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918A - 시선유도시설 - Google Patents

시선유도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918A
KR20200030918A KR1020180109743A KR20180109743A KR20200030918A KR 20200030918 A KR20200030918 A KR 20200030918A KR 1020180109743 A KR1020180109743 A KR 1020180109743A KR 20180109743 A KR20180109743 A KR 20180109743A KR 20200030918 A KR20200030918 A KR 20200030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ze
light
specific pattern
facility
in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129B1 (ko
Inventor
엄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건
Priority to KR1020180109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1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옹벽 및 터널 등에 설치되어 그 구간에 대한 선형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야간 및 우천 시에 운전자의 시선을 더욱 명확하게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은 발광부의 도트 표시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함으로써, 발광부의 도트 표시가 전체적으로 밝게 빛날 수 있다.

Description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VISUAL GUIDANCE FACILITIES USING PARTIAL ADHESION}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옹벽 및 터널 등에 설치되어 그 구간에 대한 선형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로는 차량이나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길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로는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양한 위험요소에 노출되어 있다.
도로 위에서의 위험요소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는 교통안전표지판, 표지병 및 시선유도표지 등의 도로안전용품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델리네이터라고도 일컬어지는 시선유도표지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옹벽 및 터널 등에 설치되어 그 구간에 대한 선형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즉, 시선유도표지는 주행 차량의 불빛을 반사체를 통해 반사함으로써 야간에 주행하는 운전자의 시선을 차선으로 유도한다.
그러나 종래의 시선유도표지는 짙은 안개 등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없는 경우, 주행 차량의 불빛이 반사체에 도달되지 않는 상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07772호(2011.01.14.) (2)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69720호(2011.10.04.) (3) KR 등록특허공보 제10-1191729호(2012.10.16.) (4)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108호(2005.10.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옹벽 및 터널 등에 설치되어 그 구간에 대한 선형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로에 설치되는 시선유도시설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은 전원부, 광원부 및 발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시선유도시설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광원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따라 상기 시선유도시설의 전후방향으로 특정 패턴을 표시한다.
상기 발광부는 제 1 및 제 2 발광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발광체는 상기 발광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시선유도시설의 전방으로 상기 특정 패턴을 표시한다. 상기 제 2 발광체는 상기 발광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그 후면이 상기 제 1 발광체의 후면과 마주 보며, 상기 시선유도시설의 후방으로 상기 특정 패턴을 표시한다.
상기 제 1 발광체는 제 1 투명판 및 제 1 반사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투명판은 상기 제 1 발광체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특정 패턴을 상기 시선유도시설의 외측으로 반사한다. 상기 제 1 반사필름은 전면이 상기 제 1 투명판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특정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의해 상기 특정 패턴이 빛나게 한다.
상기 제 1 반사필름은 제 1 반사원지, 제 1 정전기 방지층 및 복수의 제 1 도트 표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반사원지는 PVC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정전기 방지층은 상기 제 1 반사원지의 전면에서 복수의 도트홈을 제외하고 도포되어 상기 제 1 반사필름과 상기 제 1 투명판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한다. 복수의 상기 제 1 도트 표시는 복수의 상기 도트홈 각각에 돌출되도록 점착되어 상기 특정 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옹벽 및 터널 등에 설치되어 그 구간에 대한 선형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야간 및 우천 시에 운전자의 시선을 더욱 명확하게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은 발광부의 도트 표시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함으로써, 발광부의 도트 표시가 전체적으로 밝게 빛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표현된 제 1 반사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표현된 제 1 반사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10)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옹벽 및 터널 등에 설치되어 그 구간에 대한 선형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전원부(100), 광원부(200) 및 발광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전원부(100)는 시선유도시설(10)의 전원을 공급하여 광원부(200)가 빛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전원부(100)는 예컨대 태양광 모듈로 구성되어 친환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별도의 배터리가 마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광원부(200)는 전원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킨다. 광원부(200)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 LED) 등의 발광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200)는 일측의 둘레를 따라 삽입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발광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발광부(300)는 광원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어 광원부(200)와 결합된다. 또한 발광부(300)는 광원부(200)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따라 시선유도시설(10)의 전후방향으로 특정 패턴을 표시한다. 여기서 특정 표시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옹벽 및 터널 등의 선형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표식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광부(300)는 제 1 발광체(310) 및 제 2 발광체(320)를 포함한다.
제 1 발광체(310)는 발광부(300)의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발광부(300)는 시선유도시설(10)의 전방으로 특정 패턴을 표시한다. 이러한 제 1 발광체(310)는 제 1 투명판(311) 및 제 1 반사필름(312)을 포함한다.
제 1 투명판(311)은 제 1 발광체(310)의 전면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투명판(311)은 후면에 위치한 제 1 반사필름(312)으로부터 밝게 빛나는 특정 패턴을 시선유도시설(10)의 외측으로 반사한다. 제 1 투명판(311)은 예컨대 투명성과 굴절률이 높은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반사필름(312)은 전면이 제 1 투명판(311)의 후면에 부착된다. 또한 제 1 반사필름(312)은 특정 패턴을 형성하고, 광원부(200)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의해 그 특정 패턴이 빛나게 한다. 이러한 제 1 반사필름(312)은 제 1 반사원지(312a), 제 1 정전기 방지층(312b) 및 복수의 제 1 도트 표시(312c)로 구성된다. 제 1 반사원지(312a)는 반사율이 높은 PVC(Polyvinyl chlorid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잇다. 제 1 정전기 방지층(312b)은 제 1 반사원지(312a)의 전면에서 복수의 제 1 도트 표시(312c)가 위치한 복수의 도트홈(도면부호 생략)을 제외하고 도포되어 제 1 반사필름(312)과 제 1 투명판(311)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한다. 즉, 제 1 정전기 방지층(312b)은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에칭액으로써, 제 1 반사필름(312) 및 제 1 투명판(311) 사이의 간극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수의 제 1 도트 표시(312c)에 광원부(200)의 빛이 고루 전달되게끔 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도트 표시(312c)는 제 1 정전기 방지층(312b)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도트홈에 돌출되도록 점착되어 특정 패턴을 형성한다. 복수의 제 1 도트 표시(312c)는 제 1 투명판(311)의 후면에 밀착되어 제 1 투명판(311)에 특정 패턴이 반사되도록 하는 한편, 일정 두께에 의해 제 1 반사필름(312) 및 제 1 투명판(311)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러한 간극에는 정전기가 발생될 확률이 높지만, 제 1 정전기 방지층(312b)에 의해 그 정전기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제 1 도트 표시(312c)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옹벽 및 터널 등의 선형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표식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 발광체(320)는 발광부(300)의 후방에 위치하여 그 후면이 제 1 발광체(310)의 후면과 마주 본다. 즉, 제 2 발광체(320)는 그 후면이 제 1 발광체(310)의 후면과 마주 봄으로써, 그 사이에 발광부(300)의 빛을 집광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발광체(320)는 제 1 발광체(310)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시선유도시설(10)의 후방으로 특정 패턴을 표시한다. 아울러, 제 2 발광체(320)는 제 1 발광체(310)의 제 1 투명판(311)과 제 1 반사필름(312)에 대응되는 제 2 투명판(321) 및 제 2 반사필름(3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투명판(321) 및 제 2 반사필름(322)은 제 1 투명판(311) 및 제 1 반사필름(312)꽈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것은 물론이며,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제 1 발광체(31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
100 : 전원부
200 : 광원부
300 : 발광부
310 : 제 1 발광체
311 : 제 1 투명판
312 : 제 1 반사필름
312a : 제 1 반사원지
312b : 제 1 정전기 방지층
312c : 제 1 도트 표시
320 : 제 2 발광체
321 : 제 2 투명판
322 : 제 2 반사필름

Claims (4)

  1. 도로에 설치되는 시선유도시설에 있어서,
    상기 시선유도시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따라 상기 시선유도시설의 전후방향으로 특정 패턴을 표시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시선유도시설의 전방으로 상기 특정 패턴을 표시하는 제 1 발광체; 및
    상기 발광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그 후면이 상기 제 1 발광체의 후면과 마주 보며, 상기 시선유도시설의 후방으로 상기 특정 패턴을 표시하는 제 2 발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체는,
    상기 제 1 발광체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특정 패턴을 상기 시선유도시설의 외측으로 반사하는 제 1 투명판; 및
    전면이 상기 제 1 투명판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특정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의해 상기 특정 패턴이 빛나게 하는 제 1 반사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필름은,
    PVC 재질의 제 1 반사원지;
    상기 제 1 반사원지의 전면에서 복수의 도트홈을 제외하고 도포되어 상기 제 1 반사필름과 상기 제 1 투명판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제 1 정전기 방지층; 및
    복수의 상기 도트홈 각각에 돌출되도록 점착되어 상기 특정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1 도트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점착을 이용한 시선유도시설.
KR1020180109743A 2018-09-13 2018-09-13 시선유도시설 KR10216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43A KR102160129B1 (ko) 2018-09-13 2018-09-13 시선유도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43A KR102160129B1 (ko) 2018-09-13 2018-09-13 시선유도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18A true KR20200030918A (ko) 2020-03-23
KR102160129B1 KR102160129B1 (ko) 2020-09-25

Family

ID=6999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743A KR102160129B1 (ko) 2018-09-13 2018-09-13 시선유도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1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941B1 (ko) * 2020-12-11 2021-04-12 주식회사 한국신호 Led 교통 표지판
KR102283562B1 (ko) * 2021-03-30 2021-07-29 주식회사 한국신호 속도 측정이 가능한 다기능 led 교통 표지판
KR102283564B1 (ko) * 2021-03-30 2021-07-29 주식회사 한국신호 습도조절이 가능한 led 교통 표지판
KR102283557B1 (ko) * 2021-03-30 2021-07-29 주식회사 한국신호 다기능 led 교통 표지판
KR102283554B1 (ko) * 2021-03-30 2021-07-29 주식회사 한국신호 기능성 투광부가 설치되는 led 교통 표지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108Y1 (ko) 2005-08-01 2005-10-20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시선유도 델리네이터용 반사판구조
KR101007772B1 (ko) 2010-03-12 2011-01-14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엘이디가 장착된 시선유도표지
KR101069720B1 (ko) 2010-01-06 2011-10-0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델리네이터
KR20120001528U (ko) * 2010-08-25 2012-03-06 김형준 실리콘 축광재를 내장한 델리네이터
KR101191729B1 (ko) 2010-04-13 2012-10-16 신도산업 주식회사 델리네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108Y1 (ko) 2005-08-01 2005-10-20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시선유도 델리네이터용 반사판구조
KR101069720B1 (ko) 2010-01-06 2011-10-0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델리네이터
KR101007772B1 (ko) 2010-03-12 2011-01-14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엘이디가 장착된 시선유도표지
KR101191729B1 (ko) 2010-04-13 2012-10-16 신도산업 주식회사 델리네이터
KR20120001528U (ko) * 2010-08-25 2012-03-06 김형준 실리콘 축광재를 내장한 델리네이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941B1 (ko) * 2020-12-11 2021-04-12 주식회사 한국신호 Led 교통 표지판
KR102283562B1 (ko) * 2021-03-30 2021-07-29 주식회사 한국신호 속도 측정이 가능한 다기능 led 교통 표지판
KR102283564B1 (ko) * 2021-03-30 2021-07-29 주식회사 한국신호 습도조절이 가능한 led 교통 표지판
KR102283557B1 (ko) * 2021-03-30 2021-07-29 주식회사 한국신호 다기능 led 교통 표지판
KR102283554B1 (ko) * 2021-03-30 2021-07-29 주식회사 한국신호 기능성 투광부가 설치되는 led 교통 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129B1 (ko)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0918A (ko) 시선유도시설
US20080191963A1 (en) Display Device
US20060265919A1 (en) Transparent light-conducting module
KR10164534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가변표지판
KR100312351B1 (ko) 반사표지판
KR1020819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도광판
KR100948639B1 (ko) 교통표지판
JP5779049B2 (ja) 内照式標識
KR101313039B1 (ko) 광변환시트를 이용한 조명식 표지판
JP2015055797A (ja) 内部照明式標識装置
EP2668530B1 (en) Mosaic lighting device with transparent body with a plurality of light guides delimited by slits
KR20060114631A (ko) 고휘도 발광 표지판
KR20120106113A (ko) 도로 표시판용 led 렌즈
KR102383731B1 (ko) 발광형 표지판
JP2003043957A (ja) Ledを用いた標識表示装置
JP4948774B2 (ja) 再帰反射性標識体
JP3256092B2 (ja) 自発光式道路鋲
KR100972853B1 (ko) Led 간판
TWM463751U (zh) 冷光交通標誌牌結構
JP5142480B2 (ja) 道路鋲
JP3136032U (ja) 縁石鋲
KR20020010380A (ko) 재귀반사와 앵글반사를 동시에 일으키는 프리즘 필름
KR200274499Y1 (ko) 테이프형 라이트 라인
JP2567471Y2 (ja) 標示装置
JP3019321U (ja) 視線誘導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