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663B1 -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 Google Patents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663B1
KR101299663B1 KR1020120102236A KR20120102236A KR101299663B1 KR 101299663 B1 KR101299663 B1 KR 101299663B1 KR 1020120102236 A KR1020120102236 A KR 1020120102236A KR 20120102236 A KR20120102236 A KR 20120102236A KR 101299663 B1 KR101299663 B1 KR 101299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display surface
display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448A (ko
Inventor
김영하
Original Assignee
김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하 filed Critical 김영하
Priority to KR102012010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66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로서, 상기 버스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버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가장 돌출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교차하는 평면들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와 함께 삼각형을 이루고 버스 표지가 표시되는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을 가지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BUS SIGN SHOW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ON BUS AND B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스에 부착되는 버스 번호 등의 표지(標識)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할 때, 여러 대가 몰리게 되면 버스들이 열을 지어서 정차하게 된다. 이는 도로의 중앙에 만들어진 버스 전용차선에 대해 설치된 정류장에서 더욱 그러하다.
버스 전용차선의 정류장의 경우에는 도로 중앙에 만들다 보니 최대한 좁은 폭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에 의해, 출퇴근 시간과 같이 이용자가 많은 시간에는 줄지어 늘어선 버스들 중 자신 원하는 버스를 찾기 위해 이용자들이 동선이 겹쳐서 좁은 인도에서 엉키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정류장의 환경 여건 속에서, 줄지어 들어선 버스 중에 뒤에 오는 버스의 번호에 대한 확인은 쉽지 않다. 그에 의해, 이용자들은 정류장의 인도에서 앞뒤로 이동하면서 앞뒤 버스의 번호를 확인하게 되어, 정류장의 혼잡은 더욱 심해지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위치에서도 늘어선 버스 각각의 번호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로서, 상기 버스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버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가장 돌출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교차하는 평면들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와 함께 삼각형을 이루고 버스 표지가 표시되는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을 가지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면과 상기 제2 표시면이 이루는 둔각은 110°보다 크고 160°보다 작은 범위 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서로 이격된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측방에서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을 구비하는 인식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판은,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면을 이루는 제1 평면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표시면이 이루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단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하판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의 하면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인식판의 상부 모서리 또는 하부 모서리가 삽입되는 수용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표시부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조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버스 번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앞서 기술한 표지 안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에 의하면, 이용자가 정류장에 줄지어 들어서는 버스의 번호 등의 표지를 앞뒤로 이동하지 않고도 제자리에서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렬로 늘어선 버스의 번호에 대한 확인이 쉬워지면서, 이용자들 사이의 동선이 정리되어, 버스 정류장의 혼잡이 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용자들이 정류장에서 앞뒤로 이동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이용자과의 충돌이나 차량과의 충돌 등의 사고 발생 가능성도 낮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100)를 장착한 버스(200)들이 정류장에 늘어선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지 안내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지 안내 장치(100)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3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4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5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를 구비한 버스(200)에 의한 정류장의 동선정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100)를 장착한 버스(200)들이 정류장에 늘어선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정류장(S)에는 이용자(P)가 대기하고 있으며, 정류장(S) 앞의 도로에는 표지 안내 장치(100)를 부착한 버스(200)들이 줄지어 정차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표지 안내 장치(100)는 대체로 삼각형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지 안내 장치(100)는 구체적으로, 베이스(110)와, 표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와 표시부(120)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여기서는 간단한 내용만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110)는 버스(200)의 장착부(220)에 부착되는 부분이면서, 표시부(120)가 결합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베이스(110)의 장착부(220)에 대한 결합은 나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10)는 연질 플라스틱 내지는 고무로 형성되어, 버스(200)의 장착부(220)와의 긴밀한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베이스(110)를 장착부(220)에 부착 시 진동 흡수와 미끄러움 저감 면에서 유용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가장 돌출된 중앙부(124)와, 중앙부(124)의 양측에 버스 번호가 표시되는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은 서로에 대해 교차하는 평면들을 이루도록,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된다.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 각각에는 버스의 표지(標識)로서, 버스 번호(본 도면에서는 '1007')가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금속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버스(200)는 본체(210)와, 장착부(220)와, 사이드 미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대체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측면(211)에는 이용자(P)의 승하차를 위한 출입문이 형성된다. 측면(211)에는 본체(210) 내에 있는 이용자(P)가 밖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유리창(213)이 상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는 또한 구동력 발생을 위한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215)를 구비한다.
장착부(220)는 측면(211)의 상측이며 본체(21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는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장착부(220)가 형성되는 부분은 유리창(213)이 아닌 다른 부분처럼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사출된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미러(230)는 측면(211)의 가장 앞쪽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표지 안내 장치(100)의 측면(211)으로부터 돌출 정도는 사이드 미러(230)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작은 수준일 수 있다. 이는 사이드 미러(230)가 주변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계되었으므로, 그에 맞추어 사이드 미러(230)의 돌출 정도에 대한 설정의 취지를 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바대로, 표지 안내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표지 안내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표지 안내 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베이스(110)와, 표시부(120)에 더하여, 조명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에 대해 보다 설명하면, 베이스(110)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판재일 수 있다. 베이스(110)의 배면[전면(111)에 반대되는 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200)의 장착부(220, 도 1)와 접촉하게 된다. 베이스(110)에는 스크류(128b)의 체결을 위한 스크류홈이 개구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구체적으로, 상판(121)과, 하판(122)과, 인식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121)과 하판(122)은, 인식판(123)의 형태에 대응하여, 각각 대체로 삼각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121)과 하판(122)에는 윤곽을 따라 연장하는 수용 리세스(121a,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121)의 수용 리세스(121a)에는 인식판(123)의 상부 모서리(123a)가 수용되고, 하판(122)의 수용 리세스(122a)에는 인식판(123)의 하부 모서리(123b)가 수용될 수 있다. 상판(121)과 하판(122)에는 또한 베이스(110)에 대하여 상판(121) 및 하판(122)을 체결시키는 나사(128b)가 통과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대(121b,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121)과 하판(122)이 서로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한 채로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일 단부는 상판(121)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하판(122)에 결합되는 이격 부재(127)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격 부재(127)는 로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나사(128a)에 의해 상판(121) 및 하판(122)과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인식판(123)은 상판(121)과 하판(122)의 측방에 배치되며, 앞서 설명한 중앙부(124)와,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을 포함한다. 인식판(123)은 대체로 중앙부(124)를 기준으로 1회 절곡된 판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중앙부(124)는 인식판(123)의 대략 중앙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중앙부(124)의 일 측에는 제1 표시면(125a)을 이루는 제1 평면부(125)가 형성되고, 중앙부(124)의 타 측에는 제2 표시면(126a)을 이루는 제2 평면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평면부(125 및 126)의 명칭은 제1 표시면(125a) 및 제2 표시면(126a)이 평면임에 따라 부여된 명칭이다. 이와 달리,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은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은 중앙부(124)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평면부(125)와 제2 평면부(126)의 면적 및 형태는 동일하게 될 것이다.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이 이루는 각(α)은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범위 내일 수 있다. 위 각(α)이 0°보다 크다는 것은, 제1 표시면(125a) 또는 제2 표시면(126a)이 베이스(110)에 대해 수직하지 않게 배치된 상태를 위한 것이다. 위 각(α)이 180°보다 작다는 것은,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지 않도록 배치된 상태를 위한 것이다.
나아가, 제1 표시면(125a), 제2 표시면(125b), 및 베이스(110)는 삼각형을 이루고,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5b)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각(α)은 중앙부(124)의 돌출 길이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230, 도 1)의 돌출 길이와 비슷하거나 그 이하로 하고, 베이스(110)가 차지할 영역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버스의 사이드 미러(230)의 돌출 길이는 250mm 정도이다. 그에 의해, 중앙부(124)의 돌출 길이를 200mm, 250mm, 300mm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의 길이는 버스(200)의 장착부(220, 이상 도 2)의 길이에 대응하여 1200mm, 1300mm, 1400mm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들을 이용하여 출원인이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상기 각(α)은 127°, 130°, 134°, 135°, 138°, 141°, 143°, 146°, 148°등으로 산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은 예시일 뿐이며, 장착부(220)의 길이나 중앙부(124)의 돌출 길이 등을 달리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 각(α)은 110°보다 크고 160°보다 작은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조명부(130)는 베이스(110)와 표시부(120)가 한정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조명부(130)는 구체적으로 베이스(110)의 전면(111)에 설치되어,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에 표시된 버스 번호에 대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명부(130)는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1 표시면(125a)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131)와, 제2 표시면(126a)에 대응하는 제2 조명부(132)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조명부(130)를 이루는 조명 소자로는 일반적인 전구나 램프뿐만 아니라, 엘이디(LED)가 사용될 수 있다. 조명부(130)에 공급되는 전원은 별도의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거나, 엔진 가동에 의해 충전되는 버스(200)의 내장 배터리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표지 안내 장치(100)에 의한 버스 번호 인식의 개선 효과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표지 안내 장치(100)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표지 안내 장치(100)는 버스(200)의 본체(210)의 측면(211)에 대략 삼각형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대로, 표지 안내 장치(100)는 사이드 미러(230)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수준으로 돌출된다.
표지 안내 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한 이용자(P, 도 1)는 제1 표시면(125a, 도 1)의 버스 번호를 제1 방향(F1)으로 인식할 수 있다. 표지 안내 장치(100)의 후방에 위치한 이용자(P)는 제2 표시면(126a, 도 1)의 버스 번호를 제2 방향(F2)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지 안내 장치(100)의 옆에 위치한 이용자(P)는 제3 방향(F3)으로 제1 표시면(125a) 및 제2 표시면(126a)을 동시에 인식하여 버스 번호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지 안내 장치(100)에 의하면, 이용자(P)가 버스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E)가 종래의 평면적으로 표시된 버스 번호에 인식 범위보다 넓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다른 형태의 표지 안내 장치(300, 400)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3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지 안내 장치(300)는 앞선 실시예에 동일하게 베이스(310)와, 표시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중앙부(324)를 기준으로 제1 표시면(325a)과 제2 표시면(326a)이 서로 대칭적이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표시면(325a)이 제2 표시면(326a)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버스(200)가 정류장(S)에 진입할 때, 이용자(P, 이상 도 1)는 표지 안내 장치(300)의 전방에서 표지 안내 장치(300)를 바라보는 방향(F1)에 놓이게 되는 일이 표지 안내 장치(300)의 후방에서 바라보는 방향(F2)에 놓이는 일보다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 표시면(325a)을 제2 표시면(326a) 보다 크게 하면, 이용자(P)가 주로 바라보는 제1 표시면(325a)에 버스 번호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정류장(S)에서 대기하고 있는 이용자(P)뿐만 아니라, 버스(200)의 전방에서 정류장(S)을 향해 다가오는 이용자(P)에게도 버스 번호가 보다 쉽게 인식될 수 있게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는 도 4의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표지 안내 장치(300)는 베이스(310)와, 표시부(320)에 더하여, 조명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310)와 표시부(320)의 세부적인 구성은각각 앞선 실시예의 베이스(110) 및 표시부(120)와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조명부(330)는 제1 표시면(325a)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331)와, 제2 표시면(326a)에 대응하는 제2 조명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조명부(331)와 제2 조명부(332) 각각은 그들에 장착된 조명 소자가 제1 표시면(325a) 및 제2 표시면(326a)에 평행한 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명부(331)는 주면(331a)과, 주면(331a)의 일 측에 형성되며 타 측 보다는 사이즈가 큰 측면(331b)을 가진다. 제2 조명부(332) 역시 주면(332a)과, 측면(332b)을 가진다. 이때, 제2 조명부(332)의 주면(332a)의 베이스(310)에 대한 각도에 의해, 제2 조명부(332)의 측면(332b)이 제1 조명부(331)의 측면(331b)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4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 따른 표지 안내 장치(400)는 앞선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베이스(410)와, 표시부(420)를 포함한다.
표시부(420)에는 디스플레이(4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40)는 제1 평면부(425)에서 제2 평면부(426)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440)의 제1 평면부(425)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1 표시면(425a)으로, 제2 평면부(426)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2 표시면(426a)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표시면(425a)에 행선지('잠실역')가 표지로서 표시되고, 제2 표시면(426a)에 버스 번호('1007')가 표지로서 표시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행선지 및 상기 버스 번호는 디스플레이(4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40)에는 행선지와 버스 번호 외에 인사말 등이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40)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40)를 채용한 경우라면, 디스플레이(440) 자체가 발광하거나 발광부를 구비하고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5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표지 안내 장치(500)는 한 쌍의 부착부(510)와, 중앙부(524)와,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525a 및 526a)과, 조명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 안내 장치(500)는 전체적으로 복수 회 절곡된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지 안내 장치(500)는 첫 번째 부착부(510)와 제1 표시면(525a) 사이, 중앙부(524), 그리고 제2 표시면(526a)과 두 번째 부착부(510) 사이 등 총 3회에 걸쳐서 절곡된 형태를 이룬다.
부착부(510)는 표지 안내 장치(500)의 양단부 각각 형성된다. 부착부(510)에는 버스(200)의 장착부(220)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 및 볼트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부착부(510)는 장착부(22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중앙부(524)는 표지 안내 장치(500)의 중앙에 위치하며, 버스(200) 외측으로 가장 돌출한 부분이 된다.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525a,526a)은 서로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525a,526a)은 각각 중앙부(524)의 양측에 배치된다. 표시면(525a,526a)에는 각각 버스 번호나 행선지와 같은 버스 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표시면(525a)과 제2 표시면(526a) 사이의 배치 관계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와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
조명부(530)는 표시면(525a,526a)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부(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앞선 실시예들에서 베이스(110, 310, 410)를 구비하는 것과 달리, 부착부(510)가 중앙부(524)와 표시면(525a,526a)에 일체화되므로, 표지 안내 장치(500)를 버스(200)의 장착부(220)에 보다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표지 안내 장치(100,300,400,500)를 채용함에 따른 정류장(S)에서의 이용자(P)의 동선정리 효과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를 구비한 버스(200)에 의한 정류장의 동선정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버스(200')의 측면(211')에 평면적으로 버스 번호가 표시된 경우에는, 이용자(P)가 일렬로 정류장(S)에 진입하는 버스(200')들의 버스 번호를 인식하지 못해서 정류장(S) 앞뒤로 왔다 갔다 하게 된다. 그에 의해 이용자(P)의 동선(M1)이 서로 엉키고 복잡해진다.
그에 반하여,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지 안내 장치(100,300,400,500)가 버스(200)에 부착된 경우에는, 정류장(S)의 어느 위치에서도 일렬로 늘어선 버스(200)들의 버스 번호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이용자(P)들은 자신이 승차할 버스(200)에 접근하기 위해서만 이동하게 되므로, 동선(M2)이 간단해지고 서로 엉키는 정도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는 정류장(S)의 좁은 공간도 다수의 이용자(P)들이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300,400, 500: 표지 안내 장치 110,310,410: 베이스
120,320,420: 표시부 121,321: 상판
122,322: 하판 123, 323: 인식판
124,324,424,524: 중앙부 125a, 325a, 425a,525a: 제1 표시부
126a,326a,426a,526a: 제2 표시부 130,330: 조명부
200: 버스

Claims (9)

  1.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로서,
    상기 버스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버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가장 돌출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교차하는 평면들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와 함께 삼각형을 이루고 버스 표지가 표시되는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을 가지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면과 상기 제2 표시면이 이루는 둔각은 110°보다 크고 160°보다 작은 범위 내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서로 이격된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측방에서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을 구비하는 인식판을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판은,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면을 이루는 제1 평면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표시면이 이루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일 단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하판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면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인식판의 상부 모서리 또는 하부 모서리가 삽입되는 수용 리세스가 형성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표시부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버스 번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9.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표지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버스.
KR1020120102236A 2012-09-14 2012-09-14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KR101299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36A KR101299663B1 (ko) 2012-09-14 2012-09-14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36A KR101299663B1 (ko) 2012-09-14 2012-09-14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233A Division KR101201534B1 (ko) 2011-03-08 2011-03-08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448A KR20120109448A (ko) 2012-10-08
KR101299663B1 true KR101299663B1 (ko) 2013-08-27

Family

ID=4728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236A KR101299663B1 (ko) 2012-09-14 2012-09-14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6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930Y1 (ko) * 2008-09-08 2008-12-22 최덕호 버스의 노선번호 표시장치
KR20080112997A (ko) * 2007-06-21 2008-12-26 시엠피, 엘엘씨.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00003305U (ko) * 2008-09-17 2010-03-25 김태형 버스의 노선안내 보조번호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997A (ko) * 2007-06-21 2008-12-26 시엠피, 엘엘씨.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442930Y1 (ko) * 2008-09-08 2008-12-22 최덕호 버스의 노선번호 표시장치
KR20100003305U (ko) * 2008-09-17 2010-03-25 김태형 버스의 노선안내 보조번호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448A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874B1 (en) Road-marking complex and system for marking roads
US20090079588A1 (en) Adaptable traffic control sign
US8985828B2 (en) Flat illuminating display device and light-emitting means therefor
US20080030978A1 (en) Stud for Roads
KR20200030918A (ko) 시선유도시설
KR101299663B1 (ko)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KR101201534B1 (ko)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US20160090034A1 (en) Illuminated Emergency Warning Device
US9987976B1 (en) Foldable warn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ndications
JP5123188B2 (ja) 道路用標示体及び自発光式道路標識柱
KR101939632B1 (ko) 도로표지병 및 그것을 이용한 도로 방향유도시스템
WO2014042302A1 (ko)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JP5778327B1 (ja) 三角停止表示器
KR102040008B1 (ko) 기능성 투광부가 설치되는 교통 표지판
US200801689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driver of a motor vehicle to enter a correct lane after a turn at an intersection
KR20220163557A (ko)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ITMI961119A1 (it) Elemento di visualizzazione utilizzabile come indicatore e come pixel in una matrice di elementi di visualizzazione
KR20100020280A (ko) 가드레일 부착형 표시판
JP4204748B2 (ja) ガードレールおよび視線誘導灯
KR101453242B1 (ko) 도로용 표지병
JP2020118858A (ja) 表示装置、その表示装置の製造方法、表示システム
JP4261214B2 (ja) 自発光視線誘導標
JP2001323422A (ja) 道路表示装置
KR200208861Y1 (ko) 도로의 가이드레일용 안내표시구
KR200417383Y1 (ko) 자가발전 조명안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