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976B1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 Google Patents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976B1
KR101299976B1 KR1020110065216A KR20110065216A KR101299976B1 KR 101299976 B1 KR101299976 B1 KR 101299976B1 KR 1020110065216 A KR1020110065216 A KR 1020110065216A KR 20110065216 A KR20110065216 A KR 20110065216A KR 101299976 B1 KR101299976 B1 KR 10129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air
air pack
pack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501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ublication of KR2012000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석연료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고,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적의 보온 및 단열효과와 제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 아치형 프레임과, 제1 아치형 프레임을 따라 취부되어 공기 주입시 팽창하는 제1 보온 공기팩 커튼과, 제1 보온 공기팩 커튼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2 아치형 프레임과, 제2 아치형 프레임을 따라 취부되어 공기 주입시 팽창하여 제1 보온 공기팩 커튼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보온 공기팩 커튼과, 제2 보온 공기팩 커튼 하부에 설치되는 흡수성 제습 시트 및,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송풍수단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제1 보온 공기팩 커튼에 의한 공기층과 제2 보온 공기팩 커튼에 의한 공기층 및 제1 보온 공기팩 커튼과 제2 보온 공기팩 커튼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3중의 보온 층을 형성됨으로써 보온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보온 공기팩 커튼 하부에 흡수성 제습 시트가 마련되어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부의 안개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Greenhouse of manyfold warm airpack curtain equipment for low carbon green growth}
본 발명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고,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적의 보온 및 단열효과와 제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기밀성과 투광률이 높아 보온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복재가 가벼워 설치비가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일교차가 심한 겨울철에는 피복재만으로 적정 보온력을 얻는데 한계가 있어 별도의 난방을 하고 있다.
예컨대, 기름보일러나 연탄보일러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송풍기를 통해 비닐하우스 내부로 직접 불어넣어 난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난방 방식은 비닐하우스 내부로 유입된 열을 비닐하우스의 천장과 벽체를 통하여 외부로 쉽게 빼앗김으로써 보온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열풍을 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보일러의 잦은 가동과 함께 대기 오염 및 생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변 공기와의 과도한 온도차로 인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에 잦은 안개가 발생하고, 그로 인하여 일사량 감소에 따른 생육 억제로 생산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각종 곰팡이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외기와의 접촉에 따른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측벽이나 천장에 커튼을 치게 되는데, 채광시 개폐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석연료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고,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적의 보온 및 단열효과와 제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보온 공기팩 커튼에 의한 공기층과 제2 보온 공기팩 커튼에 의한 공기층 및 제1 보온 공기팩 커튼과 제2 보온 공기팩 커튼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비닐하우스의 측벽과 천장에 3중의 보온 층이 형성됨으로써 보온효과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제1, 2 보온 공기팩 커튼을 비닐하우스의 양 측벽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간에 채광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와 상면에 응축수 발생시 절개부를 통해 바로 배출됨으로써 응축수에 의한 보온 공기팩 커튼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에 응축수 생성으로 절개부를 통해 다습한 공기가 배출되더라도 흡수성 제습 시트에 의해 습기가 제거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부의 안개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에 비닐하우스 실내공기를 주입하여 비닐하우스의 측벽 및 천장에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에 상응하는 3중의 보온 층을 형성함으로써 무가온에 의한 난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에 독립적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가 마련됨으로써 이송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에 선택적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어 난방 연료의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에 적용된 개폐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에 적용된 보온 공기팩 커튼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에 적용된 행거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의 독립식 가온 방식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의 다른 개폐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개시된 제1 보온 공기팩 커튼 개폐구조를 보인 상세도,
도 11은 도 8에 개시된 제2 보온 공기팩 커튼 개폐구조를 보인 상세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다겹 저탄소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는 제1 보온 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과 제2 보온 층을 형성하고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과 안개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흡수성 제습 시트(30)로 이루어져 다겹을 구성한다.
상세하게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 아치형 프레임(1)과, 제1 아치형 프레임(1)을 따라 취부되어 공기 주입시 팽창하는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과,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2 아치형 프레임(2)과, 제2 아치형 프레임(2)을 따라 취부되어 공기 주입시 팽창하고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과의 사이에 또 다른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 및,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송풍수단(40)이 구비된다. 흡수성 제습 시트(30)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제1 아치형 프레임(1)을 따라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이 설치되어 공기 주입시 팽창하여 제1 보온 층을 형성하고, 제2 아치형 프레임(2)을 따라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이 설치되어 공기 주입시 팽창하여 제2 보온 층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과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 사이에 공기가 갇혀 또 다른 공기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비닐하우스의 측벽과 천장에는 제1 보온 층과 제2 보온 층 및 제1 보온 층과 제2 보온 층 사이의 공기층에 의한 3중의 보온 층이 형성됨으로써 보온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제1 아치형 프레임(1)의 외측에는 비닐시트가 덧씌워지며, 비닐하우스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하여 도시를 생략하였다.
다음,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된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은 비닐하우스의 천장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이 제1 아치형 프레임(1)의 중앙에서 양 측벽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제1 아치형 프레임(1) 저면에 제1 레일(11)이 설치되고, 제1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되 그 단부에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을 취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행거수단(50)이 마련된다.
또한,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이 제2 아치형 프레임(1)의 중앙에서 양 측벽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제2 아치형 프레임(2) 저면에 제2 레일(21)이 설치되고, 제2 레일(21)을 따라 이동하되 그 단부에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을 취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행거수단(60)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의 선단에 견인줄(22)이 결속되고, 견인줄(22)을 감거나 풀기 위한 권취축(23)이 제1 아치형 프레임(1)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권취축(23)을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권취모터(24)가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25는 견인줄이 감기는 권취드럼이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최초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과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이 비닐하우스의 양 측벽에 위치한 경우 권취모터(24)의 구동으로 권취축(23)이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견인줄(22)이 권취축(23)에 감겨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은 제1 아치형 프레임의 레일(11)을 타고 비닐하우스 중앙 측으로 펼쳐지게 되고,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 역시 제2 아치형 프레임의 레일(21)을 타고 비닐 하우스의 중앙 측으로 펼쳐지게 되어 비닐하우스의 천장을 폐쇄하게 된다. 이후, 송풍수단(40)에 의해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에 공기가 주입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3중의 보온 층을 형성하게 된다.
반대로, 송풍수단(40)의 정지로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에 주입된 공기가 빠져나간 상태에서 권취모터(24)의 구동으로 권취축(2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축(23)으로부터 견인줄(22)이 풀려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과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은 그 자중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양 측벽으로 접히게 되어 비닐하우스의 천장이 개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주간의 경우 양호한 채광이 이루어진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보온 공기팩 커튼의 상세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은 동일한 구조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위치에 따라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으로 구분한 것임)은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일측에 공기주입구(12)가 형성되고, 주입된 공기가 고르게 충전되도록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선형 접착부(13)가 마련되며, 선형 접착부(13)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원형 접착부(14)를 형성하되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원형 접착부(14)에 그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는 배수통로(15)와 그 중심부에 절개부(16)가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은 2장의 비닐시트를 겹쳐 그 테두리를 따라 접착함으로써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공기 주입시 과도한 팽창을 방지하고 주입된 공기가 고르게 충전되도록 선형 접착부(13)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선형 접착부(13)는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열융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은 공기주입구(12)를 통해 계속하여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상태를 유지하되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의 반대측에 공기배출구(17)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보온 공기팩 커튼은 외부 공기와의 온도차로 인하여 그 내부 및 표면에 응축수가 맺히게 되는데, 응축수의 무게로 인하여 보온 공기팩 커튼이 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원형 접착부(14)는 그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는 배수통로(15)가 형성되고, 그 중심부분에 절개부(16)가 형성된다. 따라서,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의 응축수는 원형 접착부(14)의 배수통로(15)를 거쳐 절개부(16)로 배출되게 된다. 물론, 보온 공기팩 커튼 상면의 응축수도 원형 접착부(14)의 절개부(16)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18은 보온 공기팩 커튼의 선단에 결속된 견인봉으로 견인줄(22)과 보온 공기팩 커튼과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고, 견인시 보온 공기팩 커튼의 선단이 균일하게 견인되도록 한다.
여기서, 원형 접착부(14)는 행거수단을 이용한 취부시 보온 공기팩 커튼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행거수단(제1,2 행거수단(50,60)은 동일한 구조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위치에 따라 제1,2 행거수단으로 구분한 것임)은 레일을 타고 이동 가능하도록 롤러부(51)가 마련되고, 롤러부(51)로부터 행거축(52)이 연장 형성되며, 원형 접착부(14)를 그 사이에 두고 밀착시켜 행거축(52)의 단부에 조립하되 배수통로(15)에 대응하여 배수홈(53)이 형성된 압착구(54)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압착구(54)는 상측 캡(54a)과 하측 캡(54b)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분에 체결공(55a,b)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측 캡(54a)과 하측 캡(54b)을 맞대어 조립시 배수통로(15)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통로(15)에 대응하여 배수홈(53)이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행거수단의 행거축(52)에 압착구의 상측 캡(54a), 원형 접착부의 절개부(16), 압착구의 하측 캡(54b)을 순차적으로 끼우고 압착구의 상측 캡(54a)과 하측 캡(54b)이 밀착되도록 행거축(52) 단부에 너트(56)를 체결시켜 조이면, 원형 접착부(14)를 사이에 두고 압착구의 상측 캡(54a)과 하측 캡(54b)이 밀착되어 보온 공기팩 커튼은 행거수단(50)에 취부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57은 압착구의 상측 캡(54a)과 하측 캡(54b)이 밀착되도록 너트(56)로 조일 때 상측 캡(54a)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물론, 압착구의 상측 캡 체결공(55a)에 나사골이 형성된 경우에는 행거축(52)과의 나사결합으로 인하여 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스토퍼(52)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보온 공기팩 커튼은 행거수단(50)에 의해 취부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며,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의 응축수는 원형 접착부의 절개부(16)를 거쳐 압착구의 하측 캡 배수홈(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보온 공기팩 커튼 상면의 응축수는 압착구의 상측 캡 배수홈(53)을 통해 압착구(54) 내로 유입된 뒤 원형 접착부의 절개부(16)를 거쳐 압착구의 하측 캡 배수홈(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 전술한 도 4를 참조하면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은 비닐하우스의 양 측벽으로 접었을 때 그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그 하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수 절개부(16')가 형성된다. 즉, 보온 공기팩 커튼을 접었을 때 응축수는 하향 이동하고 배수 절개부(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절개부(16,16')는 십자형상이나 펀칭, 또는 칼집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 하부 면에는 안개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흡수성 제습 시트(30)가 취부된다.
즉, 흡수성 제습 시트(30)는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과 일체로 제2 아치형 프레임(2)에 취부되는데, 행거수단(60)에 의해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과 일체로 취부될 경우 개폐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에 공기 주입시 일부의 공기는 원형 접착부(14)의 절개부(16)를 통해 배출되는데,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 내부에 응축수가 생성된 경우 다습한 상태가 되어 외기와 만났을 때 안개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의 절개부(16)를 통해 배출되는 다습한 공기는 흡수성 제습 시트(30)를 거쳐 비닐하우스 내부로 배출되는데, 흡수성 제습 시트(30)에 의해 수분이 흡수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부의 안개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흡수성 제습 시트(30)는 부직포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친수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하여 난방 연로의 최소 사용을 위한 무가온 또는 가온 방식 모두에 양호하게 적용된다.
먼저, 무가온 방식이란 보온 공기팩 커튼에 주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지 않는 것으로, 난방 연료의 소모가 없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에 비닐하우스의 실내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송풍수단(40)이 마련되는데, 송풍수단(40)은 송풍기(41)와, 송풍기(41)로부터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비닐하우스의 내측벽을 따라 유도하기 위한 이송관로(42)와, 이송관로(42)에 흐르는 공기를 각각의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된 공급관(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송풍기(41)에 의해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 내부로 비닐하우스 내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주입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에 상응하는 3중의 보온 층이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닐하우스의 내부공기와 외기 간의 접촉이 차단되어 보온 및 단열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다음은 보온 공기팩 커튼에 주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온 방식으로 본 발명에서는 독립식 가온 방식을 적용하여 난방 연료의 사용을 최소화하였다.
상세하게는,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41)와, 송풍기(41)로부터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비닐하우스의 내측벽을 따라 유도하기 위한 이송관로(42)와, 이송관로(42)에 흐르는 공기를 각각의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된 공급관(43) 및 공급관(4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독립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70)가 구비된다. 히터(44)는 공급관(43)이 분기되기 전인 이송관로(42)나 해당 공급관(4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적으로는 공기의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 조절부(7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히터(70)는 관 형상으로 그 내부에 히팅코일(72)이 마련되고, 이송관로(42)나 공급관(43) 사이에 조립할 수 있도록 그 양단에 체결부(73)가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히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한 다음 이송관로(42)를 통해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에 공급할 경우 이송경로가 길고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 쉽게 열을 뺏김으로써 적정온도의 보온 층을 형성하기가 극히 곤란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열손실을 감안하여 고온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난방 연료의 소비가 많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관로(42)로부터 분기된 공급관(4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만을 독립적으로 가열하여 각각의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에 주입함으로써, 가열공기의 이송경로를 최소화하고 체류시간에 구애받음이 없이 각각의 제1, 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에 가열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10,20)에 의해 비닐하우스 천장에 적정 온도의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외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보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8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의 다른 개폐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된 비닐하우스는 제1 아치형 프레임과, 제1 아치형 프레임 내측에 제2 아치형 프레임이 설치된다.
제1 아치형 프레임에는 비닐시트가 씌워지고, 제2 아치형 프레임의 내·외측에는 제1 보온 공기팩 커튼과 제2 보온 공기팩 커튼이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 및 9, 10을 참조하여, 제1 보온 공기팩 커튼의 개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적용된 보온 공기팩 커튼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은 제1 아치형 프레임(1)과 제2 아치형 프레임(2) 사이에 설치되고, 그 선단에 견인봉(18)이 결속된다.
또한,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2 아치형 프레임(2) 상측에 권취모터(미도시)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권취축(23a)이 설치되고, 제1 권취축(23a)과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의 견인봉(18)과 결속된 권취드럼(25)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아치형 프레임(2) 상에는 제1 견인줄(22a)에 대응하여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의 개폐시 제1 견인줄(22a)이 제2 아치형 프레임(2) 내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 롤러(8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보온 공기팩 커튼(10) 개폐시 제1 견인줄(22a)이 회전 롤러(8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견인되므로 제2 아치형 프레임(2)과의 마찰력을 줄여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8 및 9, 11을 참조하여 제2 보온 공기팩 커튼의 개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은 제2 아치형 프레임(2) 내측에 설치되고, 제2 아치형 프레임(2)에 매달린 상태로 개폐된다.
이를 위하여, 제2 아치형 프레임(2) 하측에 권취모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권취축(23b)이 설치되고, 제2 권취축(23b)과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의 견인봉(18)과 결속된 제2 견인줄(23b)을 감거나 풀기 위한 권취드럼(25)이 마련된다.
또한,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을 제2 아치형 프레임(2)에 매달 수 있도록 전술한 행거수단의 압착구(54)가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의 원형 접착부(14)에 고정 설치되고, 제2 아치형 프레임(2)을 감싼 상태에서 압착구(54) 후방에 체결되는 U자형 클립(58)이 마련된다.
즉, 압착구(54)는 그 후방 테두리 상에 체결공(54a)이 형성되고, U자형 클립(58)은 양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U자형 클립(58)을 오므린 상태에서 절곡 부분을 압착구의 체결공(54a)에 위치시키고 손을 떼면 U자형 클립(58)이 외측으로 벌어져 압착구(54)와 체결된다.
한편,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 제2 견인줄(22b)은 제2 아치형 프레임(2) 내측에 사선 방향으로 처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이동이나 농기계를 이용한 경운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아치형 프레임(2)을 따라 이동하며 제2 견인줄(22b)을 제2 아치형 프레임(2) 측으로 잡아주기 위한 이동 롤러부재(90)가 설치된다.
이동 롤러부재(90)는 제2 아치형 프레임(1)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롤러(91)와, 이동 롤러(9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견인줄(22b)이 삽입 내재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클램프(92)가 마련된다.
또한, 제2 보온 공기팩 커튼(20)이 완전히 닫힌 경우, 이동 롤러부재(90) 역시 제2 아치형 프레임(2) 상측에 위치되는데, 제2 견인줄(22b)이 풀릴 때 이동 롤러부재(90)를 제2 아치형 프레임(2)의 일정 위치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2 견인줄(22b)에는 클램프(92) 삽입홀의 내경보다 큰 마디부(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견인줄(22b)이 일정 부분 풀리고, 마디부(26)가 클램프(92)의 삽입홀에 위치하면 삽입홀을 통과하지 못하고 밀게 되어 이동 롤러부재(90)는 제2 아치형 프레임(2)의 일정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 롤러부재(90)가 제2 아치형 프레임(2)의 일정 위치로 이동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이동 롤러부재(90)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된다.
스토퍼는 제2 아치형 프레임(2) 하부에 이동 롤러부재의 클램프(92)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돌기 형태로 설치되거나 제2 아치형 프레임(2)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이동 롤러부재의 클램프(92)와 결속된 신축 가능한 와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신축 가능한 와이어는 이동 롤러부재(90)가 제2 아치형 프레임(2) 상단에 위치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나 고무줄 또는 자동으로 감길 수 있는 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93은 제2 견인줄(22b)을 제2 권취축(23b)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르래로 제2 아치형 프레임(2)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가로대에 설치된다.
1 : 제1 아치형 프레임
2 : 제2 아치형 프레임
10: 제1 보온 공기팩 커튼
11: 제1 레일
12: 공기주입구
13: 선형 접착부
14: 원형 접착부
15:배수통로
16: 절개부
17: 공기배출구
20: 제2 보온 공기팩 커튼
21: 제2 레일
22 : 견인줄
23 : 권취축
24 : 권취모터
30: 흡수성 제습 시트
40: 송풍수단
50: 제1 행거수단
60: 제2 행거수단
70: 히터

Claims (10)

  1.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 아치형 프레임과, 상기 제1 아치형 프레임을 따라 취부되어 공기 주입시 팽창하는 제1 보온 공기팩 커튼과, 상기 제1 보온 공기팩 커튼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2 아치형 프레임과,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을 따라 취부되어 공기 주입시 팽창하여 상기 제1 보온 공기팩 커튼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보온 공기팩 커튼 및, 상기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송풍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보온 공기팩 커튼 하부 면에는 안개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흡수성 제습 시트가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온 공기팩 커튼이 상기 제1 아치형 프레임의 중앙에서 양 측벽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아치형 프레임 저면에 제1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되 그 단부에 상기 제1 보온 공기팩 커튼을 취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행거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제2 보온 공기팩 커튼이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의 중앙에서 양 측벽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 저면에 제2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되 그 단부에 상기 제2 보온 공기팩 커튼을 취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행거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의 선단에 견인줄이 결속되고, 상기 견인줄을 감거나 풀기 위한 권취축이 상기 제1 아치형 프레임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상기 권취축을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권취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은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형성되고, 주입된 공기가 고르게 충전되도록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선형 접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선형 접착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원형 접착부를 형성하되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접착부에 그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는 배수통로와 그 중심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 행거수단은 레일을 타고 이동 가능하도록 롤러부가 마련되고, 상기 롤러부로부터 행거축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원형 접착부를 그 사이에 두고 밀착시켜 상기 행거축의 단부에 조립하되 상기 배수통로에 대응하여 배수홈이 형성된 압착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은 그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그 하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비닐하우스의 내측벽을 따라 유도하기 위한 이송관로와,
    상기 이송관로에 흐르는 공기를 각각의 상기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에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된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독립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는 히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8.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 아치형 프레임과,
    상기 제1 아치형 프레임 내측에 설치되는 제2 아치형 프레임과,
    상기 제1 아치형 프레임과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보온 공기팩 커튼과,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보온 공기팩 커튼 및,
    상기 제1,2 보온 공기팩 커튼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송풍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온 공기팩 커튼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 상측에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권취축과, 상기 제1 권취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고 상기 제1 보온 공기팩 커튼 상단과 결속된 제1 견인줄과, 상기 제1 견인줄이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 내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에 상기 제1 견인줄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온 공기팩 커튼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 내측에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권취축과, 상기 제2 권취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고 상기 제2 보온 공기팩 커튼 상단과 결속된 제2 견인줄과, 상기 제2 견인줄이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을 따라 일정 범위를 이동하며 상기 제2 견인줄을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 측으로 잡아주기 위한 이동 롤러부재 및,
    상기 제2 보온 공기팩 커튼을 상기 제2 아치형 프레임에 매달 수 있도록 행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KR1020110065216A 2010-06-30 2011-06-3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KR101299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2514 2010-06-30
KR1020100062514 2010-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01A KR20120002501A (ko) 2012-01-05
KR101299976B1 true KR101299976B1 (ko) 2013-08-26

Family

ID=4560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216A KR101299976B1 (ko) 2010-06-30 2011-06-3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9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48B1 (ko) * 2014-11-14 2015-06-03 주식회사 이든바오 온풍 제공 에어닥트
KR101563327B1 (ko) 2014-04-30 2015-10-26 주식회사 해원파인니스 축열탱크의 단열장치에 대한 변형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KR20180015330A (ko) 2016-08-02 2018-02-13 주식회사 지산철강 보온용 에어팩이 설치된 비닐하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10B1 (ko) * 2012-08-20 2013-03-20 최재수 팽창형 열 커튼을 구비하는 비닐 하우스
CN103749208B (zh) * 2014-01-02 2016-03-16 吕昊 联栋温室充气保温系统
CN111512853A (zh) * 2020-06-04 2020-08-11 邢台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生态农业用大棚
KR102557618B1 (ko) 2021-10-05 2023-07-19 박영준 공기 팩을 이용한 공기 조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21A (ja) * 1991-12-28 1995-01-13 Taitetsu Kogyo Kk 自走式ハウスカーテンのカーテン開度調節装置
JP2002058355A (ja) * 2000-08-22 2002-02-26 Innamu I ビニールハウスの保温方法及び保温装置
KR200298868Y1 (ko) * 2002-07-18 2003-01-03 반채연 난방용 이중 필름을 이용한 비닐하우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21A (ja) * 1991-12-28 1995-01-13 Taitetsu Kogyo Kk 自走式ハウスカーテンのカーテン開度調節装置
JP2002058355A (ja) * 2000-08-22 2002-02-26 Innamu I ビニールハウスの保温方法及び保温装置
KR200298868Y1 (ko) * 2002-07-18 2003-01-03 반채연 난방용 이중 필름을 이용한 비닐하우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327B1 (ko) 2014-04-30 2015-10-26 주식회사 해원파인니스 축열탱크의 단열장치에 대한 변형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KR101525448B1 (ko) * 2014-11-14 2015-06-03 주식회사 이든바오 온풍 제공 에어닥트
KR20180015330A (ko) 2016-08-02 2018-02-13 주식회사 지산철강 보온용 에어팩이 설치된 비닐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01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976B1 (ko)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닐하우스의 다겹 보온 공기팩 커튼 장치
RU21426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в виде ограждения от погодных воздействий и складываемая штора в качестве защиты возделываемых растений
SA07280289B1 (ar) نظام فتح وقفل لطبقة رقيقة بلاستيكية و/ أو شبكة لتغطية سطح صوبات زجاجية معدنية
KR101054063B1 (ko) 닥트기능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의 에어커튼
KR100910041B1 (ko) 비닐하우스의 환기장치
KR20130077442A (ko) 온실용 무그림자형 보온커튼 개폐장치
KR200457754Y1 (ko) 난방 및 제습기능이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난방보조장치
KR101246210B1 (ko) 팽창형 열 커튼을 구비하는 비닐 하우스
KR200430816Y1 (ko) 보온 공기팩 및 이를 이용한 하우스 개폐장치
US20060032171A1 (en) Wall insulation system providing improved moisture control
KR101320259B1 (ko) 비닐하우스의 보온 커튼 개폐 시스템
KR20170006943A (ko)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커튼식 개폐장치
CN215163926U (zh) 一种晾衣机
KR0128227B1 (ko) 풍선식 비닐 하우스
JP4095966B2 (ja) 温室の保温トンネル自動開閉装置及び方法
JP4549342B2 (ja) ビニールハウス用保温パック
KR970061055A (ko) 무기둥 3중 단동온실
CN215412991U (zh) 一种卷材烘干装置和卷材生产线
JP6653442B2 (ja) 農業用ハウス
KR200418388Y1 (ko) 터널형 하우스의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장치
JP2005520504A5 (ko)
JP2015004496A (ja) 暖冷房装置
KR200305894Y1 (ko) 농가용 하우스 조립체
KR100787247B1 (ko) 보온 공기팩을 이용한 하우스 개폐장치
KR100448850B1 (ko) 온실용 중앙권취식 보온터널 및 보온커튼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