입관통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는, 암의 수와 관절의 수를 줄이고 에어 브레이크를 사용함으로써, 소켓으로부터 전달되는 반발력에 의해 나사체결장치가 파손되는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나사체결장치 사용자가 안전하게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는, 나사체결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에어 브레이크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고정되어, 소켓으로부터 전달되는 반발력을 제거시키므로 기존보다 강하게 자동차 하부의 나사를 조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는, 슬라이드 암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나사체결부의 전진 및 후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는, 슬라이딩 고정부를 설치하여 슬라이드 암이 이동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평면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나사체결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크부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나사체결부와 중심암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100)는, 나사체결부(102), 중심암부(104), 관절부(106), 및 지지부(108)를 포함한다.
나사체결부(102)는 자동차 본체 밑판의 나사를 조이기 위한 장치이다.
중심암부(104)는 일단이 나사체결부(102)의 측면과 연결되고, 나사체결부(102)의 수평운동(x, y축 운동)을 조절하는 하나의 암으로 구성되며, 나사체결부(102)가 동작할 때 소정의 디스크부(200)에 의해서 고정된다.
관절부(106)는 상단이 디스크부(200)의 하단과 결합되며, 나사체결부(102)의 수직운동(z축 운동)을 조절한다.
지지부(108)는 일단이 관절부(106)와 결합되며, 관절부(106)의 수직운동을 조절한다.
자동차 밑판의 나사를 조이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소정의 손잡이(124)를 잡고 나사체결부(102)를 자동차 밑판의 나사를 체결할 곳에 맞추어 위치시킨다. 이 때, 나사체결부(102)의 수평운동(x, y축 운동)은 중심암(104)으로 제어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제1, 2 관절(142, 144)의 일단을 상, 하로 움직여서 나사체결부(102)의 높이를 제어한다. 나사체결부(102)가 나사를 체결할 곳의 위치에 맞춰지면, 나사체결부(102)를 작동시키는 버튼(미도시)을 눌러 소켓(120)을 회전시켜서 자동차 하부의 나사를 체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나사체결기(300)는 나사체결본체(31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거리조절용 암(350)을 사용한다. 자동차 하부의 나사를 조일 때 나사체결본체(310)의 나사조임소켓(316)이 회전하는데, 나사가 다 고정된 그 순간 나사조임소켓(31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강하게 작용한다. 이 힘으로 인해 관절부위(320, 330, 340)가 꺾이게 되어, 핸들(312)을 잡고 나사체결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칠 우려가 있으며, 거리조절용 암(350)이 꺾이는 충격으로 인해 나사체결기(300) 자체에도 무리가 올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체결장치(100)는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암의 개수를 줄여서 암에 있던 관절을 없애고, 후술되는 에어 브레이크(256)가 브레이크 디스크(210)에 고정되어 암의 회전이 멈출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관절부위가 꺾였을 때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칠 우려가 있고, 관절부위가 꺾이는 충격으로 인해 장치 자체에도 무리가 온다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나사체결부(102)는 자동차 본체 밑판의 나사를 조이기 위한 장치로써, 소켓(120), 나사체결부 본체(122), 나사체결부 지지대(126), 및 손잡이(124)를 포함한다.
소켓(120)은 자동차 밑판의 나사를 조이는 도구로써, 나사체결부 본체(122)를 작동시키면 소켓(120)이 회전을 하며 자동차 밑판의 나사를 조인다.
나사체결부 본체(122)는 소켓(120)의 하단에 장착되어, 내부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소켓(120)을 회전시킨다.
나사체결부 지지대(126)는 나사체결부 본체(122)의 측면에 결합된다.
손잡이(124)는 나사체결부 지지대(126)의 맞은편인 나사체결부 본체(122)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24)를 손으로 잡고 소켓(120) 및 나사체결부 본체(122)를 움직여서 나사를 조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중심암부(104)는 일단이 나사체결부(102)의 측면과 연결되고, 나사체결부(102)의 수평운동(x, y축 운동)을 조절하는 하나의 암으로 구성되고, 나사체결부(102)가 동작할 때 소정의 디스크부(200)에 의해서 고정되며, 슬라이드 암(130), 및 디스크부(20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암(130)은 일단이 나사체결부 지지대(126)의 측면과 연결되고, 나사체결부(102)가 수평방향으로 전진과 후진을 하도록 한다.
슬라이드 암(130)은 소정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환봉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슬라이드 암(130)이 환봉형태 및 다른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과, 슬라이드 암(130)의 개수가 1개 또는 3개 이상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사체결부(102)의 무게 지지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환봉형태의 슬라이드 암(130) 2개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후술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암(130)은 일단이 나사체결부 지지대(126)의 측면과 연결되어, 후술되는 슬라이딩 고정부(280)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나사체결부(102)의 전진 및 후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크부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크부(200)는 슬라이드 암(130)이 삽입관통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나사체결부(102)의 수평방향 회전을 제어하며, 디스크 고정부(202), 및 브라켓부(204)를 포함한다.
디스크 고정부(202)는 관절부(106)에 고정된다.
브라켓부(204)는 디스크 고정부(202)에 체결되어 디스크 고정부(20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나사체결부(102)의 수평방향 회전을 제어하고, 나사체결부(102)의 소켓이 회전할 때 디스크 고정부(202)에 고정된다.
디스크 고정부(202)는 관절부(106)에 고정되며, 브레이크 디스크(210), 디스크 중심축(214), 베어링들(230), 베어링 하우징(224), 및 브레이크 받침대(232)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디스크(210)는, 원판형상으로 브라켓부(204)의 측면 내측으로 일부분이 위치한다.
디스크 중심축(214)은, 원통형으로 브레이크 디스크(210)의 하단과 결합고정된다.
베어링들(230)은 디스크 중심축(214)의 외주면 상단 측면과 하단 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디스크 중심축(214)의 외주면 상단 측면의 베어링(216)은 볼 베어링(ball bearing), 디스크 중심축(214)의 외주면 하단 측면의 베어링(218)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taper roller bea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디스크 중심축(214)의 외주면 상단 측면의 베어링(216) 및 디스크 중심축(214)의 외주면 하단 측면의 베어링(218)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종류의 베어링들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중심축(214)의 외주면 상단 측면의 베어링(216)은 볼 베어링(ball bearing), 디스크 중심축(214)의 외주면 하단 측면의 베어링(218)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taper roller bearing)을 구비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볼 베어링(216)은 디스크 중심축(214)의 외주면 상단 측면에 형성되고, 테이퍼 롤러 베어링(218)은 디스크 중심축(214)의 외주면 하단 측면에 형성된다.
볼 베어링(216)의 축과 테이퍼 롤러 베어링(218)의 축에 베어링 축(222)이 연결된다. 베어링 축(222)은 베어링 하우징(224)과 무드볼트(set screw)로 결합되는데, 이는 베어링 하우징(224)이 안전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베어링 하우징(224)은 디스크 중심축(214)을 둘러싸며, 베어링들(230)에 의해서 디스크 중심축(21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브레이크 받침대(232)는 디스크 중심축(214) 하단에 결합되어 관절부(106)에 고정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나사체결부와 중심암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브라켓부(204)는, 디스크 고정부(202)에 체결되어 디스크 고정부(20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나사체결부(102)의 수평방향 회전을 제어하고, 나사체결부(102)의 소켓(120)이 회전할 때 디스크 고정부(202)에 고정되며, 브라켓 받침대(252), 브라켓 본체(254), 에어 브레이크(256), 및 슬라이딩 고정부(280)를 포함한다.
브라켓 받침대(252)는 베어링 하우징(224)의 하단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브라켓 본체(254)는 브라켓 받침대(252)의 상면에 장착되며, 브레이크 디스크(210)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상부 일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58)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 브레이크(256)는 함몰부(258)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는 에어 브레이크(256)로서, 에어 브레이크(256) 사이에 브레이크 디스크(210)의 일부가 위치하고, 소켓(120)의 회전시 작동하여 브레이크 디스크(210)에 고정됨으로써 브라켓부(204)가 고정되도록 한다.
에어 브레이크(256)의 원리는 일반적인 자동차 유압 브레이크의 작동법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유압 대신 에어 브레이크(256)라는 공기를 이용한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에어 브레이크(256)는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처럼 유압으로 브레이크 디스크(210)를 누르는 것이 아니라, 작동시 상, 하로 브레이크 디스크(210)를 붙잡아 브레이크 디스크(210)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여기서, 당업자라면 에어 브레이크(256)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종류의 브레이크들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슬라이딩 고정부(280)는 브라켓 받침대(252)의 상면에 형성되며, 슬라이드 암(130)이 삽입관통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고정부(280)는 브라켓 받침대(252)와 나사결합 되어있어, 브라켓 받침대(252)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한다. 이 때, 슬라이딩 고정부(280)의 관통홀(284)에 삽입관통되어 평면운동을 하는 슬라이드 암(130)도 함께 회전하여, 나사체결부(102)가 나사를 조일 위치에 옮겨지도록 한다. 관통홀(284)은 슬라이드 암(130)이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공간으로, 슬라이드 암(13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기름칠이 되어있다.
관절부(106)는 상단이 디스크부(200)의 하단과 결합되며, 나사체결부(102)의 수직운동(z축 운동)을 조절하며, 제1 지지대(140), 제1 관절(142), 제2 관절(144), 및 제2 지지대(146)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200)와 연결된 제1 관절(142) 및 제2 관절(144)의 일단이 상, 하로 움직여 나사체결부(102)의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당업자라면 제1, 2 관절(142, 144)의 개수가 1개 이상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지지대(140)는 브레이크 받침대(232)의 하단과 결합되어 중심암부(104)를 지지한다.
제1 관절(142)은,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제1 지지대(140)의 측면 상단과 체결되어, 체결된 부분이 상, 하로 움직인다.
제2 관절(144)은, 막대형상으로 제1 관절(142)과 평행하고, 일단이 제1 지지대(140)의 측면 하단과 체결되어, 체결된 부분이 상, 하로 움직인다.
제2 지지대(146)는 제1 관절(142)의 타단과 제2 관절(144)의 타단이 체결되어 제1 관절(142)과 상기 제2 관절(144)을 지지한다.
지지부(108)는 일단이 관절부(106)와 결합되며, 관절부(106)의 수직운동을 조절하며, 실린더부(150), 및 주축부(152)를 포함한다. 주축부(152)의 하단은 지면과 결합고정 되어있어, 주축부(152)의 일단과 결합된 관절부(106), 관절부(106)와 연결된 중심암부(104) 및 중심암부(104)와 연결된 나사체결부(102)의 무게를 지지해준다.
위에서는 주축부(152)의 하단이 지면에 고정된 예를 들었지만, 또 다른 실시예로써, 주축부(152)의 하단에 회전구조를 채용하여 지지부(108)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회전만 하면, 소켓(120)으로부터 전달되는 반발력에 의해 주축부(152)의 하단이 갑자기 회전하게 되어 나사체결장치(100)에 무리가 오기 때문에, 디스크부(200)에 채용된 에어 브레이크(256)와 같이 주축부(152)의 회전을 제어하는 장치도 함께 채용되어야 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에어 브레이크(256) 대신 주축부(152)의 회전을 제어하는 다른 장치가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주축부(152)를 회전시키는 장치 및 주축부(152)의 회전을 제어하는 장치의 상세한 구조는 생략한다.
지면에 레일(rail, 미도시)을 설치하여 나사체결장치(1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나사체결장치(100)의 주축부(152)의 하단에 나사체결장치(100)를 지지해 줄 받침대(미도시)를 채용하고, 받침대(미도시)의 하단에 레일(미도시) 위를 달릴 수 있는 휠(wheel, 미도시)을 형성한다. 여기서, 당업자라면 받침대, 휠 및 레일을 대신하여 나사체결장치(10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나사체결장치(10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장치의 상세한 구조는 생략한다.
실린더부(150)는 제2 지지대(146)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1, 2 관절(142, 144)의 수직운동을 조절한다. 실린더부(150)에서 사용하는 실린더는 공기를 이용하는 공압 실린더로, 나사체결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나사체결부(102)를 적은 힘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주축부(152)는 관절부(106)의 제2 지지대(146)에 결합되고, 실린더부(150)의 타측에 체결되며, 관절부(106)를 지지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102: 나사체결부
104: 중심암부 106: 관절부
108: 지지부 200: 디스크부
202: 브라켓부 204: 디스크 고정부

Claims (8)

  1. 자동차 본체 밑판의 나사를 조이기 위한 나사체결부;
    일단이 상기 나사체결부의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나사체결부의 수평운동을 조절하는 하나의 암으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체결부가 동작할 때 소정의 디스크부에 의해서 고정되는 중심암부;
    상단이 상기 디스크부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나사체결부의 수직운동을 조절하는 관절부; 및
    일단이 상기 관절부와 결합되며, 상기 관절부의 수직운동을 조절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암부는, 일단이 상기 나사체결부 지지대의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나사체결부가 수평방향으로 전진과 후진을 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암; 및
    상기 슬라이드 암이 삽입관통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며, 상기 나사체결부의 수평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결부는,
    나사를 조이는 소켓;
    상기 소켓의 하단에 장착되어, 내부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상기 소켓을 회전시키는 나사체결부 본체;
    상기 나사체결부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나사체결부 지지대; 및
    상기 나사체결부 지지대의 맞은편인 상기 나사체결부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는,
    상기 관절부에 고정되는 디스크 고정부; 및
    상기 디스크 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디스크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체결부의 수평방향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나사체결부의 소켓이 회전할 때 상기 디스크 고정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측면 내측으로 일부분이 위치하는 원판형상의 브레이크 디스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하단과 결합고정되는 원통형의 디스크 중심축;
    상기 디스크 중심축의 외주면 상단 측면과 하단 측면에 형성되는 베어링들;
    상기 디스크 중심축을 둘러싸며, 상기 베어링들에 의해서 상기 디스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디스크 중심축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관절부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하단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브라켓 받침대;
    상기 브라켓 받침대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상부 일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브라켓 본체;
    상기 함몰부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는 에어 브레이크로서, 상기 에어브레이크 사이에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소켓의 회전시 작동하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브라켓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에어 브레이크; 및
    상기 브라켓 받침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암이 삽입관통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브레이크 받침대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중심암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대;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대의 측면 상단과 체결되어, 체결된 부분이 상, 하로 움직이는 막대형상의 제1 관절;
    상기 제1 관절과 평행하고,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대의 측면 하단과 체결되어, 체결된 부분이 상, 하로 움직이는 막대형상의 제2 관절; 및
    상기 제1 관절의 타단과 상기 제2 관절의 타단이 체결되어 상기 제1 관절과 상기 제2 관절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2 관절의 수직운동을 조절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관절부의 제2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타측에 체결되며, 상기 관절부를 지지하는 주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KR1020130014892A 2013-02-12 2013-02-12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KR101300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92A KR101300476B1 (ko) 2013-02-12 2013-02-12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92A KR101300476B1 (ko) 2013-02-12 2013-02-12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476B1 true KR101300476B1 (ko) 2013-09-02

Family

ID=4945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892A KR101300476B1 (ko) 2013-02-12 2013-02-12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8916A4 (en) * 2017-10-19 2021-07-21 NIO (Anhui) Holding Co., Ltd. MECHANICAL REACTION ARM FOR BOLT TENSIONER AND BATTERY PACK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0799A (ja) * 2007-06-25 2009-01-08 Kec:Kk 作業管理システム
JP2009113186A (ja) * 2007-11-09 2009-05-28 Toyota Motor Corp ねじ締付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0799A (ja) * 2007-06-25 2009-01-08 Kec:Kk 作業管理システム
JP2009113186A (ja) * 2007-11-09 2009-05-28 Toyota Motor Corp ねじ締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8916A4 (en) * 2017-10-19 2021-07-21 NIO (Anhui) Holding Co., Ltd. MECHANICAL REACTION ARM FOR BOLT TENSIONER AND BATTERY PACK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93818A (ja) ねじ締結作業用ジグ装置
CN104175144B (zh) 轴类齿轮夹具及轴类齿轮加工机床
KR101645900B1 (ko) 대차휠용 베어링 압입장치
US20150047789A1 (en) Tire Changing Machine With Bead Loosener Arm
CN103659130B (zh) 车轴底板自动定位焊接工装设备
KR101300476B1 (ko) 자동차 하부 나사체결장치
KR101607449B1 (ko) 자동차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CN108161788B (zh) 一种基于转动锁紧支撑的管材支撑安置装置
CN203610901U (zh) 汽车焊装夹具旋转装置
CN212919026U (zh) 轴销零件加工用工装夹具
CN205363570U (zh) 后轿半轴密封盖打磨用固定装置
CN108673127B (zh) 一种万向轮自动装配机
CN202318068U (zh) 一种承托夹具
CN104942208B (zh) 一种用于铆压汽车配件的旋转工作台
CN210232186U (zh) 一种制动器组装工装
CN109454389A (zh) 底盘自动焊接装置
CN209288339U (zh) 一种方便移动的汽车零部件的打孔定位装置
CN106763369B (zh) 一种汽车制动蹄总成粘接夹具
CN210550826U (zh) 一种安装装置
CN206296867U (zh) 一种用于修复导辊圆弧面的夹具
CN208789407U (zh) 一种万向轮与定向轮可互换的脚轮机构
CN218556328U (zh) 一种翻转装置
CN109530739A (zh) 一种自定心可调卡爪盘
CN204772183U (zh) 蜗轮蜗杆电动锁球夹紧支撑结构
CN111906488B (zh) 焊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