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534B1 -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 Google Patents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1534B1 KR101201534B1 KR1020110020233A KR20110020233A KR101201534B1 KR 101201534 B1 KR101201534 B1 KR 101201534B1 KR 1020110020233 A KR1020110020233 A KR 1020110020233A KR 20110020233 A KR20110020233 A KR 20110020233A KR 101201534 B1 KR101201534 B1 KR 1012015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 display surface
- display
- plate
- guide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로서, 상기 버스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버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서로 이격된 상판 및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측방에서 배치되며, 가장 돌출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교차하는 평면들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버스 표지가 표시되는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을 가지는 인식판을 구비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에 부착되는 버스 번호 등의 표지(標識)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할 때, 여러 대가 몰리게 되면 버스들이 열을 지어서 정차하게 된다. 이는 도로의 중앙에 만들어진 버스 전용차선에 대해 설치된 정류장에서 더욱 그러하다.
버스 전용차선의 정류장의 경우에는 도로 중앙에 만들다 보니 최대한 좁은 폭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에 의해, 출퇴근 시간과 같이 이용자가 많은 시간에는 줄지어 늘어선 버스들 중 자신 원하는 버스를 찾기 위해 이용자들이 동선이 겹쳐서 좁은 인도에서 엉키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정류장의 환경 여건 속에서, 줄지어 들어선 버스 중에 뒤에 오는 버스의 번호에 대한 확인은 쉽지 않다. 그에 의해, 이용자들은 정류장의 인도에서 앞뒤로 이동하면서 앞뒤 버스의 번호를 확인하게 되어, 정류장의 혼잡은 더욱 심해지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위치에서도 늘어선 버스 각각의 번호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로서, 상기 버스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버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서로 이격된 상판 및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측방에서 배치되며, 가장 돌출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교차하는 평면들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버스 표지가 표시되는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을 가지는 인식판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 표지는 버스 번호 또는 버스의 행선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면과 상기 제2 표시면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면은 상기 제2 표시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판은,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면을 이루는 제1 평면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표시면이 이루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단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하판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의 하면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인식판의 상부 모서리 또는 하부 모서리가 삽입되는 수용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표시부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조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표시면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와, 상기 제2 표시면에 대응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또는 제2 조명부의 조명 소자는 상기 제1 또는 제2 표시면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의 주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는 조명 소자로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버스 번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앞서 기술한 표지 안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측면의 앞쪽 상측에 형성되며, 금속판 또는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지 안내 장치는 상기 사이드 미러와 대등하게, 또는 상기 사이드 미러보다 적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지 안내 장치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세 개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세 개의 측면들 중 하나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 표지는 버스 번호 또는 버스의 행선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면과 상기 제2 표시면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면은 상기 제2 표시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판은,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면을 이루는 제1 평면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표시면이 이루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단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하판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의 하면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인식판의 상부 모서리 또는 하부 모서리가 삽입되는 수용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표시부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조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표시면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와, 상기 제2 표시면에 대응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또는 제2 조명부의 조명 소자는 상기 제1 또는 제2 표시면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의 주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는 조명 소자로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버스 번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앞서 기술한 표지 안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측면의 앞쪽 상측에 형성되며, 금속판 또는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지 안내 장치는 상기 사이드 미러와 대등하게, 또는 상기 사이드 미러보다 적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지 안내 장치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세 개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세 개의 측면들 중 하나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에 의하면, 이용자가 정류장에 줄지어 들어서는 버스의 번호 등의 표지를 앞뒤로 이동하지 않고도 제자리에서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렬로 늘어선 버스의 번호에 대한 확인이 쉬워지면서, 이용자들 사이의 동선이 정리되어, 버스 정류장의 혼잡이 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용자들이 정류장에서 앞뒤로 이동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이용자과의 충돌이나 차량과의 충돌 등의 사고 발생 가능성도 낮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100)를 장착한 버스(200)들이 정류장에 늘어선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지 안내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지 안내 장치(100)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3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4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5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를 구비한 버스(200)에 의한 정류장의 동선정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지 안내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지 안내 장치(100)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3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4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5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를 구비한 버스(200)에 의한 정류장의 동선정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100)를 장착한 버스(200)들이 정류장에 늘어선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정류장(S)에는 이용자(P)가 대기하고 있으며, 정류장(S) 앞의 도로에는 표지 안내 장치(100)를 부착한 버스(200)들이 줄지어 정차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표지 안내 장치(100)는 대체로 삼각형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지 안내 장치(100)는 구체적으로, 베이스(110)와, 표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와 표시부(120)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여기서는 간단한 내용만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110)는 버스(200)의 장착부(220)에 부착되는 부분이면서, 표시부(120)가 결합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베이스(110)의 장착부(220)에 대한 결합은 나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10)는 연질 플라스틱 내지는 고무로 형성되어, 버스(200)의 장착부(220)와의 긴밀한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베이스(110)를 장착부(220)에 부착 시 진동 흡수와 미끄러움 저감 면에서 유용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가장 돌출된 중앙부(124)와, 중앙부(124)의 양측에 버스 번호가 표시되는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은 서로에 대해 교차하는 평면들을 이루도록,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된다.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 각각에는 버스의 표지(標識)로서, 버스 번호(본 도면에서는 '1007')가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금속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버스(200)는 본체(210)와, 장착부(220)와, 사이드 미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대체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측면(211)에는 이용자(P)의 승하차를 위한 출입문이 형성된다. 측면(211)에는 본체(210) 내에 있는 이용자(P)가 밖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유리창(213)이 상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는 또한 구동력 발생을 위한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215)를 구비한다.
장착부(220)는 측면(211)의 상측이며 본체(21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는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장착부(220)가 형성되는 부분은 유리창(213)이 아닌 다른 부분처럼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사출된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미러(230)는 측면(211)의 가장 앞쪽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표지 안내 장치(100)의 측면(211)으로부터 돌출 정도는 사이드 미러(230)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작은 수준일 수 있다. 이는 사이드 미러(230)가 주변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계되었으므로, 그에 맞추어 사이드 미러(230)의 돌출 정도에 대한 설정의 취지를 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바대로, 표지 안내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표지 안내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표지 안내 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베이스(110)와, 표시부(120)에 더하여, 조명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에 대해 보다 설명하면, 베이스(110)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판재일 수 있다. 베이스(110)의 배면[전면(111)에 반대되는 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200)의 장착부(220, 도 1)와 접촉하게 된다. 베이스(110)에는 스크류(128b)의 체결을 위한 스크류홈이 개구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구체적으로, 상판(121)과, 하판(122)과, 인식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121)과 하판(122)은, 인식판(123)의 형태에 대응하여, 각각 대체로 삼각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121)과 하판(122)에는 윤곽을 따라 연장하는 수용 리세스(121a,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121)의 수용 리세스(121a)에는 인식판(123)의 상부 모서리(123a)가 수용되고, 하판(122)의 수용 리세스(122a)에는 인식판(123)의 하부 모서리(123b)가 수용될 수 있다. 상판(121)과 하판(122)에는 또한 베이스(110)에 대하여 상판(121) 및 하판(122)을 체결시키는 나사(128b)가 통과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대(121b,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121)과 하판(122)이 서로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한 채로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일 단부는 상판(121)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하판(122)에 결합되는 이격 부재(127)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격 부재(127)는 로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나사(128a)에 의해 상판(121) 및 하판(122)과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인식판(123)은 상판(121)과 하판(122)의 측방에 배치되며, 앞서 설명한 중앙부(124)와,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을 포함한다. 인식판(123)은 대체로 중앙부(124)를 기준으로 1회 절곡된 판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중앙부(124)는 인식판(123)의 대략 중앙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중앙부(124)의 일 측에는 제1 표시면(125a)을 이루는 제1 평면부(125)가 형성되고, 중앙부(124)의 타 측에는 제2 표시면(126a)을 이루는 제2 평면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평면부(125 및 126)의 명칭은 제1 표시면(125a) 및 제2 표시면(126a)이 평면임에 따라 부여된 명칭이다. 이와 달리,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은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은 중앙부(124)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평면부(125)와 제2 평면부(126)의 면적 및 형태는 동일하게 될 것이다.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이 이루는 각(α)은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범위 내일 수 있다. 위 각(α)이 0°보다 크다는 것은, 제1 표시면(125a) 또는 제2 표시면(126a)이 베이스(110)에 대해 수직하지 않게 배치된 상태를 위한 것이다. 위 각(α)이 180°보다 작다는 것은,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지 않도록 배치된 상태를 위한 것이다.
나아가, 제1 표시면(125a), 제2 표시면(125b), 및 베이스(110)는 삼각형을 이루고,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5b)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각(α)은 중앙부(124)의 돌출 길이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230, 도 1)의 돌출 길이와 비슷하거나 그 이하로 하고, 베이스(110)가 차지할 영역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버스의 사이드 미러(230)의 돌출 길이는 250mm 정도이다. 그에 의해, 중앙부(124)의 돌출 길이를 200mm, 250mm, 300mm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의 길이는 버스(200)의 장착부(220, 이상 도 2)의 길이에 대응하여 1200mm, 1300mm, 1400mm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들을 이용하여 출원인이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상기 각(α)은 127°, 130°, 134°, 135°, 138°, 141°, 143°, 146°, 148°등으로 산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은 예시일 뿐이며, 장착부(220)의 길이나 중앙부(124)의 돌출 길이 등을 달리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 각(α)은 110°보다 크고 160°보다 작은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조명부(130)는 베이스(110)와 표시부(120)가 한정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조명부(130)는 구체적으로 베이스(110)의 전면(111)에 설치되어,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표시면(125a)과 제2 표시면(126a)에 표시된 버스 번호에 대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명부(130)는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1 표시면(125a)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131)와, 제2 표시면(126a)에 대응하는 제2 조명부(132)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조명부(130)를 이루는 조명 소자로는 일반적인 전구나 램프뿐만 아니라, 엘이디(LED)가 사용될 수 있다. 조명부(130)에 공급되는 전원은 별도의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거나, 엔진 가동에 의해 충전되는 버스(200)의 내장 배터리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표지 안내 장치(100)에 의한 버스 번호 인식의 개선 효과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표지 안내 장치(100)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표지 안내 장치(100)는 버스(200)의 본체(210)의 측면(211)에 대략 삼각형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대로, 표지 안내 장치(100)는 사이드 미러(230)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수준으로 돌출된다.
표지 안내 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한 이용자(P, 도 1)는 제1 표시면(125a, 도 1)의 버스 번호를 제1 방향(F1)으로 인식할 수 있다. 표지 안내 장치(100)의 후방에 위치한 이용자(P)는 제2 표시면(126a, 도 1)의 버스 번호를 제2 방향(F2)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지 안내 장치(100)의 옆에 위치한 이용자(P)는 제3 방향(F3)으로 제1 표시면(125a) 및 제2 표시면(126a)을 동시에 인식하여 버스 번호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지 안내 장치(100)에 의하면, 이용자(P)가 버스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E)가 종래의 평면적으로 표시된 버스 번호에 인식 범위보다 넓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다른 형태의 표지 안내 장치(300, 400)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3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지 안내 장치(300)는 앞선 실시예에 동일하게 베이스(310)와, 표시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중앙부(324)를 기준으로 제1 표시면(325a)과 제2 표시면(326a)이 서로 대칭적이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표시면(325a)이 제2 표시면(326a)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버스(200)가 정류장(S)에 진입할 때, 이용자(P, 이상 도 1)는 표지 안내 장치(300)의 전방에서 표지 안내 장치(300)를 바라보는 방향(F1)에 놓이게 되는 일이 표지 안내 장치(300)의 후방에서 바라보는 방향(F2)에 놓이는 일보다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 표시면(325a)을 제2 표시면(326a) 보다 크게 하면, 이용자(P)가 주로 바라보는 제1 표시면(325a)에 버스 번호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정류장(S)에서 대기하고 있는 이용자(P)뿐만 아니라, 버스(200)의 전방에서 정류장(S)을 향해 다가오는 이용자(P)에게도 버스 번호가 보다 쉽게 인식될 수 있게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는 도 4의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표지 안내 장치(300)는 베이스(310)와, 표시부(320)에 더하여, 조명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310)와 표시부(320)의 세부적인 구성은각각 앞선 실시예의 베이스(110) 및 표시부(120)와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조명부(330)는 제1 표시면(325a)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331)와, 제2 표시면(326a)에 대응하는 제2 조명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조명부(331)와 제2 조명부(332) 각각은 그들에 장착된 조명 소자가 제1 표시면(325a) 및 제2 표시면(326a)에 평행한 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명부(331)는 주면(331a)과, 주면(331a)의 일 측에 형성되며 타 측 보다는 사이즈가 큰 측면(331b)을 가진다. 제2 조명부(332) 역시 주면(332a)과, 측면(332b)을 가진다. 이때, 제2 조명부(332)의 주면(332a)의 베이스(310)에 대한 각도에 의해, 제2 조명부(332)의 측면(332b)이 제1 조명부(331)의 측면(331b)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4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 따른 표지 안내 장치(400)는 앞선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베이스(410)와, 표시부(420)를 포함한다.
표시부(420)에는 디스플레이(4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40)는 제1 평면부(425)에서 제2 평면부(426)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440)의 제1 평면부(425)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1 표시면(425a)으로, 제2 평면부(426)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2 표시면(426a)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표시면(425a)에 행선지('잠실역')가 표지로서 표시되고, 제2 표시면(426a)에 버스 번호('1007')가 표지로서 표시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행선지 및 상기 버스 번호는 디스플레이(4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40)에는 행선지와 버스 번호 외에 인사말 등이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40)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40)를 채용한 경우라면, 디스플레이(440) 자체가 발광하거나 발광부를 구비하고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5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표지 안내 장치(500)는 한 쌍의 부착부(510)와, 중앙부(524)와,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525a 및 526a)과, 조명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 안내 장치(500)는 전체적으로 복수 회 절곡된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지 안내 장치(500)는 첫 번째 부착부(510)와 제1 표시면(525a) 사이, 중앙부(524), 그리고 제2 표시면(526a)과 두 번째 부착부(510) 사이 등 총 3회에 걸쳐서 절곡된 형태를 이룬다.
부착부(510)는 표지 안내 장치(500)의 양단부 각각 형성된다. 부착부(510)에는 버스(200)의 장착부(220)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 및 볼트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부착부(510)는 장착부(22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중앙부(524)는 표지 안내 장치(500)의 중앙에 위치하며, 버스(200) 외측으로 가장 돌출한 부분이 된다.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525a,526a)은 서로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525a,526a)은 각각 중앙부(524)의 양측에 배치된다. 표시면(525a,526a)에는 각각 버스 번호나 행선지와 같은 버스 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표시면(525a)과 제2 표시면(526a) 사이의 배치 관계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와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
조명부(530)는 표시면(525a,526a)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부(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앞선 실시예들에서 베이스(110, 310, 410)를 구비하는 것과 달리, 부착부(510)가 중앙부(524)와 표시면(525a,526a)에 일체화되므로, 표지 안내 장치(500)를 버스(200)의 장착부(220)에 보다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표지 안내 장치(100,300,400,500)를 채용함에 따른 정류장(S)에서의 이용자(P)의 동선정리 효과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를 구비한 버스(200)에 의한 정류장의 동선정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버스(200')의 측면(211')에 평면적으로 버스 번호가 표시된 경우에는, 이용자(P)가 일렬로 정류장(S)에 진입하는 버스(200')들의 버스 번호를 인식하지 못해서 정류장(S) 앞뒤로 왔다 갔다 하게 된다. 그에 의해 이용자(P)의 동선(M1)이 서로 엉키고 복잡해진다.
그에 반하여,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지 안내 장치(100,300,400,500)가 버스(200)에 부착된 경우에는, 정류장(S)의 어느 위치에서도 일렬로 늘어선 버스(200)들의 버스 번호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이용자(P)들은 자신이 승차할 버스(200)에 접근하기 위해서만 이동하게 되므로, 동선(M2)이 간단해지고 서로 엉키는 정도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는 정류장(S)의 좁은 공간도 다수의 이용자(P)들이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300,400, 500: 표지 안내 장치 110,310,410: 베이스
120,320,420: 표시부 121,321: 상판
122,322: 하판 123, 323: 인식판
124,324,424,524: 중앙부 125a, 325a, 425a,525a: 제1 표시부
126a,326a,426a,526a: 제2 표시부 130,330: 조명부
200: 버스
120,320,420: 표시부 121,321: 상판
122,322: 하판 123, 323: 인식판
124,324,424,524: 중앙부 125a, 325a, 425a,525a: 제1 표시부
126a,326a,426a,526a: 제2 표시부 130,330: 조명부
200: 버스
Claims (20)
-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로서,
상기 버스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버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서로 이격된 상판 및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측방에서 배치되며, 가장 돌출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교차하는 평면들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버스 표지가 표시되는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을 가지는 인식판을 구비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표지는 버스 번호 또는 버스의 행선지를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면과 상기 제2 표시면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면은 상기 제2 표시면 보다 크게 형성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판은,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면을 이루는 제1 평면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표시면이 이루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일 단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하판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면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인식판의 상부 모서리 또는 하부 모서리가 삽입되는 수용 리세스가 형성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표시부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표시면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와, 상기 제2 표시면에 대응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조명부의 조명 소자는 상기 제1 또는 제2 표시면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의 주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조명 소자로서 LED를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면 및 제2 표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버스 번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항에 따르는 표지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버스.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측면의 앞쪽 상측에 형성되며, 금속판 또는 사출물로 형성되는, 버스.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지 안내 장치는 상기 사이드 미러와 대등하게, 또는 상기 사이드 미러보다 적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버스.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안내 장치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세 개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세 개의 측면들 중 하나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버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0233A KR101201534B1 (ko) | 2011-03-08 | 2011-03-08 |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0233A KR101201534B1 (ko) | 2011-03-08 | 2011-03-08 |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2236A Division KR101299663B1 (ko) | 2012-09-14 | 2012-09-14 |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2229A KR20120102229A (ko) | 2012-09-18 |
KR101201534B1 true KR101201534B1 (ko) | 2012-11-15 |
Family
ID=4711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0233A KR101201534B1 (ko) | 2011-03-08 | 2011-03-08 |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153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2930Y1 (ko) * | 2008-09-08 | 2008-12-22 | 최덕호 | 버스의 노선번호 표시장치 |
KR101015880B1 (ko) * | 2010-10-12 | 2011-02-23 | 주식회사로드솔라 | 보안등 겸용 안내표시장치 |
-
2011
- 2011-03-08 KR KR1020110020233A patent/KR1012015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2930Y1 (ko) * | 2008-09-08 | 2008-12-22 | 최덕호 | 버스의 노선번호 표시장치 |
KR101015880B1 (ko) * | 2010-10-12 | 2011-02-23 | 주식회사로드솔라 | 보안등 겸용 안내표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2229A (ko) | 2012-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05874B1 (en) | Road-marking complex and system for marking roads | |
US5303130A (en) | Illuminating automobile sideview mirror | |
US8098172B2 (en) | Adaptable traffic control sign | |
KR102160129B1 (ko) | 시선유도시설 | |
US6190027B1 (en) | Electroluminescent courtesy light with optical element and tube for running board of vehicle | |
US20080030978A1 (en) | Stud for Roads | |
KR101201534B1 (ko) |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 |
KR101299663B1 (ko) |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 |
US9987976B1 (en) | Foldable warn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ndications | |
JPWO2008026572A1 (ja) | 自発光式道路標識柱 | |
KR100908398B1 (ko) | 델리네이터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85882B1 (ko) |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 |
JPH1143908A (ja) | 視線誘導灯 | |
WO2014042302A1 (ko) | 버스 부착용 표지 안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버스 | |
KR20220163557A (ko) |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 |
KR102040008B1 (ko) | 기능성 투광부가 설치되는 교통 표지판 | |
JP5778327B1 (ja) | 三角停止表示器 | |
US2008016894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driver of a motor vehicle to enter a correct lane after a turn at an intersection | |
JP4204748B2 (ja) | ガードレールおよび視線誘導灯 | |
KR20100020280A (ko) | 가드레일 부착형 표시판 | |
KR101453242B1 (ko) | 도로용 표지병 | |
JP3136032U (ja) | 縁石鋲 | |
WO2022039270A1 (ja) | 移動体搭載表示装置 | |
JP4261214B2 (ja) | 自発光視線誘導標 | |
JP3042551U (ja) | 携帯可能な非常用交通標識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